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부천시 | 도원교통 | 부일교통 | 부천버스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소신여객 | 청우운수 | |||
서울특별시 | 신길교통 | ||||
부천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서울특별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이름 | (주)도원교통 (桃園交通) |
주소 | 경기도 부천시 봉오대로 556번길(고강본동) |
설립일 | 2002년 1월 12일 |
대표이사 | 이삼구 |
업종 | 시내버스 |
인가대수 | 81대 |
1. 개요
1990년대 성민버스가 전신이며, 2004년 초 무렵 선진그룹에서 매각되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하였다.특징으로는 12-1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김포국제공항을 경유하며, 모든 노선이 송내역을 간다. 50번만 인천광역시 시내버스들이 많이 다니는 남부역 정차이고 12-1번과 50-1번은 북부역 환승센터에 정차한다.
서울특별시의 도원교통과는 관련이 없다. 서울 도원교통의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위와 같은 팝업과 함께 부천 도원교통의 연락처까지 친절하게 알려준다.
2. 면허 체계
3. 운행 노선
- 12-1 : 대장동 - 대장동입구 - 봉오대로사거리 - OBS - 내촌사거리 - 도당사거리 - 손가면옥 - 부천세무서 - 중흥마을 - 은하마을, 덕유마을 - 부천시청역 - 상동주민센터 - 송내역, 로데오거리 - 송내역 환승센터 C정류장 - 중동역 - 부천자유시장 - 부천남부역 - 소사삼거리 - 소사초등학교 - 소안초등학교 → 범박휴먼시아 → 부안초등학교 → 괴안사거리
- 50 : 송내남부역 - 중동역 - 부천시민회관 - 부천북부역 - 대성병원 - 춘의역 - 도당동주민센터 - 여월중학교 - 성곡사거리 - 원종사거리 - 오정농협 - 오쇠교 - 오쇠삼거리 - 대한항공 - 김포국제공항 화물청사 - 아시아나항공 격납고 - 방화중학교 - 롯데몰 김포공항점 -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 김포세관 - 화물청사 - 고강공영차고지
- 50-1 : 송내역 환승센터 A정류장 - 상도중학교 - 순천향병원 - 부천시청역 - 상동역 - 부천체육관 - 삼정초등학교 - 도당사거리 - 도당교 - 원종사거리 - 고강선사유적공원 - 수주로, 수주초등학교 - 대한항공 - 김포국제공항 화물청사 - 아시아나항공 격납고 - 방화중학교 - 롯데몰 김포공항점 - 김포국제공항 국제선 - 한국공항공사 - 김포국제공항 국내선 - 김포세관 - 화물청사 - 고강공영차고지
3.1. 과거 운행 노선
4. 특징
- 청우운수처럼 일반 차량은 대우, 저상 차량은 현대를 주로 가져오고 있다.[3] 하지만 2019년 11월 말에 대우 저상을 출고하면서 법칙이 깨졌다.[4][5] 그리고 청우운수에 비해 저상의 비율이 적어 대우 차량 비중이 생각보다 높은 편이다.
- 청우운수에 비해 대차를 빨리 하는 편이다. 청우운수는 10년 조금 넘게 채우고 대차하지만, 이 업체는 9년 채우고 칼대차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코로나 사태가 도래하면서 칼대차를 자제하고 있다.
- 청우운수와 마찬가지로 무전기로 배차를 조절한다.[6]
- 청우운수와 마찬가지로 전기버스가 아직 없다.
5. 보유차량
5.1. 현재 보유차량
5.1.1. 자일대우버스
5.1.2. 현대자동차
5.2. 과거 보유차량
5.2.1.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 로얄시티 F/L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10CN 천연가스버스
5.2.2. 현대자동차
6.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고속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선진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가온누리엠 | 경남여객2 | 경원여객 | |||
고양교통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
금강고속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명성운수 | |||
백성운수 | 보영운수 | 부일교통 | |||
부천버스 | 비티에스 | 산본여객 |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서울고속 | |||
서울여객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
성남시내버스 | 성우운수 | 시흥교통2 | |||
신성교통 | 신성여객 | 신일여객 | |||
써클라인 | 양주교통2 | 오산교통2 |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청우운수 | |||
코레일네트웍스 | 태산운수2 | 태화상운 | |||
평택여객 | 학의운수2 | 협진여객 | |||
화영운수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1] 3001호부터 3499호까지 사용한다. 일부 면허들은 부천버스, 성광운수에 있다.[2] 일단 5500호부터 5600호까지 사용한다.[3] 일반 현대 차량은 2006년식 차량이 존재했었으나, 2015년에 전 차량 대차되어 현대차는 저상만 존재한다.[4] 예전에 대우 저상이 다닌 적이 있으니 2014년에 2006 ~ 07년식 BS110CN이 대차된 이후 5년 만에 대우 저상이 다시 다니게 된 셈이다.[5] 이후 2022년에 남은 11년식 뉴슈퍼저상을 대차할 목적으로 범일운수 취소분 출신 대우 저상을 출고하면서 이런 법칙은 아예 잊혀졌다.[6] 부천시 관내 업체 전체를 통틀어도 소신여객과 부천버스, 성광운수를 제외하고 모든 시내/마을 업체들이 무전기를 사용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