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01 11:01:53

𡩙에서 넘어옴
집 가
부수
나머지 획수
<colbgcolor=#fff,#1f2023>
, 7획
총 획수
<colbgcolor=#fff,#1f2023>
10획
중학교
준7급
-
일본어 음독
カ, ケ
일본어 훈독
いえ, や, うち
표준 중국어
jiā, jia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2. 상세3. 용례4. 유의자5. 모양이 비슷한 한자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

家는 '집 가'라는 한자로, '', '가족(家族)', '문벌', '전문가' 등을 뜻한다.

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colbgcolor=#fff,#1f2023>집
중국어 표준어 jiā, jia
광동어 gaa1
객가어
민북어
민동어
민남어 ka[文] / ke[白]
오어 jia (T1)[文] / ka (T1)[白]
일본어 음독 カ, ケ
훈독 いえ, や, うち
베트남어 gia

유니코드에는 U+5BB6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JMSO(十一尸人)로 입력한다.

설문해자에서는 宀의 뜻을 취하고 (수퇘지 가)의 생략형인 豕의 소리를 취한 형성자라고 풀이하고 있으나, 현재까지 발견된 고문자(古文字) 중에 宀+豭의 형태를 가진 글자를 찾아 보기는 어렵다. 家랑 豭가 중고음은 물론 상고음도 동일했을 거라고 추정되기는 한다.
파일:42_F1B5.png
갑골문
파일:32_F374.png파일:32_F372.png파일:32_F371.png
상나라 금문

실제로는 (집 면)과 수퇘지 하(⿳彑儿乂, 상형문상에서는 豕의 배 부분에 성기를 가리키는 짧은 가로선이 튀어나와있는 형태로 그려짐)이 결합한 형성자로 추정되는데, 이미 갑골문에서부터 하 대신 豕를 대신 쓰는 사례가 발견되며 후대에는 하의 쓰임이 감소함에 따라 宀豕 형태로 고정되었다.

가장 널리 알려진 민간어원은 고대 중국인들이 집 안으로 독사들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들의 집() 아래에 돼지()를 키웠다는 것에서 따온 것이라는 설이다.[5]
(시)도 마찬가지로 희생으로 삼는 일이 많았다. 집의 기초를 세울 때도 犮(발)이나 (축)을 사용했다. 家를 돼지 집이라고 풀이하는 것은 통속적인 해석이다. 옛날에는 개 희생의 형상을 덧붙인 글자였다. 능묘에도 이것을 사용했으므로, 그것을 (총, 무덤)이라고 했다.
『한자 - 기원과 그 배경 - 』, 시라카와 시즈카(白川靜) 지음, 심경호 옮김, 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2017, 74p.

주술성애자 시라카와 시즈카는 인용문처럼 家의 형상을 집에서 돼지를 키운 모습이라는 주장을 통속적인 주장이라며 집터에 묻은 희생을 본뜬 거라고 주장한 바 있다.

(가구 가)의 간체자로도 쓰인다.

3. 용례

3.1. 단어

3.2. 고사성어/숙어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𦊽[⿱罒豕](덮치기 몽)
  • (따를 수)
  • 𩭐[⿱髟豕](상투를튼머리 시)
  • (구멍 천)
  • (클 총)
  • 𩫕[⿱高豕](멧돼지 호)
  • (호걸 호)
  • 𪔟[⿱鼓豕](가)
  • 𡭷[⿱小豕](관)
  • 𤛚[⿱牪豕](환)
  • 𫯦[⿱大豕]
  • 𰋎[⿱夂豕]
  • 𪺏[⿱爫豕]
  • 𫁾[⿱𥫗豕]
  • 𱻌[⿱𦍌豕]
  • 𬷓[⿱鳥豕]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文] 문독[白] 백독[文] [白] [5] 실제로도 제 아무리 강한 맹독을 가진 독사도 돼지에게는 전혀 힘을 못쓴다고 하며, 오히려 돼지들에게 한 끼 식사가 된다고 한다.참고 영상[6] poverty를 뜻하는 가난이 아니다. 그 '가난'은 본래 간난()으로 써야 하는데, ㄴ 받침이 탈락하면서 그리 된 것이다.[7] (시렁 가)의 속자[8] (무리 류)의 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