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성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ㄱ | 가 · 간 · 갈 · 감 · 강 · 강전 · 개 · 견 · 경 · 계 · 고 · 곡 · 공 · 곽 · 관 · 교 · 구 · 국 · 군 · 궁 · 궉 · 권 · 근 · 금 · 기 · 길 · 김 |
ㄴ | 나 · 난 · 남 · 남궁 · 낭 · 내 · 노 · 뇌 · 누 | |
ㄷ | 다 · 단 · 담 · 당 · 대 · 도 · 독 · 독고 · 돈 · 동 · 동방 · 두 · 등 · 등정 | |
ㄹ | 라 · 란 · 랑 · 려 · 로 · 뢰 · 류 · 리 · 림 | |
ㅁ | 마 · 만 · 망절 · 매 · 맹 · 명 · 모 · 목 · 묘 · 무 · 무본 · 묵 · 문 · 미 · 민 | |
ㅂ | 박 · 반 · 방 · 배 · 백 · 번 · 범 · 변 · 보 · 복 · 봉 · 부 · 비 · 빈 · 빙 | |
ㅅ | 사 · 사공 · 산 · 삼 · 상 · 서 · 서문 · 석 · 선 · 선우 · 설 · 섭 · 성 · 소 · 소봉 · 손 · 송 · 수 · 순 · 승 · 시 · 신 · 심 · 십 | |
ㅇ | 아 · 안 · 애 · 야 · 양 · 어 · 어금 · 엄 · 여 · 연 · 염 · 엽 · 영 · 예 · 오 · 옥 · 온 · 옹 · 완 · 왕 · 요 · 용 · 우 · 운 · 원 · 위 · 유 · 육 · 윤 · 은 · 음 · 이 · 인 · 임 | |
ㅈ | 자 · 잠 · 장 · 장곡 · 저 · 전 · 점 · 정 · 제 · 제갈 · 조 · 종 · 좌 · 주 · 준 · 즙 · 증 · 지 · 진 | |
ㅊ | 차 · 창 · 채 · 천 · 초 · 총 · 최 · 추 | |
ㅋ | 쾌 | |
ㅌ | 탁 · 탄 · 탕 · 태 | |
ㅍ | 판 · 팽 · 편 · 평 · 포 · 표 · 풍 · 피 · 필 | |
ㅎ | 하 · 학 · 한 · 함 · 해 · 허 · 혁 · 현 · 형 · 호 · 홍 · 화 · 환 · 황 · 황목 · 황보 · 후 · 흥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사로 6촌 | 신라 6부 | 성씨 | 시조 |
알천 양산촌 | 급량부 | 이씨 | 알평 | |
돌산 고허촌 | 사량부 | 최씨 | 소벌도리 | |
취산 진지촌 | 본피부 | 정씨 | 지백호 | |
무산 대수촌 | 점량부 | 손씨 | 구례마 | |
금산 가리촌 | 한기부 | 배씨 | 지타 | |
명활산 고야촌 | 습비부 | 설씨 | 호진 | |
삼국사기 기준.# 삼국유사에서는 돌산 고허촌(사량부) 소벌도리를 정씨로 취산 진지촌(본피부) 지백호를 최씨로 기록했다. 또한 6촌의 순서도 셋째가 무산 대수촌(점량부), 넷째가 취산 진지촌(본피부)이라고 기록했다.# | }}}}}}}}} |
조선 개국공신 | ||||||||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 |||||||
좌명개국공신 (1등) | ||||||||
김사형 | 남은 | 남재 | 배극렴 | |||||
| 이제 | 이지란 | 이화 | |||||
장사길 | 정도전 | 정총 | 정탁 | |||||
정희계 | | 조인옥 | 조준 | |||||
김인찬 | | 이방원 | 이방의 |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 협찬개국공신 (2등) | |||
정지 | 유창 | 윤호 | 이민도 | |||||
황희석 | 정용수 | 조기 | 조반 | |||||
조영규 | 조온 | 홍길민 | 조견 | |||||
| | |||||||
익대개국공신 (3등) | ||||||||
고여 | 김균 | 김로 | | |||||
| 안경공 | 오사충 | 유원정 | |||||
| 이백유 | 이부 | 이서 | |||||
이직 | | 함부림 | | |||||
민여익 | 임언충 | | 조영무 | |||||
한상경 | 한충 | }}}}}}}}} |
신라 6성 淸州 鄭氏 청주 정씨 | |
관향 | <colbgcolor=#fff,#000>충청북도 청주시 |
비조 | 지백호(智伯虎) |
시조 | 정극경(鄭克卿) |
중시조 | 정오(鄭䫨), 정포(鄭鋪) |
집성촌 | 대구광역시 수성구 경기도 파주시 충청남도 천안시 전라남도 광양시 경상북도 문경시·성주군·안동시·영주시·예천군 |
황해도 옹진군 | |
인구 | 46,419명(2015년) |
1. 개요
청주 정씨[1]는 조선시대에 상신(相臣) 2명[2], 공신 4명[3], 종묘 배향공신 1명[4], 청백리 1명[5], 문과급제자 19명을 배출했다. 예천 청주정씨 재실(醴泉淸州鄭氏齋室)은 유형문화재 제315호로 지정되어 있다.2. 계보와 시조 및 역사
청주 정씨(淸州 鄭氏)는 한국의 성씨 중 하나로서 시조는 같으나 서로 다른 두 중시조를 이어오고 있다.청주 정씨(淸州 鄭氏) 본관(本貫)인 서원(西原)은 청주(淸州)의 신라 때 옛 이름이고, 청주 정씨는 신라 때부터 서원경(西原景)에 살고 있던 명망 있던 씨족(氏族)이었을 것이라고 추측된다. 그러나 이를 고증할 문서는 없으며,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세상에 처음 나타나는데 고려 의종 때 보승별장을 지낸 정극경(鄭克卿)을 시조로 하였다. 사후에 중랑장(中郞將)으로 증직되었다.
시조 정극경(鄭克卿)은 고려시대의 인종 및 의종 때에 2군 6위 중 흥위위 혹은 좌우위에 소속되어[6] 정7품 보승별장[7]을 지냈는데 사후에, 후손이 높은 벼슬을 하여 정5품 중랑장(中郞將)[8]으로 증직되었다.
정극경의 장남 계열 후손인 손자 고려 고종 때 3세손 대리(臺吏) 서경분사(西京分司) 겸 섭중랑장(攝中郞將) 대장군 정의(鄭顗)이 있고, 그의 아들 4세손 정현(鄭儇)은 감찰어사(監察御史)가 되고,
5세손 판선공(判繕工) 정해(鄭瑎)가 고려 원종 때 문과에 합격하여 광정대부(匡靖大夫)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 응양군(鷹揚軍) 상호군(上護軍)에 올랐다. 정해(鄭瑎)의 장남인 정책(鄭幘)이 통헌대부(通憲大夫) 판선공사(判繕工事)지내고 청하군(淸河君)에 봉해졌다. 정해(鄭瑎)는 부령 김씨(扶寧金氏) 김구(金坵)의 맏딸 및 남양 홍씨(南陽 洪氏) 당홍계 (唐洪系) 홍규(洪奎)의 둘째 딸과 결혼했는데, 부령 김씨(또는 부안 김씨) 딸과는 자식이 없고, 남양홍씨 둘째 딸에서 정척(鄭㥽 또는 鄭幘)과 정이(鄭怡) 두 아들을 두었다.
6세손 응양군 상호군(鷹楊軍上護軍) 정책(鄭㥽 또는 鄭幘)의 장남 정오(鄭䫨)가 공민왕 때 1등공신으로 첨의평리(僉議評理)에 오르며 서원군(西原君)에 봉해졌고, 차남 정포(鄭誧)가 있다.
3. 규모와 집성촌
2019년 기준 청주정씨는 전국 약 1만 2천여 가구, 4만여 명 정도의 규모로 추산된다. 전체 성씨 가운데에서는 150위권 정도에 속하는 규모로 비교적 적은 편에 속한다.대표적인 집성촌은 아래와 같다.
- 경기도 파주시 진동면 하포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매주리
- 전라남도 광양시 다압면 고사리
- 대구광역시 수성구 노변동[9]
- 경상북도 문경시 가은읍 성저리
- 경상북도 문경시 호계면 막곡리·우로리
- 경상북도 성주군 대가면 칠봉리 유촌[10]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수성리 갓말[11]
-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신양리[12]
- 경상북도 안동시 남후면 단호리
-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면 소천리
- 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리
- 경상북도 예천군 보문면
- 경상북도 예천군 풍양면 삼강리
- 경상북도 예천군 호명읍
- 충청북도 청주시 우암동
-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 황해도 옹진군 봉치면 장수리
- 황해도 옹진군 용연면 수계리
4. 설헌파
그 후 후손들은 2의 파계로 나누어지게 되었는다. 여말선초에는 고려 충신불사이군(忠臣不事二君) 설헌파 문극공 정오(鄭䫨)가 있고, 정오의 후손인 인노, 훈노, 원로 3형제 중 원로의 후손으로 선조 때 좌의정을 지낸 서원부원군 정간공 약포 정탁(鄭琢, 1526~1605)[13]이 있다.5. 설곡파
새로운 왕조에 충성을 한 설곡파 정포(鄭誧)의 후손으로 호성공신 1등에 책록된 정곤수(鄭崑壽)를 비롯하여 한강 정구(鄭逑) 정사성(鄭士誠), 정사공(鄭士恭), 정사신(鄭士信) 등이 있다.6. 항렬도
25세 | ◯규(逵) | ◯락(洛) | ◯영(永) | ||
26세 | ◯흠(欽) | 주(柱)◯ | ◯화(和) | ||
27세 | 승(承)◯ | ◯섭(燮) | ◯용(容) | ||
28세 | ◯원(元) | 재(載)◯ | 재(在)◯ | ||
29세 | ◯의(義) | 사(思)◯ | ◯호(鎬) | ◯환(煥) | ◯진(鎭) |
30세 | ◯윤(潤) | ◯원(源) | ◯수(洙) | ◯순(淳) | |
31세 | 인(寅)◯ | 진(震)◯ | ◯식(植) | 수(樹)◯ | 동(棟)◯ |
32세 | 日 부수 | 心 부수 | 헌(憲)◯ | ◯창(暢) | ◯항(恒) |
33세 | 건(建)◯ | 교(敎)◯ | 박(珀)◯ | 용(墉)◯ | |
34세 | ◯발(發) | ◯회(會) | ◯록(錄) | ||
35세 | 도(道)◯ | 우(遇)◯ | 홍(洪)◯ |
7. 인물
7.1. 근대 이전
7.1.1. 고려
- 정효문(鄭孝聞)- 고려별장 증중랑장청주정씨(淸州鄭氏),청주정씨시조,정극경(鄭克卿)청주정씨조상인물
7.1.2. 조선
7.2. 근·현대
8. 여담
- 청주정씨의 시조인 정극경의 극자는 경주 정씨 및 외 정씨에 克 자 돌림자가 존재하여 경주정씨의 분파가 아닌가 하고 추측되기도 함.
[1] 오늘날 현존하는 정씨의 본관은 30여 본 정도이다. 우리나라 정씨의 원조는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전하는 신라의 6촌중 하나인 진지촌(珍支村) 촌장인 지백호(智伯虎)이다. 정씨의 각 본관별 시조들은 모두 지백호의 원손(遠孫)들이라는 것이 일반적인 통념이지만 그 혈연적 계보는 상고할 수 없다. 어쨌든 정씨는 일반적으로 같은 혈손으로 그중 경주 정씨(慶州鄭氏)가 종통(宗統)이라는 데에는 별로 이론이 없는 것 같다. 정씨는 신라 9성중의 하나로 역사적으로 명벌의 지위를 누려 왔으며, 특히 조선조에 이르러서는 청주 정씨(淸州鄭氏)를 비롯해 동래 정씨(東萊鄭氏)·연일 정씨(延日鄭氏)·온양 정씨(溫陽鄭氏)·진주 정씨(晋州鄭氏)·봉화 정씨(奉化鄭氏)·하동 정씨(河東鄭氏) 등이 상당한 세력을 떨쳤다.[2] 좌의정: 정탁(鄭琢), 우의정: 정탁(鄭擢). 참고로 정곤수(鄭崑壽)는 선조 때 좌찬성(종1품), 판의금부사(종1품) 등을 지냈고 품계는 보국숭록대부(정1품 하계)에 이르렀으며, 사후 영의정(정1품)에 추증되었다.[3] 정총(鄭摠; 개국공신 1등), 정탁(鄭擢; 개국공신 1등, 정사공신 2등), 정곤수(鄭崑壽; 호성공신 1등), 정탁(鄭琢; 호성공신 3등). 한편 실록에서 정곤수는 鄭崑壽 또는 鄭崐壽로 기록되어 있다. 崑과 崐는 이체자(異體字)로서 자형만 다를 뿐 같은 글자이다.[4] 정탁(鄭擢)(태종 묘실).[5] 전고대방 기준, 정곤수(鄭崑壽) 1명이다. 조선왕조실록에는 기록이 없다.[6] 그렇게 추정된다.[7] 오늘날의 중위[8] 오늘날의 소령[9] 아프리카 TV BJ 퀸가현이 추석 때 제사를 지냈던 재실이 이곳에 있다.[10] 조선 중기의 문신 한강 정구가 이 마을 출신이다.[11] 독립유공자 정순영·정재기·정종호가 이 마을 출신이다.[12] 정양호 전 조달청장이 이 마을 출신이다.[13] 호는 약포(藥圃). 각조 판서를 거쳐 우의정, 좌의정, 정1품 영예직인 서원부원군에 오른 조선 중기의 문신이다. 이순신 장군이 누명으로 옥에 갇혔을 때 그를 구하기 위한 신구차(伸救箚: 목숨을 구하기 위해 아뢰는 상소문)를 올려 이순신 장군을 살려 냈고, 의병장 김덕령을 변호하고, 명나라 장수 두사충을 구명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