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핑몰 리히의 대표 겸 모델에 대한 내용은 이희은 문서 참고하십시오.
미합중국 육해군 총사령관 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윌리엄 리히 | |
→ 합동참모의장 | }}}}}}}}} |
<colbgcolor=#00518f><colcolor=#ffffff> | |||
본명 | 윌리엄 대니얼 리히 William Daniel Leahy | ||
출생 | 1875년 5월 6일 | ||
아이오와 햄프턴 | |||
사망 | 1959년 7월 20일 (향년 84세) | ||
메릴랜드 베데스다 | |||
묘소 | 알링턴 국립묘지 | ||
재임기간 | 제7대 해군참모총장 | ||
1937년 1월 2일 ~ 1939년 8월 1일 | |||
푸에르토리코 총독부 총독 | |||
1939년 9월 11일 ~ 1940년 11월 28일 | |||
초대 육해군 총사령관 참모총장 | |||
1942년 7월 20일 ~ 1949년 3월 21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518f><colcolor=#ffffff> 임관 | 미합중국 해군사관학교 | |
복무 | 미합중국 해군 | ||
1897년 ~ 1939년 1942년 ~ 1959년[3] | |||
최종 계급 | 원수 (미합중국 해군) | ||
주요 참전 | 미국-스페인 전쟁 의화단 운동 제1차 세계 대전 그리스-터키 전쟁 제2차 세계 대전 | ||
주요 서훈 | 해군 십자상 외 다수 | }}}}}}}}} |
[clearfix]
1. 개요
My own feeling was that in being the first to use it, we had adopted an ethical standard common to the barbarians of the Dark Ages. I was not taught to make wars in that fashion, and that wars cannot be won by destroying women and children.
나는 우리가 그것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우리들의 윤리적 수준이 암흑시대의 야만인들과 다를 바가 없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그런 식으로 전쟁을 하라고 배운 적이 없으며, 여자와 어린이들을 죽여서 이길 수 있는 전쟁은 없다.
원폭 투하를 반대하며 했던 말
미합중국 해군의 제독. 미 해군 역사상 4명뿐인 해군 원수이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지금의 미군 합동참모의장격인 육해군 최고사령관 참모총장을 맡았다. 즉,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의 제복군인들 중 가장 높은 직책이었다. 그 유명한 조지 C. 마셜과 어니스트 킹,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더글러스 맥아더, 체스터 니미츠, 헨리 아놀드 등 2차 대전을 승리로 이끈 원수들도 모두 의전 서열상 이 사람의 아래였다.[4]나는 우리가 그것을 처음으로 사용하게 된다면 우리들의 윤리적 수준이 암흑시대의 야만인들과 다를 바가 없게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그런 식으로 전쟁을 하라고 배운 적이 없으며, 여자와 어린이들을 죽여서 이길 수 있는 전쟁은 없다.
원폭 투하를 반대하며 했던 말
2. 생애
1875년 5월 6일 아이오와의 햄턴에서 아일랜드계 미국인 집안에서 태어났다. 아버지 마이클 리히는 남북 전쟁 참전용사 출신 변호사였다. 아버지를 따라 미국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려고 하였으나 대신 미국해군사관학교에 진학했고 1897년에 47명 중 14등으로 졸업했다. 준사관[5]으로 미국-스페인 전쟁에 참전했고 태평양 쪽에서 근무했다. 1899년에 정식으로 소위 임관이 된 후 미국-필리핀 전쟁과 의화단 사건 등에 참전했고 1907년 해사로 돌아왔다. 이때가 첫 육상직이었다.이 후 행정 보직으로 워싱턴에 근무하던 중 1913년에 해군차관보로 부임한 프랭클린 루스벨트와 함께 일하면서 둘은 점차 친구 사이로 발전하게 된다. 이때의 인연으로 리히는 루스벨트의 최측근이 된다. 후에 여러 요직을 역임하면서 오랫동안 루스벨트의 조언가로서 군사적, 전략적 안목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후 1차대전이 종전된 1918년 대령 계급으로 지낸다.
1927년에 소장[6]이 되었고 1937년에 대장으로 진급하였으며 1939년까지 해군참모총장을 지냈다. 1939년에 전역한 뒤 푸에르토리코 총독으로 파견되었고 프랑스에 대사로 파견되기도 했는데 이 때 루즈벨트는 도움이 필요할 때 다시 복직시키겠다며 전폭적인 신뢰를 그에게 전하였다.
결국 진주만 공습으로 미국이 뒤집어지자 1942년 리히는 다시 현역으로 복귀했고, 해군참모총장인 어니스트 킹과 육군참모총장인 조지 C. 마셜, 육군항공대사령관인 헨리 아놀드를 통솔하고 대통령에게 군사적 자문을 할 자리로 신설된 '최고사령관 참모총장'이 되었다. 해군 대장인 리히가 제복군인으로 최고 지위에 오른 이유는 당시 각군의 참모총장들보다도 고참이었고[7] 루스벨트 대통령의 신임도 있었겠지만, 규모와 정치적 영향력이 큰 육군이 통합 직책을 이용하여 해군을 자기들 밑으로 두려는 것 아니냐는 해군의 우려 섞인 반발을 사전에 무마하려는 정치적인 의도도 있었다.[8] 1944년 12월 15일에는 해군 원수로 진급했는데 이는 미군 전체(특정 군종이 아닌 육해군 전체)의 첫 원수였다.[9]
사실상 승전이 확정된 1945년에 리히는 일본에 대해 '지금 하던 대로 해상봉쇄와 폭격으로 압박하면 언젠가 항복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일본에 상륙해 본토를 점령하는 몰락 작전이나 원폭 투하에는 불필요한 인명피해를 초래한다 생각해 반대했으며, 특히 원자폭탄에 대해선 매우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일각에선 리히는 프랭클린 루즈벨트의 최측근을 넘어 가장 신뢰하던 친구였기에 그의 조언을 듣고 루즈벨트가 생전에 태평양전쟁에 종지부를 찍을 몰락 작전이나 원폭투하 모두 망설이게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그 해 루즈벨트가 서거하고 해리 S. 트루먼이 새 대통령이 되어 리히의 영향력이 크게 줄고, 일본인과 일본 군부가 결사항전을 다짐해 미군의 엄청난 손실이 확실시되면서 리히의 굳은 반대에도 불구하고 원자폭탄을 투하하게 되었다.
전후 1949년 최고사령관 참모총장 자리를 오마 브래들리에게 이임했다.
뒷줄 가장 왼쪽에 서 있는 사람이 리히 제독이다. 앞줄은 왼쪽부터 영국 총리 클레멘트 애틀리(1883-1967)[10], 미국 대통령 해리 S. 트루먼, 소련 서기장 이오시프 스탈린이고 뒷줄은 리히 본인, 영국 외교장관 어니스트 베빈(Ernest Bevin, 1881-1951)[11], 미국 국무장관 제임스 번즈(James F. Byrnes, 1882-1972), 소련 외교장관 뱌체슬라프 미하일로비치 몰로토프(Вячесла́в Миха́йлович Мо́лотов, 1890-1986)이다.
자서전으로 『I Was There』를 남기고 1959년 7월 20일에 사망했다. 그의 업적을 기려 리히급 미사일 순양함 네임쉽에 그의 성이 붙었다.
아들인 윌리엄 해링턴 리히(William Harrington Leahy, 1904-1986)도 미국해군사관학교(1927년 졸업)를 나와서 해군 소장까지 지냈다.
3. 평가
제2차 세계 대전이라는 역사적인 격동기에 미군의 제복군인들중 최고 자리에 있던 인물이지만, 그의 휘하에서 싸운 장성들이 워낙 역사에 길이 남을 거물들이라서 좀 묻히는 인물이기도 하다. 최고 지휘관만 따져도 당시 해군의 군령권과 군정권은 모두 해군참모총장 겸 함대총사령관인 어니스트 킹에게 있었고, 육군에서는 뛰어난 행정군인인 조지 C. 마셜이 유럽과 태평양에 퍼져있는 맥아더, 브래들리, 아이젠하워같은 야전 지휘관을 잘 컨트롤하고 있었다. 그 외에도 백지 상태에서 미 공군을 창조해낸 육군 항공대장 헨리 아놀드, 유럽 연합군 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태평양 연합군 사령관 더글러스 맥아더,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다혈질적인 맹장으로 유명한 조지 S. 패튼, 석기시대 매니아로 유명한 커티스 르메이 등등 기라성같은 주요 야전 사령관들은 굳이 밀리터리 매니아가 아니더라도 이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법한 인물들이다. 반면 윌리엄 리히는 당시 별 전공이 없었기 때문에, 이름은 들어봤는데 누구더라...? 하는 공기 수준의 존재감에 그치는 편이다.그러나 자세히 파고들면, 이 시기 미군의 전략 정책에서 리히의 존재감은 다른 어떤 장성들보다도 중요했다고 할 수 있다. 윌리엄 리히의 가장 중요한 역할은 연합군의 최종 군 통수권자이자 참전국인 미국 국민의 대표인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입이자 군사번역가이자 자문 역할이었다. 리히는 루스벨트 대통령의 말을 군사적 의미로 번역해서 합참에 올리고, 그 작전 수행에서 군의 폭주를 막는 안전핀 역할을 했다.
즉, 리히는 2차대전기 시기 미국의 문민통제를 지킨 인물이며, 군이 파시즘과의 항전, 민주주의 수호라는 전쟁의 명분을 잃지 않도록 한 인물이다. 추축국이 모두 문민통제는커녕 집권층이 군의 폭주를 부추겨 온갖 전쟁범죄를 양산해 명분을 잃은 것과는 대조적이다.
여기에 합참 최선임으로써 각군의 참모총장[12] 사이를 조율하는 온화한 큰형 역할을 한 것도 리히다. 당시 합참의 참모총장 셋은 서로 사이가 좋지 않았다. 특히 해군의 킹이 워낙 천상천하 유아독존에 좌충우돌한 성격이라 타군과 갈등을 많이 빚었는데, 예를 들어 육군의 마셜과는 작전 주안점을 태평양으로 둘 것인지 유럽으로 둘 것인지를 두고 시시때때로 싸웠고, 공군의 아놀드와는 각자 항공대를 운영하면서 발생하는 폭격 전략의 충돌을 논의하다가 갈등이 생기기도 했다. 이 시기 미국 해군은 킹 문서에도 나와 있듯 미국 역사상 가장 거대하고 강력한 군사조직이었고, 그런 거대한 군사조직의 군정권과 군령권을 한 손에 거머쥔 이는 미국 역사 상 오직 킹 한명이었다. 때문에 킹의 말 한마디에 대전략이 들썩거릴 지경이었다. 주요 전역이 미국 본토와 바다를 사이에 두고 떨어져 있던 제2차 세계대전의 특성상 미국 해군의 임무는 타국 해군과 싸우는 것 뿐만 아니라 미국 육군의 전투를 보조하고 보급선을 지키는 업무도 겸했고, 해군이 육군과 육군 항공대의 임무에 협력을 거부하면 육군과 육군 항공대는 딱히 대응할 방법이 없었다.[13] 심지어 필리핀에 있는 더글러스 맥아더는 속된 말로 루스벨트하고만 놀겠다고 킹과 마셜은 안중에도 없이 날뛰면서[14] 자기 정치를 하는 통제 불능의 인물이었다. 이런 상황에서 일본같은 극한상황이 발생하지 않고 연합군을 승리로 이끌었다는 점에서 이 양반도 뛰어난 리더이자 상당한 능력자였음을 알 수 있다.
4. 여담
- 상단 프로필 사진에서도 보이다시피 코가 약간 삐뚤어져 있다. 젊었을 때 생도로 재학하던 중 미식축구를 하다가 코를 크게 다쳤는데, 가정 형편상 대수술은 받지 못하고 응급처치만 때웠다가 흔적이 평생 남게 된 것이다.
- 리히급 방공순양함의 1번함 USS 리히는 그의 이름을 따 명명된 함정이다.
5. 진급 이력
6. 둘러보기
미합중국군 원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원수 General of the Armies / Admiral of the Navy | |
육군 Army | 조지 워싱턴 | |
율리시스 S. 그랜트 | ||
존 조지프 퍼싱 | ||
해군 Navy | 조지 듀이 | |
원수 General of the Army / Fleet Admiral General of the Air Force | ||
육군 Army | 윌리엄 테쿰세 셔먼 | |
필립 셰리든 | ||
조지 C. 마셜 | ||
더글러스 맥아더 | ||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
헨리 아놀드 | ||
오마 브래들리 | ||
해군 Navy | 윌리엄 리히 | |
어니스트 킹 | ||
체스터 니미츠 | ||
윌리엄 홀시 | ||
공군 Air Force | 헨리 아놀드 | |
* 헨리 아놀드의 원수 진급 당시 공군은 육군 항공대였다. | }}}}}}}}} |
미합중국 해군참모총장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제5대 |
윌리엄 벤슨 | 로버트 쿤츠 | 에드워드 에벌 | 찰스 휴즈 | 윌리엄 프랫 | |
제6대 | 제7대 | 제8대 | 제9대 | 제10대 | |
윌리엄 스탠들리 | 윌리엄 리히 | 해럴드 스타크 | 어니스트 킹 | 체스터 니미츠 | |
제11대 | 제12대 |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
루이스 덴펠드 | 포레스트 셔먼 | 윌리엄 페치텔러 | 로버트 카니 | 알레이 버크 | |
제16대 |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그레고리 앤더슨 | 데이비드 맥도널드 | 토머스 무어러 | 엘모 줌왈트 | 제임스 할로웨이 3세 | |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제25대 | |
토머스 헤이워드 | 제임스 왓킨스 | 칼라일 트로스트 | 프랭크 켈소 | 제러미 마이클 보더 |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제29대 | 제30대 | |
제이 존슨 | 버논 클라크 | 마이크 멀린 | 개리 러프헤드 | 조너선 그리너트 | |
제31대 | 제32대 | 제33대 | |||
존 리처드슨 | 마이클 길데이 | 리사 프란체티 | }}}}}}}}} |
[1] (Chief of Staff to the Commander in Chief of the Army and Navy)[2] 지금의 합동참모의장격 되는 직책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제복군인들 중 가장 높은 직책이었다. 당시 통수권자인 프랭클린 D. 루스벨트 대통령을 보좌했다. 이 직책은 1949년 오마 브래들리가 리히의 자리를 이어받은 후 합동참모의장으로 명칭이 바뀌었다.[3] 원수는 정년 없이 종신 복무토록 규정되어 있어, 비록 은퇴하여 실제 근무는 안 하고 그냥 집에서 놀더라도 군에서 받은 의전 예우 그대로 받으면서 지내는게 가능하다. 원수 개인이 "전역"을 희망하면 예비역으로 신분전환되는데, 이를 이용해 드와이트 아이젠하워 장군이 대통령 선거 출마를 위해 잠시 전역 신청 후 대통령 임기 만료 뒤 육군의 예비역 소집 명령을 받는 식으로 다시 육군 원수 자리를 유지했다.[4] 물론 실제 권한은 각군 참모총장이나 각 관구 사령관 쪽이 훨씬 컸고 이들이 리히의 직속부하이거나 했던 것도 아니다.[5] 당시에는 바로 해군소위로 임관하지 않고 1-2년 정도 견습사관(준사관)으로 근무한 뒤에 소위 임관시험을 쳐서 정식으로 임관했다. 이것은 범선시대에서부터 내려진 오랜 관례였다.[6] 당시 미 해군엔 준장 계급이 없었고, 대신 대령 계급에서 거의 10년 이상 지내고 바로 2성제독(해군 소장)으로 진급하는 식이었다. 현재의 준장급 제독들이 맡을만한 보직들은 근속년수가 높은 고참 대령들이 맡고, 이 고참 대령들은 타군의 준장급에 준하는 대우를 받았다. 그러다 태평양 전쟁이 터지고 해군 군사력과 해군 장병의 정원이 폭발적으로 증가했고, 제독 보직의 수도 많아지면서 1943년에 준장 계급이 신설된 것.[7] 당시 최고참이었던 존 조지프 퍼싱 예비역 대장은 80대로 휠체어 신세를 지고 있던 노망난 노인이었다.[8] 전후 미 국방부가 장설될 때도 국방부의 육방부화를 우려한 해군의 저항 탓에 해군장관 제임스 포레스털을 초대 국방장관으로 임명하기도 했다.[9] 원수 계급을 도입하면서 서열을 확실히 하기 위해 리히를 시작으로 7명의 원수를 하루 간격으로 임명했다. 리히가 최선임으로 임명되었고, 이어 육군참모총장 조지 C. 마셜 → 해군참모총장 어니스트 킹 → 태평양 방면 연합군 최고사령관 더글라스 맥아더 → 미국 태평양 함대 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 유럽연합군 최고사령관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 육군항공대 최고사령관 헨리 아놀드 순으로 임명되었다.[10] 1945년부터 1951년까지 총리. 노동당 소속. 전임자는 윈스턴 처칠이었고 후임자도 처칠이었다.[11] 노동당 소속[12] 공군이 정식 군종으로 독립하기 전이라 헨리 아놀드는 육군항공대 사령관이었지만 사실상 공군참모총장의 시초로 본다.[13] 2차 대전 말 미 해군 태평양 함대사령부는 일본의 항구를 봉쇄하기 위해 일본 본토 근해에 기뢰살포 작업을 진행하고자 육군항공대의 폭격기들을 항구 봉쇄로 돌린 적이 있었다. 그러자 당시 일본 각지를 공습하고 있던 폭격기 부대의 사령관 커티스 르메이 장군은 당연히 도시에 대한 폭격을 더 해야 하지, 항구 봉쇄해서 뭐에 써먹느냐고 툴툴대다가 상관인 아놀드 장군에게 기뢰살포 작업에서 기존 공습작전으로 옮겨달라고 요청했다. 이에 아놀드 장군이 킹 제독과 담판을 지으려 했으나, 킹 제독은 "그럼 해군은 빠질 테니까 육군끼리 잘 해 보시든지."라며 배째라 식으로 나갔고 아놀드 장군을 아무 말도 못하게 만들어버렸다. 어찌됐든 기뢰 살포 작전은 매우 효과적이었고, 이후 태평양 함대사령관 체스터 니미츠 제독은 르메이 장군에게 협조해 줘서 감사하다는 서신을 보냈다.[14] 맥아더는 마셜과 동기에, 진급은 마셜보다 훨씬 빨랐다. 킹은 사관학교 졸업은 맥아더보다 빨랐지만, 당시 미 해군은 사관학교 졸업 후 준사관 내지 소위 후보생으로 복무한 뒤 정식 임관하는 체계여서 소위 임관은 맥아더보다 느렸다. 킹의 성격 상 맥아더 같은 스타일과 화합하는 것도 불가능했고. 이런 맥아더와 그나마 대화라도 할 수 있었던 건, 아예 19세기 말 졸업에 소위 임관도 2년 빠른 선배 리히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