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6 00:08:37

전일수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전일수(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 파일:KBO 로고(세로형/화이트).svgKBO 심판위원
2025 시즌 심판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1군
2 전일수 · 3 최수원 · 6 권영철 · 9 이기중 · 10 나광남 · 11 박종철
12 이영재 · 14 차정구 · 15 함지웅 · 17 오훈규 · 21 이계성 · 22 박근영
24 이호성 · 25 박기택 · 27 장준영 · 28 장호석 · 30 이용혁 · 33 김태완
35 윤태수 · 36 김익수 · 37 김병주 · 39 구명환 · 41 배병두
43 김성철 · 44 유덕형 · 45 김선수 · 47 최영주 · 50 김정국 · 51 문동균
52 송수근 · 54 김준희 · 57 정은재 · 59 정종수
2군
7 문승훈 · 8 추평호 · 13 허정수 · 16 김정 · 18 윤상원 · 19 황인권
20 강광회 · 23 김갑수 · 26 원현식 · 34 우효동 · 38 김풍기 · 46 송원호
55 황인태 · 58 방건우 · 61 전준영 · 67 박지민 · ## 최현종 · ## 하승범
## 최종현
* 취소선: 직무 배제자 }}}}}}}}}
전일수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 align=center><tablebordercolor=#007f55><tablebgcolor=#007f55> 파일:현대 유니콘스 엠블럼.svg현대 유니콘스
역대 1차 지명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c81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982년~2007년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folding (6명) 강영수
이광근(1)
최계훈
{{{#!folding (4명) {{{#!folding (5명) 박원진(1)
이경민(1)
임성주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박상범
박은진
여태구
허정욱
김형주(1)
윤형석(1)
최광천
김경기
전일수 정민태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김홍집 최상덕 위재영 최원호
{{{#!folding (고졸)
최영필{{{#!folding (고졸)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고호봉
{{{#!folding (고졸)
박장희
{{{#!folding (고졸)
이상현 설의석 조순권
이후 연고지 문제로 1차 지명에서 제외
(1) 지명 후 미입단 / 지명 거부
}}}}}}}}}}}} ||

전일수의 수상 경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6 일구상 심판상

파일:스포츠서울.png 2012 프로야구 스포츠토토 올해의 상 올해의 심판상

{{{#ff9933 [[태평양 돌핀스|태평양 돌핀스]] 등번호 14번}}}
임호균
(1987~1990)
전일수
(1991~1992.6.29.)
정상진
(1992.6.30.~1992)
LG 트윈스 등번호 42번
심재원
(1986~1991)
<colbgcolor=#000><colcolor=#fff> 전일수
(1992.6.30.~1995)
이경원
(1996)
}}} ||
}}} ||
파일:전일수 심판위원_2.png
<colbgcolor=#000><colcolor=#ffffff> KBO 리그 심판위원 No.2
전일수
全日洙 | Jeon il su
출생 1968년 7월 2일 ([age(1968-07-02)]세)
경기도 수원시
국적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학력 유신고 - 경성대[1]
포지션 투수
투타 우투우타
프로 입단 1991년 1차 지명 (태평양)
소속팀 태평양 돌핀스 (1991~1992)
LG 트윈스 (1992~1995)
경력 KBO 심판위원 (1996~)
가족 아들 전진우, 전승우

1. 개요2. 선수 경력3. 연도별 성적4. 여담5.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KBO 리그심판위원. 선수 시절에는 태평양 돌핀스LG 트윈스에서 투수로 활동한 바 있다.

2. 선수 경력

1984년 경기도에서 두번째로[2] 유신고등학교 야구부가 창단되었을 때 창단멤버로 입학하였다. 그해 1학년들로 꾸려진 팀인데도 불구, 봉황대기에서 장충고를 제압하고 32강에 오르는 데 큰 기여를 했다. 고등학교 3학년 때인 1986년에는 대붕기 군산상고와의 8강전에서 투수로 결승 3점 홈런을 쳐내어 유신고 최초로 4강에 오르는 데 큰 기여를 하기도 했다. 그해 조규제, 양용모, 송구홍, 염경엽 등과 함께 한일고교야구대회 대표팀에 선발되기도 하였다.

유신고 졸업 후 경성대(당시 부산산업대)에 진학하였고, 1987년에 1988 서울 올림픽 야구 시범경기에 대비한 아마추어 1차 국가대표팀[3]에 선발되었다. 그해 부산산업대는 백호기에서 준우승을 거뒀다. 다음해 경성대로 교명이 변경된 후, 전일수는 백호기에서 4경기 22이닝 동안 2자책점만을 내주며 0.82의 평균자책점에 4승을 거두며 우수투수상을 거머쥐었고, 그해 팀을 우승으로 이끄는 데에 결정적인 공로를 세웠다. 한편, 한미아마추어야구선수권대회, 세계야구선수권대회 등의 대표팀에는 선발되었으나, 두 대회에서 신통한 성적을 내지 못한 탓인지 1988 서울 올림픽 야구 대표팀 최종 엔트리에는 들지 못했다.

이후 대학야구에서 꾸준히 좋은 성적을 냈고, 182cm의 큰 키에서 나오는 강속구와 좋은 체력들을 높이 평가받아 1991년 태평양 돌핀스에 1차 지명을 받고 계약금 3,800만원에 연봉 1,200만원으로 계약한다. 당시 입단 계약한 신인들 중 가장 최고 대우를 받았다고 하며 특히 구단에서는 10승 정도의 성적을 바랐다고 하니 기대가 아주 컸음이 눈에 보인다. 하지만 아마추어 시절 혹사 탓인지, 어깨부상으로 단 3경기 나와 5이닝 동안 7.20의 평균자책점이라는 저조한 성적만을 남겼다.[4] 이 때문에 그해 말 정동진 감독의 권유로 타자로 전향하게 된다. 유신고 시절 타자로도 활동했고, 홈런도 몇 차례 쳐낸 바 있는 등 타격감각이 어느 정도 있다는 것을 높이 산 듯하다. 하지만 끝내 1군으로 올라오지 못하였고, 1992년 시즌 중에 방출되었다.[5]

방출 이후 LG 트윈스에서 단돈 150만원의 연습생으로 계약하였다. 이적한 후 1993년, 재활을 통해 다시금 투수로 전환한다. 당시 투수 인스트럭터였던 김성근의 지도를 받았으나, 이적 첫 해에는 패전처리 투수로 4경기 출장하여 6이닝 3실점(1자책) 3탈삼진 0.75, 1패만을 올렸다. 1994년에는 4월 29일에 OB 베어스를 상대로 5이닝 무실점 1삼진으로 입단 4년 만에 데뷔 첫 선발승을 올리는 등 초기에는 선발 투수로서 3승을 올리는 등 제법 쏠쏠한 활약을 해주었으나, 시즌 중반부터는 중간계투 요원으로 더 많이 출장하였다. 최종 성적은 30경기 출장하여 45이닝 20실점(17자책) 25탈삼진 3.40, 3승. LG의 우승에 쏠쏠한 기여를 하였다.

파일:전일수.png
LG 트윈스 선수 시절.

하지만, 이듬해인 1995년에는 3월에 시범경기 출장한 것을 마지막으로 결국 1군에 올라오지 못했다. 고질적인 목디스크 탓에 어깨가 말을 듣지 않았다고. 그 때문에 한때 시속 140km를 상회하던 구속이 120km도 나오지 않았다고 할 정도였다. 결국 그해 10월 30일에 자유계약선수로 공시되어 사실상 방출되었다.

1996년 4월부터 KBO 리그 심판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인터넷 및 동영상 뉴스에 인터뷰가 나오지 않고 있다.

3. 연도별 성적

역대 기록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리 패배 세이브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1991 태평양 3 5 0 0 0 7.20 6 0 3 0 2 1.80
연도 소속팀 경기수 이닝 승리 패배 세이브 ERA 피안타 피홈런 볼넷 사구 탈삼진 WHIP
1992 태평양 / LG 1군 기록 없음
1993 LG 4 12 0 1 0 0.75 6 0 3 0 3 0.75
1994 30 45 3 0 0 3.40 48 4 22 1 25 1.56
1995 1군 기록 없음
KBO 통산
(3시즌)
37 62 3 1 0 3.19 60 4 28 4 30 1.42

4. 여담

  • 첫째 아들 전진우동산고-연세대 졸업 후 2019년 9라운드에 SK 와이번스의 지명을 받았다. 아들에게는 좋은 아버지인 듯. 전진우가 대학 3년을 수술과 재활로 날리고 4학년 1학기는 학점 미달로 출장 정지를 먹었을 때 멘탈을 다잡아줬다고 한다. 둘째 아들 전승우신흥고를 졸업한 뒤 송원대에서 포수로 뛰었으며 2022년도 신인 드래프트에서는 지명을 받지 못했고 한화 이글스에 육성선수로 입단했다.
  • 삼진콜이 멋있다. 2010년대까지는 팔 동작 이후 왼 다리를 굽혀 높이 올렸었는데 이게 마치 와인드업 같은 느낌이 있었다. 아마 투수 출신이라 그럴 수도 있다. 이 동작이 다리를 굽히지 않고 들어올리는 것으로 살짝 바꿨다가 요즘은 다리를 드는 동작을 하지 않는다. 2010년 삼진콜2001년 삼진콜
  • 2023 시즌을 앞두고 심판 번호를 29번에서 2번으로 바꾸었는데, 번호 바꾼 것을 깜빡했는지 4월까지 바뀌기 전의 번호를 달고 심판을 봤다. 그래도 2023년 4월까지 29번을 달고 뛴 심판이 없었으니 다행이지만.
  • 해당 판정을 내린 주심이다. 사실 전일수 심판은 2023 시즌까지 스트존은 나름 괜찮게 보던 축에 들었다.
  • 2024년 3월 17일 키움 히어로즈 대 LA 다저스와의 MLB 월드투어 서울시리즈 경기에서 3루심을 맡았다.
  • 2024년 한국시리즈 5차전 심판이었다.

5. 관련 문서


[1] 1987학번[2] 1975년에 남양주 심석종합고등학교에 경기도 최초로 야구부가 창단되었다.[3] 당시 조계현, 이강철, 송진우, 박동희, 김태형, 김동수, 양용모, 김경기, 강기웅, 강영수, 송구홍, 최훈재, 노찬엽 등 당대에 내로라하는 선수들이 엔트리에 대거 포함되어 있었다.[4] 당시 2차 1라운드로 같이 입단한 동기생 염경엽 또한 0.175의 타율로 덩달아 까였다. 염경엽은 현역 시절 동안 커리어 하이가 1994년 기록한 0.212의 타율이었던 만큼 멘도사 라인을 좀처럼 벗어 나질 못했다.[5] 나중에 알고보니 어깨부상이 아니라 목디스크 였다고. 어쨌거나 이 때문에 지속적으로 선수 생활하는데 문제를 준 것도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