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1:00:38

쏘카일레클

일레클에서 넘어옴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모빌리티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서비스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 서비스나 운영주체 문서 또는 문단이 존재하는 경우에만 기재 / 종료된 서비스는 취소선으로 표시
승객 운송
택시
직영혼합 스윙택시(스윙) | 카카오 T 택시(카카오T) | 타다 | 파파 | i.M택시
가맹 온다택시(티머니GO) | Uber Taxi(Uber)
중개 대구로 택시(대구로) | 리본택시 | 반반택시 | 티머니GO
라이드헤일링 카카오 T 셔틀(카카오T) | 카카오 T 카풀(카카오T) | 타다 Basic(타다)
대리 카카오 T 대리(카카오T) | TMAP 대리(TMAP)
차량 공유
자동차(렌터카) 쏘카 | 투루카 | G카 | 티머니GO 렌터카(티머니GO) | TMAP 렌터카(TMAP)
스쿠터 스윙
킥보드 다트 | 디어 | | 스윙 | 쏘카일레클 | 씽씽 | 알파카 | 지쿠 | 킥고잉 | 킥스 | 타고가 | 터틀 | 플라워로드
자전거
기업 메리바이크 | 발켄M | | 스윙 | 쏘카일레클 | 알바이크 | 에브리바이크 | 지쿠 | 체리 | 카카오 T 바이크(카카오T) | 킥고잉 | 티맵바이크(TMAP)
공공 그린씽 | 꽃싱이 | 누비자 | 달려보령 | 따릉이 | 백제씽씽 | 양산시 공공자전거 | 어울링 | 여수랑 | 온누리자전거 | 이킥 | 타고가야 | 타랑께 | 타슈
교통 정보
내비게이션 구글 지도 | 네이버 지도 | 카카오맵 | 카카오 T 내비(카카오T) | Apple 지도 | TMAP
예약 네이버 지도 | 쏘카 | 카카오 T 시외버스(카카오T) | 코레일톡 | 토스 | 티머니GO | SRT
주차 모두의주차장 | 카카오 T 주차(카카오T) | 투루파킹 | TMAP 주차(TMAP)
대중교통 네이버 지도 | 카카오맵 | 티머니GO | TMAP 대중교통(TMAP)
주유/충전소 카카오내비 | TMAP
화물 운송
콜밴
퀵/배달 카카오 T 퀵(카카오T) | HOMEPICK(티머니GO) | TMAP 화물(TMAP)
차량 관리
수리/세차 네이버페이 MY CAR(네이버페이) | 카카오 T 마이카(카카오T)
중고차 기아 인증중고차 | 엔카 | 헤이딜러 | 현대 인증중고차 | KB차차차
}}}}}} ||


<colbgcolor=#1d88ff><colcolor=white> 쏘카일레클
SOCAR elecle

파일:쏘카일레클 로고.svg

모기업 (주)쏘카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관련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기종
2.1. 전기자전거2.2. 전동킥보드
3. 이용 방법
3.1. 이용 가능 지역3.2. 이용 요금3.3. 대여3.4. 일시잠금3.5. 반납3.6. 긴급반납
4. 고객센터5. 여담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모든 이동의 시작과 끝
쏘카일레클은 주식회사 나인투원이 운영하는 전기자전거 공유 서비스다.

2019년 4월 10일에 정식 서비스를 출시하였다. 전기 자전거라 일반 자전거에 비해 힘이 덜 들고 추진력이 좋지만 외관 상으로는 본체가 두껍다는 점 외에는 차이점을 찾기 어렵다. 도크리스 방식이지만, 아무 곳에나 반납할 수 없고 앱 내의 지도 상에 음영 표시되지 않은 곳에서만 반납이 가능하다.

2019년 9월 초에는 태풍 링링의 여파로 태풍 영향권에 들어올 때 부터 태풍이 소멸 할 때 까지 운영을 중단했다.

2019년 12월 16일 쏘카에 인수되었으며, 2024년 3월 20일 서비스명이 일레클에서 쏘카일레클로 변경되었다. 2024년 3월 이후 서비스가 시작된 경산시 하양읍, 영천시, 서울특별시 광진구 일대에 쏘카일레클 로고가 부착된 기기가 배치되기 시작했다.

서비스 출시 초기에는 나인봇 ES4로 전기 자전거와 같은 가격에 서울 등 일부 지역에서 전동 킥보드 서비스도 운영하였으나 2023년 8월 현재는 세종시에서만 검색된다. 세종시에 투입된 전기자전거가 모두 파란색 PLUS 또는 3.0 모델인데 반해, 전동 킥보드는 빨간색으로 표시되는걸로 구분 가능하다.

2. 기종

기기번호는 CLASSIC, NEO, PLUS는 XXXXYYYY 형태이며, 3.0, SEGWAY는 XXXYYYYY 형태이다.
X는 기종[1], YYYY는 일련번호다.[2]

2.1. 전기자전거

파일:일레클클래식2.jpg
일레클 클래식
1010XXXX
초기에 도입된 빨간색 자전거. 휠 크기는 20인치. 공유 자전거 기종들 중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한 몇 안되는 모델이다. IoT 장비가 없이 스마트락이 달려있고, 파워 조절이 수동인 점에서 네오와 비슷하나, 대여 후 전원 버튼을 눌러야 전력이 공급된다. 현재는 전량 퇴역한 상태.
파일:일레클네오.jpg
일레클 네오[3]
1011XXXX
클래식의 개량형. 2019년 9월 도입. 브레이크는 드럼식으로 바뀌고 휠 크기가 24인치로 커지면서 스마트폰 거치대가 일체형으로 변경되었다. IoT 장비가 없이 스마트락이 달려있고, 파워 조절 또한 수동이며, 스마트폰 거치대가 달려있다.[4] 최고속도는 25km/h, 주행가능거리는 30km이다.
파일:elecleplus.jpg
일레클 플러스[5]
1012XXXX~1014XXXX
네오의 개량형으로, 2021년 1월 도입되었다. 전자종이 방식의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ioT 모듈이 탑재되어 이용 중 속도 확인[6]이 가능한 몇 안 되는 공유자전거가 되었다. 잠금장치는 종전의 네오와 비슷하게 뒷바퀴를 체결하는 방식이지만 수동 잠금 레버가 빠지고 IoT 장비를 통해서만 제어된다. 버튼으로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초기 도입분은 빨간색, 10137000번대 이후는 파란색이다. 최고속도는 25km/h, 주행가능거리는 30km이다.
3.0 도입 이후 오랫동안 도입되고 있지 않았다가, 2024년 3월, 쏘카일레클 로고가 부착된 10144000번대 자전거가 청주시 오창읍 일대에 배치되었다.
파일:일레클30.jpg
일레클 3.0[7]
102XXXXX
2022년 9월에 도입되었다. 색상은 파란색[8]이며, 배터리가 핸들과 안장 사이 프레임이 아닌 안장과 뒷바퀴 사이로 옮겨졌다. 휠은 22인치이며 기존 모델 대비 최고 출력이 많이 증가했고[9] 밟는 힘에 따라 모터의 출력이 변한다.[10] 모터 출력으로는 법적 한도인 25km/h (오차범위 1~2km/h)로 제한되지만, 이후 탑승자가 페달을 밟으면 헛돌지 않아 구형 모델인 플러스나 네오, 타사 전기자전거에 비해 훨씬 빠르게 주행할 수 있다. 플러스와 네오, 타사 자전거는 모터 출력 한도 이후 페달이 헛도는 반면, 3.0 기기는 40km/h 가까이 속도를 낼 수 있어 현존하는 공유 전기자전거 중 가장 빠르다. 주행가능거리는 45km로 공유 자전거 중 제일 높다. IoT 모듈은 일레클 플러스와 동일한 모듈을 공유한다.

2024년 3월 이후 도입된 10213200번대부터 쏘카일레클 로고가 부착되어 배치되고 있다.

2024년 4월부터 도입된 2024년 생산분 일레클 3.0(10218200번대 이후)은 전륜 및 싯포스트 서스펜션이 달려있다. 이전 3.0 대비 출력이 개선되었고, 내리막에서 25km/h 이상으로 올라가면 모터를 통한 전자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개선되었다.[11][12]2022~2023년에 도입된 3.0에 비해 고온에 취약하여 하절기 땡볕에 주차되어있던 기기를 탑승하면 모터가 작동하지 않을 때가 있다. 브레이크를 끝까지 사용하여 완전히 멈춘 상태에서 3단을 걸어 페달을 밟는 것을 2~3번 반복해도 모터가 작동하지 않으면 반납 후 고객센터에 문의하여 환불을 받도록 하자.

2.2. 전동킥보드

파일:SOCAR elecle SEGWAY.png
일레클 SEGWAY(나인봇 맥스 플러스 기반)
203XXXXX
파일:일레클_SEGWAY.jpg
일레클 SEGWAY(나인봇 ES4 기반)
202XXXXX

초기 도입된 기기는 나인봇 ES4 기반이었으나, 해당 기기는 모두 퇴역했으며, 현재는 세종특별자치시에서 나인봇 맥스 기반의 2030XXXX번대 전동킥보드만 서비스 되고 있다.[13]. 주행가능거리는 30km.

3. 이용 방법

3.1. 이용 가능 지역

파일:쏘카일레클 로고 화이트.svg 이용 가능 장소
2024. 11.
지역별 서비스 기종
N NEO | P PLUS | 3.0 3.0 | S SEGWAY
지역 비고
N P 3.0 용산구 삼각지역, 서울역, 숙대입구역, 숙명여대, 원효로, 효창공원 일대
강남구 대치동, 도곡동, 청담동, 논현동, 압구정동, 신사동, 삼성1동 일대, 개포 1,2,3,4동, 일원1동
송파구 풍납동 제외한 전 지역, 마천동 송파파크데일 1단지, 2단지만 해당
성동구 서울숲역 5번 출구[14], 성수동1가 KD타워 앞에서만 서비스되고 있었으나, 2024년 3월, 왕십리 일대, 한양대학교 서울캠퍼스, 성수동 일대로 서비스지역이 확대되었다.
은평구 구파발역, 진관동 일부
서대문구 신촌역, 연세대학교, 신촌로, 충정로 일대
마포구 아현역, 이대역, 공덕역, 서강대학교, 홍익대학교 일대[15]
영등포구 여의도 일대
광진구 2024년 3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건국대학교 서울캠퍼스, 세종대학교, 동서울터미널 일대, 군자역~광나루역 이남 지역
노원구 2024년 3월 27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화랑대역 일대, 태릉입구역~수락리버시티 라인, 상계동 당고개파출소 이남 지역
도봉구 2024년 4월 3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쌍문역, 창동역~도봉산역 라인
강서구 당초 2020년 9월부터 서비스지역으로 추가, 2021년 6월 제외되었으나, 2024년 4월 다시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다.
서초구 2024년 4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서울고속버스터미널,잠원동,반포3동 일대, 양재1동, 양재2동, 서초1,2,3동일대
구로구 2024년 5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구로3동 일대
금천구 2024년 5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가산동, 독산동, 시흥동 일대
관악구 초기 서비스 지역으로 2019년 6월 21일 서비스 지역에서 제외된 적 있었으나, 2024년 5월 조원동 조원중앙로 이서지역, 신대방역사거리에 한해서 다시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다.
양천구 아직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지 않았으나, 강서구에 배치된 기기에 강서·양천구에서는 첫달 매일 무료라고 적혀있어 곧 서비스를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P 강서구 명지동 일부
3.0 중구
북구 서변IC 이남[16], 칠곡경대병원역 이남, 금호지구 일대
동구 대구국제공항 이남, 용계역 이서지역
남구
서구
수성구 파동, 담티고개, 고모로 일대 제외 전 지역
달서구 대곡역, 성서산단 일대 제외 전 지역
달성군 다사읍 일대
N P 3.0[17] 중구 영종국제도시(운서동, 운남동, 중산동)
서구 검단 일부(원당동, 아라동), 경인항 물류단지, 청라국제도시, 가좌동, 가정동, 검암동, 석남동, 연희동, 북항 일대
동구 2024년 10월 16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송림동, 송현동(동인천역) 일대
연수구 송도 전 지역. 2024년 7월 13일 기존 운영 중이던 기기를 모두 수거하고 7월 15일 신형 3.0 기기로 교체되었다. 수거된 기기는 인천시내 인근 지역과 안산시로 재배치되었다.
부평구 십정동 일부 제외 전 지역[18]
남동구 2024년 4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서창동 일대
미추홀구 2024년 10월 16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인천광역시청 이서지역(간석, 주안, 인하대학교 용현캠퍼스 일대)
3.0 서구 목원대학교, 배재대학교, 대전과학기술대학교, 가수원동, 갈마동, 관저동, 내동, 도마동, 도안동, 둔산동, 만년동, 월평동 일대. 당초 2022년 9월 서비스지역에서 추가되었다가 2022년 12월 14일부터 대전광역시 전구역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외되었으나, 2024년 4월 5일 다시 서비스지역으로 추가, 4월 8일 자전거가 배치되었다.
유성구 죽동, 봉명동, 장대동, 상대동, 원신흥동, 충남대학교, 카이스트, 원신흥남로, 도안대로, 대학로, 엑스포로, 도룡동 스마트시티, 구암동 일대. 당초 2022년 9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다 2022년 11월 3일 일부 지역(노은지구,구암동 일대)이, 2022년 12월 14일부터 대전광역시 전구역이 서비스 지역에서 제외되었으나, 2024년 4월 5일 다시 서비스지역으로 추가, 4월 8일 자전거가 배치되었다. 이후 4월 23일 노은지구 일대가 다시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다가 6월 경 다시 서비스지역에서 제외되었다.[19]
중구 2024년 4월 23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오월드 일대 제외 전 지역
동구 2024년 4월 23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P 동구 2024년 2월 현대미포조선 임직원 전용 구역으로 서비스를 시작했으며, 삼성디지털시티와 다르게 완전한 임직원 전용이라 쏘카일레클 앱에서 자전거가 표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본관, 선행관, 고객지원관, 외업1관, 외업2관, 외업5관, 내업1관, 해양1관, 기술혁신관 반납구역에서만 반납 가능.
세종특별자치시 P 3.0 S[20] 2019년 9월 11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세종 행복도시 1, 2, 3, 4생활권, 운영 초기에는 NEO 기기로 운영했으나, 현재는 PLUS와 3.0으로 운영 중.
경기도 고양시 N P 3.0 일산 전역, 삼송지구 전역[21], 원흥지구 전역[22], 화정동, 능곡동, 행신동 일대
과천시 3.0 과천지식정보타운, 과천 원도심(원문동,별양동,중앙동,부림동 일대)
광명시 3.0 2024년 5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일직동 광명역, 소하동, 철산동, 하안동 일대
군포시 3.0 산본, 부곡동 일대
김포시 N P 3.0 일부 지역
남양주시 N P 3.0[23] 다산동, 호평동, 평내동, 별내동, 진접읍, 오남읍 일부[24], 화도읍, 경복대학교 남양주캠퍼스
부천시 P 원미구 일대(중/상동, 춘의동, 약대동 등 춘의역/부천로 이서 지역[25]7호선 구간 일대, 심곡동, 약대동, 소사동, 역곡동 일부) 및 소사구 일부(소사본동, 범박동, 옥길동, 역곡동, 괴안동 등 소사로/소새울역 이동 지역, 부천역, 중동역, 송내역1호선 부천 구간 일대), 원래 NEO, PLUS, 3.0 모두 서비스하던 지역이었으나, 2024년 10월 경 쏘카일레클 로고가 부착된 최신 생산분 PLUS로 전량 교체 배치되었다. 수거된 기기는 서울특별시로 재배치되었다.
성남시 N P 3.0 성남 위례 일대
수원시 N P 3.0[26] 장안구 전역
권선구 - 호매실, 권선행정타운, 세류동, 권선동, 곡반정동 일대
영통구(삼성로 일대 제외,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내부 제외) 전역, 삼성디지털시티[27]
팔달구 - 화서동, 고등동, 매산동, 행궁동, 매교동, 지동, 우만2동, 인계동 일대
안산시 3.0 2024년 7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안산시 전역(반월공단/대부도 제외)
시흥시 P 3.0[28] 정왕동 일부, 배곧, 시흥시청(장현동, 군자동, 능곡동 일대)
- 은행동 일대가 2024년 4월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된 적이 있었으나, 현재는 서비스지역에서 제외됨. 2024년 7월 12일 정왕동 일대의 기기가 모두 PLUS 기기로 교체되었다.
안양시 3.0 동안구 전 지역, 안양역 일대, 원래 NEO, PLUS, 3.0 모두 서비스하던 지역이었으나, 2024년 3월 경 쏘카일레클 로고가 부착된 최신 생산분 3.0으로 전량 교체 배치되었다.
양주시 3.0 옥정신도시 일대
오산시 P 3.0 세교, 운암지구, 오산역, 한신대학교, 오산대학교 일대
용인시 N P 3.0 2021년 12월 부터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으나, 2022년 5월 9일자로 주요 지역이 서비스지역에서 제외된 후 현재는 상현역, 상현2,3동, 광교신도시 일대 지역에서 수원시 지역과 통합되어 운영중이다.
의왕시 P 3.0 내손동, 포일동, 삼동, 부곡동 일부
의정부시 P 가능동, 녹양동, 송산동, 신곡동, 자금동, 장암동, 호원동 일부
파주시 N P 3.0 운정, 교하동, 금촌동, 문산읍, 파주읍, 광탄면 일부
평택시 P 3.0 동삭동
하남시 N P 3.0 하남 위례 일대, 감일 일대
화성시 P 3.0 동탄, 병점, 반정동(망포동 인근지역)
봉담(상리, 동화리, 와우리), 기안동(와우리 인근지역), 새솔동(안산시 사동 인근지역)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P 3.0 기존 PLUS로 서비스하였던 지역이나, 2024년 1월 3.0 기기도 추가되었다.
속초시 3.0
청주시 P 3.0[29] 원래 오창읍 일대, 청주리버파크자이에서만 서비스되고 있었으나, 2024년 5월 8일 청원구 내덕동 일대, 상당구 금천동, 성안동, 영운동 일대, 서원구 분평동, 사창동, 산남동 수곡동 일대, 흥덕구 가경동, 복대동, 봉명동, 강서1동 일대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아산시 P 천안아산역, 탕정역 일대
천안시 P 동남 -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백석대학교, 상명대학교, 호서대학교 일대
서북 - 쌍용역, 불당동, 성성동, 두정동, 두정역, 공주대학교 천안캠퍼스, 나사렛대학교
경산시 3.0 - 중산, 옥산, 중방, 영남대학교 일대
- 하양읍: 2024년 3월 13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고, 다음날인 2024년 3월 14일 기기가 배치되었다. 경일대학교, 대구가톨릭대학교, 호산대학교, 하양역 일대
영천시 3.0 2024년 3월 13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고, 다음날인 2024년 3월 14일 기기가 배치되었다. 영천시청, 영천역, 북영천역, 창신아파트 일대
김해시 P 율하신도시 일대, 진영읍 일부
양산시 P
밀양시 P
담양군 P 담양읍 일대, 전남도립대학교 내, 담빛문화지구 일부, 메타프로방스 앞
서비스지역 중지 및 제외지역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지역 비고
종로구 2020년 4월 6일자 서비스 중지.
중구
성북구 2020년 5월 31일자 서비스 중지.
P 남구 무거동 일부 지역, 삼호동 일부 지역 신정3동 일부 지역, 그 외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하였으나 2024년 2월 27일, 서비스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북구 2023년 9월 1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됨. 농소동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하고 있었으나 2024년 5월 중하순부터 방전된 기기에 대한 배터리 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2024년 5월 25일부로 이용 가능한 기기가 조회되지 않게 되었고 2024년 7월 3일 반납 불가 지역으로 전환, 7월 5일 서비스지역에서 완전히 제외되었다.[30]
울주군 범서읍 굴화리 일부 지역에서 서비스하였으나 2024년 2월 27일, 서비스 지역에서 제외되었다.
성남시 N P 3.0 분당구 일대에서 서비스하였으나, 2024년 1월 중지.
양양군 3.0 2023년 12월 서비스 시작. 양양대교 이북 7번 국도 라인 지역(양양군청 일대, 낙산해수욕장, 설악해수욕장 인근 지역)에서 서비스하였으나, 한 달도 안되어 기기가 모두 수거되었다. 수거 당시에는 서비스 지역에서는 제외되지 않아, 속초에서 대여 후 양양에서 반납이 가능했으나, 2024년 2월 반납 불가 구역으로 전환되었다.
동해시 3.0 2024년 1월 26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으나, 동년 7월 8일 서비스지역에서 제외되었다.
강릉시 3.0 2023년 8월 30일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으나, 한 달도 안 되어 서비스 중지되었다가 2023년 12월 18일 다시 서비스가 재개되었다. 하지만 2024년 7월 17일 다시 서비스지역에서 제외되었다.
고성군 3.0 2023년 12월 서비스 시작. 토성면 천진교차로 이남 지역(경동대학교 글로벌캠퍼스, 토성파출소, 봉포해수욕장 일대, 켄싱턴리조트 설악비치 인근 지역)에서 서비스되었으나 2024년 8월 경 서비스지역에서 제외되었다.
충주시 P 한국교통대학교 충주캠퍼스 내에서 무선충전서비스 실증사업을 진행하였으나# 2022년 12월 13일 이후로 중단된 상태. 바구니가 달린 위치에 무선충전모듈이 장착되어있어 충주시에 배치되었던 자전거는 바구니가 없었다.
창원시 P 2020년 10월쯤 부터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으나, 2022년 9월 5일자 중지.
순천시 P 2023년 9월 서비스 중지.
목포시 3.0 하당동, 부흥동, 상동, 이로동, 부주동 일대, 용해동 일부, 기존 PLUS로 서비스하였던 지역이나, 2023년 12월 20일 3.0으로 전량 교체되었다. 2024년 11월 2일부로 서비스가 종료되어 기기가 모두 수거되어 목포시에 배치되었던 기기가 서울특별시 지역에 재배치된 것이 확인되고, 2025년 1월 4일부로 반납 불가 구역으로 전환되었다.
무안군 3.0 남악신도시 일부[31], 기존 PLUS로 서비스하였던 지역이나, 2023년 12월 20일 3.0으로 전량 교체되었다. 2024년 11월 2일부로 서비스가 종료되어 기기가 모두 수거되어 무안군에 배치되었던 기기가 서울특별시 지역에 재배치된 것이 확인되고, 2025년 1월 4일부로 반납 불가 구역으로 전환되었다.
제주시 N 2020년 11월 9일 부터 서비스지역으로 추가되었으나, 2022년 10월 중지. }}}

3.2. 이용 요금

일레클 전기 자전거 서비스 요금은 아래와 같다.
탑승할 때마다 자동으로 보험이 적용되며, 기본요금에 포함되어 있다. 주간은 오전 6시부터 자정, 심야는 자정부터 오전 6시까지이다. 지역마다 요금이 상이하니 앱에서 요금을 확인하자.
파일:쏘카일레클 로고 화이트.svg 이용 요금
지역 잠금해제 비용(보험료 포함) 분당 요금
주간(06:00~24:00) 심야(00:00~06:00) 1구간 2구간 3구간
서울(구로/금천/마포/여의도), 인천(영종도), 부천, 오산 600원 1500원 180원
서울(강남), 세종, 화성(동탄) 500원 1500원 150원
서울(강동/송파), 하남 1000원 1500원 100원
서울(강서/광진/노원/도봉/성동, 인천(동/부평/남동/미추홀)
고양(덕양), 군포, 남양주(진접, 평내, 호평, 화도), 안양, 밀양
수원(권선/팔달), 의왕, 의정부, 천안, 파주(문산), 평택, 화성(봉담)
600원 1000원 180원
인천(서) 500원 180원
인천(연수), 고양, 수원(영통), 파주, 목포 500원 1000원 180원
대전, 청주(상당/서원/흥덕/내덕) 500원 1200원 150원
부산, 김해, 양산 (06:00~23:00)
700원
(23:00~06:00)
1000원
180원
대구, 경산 (06:00~23:00)
800원
(23:00~06:00)
1200원
~14분
180원
15분~
130원
울산 500원 ~10분
180원
11~21분
130원
21분~
100원
강릉, 고성, 동해, 속초 500원 200원
경산(하양), 영천, 춘천 500원 150원
구리, 남양주(다산, 별내) 500원 1500원 180원
김포 600원 1500원 150원
담양 무료 600원 250원
180원(심야)
수원(삼성디지털시티 동문, SDS삼거리)[32] 600원 180원
시흥, 안산 600원 1000원 150원
청주(오창) 600원 150원
양주 600원 1000원 ~9분
150원
10~30분
100원
31분~
80원
삼성디지털시티 1회 15분 무료 / 1일 최대 8회 이용 가능
일레클 패스
1시간 패스5,900원/1회
1시간 2회 패스6,900원/2회
3시간 패스9,900원/1회
한 달 10회 패스15,000원[33]
매일 30분 구독 패스39,000원[34]
매일 60분 구독+ 패스69,000원[35]
1년 매일 30분 패스300,000원[36][37]
1년 매일 60분+ 패스450,000원[38]
겨울 매일 패스45,000원[39]
2020년 6월 5일부터 1000명분 한정으로 정기권(데일리패스)요금제가 추가되었다. 가격은 24,900원으로 간혹 이용하는 정도면 아까울 수 있지만 일레클을 자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괜찮아 보이는 가격이다. 일레클 운영지역 어디서든 이 패스 하나로 30일간 전부 이용가능하며 1일당 60분 무료였다[40]. 다만 1일 5회까지만 대여가 가능하다. 또한 이를 이용하면 이용때 마다 나오는 보험료는 면제다. 세종시의 경우 어울링 대여소 할인도 제외된다. 데일리패스는 시범운영 후 바로 잊히게 되었다. 아쉬운 소식이다.

현재는 정기권이 많이 늘어난데다가, 이용률이 저조해지는 동절기에도 고정 이용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겨울 매일 패스를 파격적인 가격에 제공한다.

이용 전 결제수단을 등록해야하며, 이용 후에도 결제수단 선택이 가능하다.[41]

2024년 9월 17일 기준
연간패스 - 1년 매일 60분 패스,
매일패스 - 매일 60분 패스 정기구독이 사라졌다.

3.3. 대여

일레클 앱을 통하여 바이크 위치를 확인한 후, PLUS와 3.0은 IoT 기기 화면에, NEO는 핸들 중앙 또는 스마트락 상부의 QR코드를 스캔하거나 기기번호를 입력하여 대여할 수 있다. PLUS와 3.0은 블루투스를 통하여 이 기기 바로 대여 버튼을 클릭하면 따로 QR코드 스캔 없이 바로 이용할 수 있다.[42]

현 위치에서 3km 이내에 있는 자전거는 앱에서 10분동안 예약 후 대여하는 것도 가능한데, 예약된 자전거는 IoT 기기 화면에 '예약된 기기입니다'라는 문구가 뜨며 다른 사람이 대여를 할 수 없게 된다. 예약 전 블루투스를 켜야 하며 1분당 150원의 예약료가 부과된다고 표기되나 자전거를 대여할 경우 예약료는 부과되지 않으며 예약을 취소해도 부과되지 않는 경우가 여럿 있다.[43]

주변이 어둡거나, 야간에 PLUS와 3.0은 IoT 기기의 주변이 배터리의 잔량에 따라 LED가 점등되는데, 50%까지 녹색, 20~49%는 황색으로 점등되며[44], 배터리 부족 또는 점검이 필요한 기기는 적색으로 점등되다, 시간이 지나면 LED가 꺼진다. 앱을 켜지 않았다면, 이 방법으로 기기의 잔량을 멀리서도 확인 가능하다.

PLUS와 3.0은 기본적으로 AUTO 모드로 적용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 IoT 기기의 버튼을 짧게 눌러 파워를 조절하면 된다. NEO는 AUTO 모드가 없어 상황에 따라 파워조절 버튼을 눌러서 조절해야 한다.

3.4. 일시잠금

일레클에는 일시잠금 기능이 있다. 타고 가다가 잠깐 실내 가게 등을 들릴 때 다른 이용자에게 타고 있던 킥보드 등을 뺏기지 않을 수 있다.
앱에서 일시잠금 버튼을 누르면[45]일시잠금되고 다시시작 버튼을 누르면 락이 풀린다.
물론 일시잠금 중에도 요금은 계속 부과된다. 탑승을 종료할 경우 반드시 앱상의 반납하기 버튼을 눌러 라이딩을 끝내자.

일시중단 중 움직임이 발생할 경우 소리가 나며, 반납구역 밖에서 일시중단은 가능하나 반납은 불가하니 반납 가능장소로 이동해 반납하자.

3.5. 반납

PLUS와 3.0은 휴대폰 앱 화면의 반납버튼을 누르거나, IoT 기기의 버튼을 5초 이상[46] 누르면 반납처리된다.
NEO는 뒷바퀴 스마트락을 걸어주고, 앱 화면의 반납버튼도 한번 더 눌러줘야 한다. 카카오 T 바이크와 다르게, 스마트락 잠금만 할 경우 일시정지로 처리되니 주의.

지도 상에서 검은 음영으로 보이는 반납 불가 구역 혹은 서비스 미 제공 지역에서 반납할 경우 페널티 10,000원이 부과되니 주의. 물론 반납을 하지 않고 반납 구역 외로 나갔다가 다시 반납 가능 구역으로 들어와 반납하면 페널티가 붙지 않으며, 이용 후 타 도시 서비스 지역에 반납해도 페널티가 부과되지 않는다.
핀 혹은 거치대로 불리는 특정 장소에서 반납할 경우 지역에 따라 100원~500원이 할인된다. GPS 오작동 등으로 할인되지 않을 경우 문의 시 해당되는 금액을 환불해준다.

3.6. 긴급반납

앱에서 반납을 하려는데, 반납이 되지 않는 경우 앱 상의 긴급반납 기능을 이용하자.
다만 반납구역 외에서 반납하는 경우 페널티 1만 원이 부과되니 이 점 숙지하여 꼭 반납구역에 반납하자.

4. 고객센터

콜센터가 없어지면서 챗봇이 생긴 듯 하나 연결은 어려우니 앱으로 1:1 문의를 넣자. 이용 시 오류가 발생해도 1:1 고객문의를 넣으면 바로 답장이 오며, 대부분 1-2분내에 해결되는 기이한 현상을 보여준다. 다만, 운영시간 외에 문의했을 경우나 운영시간 초에 문의하였을 경우 바로 답변되지 않을 수 있으나, 오류때문에 반납이 안되는 상황일 경우에는 우선 '긴급반납'을 이용하여 반납을 한 후 이동하면서 휴대폰으로 1:1 문의를 넣자.

5. 여담

파일:일레클_모토벨로.jpg
2018년 11월에 시행한 시범 운영 기간에는 상암 지역에서 모토벨로 테일지 제품에 LINKA의 스마트락을 장착한 형태의 검은색 자전거로 운영했으나, 기성품의 한계로 인하여 현재와 같은 기기를 도입하게 되었다고 한다.#

10218200 이전 3.0 모델과 네오, 플러스는 쇼바(서스펜션)와 안장에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중장거리 이동시 엉덩이 통증이 심하다. 10218200 이후 3.0 모델 부터는 쇼바와 싯포스트 서스펜션이 장착되어 승차감이 눈에 띄게 개선되었다.

배터리 핫스왑이 가능하여 이용률이 낮은 장소에 세워져있지 않은 이상 방전된 기기를 따로 수거하지 않고, 그 자리에서 완충된 배터리로 교환하여 이용가능상태로 변경시킨다.

서비스명을 쏘카일레클로 변경한 이후 기존 카카오 T 바이크 3세대 기기가 집중적으로 배치된 대전광역시, 청주시, 안산시 지역에 공격적으로 서비스를 개시하고 있다. 가격 또한 기존 카카오 T 바이크의 가격과 동일한 가격으로 설정하여 카카오 T 바이크를 노린 것으로 보인다.

6.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공유 자전거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black,#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민간업체 운영 공유 자전거 서비스
메리바이크⚡️ 발켄M⚡️ ⚡️킥 스윙⚡️킥 쏘카일레클⚡️킥
쓩-백원바이크⚡️킥 알바이크⚡️ 에브리바이크 에스바이크 오포
제트⚡️ 지쿠⚡️킥 체리⚡️ 카카오 T 바이크⚡️ 킥고잉⚡️킥
타조 투어지⚡️ 티맵바이크(씽씽바이크)⚡️킥 휙고⚡️킥
}}}
지자체 운영 공유 자전거 서비스
수도권
따릉이서울 · 반디클수원 · 쿠키인천 · 페달로안산 · 피프틴고양
강원권
e바퀴로⚡️원주
충청권
백제씽씽⚡️공주·부여 · 어울링세종 · 타슈대전 · 달려보령보령
경상권
그린씽거창 · 누비자창원 · 별타고영천 · 양산시 공공자전거양산 · 타고가야⚡️김해·SWING 위탁
타반나 부산 기장 · 타실라경주 · 아라씽씽⚡️함안 · 행복두바퀴경산
전라권
꽃싱이⚡️전주 · 무안질주무안 · 여수랑여수 · 온누리자전거, 이킥⚡️순천 · 타랑께광주
*한글 서비스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 *전기자전거 운영 서비스는 ⚡️ 표시 / *공유 킥보드도 같이 운영할 경우 표시 / *지자체 공공(공영)서비스는 지역명 표시 / *사업 철수 서비스는 취소선으로 표시
}}}}}}}}} ||


대한민국의 공유 킥보드 서비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뉴런해외 다트 대시 디어
라이드 라임해외 머케인 메이트 버드해외
해외 자 스윙 쏘카일레클 쓩-백원킥보드
씽씽 알파카 에어킥 윈드해외
이브이패스 이킥순천 제트 지쿠
킥고잉 킥스 타고가 태그라이드
터틀 플라워로드 픽보드 하이킥
*한글 서비스명 기준 가나다순으로 정렬 / *공유 자전거도 같이 운영할 경우 표시 / *사업 철수 서비스는 취소선으로 표시
}}}}}}}}}||




[1] 1010: CLASSIC, 1011: NEO, 1012~1014: PLUS, 102: 3.0, 202: SEGWAY(나인봇 ES4 기반), 203: SEGWAY(나인봇 맥스 기반)[2] 0000부터 시작한다. 즉 NEO 기기의 가장 앞 순번은 10110000이다.[3] 원본 모델은 벨로스타 일렉쉐어.[4] 일부 기체는 제거되어 있다.[5] 원본 모델은 벨로스타 쉐어 2.0.[6] 초록색부터 시작하여 최고 속도에 근접하면 빨간색으로 변한다.[7] 원본 모델은 OKAI EB300, 최근 소비자용으로 나인투원에서 비아지오 HX5, HX5 pro로 출시.[8] 일레클 본사가 있는 서울숲역 앞에서 촬영된 프로토타입 기체로 추정되는 빨간색 3.0 자전거가 최소 3대 이상 존재하는 것을 보면, 당초에는 빨간색으로 도입하려고 한 듯.######[9] 정격 출력 350W, 최대 출력 700W로, 전동 킥보드와 최대 출력이 똑같다. 이때문에 자동 모드에서 냅다 밟으면 엄청 빠르게 나가기 때문에 조심해야한다. 물론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유 자전거로써 기기 관리 상태에 따라서 출력이 천차만별로 차이나기도 한다.[10] 대신 네오, 플러스에는 있는 기어가 없다.[11] 일레클 3.0은 브레이크가 약해서 잘못하면 대형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데 그 점을 인지한 것.[12] 파일:elecle3susp.png[13] 일레클 소유가 아닌 세종스마트시티주식회사 소유로 추정된다.[14] 아크로 서울 포레스트 D 타워 앞. 일레클을 운영하는 쏘카 서울사무소가 있는 곳이자, SM엔터테인먼트의 본사가 있는 곳으로 알려져 있다.[15] 하늘공원 제외[16] 조야동, 연경동, 하중도, EXCO 인근 제외[17] 동구, 남동구, 미추홀구는 PLUS만 서비스함[18] 부평아트센터 이서 지역 제외[19] 해당 지역 자전거는 대전광역시 내 서비스 지역과 세종특별자치시에 분산배치되었다.[20] 세종시에서 돌아다니는 PLUS 모델은 무선충전모듈이 장착되어있다. 바구니가 달린 위치에 무선충전모듈이 장착되어있어 해당 기기는 바구니가 없다.[21] 삼송동, 동산동, 원흥동, 신원동 일대[22] 도내동, 원흥동 일대[23] 별내동 일대 이외 지역은 PLUS만 서비스함[24] 오남역 일대에만 반납이 가능했지만 민원이 좀 있었는지 양지리 쪽으로 일부 확대가 이루어졌다.[25] 부천로 동쪽 지역은 기본적으로 공장지대의 대형차 통행로와 비좁은 골목, 산지, 그리고 농지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반납불가 구역으로 아예 제한한 것으로 보인다.[26] 삼성디지털시티 내에서는 PLUS만 서비스함.[27] 삼성디지털시티 내부와 외부의 서비스가 완전히 분리되어 있는데, 이전 사내 업무용 자전거 플랫폼인 '두발로(Dooballo)'를 계승하여 '두발로 X 일레클'이라는 이름으로 운영 하는 사내 전용 자전거라서 그렇다.# 때문에 삼성디지털시티 외부의 자전거를 단지 내부로 반입할 수 없고, 반대로 단지 내부의 자전거를 단지 외부로 반출할 수도 없다. 상시 무료였던 두발로와 달리 하루에 8회, 1회당 최대 15분간 이용 가능하도록 제한되어 있으며, 2023년 12월 경 원래 운영하던 빨간색 초기형 PLUS 기기를 수거하고 2024년 3월 2일에 파란색 후기형 PLUS 기기로 교체 배치되었다.[28] 정왕동 일대는 PLUS만, 능곡/연성동 일대는 3.0만 서비스함[29] 청주시내 지역은 3.0만, 오창읍 지역은 PLUS만 서비스함[30] 남은 기기는 부산광역시, 김해시, 양산시, 천안시에 재배치되었다.[31] 전남도청, 경찰청 구역 제외[32] 먼저 사용한 사람이 GPS 오차를 이용하여 삼성디지털시티 동문, SDS삼거리 인근에서 삼성디지털시티 반납가능지역을 잡아 반납했을 경우 다음 이용자는 이 요금을 적용받는다.[33] 1회당 10분, 유효기간 30일[34] 매일 30분을 기본 제공한다. 잠금해제 비용은 무료. 2023년 12월 한정 25,000원으로 할인 중.[35] 매일 60분을 기본 제공하고, 60분 추가 이용시에는 50% 할인. 잠금해제 비용은 무료.[36] 매일 30분을 기본 제공한다. 잠금해제 비용은 무료.[37] 2023년 2월 28일까지는 특가로 234,000원에 구매가 가능했다.[38] 매일 60분을 기본 제공하고, 60분 추가 이용시에는 50% 할인. 잠금해제 비용은 무료.[39] 세부적인 이용 사항은 한 달 매일 패스와 동일하나, 3개월 간 이용 가능하며, 동절기에만 구매할 수 있었다. 2023년에는 매일 30분 구독 패스를 25,000원으로 할인하는 형태로 판매 중이다.[40] 단, 60분 이후 초과금액은 추가지불해야 한다.[41] 네이버페이, 신용카드 등[42] 블루투스 범위가 짧아서 바로 옆에 있는게 아니라면 대여가 안 된다.[43] 예약을 취소할 때 자전거와 가까이 있는 등[44] 일레클 앱에서는 41~49%까지는 지도에서 녹색으로 표시된다. 블루투스 통신을 통해 근처 기기와 LED가 동기화되어 같은 타이밍에 페이드된다.[45] NEO는 스마트락을 걸으면 일시잠금 처리됨.[46] 아직 버튼을 때지 마세요 글씨가 사라질 때 까지 눌러야 한다. 이전에 뗄 경우 일시잠금 처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