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73736E><colcolor=#FABB03> 도둑들 (2012) The Thieves | |
언어별 제목 |
|
장르 | 범죄, 액션, 드라마, 코미디, 군상극, 케이퍼, 피카레스크 |
감독 | 최동훈 |
각본 | 최동훈, 이기철 |
제작 | 안수현, 정문구, 김성민 |
촬영 | 최영환 |
조명 | 김성관 |
편집 | 신민경 |
음악 | 장영규 |
미술 | 이하준 |
의상 | 최세연 |
분장 | 김서영 |
특수분장 | 황효균, 곽태용 |
음향 | 은희수 |
특수효과 | 정도안, 김태의 |
출연 | 김윤석, 김혜수, 이정재, 전지현, 임달화, 김해숙, 오달수, 김수현, 증국상 外 |
제작사 | 케이퍼필름 |
배급사 | 쇼박스 |
촬영 기간 | 2011년 6월 14일 ~ 2011년 12월 7일 |
개봉일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2012년 7월 25일 [[홍콩| ]][[틀:국기| ]][[틀:국기| ]] [[마카오| ]][[틀:국기| ]][[틀:국기| ]]2012년 9월 6일 [[싱가포르| ]][[틀:국기| ]][[틀:국기| ]]2012년 9월 13일 [[말레이시아| ]][[틀:국기| ]][[틀:국기| ]]2012년 10월 11일 [[미국| ]][[틀:국기| ]][[틀:국기| ]]2012년 10월 12일 [[호주| ]][[틀:국기| ]][[틀:국기| ]]2012년 10월 18일 [[태국| ]][[틀:국기| ]][[틀:국기| ]]2012년 11월 12일 [[뉴질랜드| ]][[틀:국기| ]][[틀:국기| ]]2012년 11월 29일 [[대만| ]][[틀:국기| ]][[틀:국기| ]]2012년 12월 21일 [[중국| ]][[틀:국기| ]][[틀:국기| ]]2013년 1월 15일 [[일본| ]][[틀:국기| ]][[틀:국기| ]]2013년 6월 22일 |
상영 시간 | 135분 (2시간 15분) |
제작비 | 140억 원[1] |
월드 박스오피스 | $87,129,910 (최종)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12,984,701명 (최종 / 국내 상영 영화 역대 11위) |
스트리밍 | [[Wavve| Wavve ]] ▶ ▶ ▶ ▶ [2] |
상영 등급 | 15세 이상 관람가 |
[clearfix]
1. 개요
2012년 7월 25일 개봉한 한국 영화. 《범죄의 재구성》, 《타짜》, 《전우치》 를 연출한 최동훈 감독의 네 번째 장편 영화.2. 포스터
3. 예고편
메인 예고편 |
4. 프로모션
<rowcolor=#FABB03> 프로모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방송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ABB03>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6월 16일 | 영화가 좋다 | 김윤석, 김혜수, 이정재, 전지현, 김해숙, 오달수, 김수현 | |||
접속! 무비월드 | |||||
6월 20일 | 한밤의 TV연예 | ||||
7월 8일 | 런닝맨 | 김수현 | |||
7월 15일 | 섹션TV 연예통신 | 김윤석, 김혜수, 이정재, 전지현, 김수현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화보·인터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ABB03> 날짜 | 매체 | 제목 | 출연 | 링크 |
NO.863 | | [김윤석] 액션으로 튀어 | 김윤석, 김혜수, 이정재 | ||
[김혜수] 물러서서 조종한다 | |||||
[이정재] 댄디가이의 끝없는 모험 | |||||
[전지현] 해피엔딩은 나의 것 | 전지현, 김수현 | ||||
[김수현] 영화를 품은 별 | |||||
7월호 | 이정재, 김혜수의 섹시본색 | 김혜수, 이정재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기타 콘텐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ABB03> 날짜 | 매체 | 제목 | 링크 |
6월 12일 | - | 〈도둑들〉 제작보고회 | ||
7월 10일 | - | 〈도둑들〉 언론 시사회 | ||
7월 12일 | - | 〈도둑들〉 VIP 시사회 | ||
7월 24일 | - | 〈도둑들〉 전야제 레드카펫[3] |
5. 시놉시스
10인의 도둑, 1개의 다이아몬드
그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한 팀으로 활동 중인 한국의 도둑 뽀빠이와 예니콜, 씹던껌, 잠파노. 미술관을 터는데 멋지게 성공한 이들은 뽀빠이의 과거 파트너였던 마카오 박이 제안한 홍콩에서의 새로운 계획을 듣게 된다. 여기에 마카오 박이 초대하지 않은 손님, 감옥에서 막 출소한 금고털이 팹시가 합류하고 5명은 각자 인생 최고의 반전을 꿈꾸며 홍콩으로 향한다.
홍콩에서 한국 도둑들을 기다리고 있는 4인조 중국 도둑 첸, 앤드류, 쥴리, 조니. 최고의 전문가들이 세팅된 가운데 서로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는 한국과 중국의 도둑들. 팽팽히 흐르는 긴장감 속에 나타난 마카오 박은 자신이 계획한 목표물을 밝힌다. 그것은 마카오 카지노에 숨겨진 희대의 다이아몬드 <태양의 눈물>.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위험천만한 계획이지만 2천만 달러의 달콤한 제안을 거부할 수 없는 이들은 태양의 눈물을 훔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한다.
그러나 진짜 의도를 알 수 없는 비밀스런 마카오 박과 그런 마카오 박의 뒤통수를 노리는 뽀빠이, 마카오 박에게 배신당한 과거의 기억을 잊지 못하는 팹시와 팀보다 눈앞의 현찰을 먼저 챙기는 예니콜, 그리고 한국 도둑들을 믿지 않는 첸과 중국 도둑들까지. 훔치기 위해 모였지만 목적은 서로 다른 10인의 도둑들은 서서히 자신만의 플랜을 세우기 시작하는데…
그들이 움직이기 시작했다!
한 팀으로 활동 중인 한국의 도둑 뽀빠이와 예니콜, 씹던껌, 잠파노. 미술관을 터는데 멋지게 성공한 이들은 뽀빠이의 과거 파트너였던 마카오 박이 제안한 홍콩에서의 새로운 계획을 듣게 된다. 여기에 마카오 박이 초대하지 않은 손님, 감옥에서 막 출소한 금고털이 팹시가 합류하고 5명은 각자 인생 최고의 반전을 꿈꾸며 홍콩으로 향한다.
홍콩에서 한국 도둑들을 기다리고 있는 4인조 중국 도둑 첸, 앤드류, 쥴리, 조니. 최고의 전문가들이 세팅된 가운데 서로에 대한 경계를 늦추지 않는 한국과 중국의 도둑들. 팽팽히 흐르는 긴장감 속에 나타난 마카오 박은 자신이 계획한 목표물을 밝힌다. 그것은 마카오 카지노에 숨겨진 희대의 다이아몬드 <태양의 눈물>. 성공을 장담할 수 없는 위험천만한 계획이지만 2천만 달러의 달콤한 제안을 거부할 수 없는 이들은 태양의 눈물을 훔치기 위한 작업에 착수한다.
그러나 진짜 의도를 알 수 없는 비밀스런 마카오 박과 그런 마카오 박의 뒤통수를 노리는 뽀빠이, 마카오 박에게 배신당한 과거의 기억을 잊지 못하는 팹시와 팀보다 눈앞의 현찰을 먼저 챙기는 예니콜, 그리고 한국 도둑들을 믿지 않는 첸과 중국 도둑들까지. 훔치기 위해 모였지만 목적은 서로 다른 10인의 도둑들은 서서히 자신만의 플랜을 세우기 시작하는데…
6.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도둑들/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7. 줄거리
자세한 내용은 도둑들/줄거리 문서 참고하십시오.8. 사운드트랙
<bgcolor=#999D8D> Original Sound Track | ||||
음악감독: 장영규 | ||||
발매일: 2012. 07. 27.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트랙 리스트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ABB03> 트랙 | 곡명 | 아티스트 | 링크 |
01 | <colbgcolor=#f5f5f5,#2d2f34> 도둑들 (Opening Theme) | 장영규 | | |
02 | 도둑들 움직이다 I | 달파란 | | |
03 | 도둑들 움직이다 II | 장영규 | | |
04 | 자유 | 달파란 | | |
05 | 출발 | | ||
06 | 홍콩 | | ||
07 | 앤드류 I | 장영규 | | |
08 | 태양의 눈물 | | ||
09 | 의심의 싹 | 달파란 | | |
10 | 조청 | 장영규 | | |
11 | 말하지 않는 사랑 I | 달파란 | | |
12 | 마카오 | | ||
13 | 앤드류 II | 장영규 | | |
14 | 카지노 | 달파란 | | |
15 | 마음을 감춰라 | | ||
16 | 금고를 열어라 | | ||
17 | Viva Veracruz II 만남과 이별 | - | | |
18 | 잊혀진 키스 | 장영규 | | |
19 | 귀환 | | ||
20 | 추적 | 달파란 | | |
21 | 부산 | | ||
22 | 감시의 눈 | | ||
23 | 비밀 | 장영규 | | |
24 | 총과 다이아몬드 | | ||
25 | 복도의 전쟁 | | ||
26 | 대탈주 | 달파란, 장영규 | | |
27 | 따라오지마 | 달파란 | | |
28 | 해피엔딩은 나의것 | | ||
29 | 말하지 않는 사랑 II | | ||
30 | 재회 | | ||
31 | Ladrona 🆃 | 방준석 | |
|
9. 평가
자세한 내용은 도둑들/평가 문서 참고하십시오.10. 흥행
자세한 내용은 도둑들/흥행 문서 참고하십시오.11. 수상
<rowcolor=#FABB03> 연도 | 시상식 | 부문 | 수상자(작) |
2012년 | 제21회 부일영화상 | 촬영상 | 최영환 |
미술/기술상 | 이하준 | ||
특별상-부일독자심사단상 | 최동훈 | ||
제32회 하와이국제영화제 | 비전 인 필름상 | 도둑들 | |
제49회 대종상 영화제 | 여우조연상 | 김해숙 | |
제32회 한국영화평론가협회상 | 촬영상 | 최영환 | |
제33회 청룡영화상 | 기술상 | 정윤헌, 유상섭 | |
인기스타상 | 김수현 | ||
한국영화 최다관객상 | 도둑들 |
12. 기타
- 중국 배우, 정확히는 홍콩 배우가 상당수 등장하지만 중국인을 연기한 한 한국 배우도 많다. 티파니 역의 예수정과 잠파노가 유혹한 카지노 지배인 역의 최덕문. 그리고 웨이홍을 연기한 기국서도 한국인으로 배우 기주봉의 친형이다. 웨이홍의 심복으로 나오는 카리스마 있는 외모의 빡빡머리 남자[4]는 최진호다.
- 박신양에게 캐스팅 제의가 들어왔다고 했는데, 박신양은 최동훈을 입봉시켜준 장본인으로, 첫 연출작 범죄의 재구성을 같이 했다.[5] 무슨 역할인지 밝혀지지는 않았지만, 아마도 나이가 비슷한 동년배인 김윤석이 연기한 마카오 박으로 추정된다.
- 웨이홍이 타고 등장하는 메르세데스-벤츠 G클래스는 이정재의 개인 차량이다.
- 미술관 터는 장면에서 소리를 이용해 비밀번호를 알아내는 장면이 있는데, 사실 이런 경우를 대비해 금고의 버튼음은 모두 똑같이 설정한다. 이것도 영화적인 허용으로 봐야 한다.
- 작중에 등장하는 언어는 총 다섯개로, 한국어, 표준 중국어, 광동어, 영어, 일본어다. 주연급 캐릭터들이야 어차피 작중에서도 '해당 언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한 정도'의 외국인이라 발음이 어눌해도 넘어갈 수 있지만, 모국어라는 설정이라 발음이 정확해야 하는 중국인 캐릭터(잠파노, 웨이 홍, 매니저 등)를 맡은 한국인 배우들, 일본 부부로 행세하는 첸과 씹던껌 등의 경우 어쩔 수 없이 어색한 발음이 티가 난다.
- 딱히 별도로 표시하지는 않지만 표준중국어와 광동어 화자 사이의 소통을 다룬 장면이 짧게 지나간다. 우선 첸과 조니, 쥴리는 홍콩 사람이라 당연히 광동어와 표준 중국어를 둘 다 할 줄 아는데[6], 쥴리가 중국팀에 합류하는 장면에서 첸, 조니, 쥴리 셋이서 광동어로 대화를 나누자 표준중국어밖에 하지 못하는 앤드류가 자기 뒷담 깐 거냐고 화를 낸다. 실제로 광동어는 말이 중국 방언이지, 통역 없이는 표준중국어와 전혀 말이 통하지 않아 사실상 다른 언어다.
- '상대가 당연히 내가 쓰는 언어를 모를 것'이라고 생각하고 함부로 말했다 낭패를 보는 장면도 둘 있는데, 중국팀과 한국팀이 처음 만나는 장면에서 잠파노가 화교라 중국어를 할 줄 안다는 걸 깨닫는 장면, 그리고 일본인 부부 행세를 한 첸과 씹던껌이 티파니가 일본어를 한다는 걸 알고 놀라는 장면 등이다.[7]
- 한국팀과 중국팀의 개개인은 언어의 한계 때문에 의사소통이 제한되는 부분이 있으며, 유일하게 한국어, 표준중국어, 영어 3개 언어를 구사해 모든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캐릭터는 마카오 박 뿐이다.[8] 굳이 한 명 더 따지자면 앤드류도 한국어, 표준중국어, 영어 3개 국어가 가능하다.[9] 중국팀의 첸, 조니, 쥴리 셋은 자기들끼리 광동어로 대화할 수 있고, 여기에 더해 앤드류, 마카오 박, 잠파노는 표준중국어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첸과 씹던껌은 일본어로, 쥴리와 팹시는 영어로 대화한다. 보면 알겠지만 상호 대화가 가능한 캐릭터들끼리 서사가 쌓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티파니의 배다른 자매 연기한 사모님은 첫 만남에서는 영어로만 말하다 후반부에 한국인인 걸 들키는 장면에서는 한국어를 한다. 그리고 잠파노, 앤드류, 조니는 영어를 알아듣지만 뽀빠이는 영어를 잘 못하는 설정인 듯. Security(보안)를 세콤이라고 말한다던가, 마카오 박과 다투는 척 연기하는 장면에서 어색한 영어로 "Are you Crazy?"라고 하자 마카오 박이 "그게 영어야?"라며 주먹을 날리는 것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 김윤석과 오달수는 한 달동안 함께 방에 틀어 박혀 중국어를 공부했다고 한다.
- 젠하이저의 협찬을 받았는지 플래그십 HD800부터 시작해 블루투스 헤드폰 MM400-X까지 다양한 제품군이 등장한다.
- 마카오 박의 아파트 와이어 액션 신은 2000년에 나온 서극의 영화 순류역류의 액션신을 레퍼런스로 만들었다. 아파트에서의 저격수 신 등 해당 영화의 오마쥬라고 생각될만한 장면이 상당히 많다.
- 부산에서 마카오 박이 웨이 홍과 접선하는 장면에서 "1503호에서 (태양의 눈물을) 감정해라"는 대사가 나오는데, 실제 접선 행위와 총격전이 벌어진 부산데파트는 7층 건물이다. 실제 촬영지가 부산데파트라 영화상 배경만 동일하게 남기고, 마카오 박이 와이어를 타고 도주하는 개연성을 만들기 위해 층수를 수정한 듯하다.
- 도둑들이 태양의 눈물을 털기 위해 잠입한 마카오 COD 호텔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호텔이다. 실제 마카오 COD는 City of Dream의 약자로, 카지노와 여러 호텔을 아우르는 복합 쇼핑몰의 명칭이다. 그 쇼핑몰 위에 크라운 호텔, 라운드 락 호텔 등 다양한 호텔들이 들어선 형태인 것.[10] 따라서 작중 예니콜이 호텔 외벽을 타는 장면에서 건물의 위치를 가늠해 보면, 크라운 호텔 옆에 있는 모르페우스 호텔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막상 모르페우스 호텔은 2018년에야 개장했다. 영화의 개봉 시점을 고려했을 때, 모르페우스 호텔의 위치에 가상의 호텔을 만들어 그곳을 터는 것으로 설정했다고 볼 수 있다.
- 하이스트 영화 중 흔치 않게 배신이 판을 치는 영화이다. 보통 하이스트 영화는 동료들 간의 협동을 작중 중요 요소로 내세우며 동료들 간의 갈등이 있어도 시간이 지나며 봉합되거나 배신자가 있다고 해도 한두 명 수준이지만 도둑들은 계획부터 서로가 서로의 뒤통수를 노린다. 거기에 주요 인물이 10명이나 되기 때문에 각각의 심리와 의도를 읽지 못하면 전반적인 내용을 알기 상당히 어려워진다.
- 그럼에도 예측 불가능한 전개가 주는 박진감과 중간중간 나타나는 등장인물 간의 서사, 그리고 대사가 더해져 굉장한 오락성을 보장하는 영화이다. 또한 여러 번 볼수록 복선이라든지 대사 속에 숨겨진 의미가 보이기 시작해 몰입감을 더한다.
- 2013년 1월, 케이디미디어에서 DVD 초회한정판과 일반판, 그리고 블루레이를 동시에 발매했다. DVD 초회한정판은 디지팩 3DISC에 배우 7종 캐릭터 엽서, 그리고 감독과 배우의 사인이 랜덤으로 포함되었다.
- 2013년 9월 17일 한가위 특선으로 저녁 8시 40분에 SBS에서 방영했다. 그리고 몇 달 안가 2014년 설날 특선으로 재방영했다.
- 2013년 6월 2일 일본에 '10인의 도둑들(10人の泥棒たち)'이라는 제목으로 개봉했으며, 야마데라 코이치, 박로미, 히라타 히로아키, 히라노 아야, 이시즈카 운쇼, 코야마 리키야 등 초호화 성우진이 총출동해 화제가 되었다. 관련 기사 그러나 딱 2주 간만 개봉하고 내렸다고 한다. 또한 일본판 성우진은 다음과 같다.
13. 둘러보기
최동훈 감독 장편 연출 작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대한민국 천만 관객 돌파 영화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관객 수순 정렬 | |||
현재 천만 관객 돌파 영화 수: 33개 |
{{{#white 역대}}} | ||||
기술상 | ||||
제32회 (2011년) | → | 제33회 (2012년) | → | 제34회 (2013년) |
최종병기 활 | → | 도둑들 | → | 미스터 고 |
[1] 손익분기점은 450만 명이다.[2] 2025년 1월 10일 공개[3] 한국 영화 최초[4] 크레딧에는 애꾸눈깔로 나온다. 영화 후반에 마카오 박과 싸우다 고층 엘리베이터 밑바닥으로 떨어진다.[5] 여담으로 범죄의 재구성 남자 주인공에 이정재를 염두에 두었다고 한다.[6] 참고로 첸 역의 임달화와 조니 역의 증국상은 홍콩 출신이다.[7] 티파니가 "오늘은 운이 없네.(今日は着いてないね)"라며 차분하게 일본어로 얘기하는데, 이 말 한마디로 자신을 견제하는 첸과 씹던껌을 당황시킨다.[8] 광동어 구사 여부는 묘사되지 않지만, 중국 쪽 등장인물들이 표준중국어를 해 의사소통에는 문제가 없다.[9] 앤드류의 경우 영어 솜씨가 직접적으로 드러나진 않으나 티파니의 의붓동생을 연기한 사모님의 거처에서 영어로 통화한 녹음본을 통역했다.[10] 한국으로 따지면 코엑스 정도로 생각하면 된다. 실제 코엑스 역시 복합 쇼핑몰로 인터콘티넨탈 호텔, 쇼핑몰, 카지노 등이 입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