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22:40:27

초계 정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wiki style="margin: -1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200><tablebordercolor=#ece5b6>
파일:초계정씨_수정.png
草溪 鄭氏
초계 정씨
}}}
관향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
시조 정배걸(鄭倍傑)
집성촌 경상남도 합천군, 거제시, 창녕군
경상북도 포항시, 경산시
충청북도 음성군
충청남도 천안시
전라남도 곡성군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경기도 이천시, 화성시, 용인시
평안남도 룡강군
황해도 벽성군
인구 104,155명(2015년)
링크 초계정씨대종회

1. 개요2. 분파3. 집성촌4. 항렬자5. 인물
5.1. 1세5.2. 2세5.3. 14세5.4. 15세5.5. 20세5.6. 25세5.7. 26세5.8. 27세5.9. 28세5.10. 29세5.11. 30세5.12. 31세5.13. 32세5.14. 33세5.15. 34세5.16. 세수 미상

[clearfix]

1. 개요

경상남도 합천군 초계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문종조에 예부상서(禮部尙書)·중추원사(中樞院使)를 지낸 정배걸(鄭倍傑)을 시조로 한다. 2015년 기준 인구는 104,155명.[1]

2. 분파

정배걸의 아들 정문(鄭文)은 복공(復公), 복경(復卿), 복유(復儒) 세 아들을 두었다.[2]

장자 복공(復公)은 장자 영(榮)[3]과 차자 행부(幸夫) 두 아들을 두었다.
차자 복경(復卿)은 독자 윤기(允耆)를 두었다.
막내 복유(復儒)는 세 아들을 두었다고 하는데 족보에 이름이 기록되지 않았고[4], 장자의 후손 7세손 승(丞)과 차자의 후손 6세손 태화(太華)가 있다. 복유의 3남은 족보에 이름이 있으나 후손은 없다.
  •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종파(宗派)이다.
    • 소분파 - 남양파(대종손), 충주파, 개성파, 담양파, 삭녕파, 안성신곡[5]파, 수안곡산파, 광주한강파, 해남파
  •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정행부(鄭幸夫) -4세
    • 소분파 - 호희공파, 문간공파, 호조전서공파, 공조전서공파, 부사공파
  •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정복경(鄭復卿) - 3세
    • 소분파 - 경산 종파, 초계진주파, 관동파
  • 박사공파(博士公派): 정승(鄭丞) - 7세. 국자박사를 지냈다.
    • 소분파 - 진정[6] 종파, 장양공파, 상시공파, 강헌공파(용인파)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정태화(鄭太華) - 6세
    • 소분파 - 서정공파, 효정공파, 선전공파

초계 정씨 쪽에서 족보의 내용을 간추려 펴낸 종사백선[7]에는 5대 파에 들지 않는 소분파가 기록되어있다.

3. 집성촌

4. 항렬자

32세부터 천간법을 따랐다. 일부 파의 항렬자는 아래 대동항렬과 다르다.
30세 인(寅)○
31세 ○헌(憲)
32세 용(用)○
33세 ○구(九)
34세 우(雨)○
35세 ○하(河)
36세 성(晟)○
37세 ○기(起)
38세 한(漢)○
39세 ○재(宰)
40세 윤(潤)○
41세 ○규(揆)

5. 인물

5.1. 1세

5.2. 2세

5.3. 14세

  • 정윤겸 - 조선 전기의 무신.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5.4. 15세

  • 정난정 - 정윤겸의 서녀. 명종 대의 비선실세.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귀인 정씨 - 성종의 후궁.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5.5. 20세

  • 정엽 -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5.6. 25세

  • 정방직 - 독립유공자.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5.7. 26세

  • 정대필 - 독립유공자.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영필 - 독립유공자. 박사공파(博士公派).

5.8. 27세

  • 정현백 - 문재인 정부 여성가족부장관.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5.9. 28세

  • 정경시 - 독립유공자.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재선 - 독립유공자. 박사공파(博士公派).

5.10. 29세

  • 정균호 - 독립유공자.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문식 - 제7대 경기도의회 의원.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호섭 - 제31대 대한민국 해군참모총장.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호영 - 전 서울고등법원장.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5.11. 30세

  • 정상철 - 민선 5기 강원도 양양군수.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우식 - 제8·9대 국회의원, 서울특별시 경찰국장.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인회 - 독립유공자.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 정종기 - 재선 경상남도의회 의원, 초선 경상남도 거창군의회 의원.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종욱 - 주중대사.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종흔 - 민선 3기 경기도 시흥시장.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형식 - 윤석열 정부 헌법재판소 재판관. 박사공파(博士公派).

5.12. 31세

  • 정계선 - 윤석열 정부 헌법재판소 재판관.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기복 - 독립유공자. 박사공파(博士公派).
  • 정상헌 - 민선 1·2기 충청북도 음성군수.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 정이헌 - 독립유공자.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 정태섭 - 3선 강원도 춘천시의회 의장.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 정한헌 - 배우.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5.13. 32세

  • 정승환 - 가수.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영환 - 법조인. 대제학공파(大提學公派).
  • 정용후 - 제19대 대한민국 공군참모총장.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 정은표 - 배우.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 정재동 - 지휘자.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 정현식 - 기업인. 전 맘스터치 대표. 박사공파(博士公派).
  • 허니제이(본명 정하늬) - 댄서.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5.14. 33세

  • 정범구 - 제16·18대 국회의원.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 정지웅 - 래퍼. 천호장공파(千戶長公派).

5.15. 34세

  • 정명조 - 제3대 천주교 부산교구장.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 정우성 - 배우.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 정우철 - 재선 충청북도 청주시의회 의원. 내급사공파(內給事公派).

5.16. 세수 미상


[1] 초계의 옛이름이 초팔혜 -> 팔계 -> 초계였기에 본관을 팔계로 쓰는 정씨도 있다. 초계 정씨와 동본으로 초계 정씨 족보에 같이 등재된다.[2] 시조 배걸과 2세 문은 기록이 상세한 반면, 3세 복공, 복경은 기록이 간단하고 복유는 이름만 전하며 4-6세 후손 대부분은 이름이 전하지 않아 족보에 기록되지 않았다.[3] 전중내급사(殿中內給事)를 지냈다.[4] 이를 실휘라고 한다.[5] 안성시 보개면 신안리.[6] 합천 쌍책면 진정리.[7] 족보는 한문으로 적었지만, 종사백선은 순한글로 썼고 사람 이름만 괄호로 한자를 병기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