<colbgcolor=#cc101f><colcolor=#fff> 미합중국 제18대 해병대부사령관 드위트 펙 DeWitt Peck | |||
| |||
출생 | 1894년 5월 29일 | ||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즈필드 | |||
사망 | 1973년 1월 13일 (향년 78세) | ||
메릴랜드주 앤드루스 공군기지 | |||
묘소 | 알링턴 국립묘지 | ||
학력 | 미국해군사관학교 | ||
재임기간 | 제17대 해병대부사령관 | ||
1944년 1월 20일 ~ 1945년 7월 30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cc101f><colcolor=#fff> 복무 | 미합중국 해병대 | |
1915년 ~ 1946년 (해병대) | |||
최종 계급 | 소장 (미합중국 해병대) | ||
주요 참전 | 제1차 세계 대전 바나나 전쟁 태평양 전쟁 국공내전 | }}}}}}}}} |
1. 개요
미국의 군인이다.2. 생애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즈필드 출신으로 뉴욕주 클레이턴으로 이주해 그 곳에서 성장했다. 1911년 윌리엄 하워드 태프트의 추천으로 해군사관학교에 입교해 1915년 졸업 후 해병 소위로 임관했다.[1] 버지니아주 포츠머스에서 경력을 시작해 아이티를 거쳐 순양함 USS 올림피아에서 복무했다.1차 대전에 미국이 참전하자 해군신병교육대에서 복무했고 1918년 프랑스 브레스트에 도착해 제5해병여단 제5해병연대 2대대 55중대장으로 생미이엘 공세, 블랑몽 전투에 참가했다. 블랑몽 전투 당시 가스로 인해 부상을 입었음에도 르무엘 셰퍼드를 구출했다.
1919년 귀국해 국내에서 복무하다가 아이티, 니카라과에서 저항군과 전투를 치렀다. 지휘참모학교, 해군참모대학을 졸업했고 샌디에이고에서 복무하다가 1939년 대령으로 진급했다. 이후 상하이에서 복무하다가 토머스 C. 하트가 지휘하는 대서양함대해병대에 배치되었고 함대해병대본부 참모장으로 임명되었다.
전쟁이 발발하고 리치먼드 K. 터너 휘하 전쟁계획사단에 있었고 1942년 준장으로 진급했다. 남태평양 전선에 배치되었고 로버트 곰리 휘하 참모직을 지냈다. 중앙솔로몬 전역, 뉴기니 전역에 참가했고 합동참모위원회 해병계획사단장을 지냈다. 1944년 해병대부사령관으로 임명되어 전쟁 종료 직전까지 지냈다. 제1해병사단장으로 임명된지 얼마 안 되어 종전을 맞이했다.
1946년 소장으로 퇴역했고 자문으로 있다가 1973년 사망했다.
[1] 당시 임관 동기로 아서 D. 스트러블, 프랜시스 S. 로, 페드로 델 발레, 랄프 W. 크리스피, 아서 C. 데이비스, 아치 F. 하워드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