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1 09:26:02

보즐

보자산에서 넘어옴
손오의 승상(丞相)
{{{#!wiki style="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margin: 0 -10px;"
{{{#ece5b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1대 2대 3대 4대 4대 대리
손소 고옹 육손 보즐 주거
5대 5대 대리 6대 7대 8대(左) 8대(友)
손준 손은 손침 복양흥 육개 만욱
9대 10대
□연 장제
※ 둘러보기: 한의 대장군 (大將軍) · 후한의 태위 (太尉) · 후한의 대사공 (大司空) · 후한의 대사농 (大司農) · 조위의 태위 (太尉) · 조위의 사도 (司徒) · 조위의 사공 (司空) · 촉한의 재상 (宰相) }}}}}}}}}}}}}}}

오서(吳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rowcolor=#fff> 1권 「손파로토역전(孫破虜討逆傳)」 2권 「오주전(吳主傳)」
손견 ,주준, · 손책 손권 ,호주 정천 풍희,
<rowcolor=#fff> 3권 「삼사주전(三嗣主傳)」 4권 「유요태사자사섭전(劉繇太史慈士燮傳)」
손량 · 손휴 ,이형, · 손호 ,장제, 유요 ,착융 유기, · 태사자 · 사섭
<rowcolor=#fff> 5권 「비빈전(妃嬪傳)」 6권 「종실전(宗實傳)」}
무열황후 · 사부인 · 서부인 · 보연사 · 대의황후 · 경회황후
반부인 · 전혜해 · 주부인 · 하희 · 등방란
손정 · 손유 · 손교 · 손환(奐) · 손분(賁)
손보 · 손익 · 손광 · 손소 · 손환(桓)
<rowcolor=#fff> 7권 「장고제갈보전(張顧諸葛步傳)」 8권 「장엄정감설전(張嚴程闞薛傳)」
장소 ,장분 장승 장휴고옹 ,고소 고담 고승, · 제갈근 ,제갈융, · 보즐 ,주소, 장굉 · 엄준 ,배현, · 정병 ,징숭, · 감택 ,당고, · 설종 ,설영,
<rowcolor=#fff> 9권 「주유노숙여몽전(周瑜魯肅呂蒙傳)」 10권 「정황한장주진동감릉서반정전(程黃韓蔣周陳董甘凌徐潘丁傳)」
주유 · 노숙 · 여몽 정보 · 황개 · 한당 · 장흠 · 주태 ·진무 ,진표,
동습 · 감녕 · 능통 · 서성 ·반장 · 정봉
<rowcolor=#fff> 11권 「주치주연여범주환전(朱治朱然呂範朱桓傳)」 12권 「우육장낙육오주전(虞陸張駱陸吾朱傳)」 13권 「육손전(陸遜傳)」
주치 · 주연 ,주적, · 여범 ,여거, · 주환 ,주이, 우번 ,우사 주육, · 육적 · 장온 · 낙통
육모 · 오찬 ·주거
육손 ,육항,
<rowcolor=#fff> 14권 「오주오자전(吳主五子傳)」
손등 · 손려 · 손화 · 손패 · 손분(奮)
<rowcolor=#fff> 15권 「하전여주종리전(賀全呂周鍾離傳)」 16권 「반준육개전(潘濬陸凱傳)」 17권 「시의호종전(是儀胡綜傳)」
하제 · 전종 · 여대 · 주방 · 종리목 반준 · 육개 ,육윤, 시의 · 호종 ,서상,
<rowcolor=#fff> 18권 「오범유돈조달전(吳範劉惇趙達傳)」 19권 「제갈등이손복양전(諸葛滕二孫濮陽傳)」 20권 「왕누하위화전(王樓賀韋華傳)」
오범 ,위등, · 유돈 · 조달 제갈각 ,섭우, · 등윤 · 손준 ,유찬, · 손침 · 복양흥 왕번 · 누현 · 하소 · 위소 · 화핵
관련 틀:
}}}}}}}}}
步騭
보즐
작위 <colbgcolor=#ffffff,#191919>광신후(廣信侯) → 임상후(臨湘侯)
최종직위 승상(丞相)
성씨 (步)
(騭)
자산(子山)
생몰연도 ?년 ~ 247년 5월
고향 서주(徐州) 하비국(下邳國) 동성현(東城縣)[1]
승상 재임기간 246년 9월 ~ 247년 5월

1. 개요2. 정사 삼국지
2.1. 초기 생애2.2. 무관으로서의 면모2.3. 문관으로서의 면모2.4. 죽음
3. 삼국지연의4. 기타5. 미디어 믹스

[clearfix]

1. 개요

삼국시대 손오의 인물이며 자는 자산(子山)으로 서주 하비국 동성현 사람.[2]

선조는 춘추시대 진나라의 대부 극의의 아들 보양으로 식읍으로 보땅을 받아서 성을 보로 바꿨다고 하며, 또한 조상으로 공자의 제자인 보숙승이 있다고 한다.

2. 정사 삼국지

2.1. 초기 생애

보즐은 사방에서 전쟁이 일어나자 난리를 피해 고향에서 강동으로 가서[3] 위정이라는 사람과 오이를 심어 자급자족하면서 밤에는 경전을 외웠다고 한다.

그 땅이 초교의 소유라 위정과 함께 그에게 잘 보이기 위해서 오이를 진상하러 갔는데, 온갖 멸시를 주며 무시함에도 불구하고 보즐은 "그의 강성함을 두려워해서 왔는데, 여기서 고상한 척 하면서 돌아가면 원수만을 맺게 될 것이오."라고 말하며 위정을 말리고 또 거지나 먹을 법한 밥을 주니 거기서도 "우리들은 가난하고 미천하오. 때문에 주인은 가난하고 미천함으로써 우리를 대우한 것이니, 진실로 마땅한 것이오. 무엇 때문에 치욕스러워 해야만 하오?"라고 말하며 분노한 위정을 말렸다.[4]

2.2. 무관으로서의 면모

200년 손권이 토로장군이 되자 보즐은 그의 밑에서 주기, 해염현의 장이 되었으나 질병으로 인해서 사임을 하고 제갈근, 엄준과 함께 오중에서 유학을 하여 이름을 날리다 후에 손권이 거기장군이 되고서 다시 콜을 해 거기장군 동조연이 되었다.

210년에는 파양태수를 겸임했다가, 그 해 중에 교주자사, 입무중랑장으로 전임되었고 곧 지절, 정남중랑장이 더해졌다.

당시 교주는 인망이 높은 사섭유표가 보낸 창오태수 오거가 서로 다투고 있었는데, 오거는 안으로 다른 마음을 품고서 겉으로는 보즐에게 복종했다. 이에 보즐은 오거를 불러 단숨에 베어버리니 이 일로 보즐의 명성은 크게 떨쳐졌다. 이에 놀란 사섭은 손권을 따르기로 하고 이어서 사섭의 설득으로 옹개가 익주에서 태수 정앙을 베고 귀의를 청해 그들을 받아들였다. 이 공으로 평융장군, 광신후가 더해졌다.

220년에는 유비가 이릉대전을 준비하자 여대가 보즐을 대신하고 보즐은 1만의 군사를 이끌고 무릉의 이민족에 대비해 장사의 익양에서 적을 대비하며, 이민족과 함께 반란을 일으킨 습진반준과 함께 토벌해 기세를 올렸다. 이로 인해 영릉과 계양의 군대는 유비에게 호응하지 못하고 유비가 패퇴한 이후에 여전히 서로 놀라게 하고 소란을 피우면서 각지에서 병사로 막아서고 있었는데 전투가 오나라의 승리로 끝나자 모조리 격파했으며,[5] 223년에는 이공으로 우장군좌호군, 임상후가 되었다가 226년에는 부절을 받고 구구로 임지를 옮긴다.

229년 손권이 황제가 되자 표기장군 기주목[6]이 되고 서릉으로 가 육손을 대신해서 국경을 지켰지만, 곧 오와 촉 사이에서 위의 영토를 분할하는 조약을 맺으면서 기주를 촉에게 할당하기로 해 기주목 자리가 소멸했다.

2.3. 문관으로서의 면모

당시 무창에 주둔하던 손권의 태자 손등에게 보즐은 당시 형주 경내에서 임무를 맡고 있던 11명[7]을 나열하고 그들의 행장을 분석해 사람을 추천하였다.

교사 여일이 상소를 남발해 수많은 사람이 붙잡히자 도성의 일은 고옹에게 맡겨야 하고 무창의 일은 육손, 반준에게 맡겨야 하는데 이게 뭐하는 짓이냐고 상소를 올려 여일을 주살시켰으며, 이로 인해 누명을 쓴 사람들을 복원시키기 위해 여러 차례 상소를 올렸다.

한 번은 위나라의 투항자인 왕잠이 위나라가 베로 된 주머니에 모래를 넣어 이를 대량으로 양산해 양자강을 막아 진격하려고 한다고 주장하자 보즐은 그의 말을 믿고 손권에게 가서 이에 대비해야 된다고 했는데, 이 말을 들은 손권은 그게 사실이라면 소 수천 마리를 주겠다고 하며 기각하였다.

후에 제갈각여범도 보즐의 말을 듣고는 "보즐의 표를 읽을 때마다 웃음을 참지 못했습니다. 이 강은 천지 개벽과 함께 태어났는데, 어찌 모래 주머니로 막을 수 있겠습니까!"라고 했다.

그러나 손권은 보즐의 의견을 전부 받아들이지는 않았더라도, 항상 그의 건의를 듣고 취하였으며, 그의 도움을 많이 받아 이익을 얻었다고 한다.

2.4. 죽음

이궁지쟁 때는 손패파의 일원으로 이름을 올렸다. 246년 9월에는 육손을 대신해 승상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은 아직도 문하생을 두고 책을 읽는 것을 멈추지 않았으나 처첩들의 사치가 심해 사람들한테 비난받았다. 배송지는 이궁의 변 당시 보즐의 행각에 대해 '보즐은 덕과 도리를 칭하여 오나라의 대신이 되었음에도 손패에게 아부를 떨고 양공과 같이 일을 도모했으니 이게 뭐하는 짓입니까?(중략)보즐에게 만약 이런 일이 있었다면 그 나머지는 족히 볼 필요도 없는 것입니다. 여대, 전종의 무리들도 대개 논할 필요가 없을 뿐입니다.'라며 손패파였던 보즐의 행보를 크게 비판하였다.

247년에 사망하고 장남 보협이 후사를 이었다. 그런데 보협은 왕기에게 이릉성의 식량을 약탈당하고, 종회등애가 죽은 틈에 촉의 빈땅을 공격하러 갔다가 나헌한테 쫘악 털린다. 차남 보천은 진나라에 항복한다. 2세 농사는 망했다. 한당처럼 대표적인 호부견자의 케이스.

3. 삼국지연의

적벽대전 때 처음 등장. 위나라에게 항복을 주장하는 문관 중 하나로 나와 제갈량과 설전을 할 때는 제갈량이 잘 알려지지도 않은 보즐의 자가 자산이라는 것을 알고 있다는 나온다. 이 일로 보즐은 듣보잡이 됨과 동시에 제갈량의 듣보잡의 자도 알고 있는 선견지명과 기억력을 부각시키기 위한 도구가 되어버린다.

교주에서 활동하고 있을 217년에는 조조에게 화평하러 가는 사자로 등장하고 219년에도 사자로 조조에게 가서 오나라가 관우를 치기 전에 조인이 먼저 관우를 공격해야만 그에 응하기로 협정을 맺는 역할을 맡는다. 본래 형주에서 반란군을 진압하고 유비의 공격에 호응을 막고 있을 이릉대전에서는 육손을 믿을 수 없다며 그의 기용에 반대하는 역할을 한다.

군사를 지휘하며 교지를 정벌하거나 형주의 반란을 진압했던 정사와는 달리 연의가 끝날 때까지 전투에 참가조차 하지 못하고 제갈량과의 설전에서 발리거나 육손의 능력을 파악하지도 못하고 백면서생이라는 겉모습만 보고 반대하고 사신으로만 등장하는 등 삼국지연의/피해자의 일원. 그래도 조언을 많이 하고 손권이 이에 따르는 모습을 보면, 마냥 피해자라 보기에도 좀 그렇다.

4. 기타

파일:attachment/보즐/보즐찢어진전기.jpg

돈황의 장경동에서 발굴된 정사 삼국지의 보즐전 잔편. 두루마리의 작성 시기는 동진 시대로 추정된다.

옛날에는 이름이 보질[8]이라고 잘못 알려져 있어서 관우 휘하의 장수였던 조루, 이이와 함께 세트로 등장했던 사정, 정보의 아들로 정보가 적벽대전 때 주유와 함께 총대장에 임명되자 삐져서 대타로 보냈던 정자와 함께 검열삭제 4천왕으로 취급되었으나, 후에 발음이 보즐로 확정되어 알려지면서 해체되었다.

손권의 아내 보연사가 그의 일족이라고 한다.

5. 미디어 믹스

5.1.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

파일:Bu_Zhi_2_%281MROTK%29.webp
100만인의 삼국지
파일:external/san.nobuwiki.org/0799.jpg
삼국지 12, 13, 14

지력이 80대 초중반, 정치가 80대 중후반을 찍는 썩 훌륭한 문관으로 나온다.

과거 시리즈에서는 연의의 영향과, 정사에서 가장 임팩트(?)있는 직책으로 승상으로 임명되었다는 말 때문인지 전형적인 문관의 능력으로만 등장한다. 사실 보즐이 역임한 직책들은 거의 무관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연의 때문에 아이덴티티가 바뀌어버린 전형적인 예. 이민족 토벌에도 공이 많았고, 영릉과 계양의 촉군 잔존세력을 토벌했음에도 불구하고 전투용 기술은 없었다. 어째 조위의 만총과도 비슷한 처지이기도 하다.

그나마 삼국지 9부터는 주연과 마찬가지로 약간의 재평가가 이루어져서 통솔력은 70대 초반, 무력은 50대를 찍는 노숙 하위호환의 스탯으로 나와 능력치 합은 주연보다는 조금 높은 편. 삼국지 10에서는 371 vs. 362, 삼국지 11에서는 363 vs. 354로 우위를 점했다.

삼국지 9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7/무력 56/지력 81/정치력 89. 연사, 투함, 덫, 파괴, 정란을 가지고 있어서 수전에 아주 좋다. 공성전에서 쓸 수 있는 모략계 병법이 없는 게 흠. 연사가 있지만 무력이 아쉽다.

삼국지 10의 능력치는 통솔력 80/무력 52/지력 83/정치력 86/매력 70으로 통솔력이 80을 찍었다. 특기도 10개나(농업, 상업, 화시, 진정, 반목, 반박, 논파, 명사, 제독) 되지만 고루 퍼져 있어 조금 어중간한 감이 있다. 통솔력이 80이나 되고 화시, 반목 특기가 있기 때문에 일단 전장에서도 어떻게 굴릴 수는 있고, 농업, 상업 특기를 모두 가지고 있어서 내정요원으로도 쓸 만하다.

삼국지 11에서의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51/지력 84/정치력 86/매력 70으로 통솔력이 삼국지 10 때보다 크게 하향되었지만 특기는 사정이며, 병기 속성도 S다. 조조에게 유엽이전이 있다면, 손권에게 보즐이 있다 할 정도로 그의 쓰임새는 무궁무진하다. 무력이 높은 장수와 의형제를 맺고 정란이나 투석을 갖고 출전한다면 한 도시를 초토화시킬 수 있다.

삼국지 12에서의 일러스트는 측면인 상태에서 오른손을 얼굴에 댄 채 고심하고 있다. 능력치는 통솔력 72/무력 51/지력 84/정치력 86으로 삼국지 11 때의 능력치에서 매력만 빠진 수치다. 전법은 사정약화였다가 병격봉인으로 바뀌었다.

삼국지 13에서의 능력치는 전작과 같으며 특기는 농업 4, 문화 2, 설파 3, 교섭 4, 언변 2, 수영 2. 중신특성은 합리철저로 전수특기는 농업이다. 그런데 전법이 정말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궁속약화다. 플레이어라면 좋은 전법을 가진 다른 장수에게 전법을 사사하는 수 밖에 없다.

삼국지 14에서의 능력치는 통솔 75, 무력 51, 지력 84, 정치 86, 매력 71로 전작에 비해 통솔력이 3 상승했다. 개성은 침착, 교화, 안목, 위무, 주의는 예교, 정책은 병기강화 Lv 4, 진형은 학익, 충차, 투석, 전법은 충차, 투석, 구축, 시람, 친애무장은 반준, 손패, 엄준, 장승, 제갈근, 혐오무장은 여일, 장소다.

PK에서 추가된 영웅난무에서는 남해의 군주로 등장하는데 부하로는 보연사, 보천, 보협, 손노반, 손준, 손패, 엄준, 여거, 여대, 옹개, 우번, 장승, 전종, 제갈근을 두고 있으며 소속 도시의 재야 무장으로는 고담, 곽마, 누현, 등수, 사광, 사일, 설후, 수칙, 오언, 장포, 장휴 총 11명이 있다. 윗 동네 계양을 점령하면 번씨, 조범, 진응, 포륭, 학보 총 5명이 있으며 옆 동네 건안을 점령하면 정주, 황란 총 2명이 있다.

5.2. 삼국지 영걸전

이릉 전투에서 적으로 등장. 능력치가 25/65/20으로 상당히 처참하고 병종이 평타 대미지 딜러인 궁병 계열이라 더욱 처참하다.

5.3. 진삼국무쌍 시리즈

보연사의 아버지로 나온다.[9] 괜한 설정 때문인지 장소, 장온, 육적, 고옹 등의 오의 문관이 다 나오는데도 혼자만 클론으로도 출연하지 못하고 있다.

5.4. 삼국전투기

허셜 레이튼으로 나온다. 정확한 패러디 이유는 불분명하지만, '보즐'과 '퍼즐'의 단어 구조가 비슷해서인 걸로 추정하는 의견도 있었다. 적벽 전투 (3)편의 타이틀 컷을 장식하기도 했다.

실질적인 첫 등장은 안풍 전투 편. 손권의 사자로 진란에게 찾아가서 손권의 제안을 전달했다.

이릉 전투 편에서는 손권에게 유비가 동진을 준비하고 있다는 정보를 전달했다.

전투외편 1편에서 오랜만에 재등장. 238년 기준 우장군으로, 시중 감택과 좌장군 주거와 더불어 오의 파워 랭킹 7위에 위치해 있었다고 묘사된다. 그 밖에는 태자 손등을 보고 우리 태자님이 삼국 중 최고라고 말하기도 했다. 여일이 몰락하던 당시에는 손권에게 이상한 놈이 있음 즉각즉각 보고를 해야 했을 거 아니냐며 감택과 함께 한 소리 들었고, 감택과 보즐은 즉각즉각 보고했었다며 어이없어했다.

전투외편 3편에서는 손패파의 일원 중 하나로 언급되며, 죽은 육손을 대신해 잠시 승상이 되기도 했으나 채 1년이 가기 전에 사망했다고 언급된다.

5.5. 삼국지톡

제갈량이 언급한 걸로만 알려져 있다.


[1] 회음현(淮陰縣) 사람이라고 하기도 한다.[2] 지금의 안휘성에 속한다. 노숙과 동향이다.[3] 이 루트가 강동이 인구가 크게 늘어난 계기다. 특히 서주대학살 때 많은 사람들이 남쪽의 강동으로 이주했고, 이 중에는 인재도 매우 많았다. 후에 삼국으로 분리되어 평안하자 강동으로의 인구 유입이 뚝 끊겨 손권이 인구를 늘리려고 일본으로도 군대를 보내고 이상한 섬으로도 군대를 보내고 하면서 한 뻘짓을 보면 알 수 있다.[4] 후의 위정도 손오에 임관하게 되나 무릉태수로 있을 때 반준을 모함하다가 면직된다.[5] 이 부분을 보즐전 원서에선 備既敗績,而零、桂諸郡猶相驚擾,處處阻兵,騭周旋征討,皆平之라고 하는데 여기서 '驚擾'가 놀라고 소란스럽게라는 뜻도 있으나 '방해하다, 괴롭히다'라는 뜻도 있다. 이렇게 번역할 경우 '유비가 패하고도 영릉, 계양 여러군은 오히려 서로 방해하면서(괴롭히면서) 각지에서 병사로 막아서고 있었다.'라는 뜻이 된다. 현재 인터넷 상 번역으로는 '유비가 참패를 한 후에도 영릉과 계양 각 군에서는 여전히 서로 겁먹고 동요되어 있었으며, 곳곳마다 무력을 기대고 있었다.'라고 번역하는 바 이 번역을 고친 부분을 적되 이설을 기록해 둔다.[6] 사실 오가 통치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주를 실효지배하는 위를 불법정권으로 취급하고 오나라 관리로 장관을 삼은 것. 현대 대한민국에 이북5도지사를 두는 것과 유사하다. 아래 위나라 영토 분할도 마찬가지.[7] 제갈근(諸葛瑾), 육손(陸遜), 주연(朱然), 정보(程普),[10] 반준(潘濬), 배현(裴玄), 하후승(夏侯承), 위정(衛旌), 이숙(李肅), 주조(周條), 석간(石幹)[8] 騭의 본음은 사실 질이지만 후대에 음이 변한 것이다.[9] 실제로는 그냥 보즐의 일족일 뿐이다.


[10] 손오오의 노장 정보와 동명이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