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db14b><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0db14b;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0db14b><colcolor=#fff> 칠곡 군내 | ||
성주ㆍ문양역 방면 | |||
대구 방면 | |||
마을버스 | 지천면 마을버스 기산면 마을버스 | ||
문서가 없는 노선은 칠곡군 농어촌버스 참고.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1ddb16><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 | ||
{{{#!wiki style="color:#1ddb16;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ddb16><colcolor=#fff> 성주 군내 (0번) | 성주-용암-문양역 | 성주-송계/수륜/백운동 | 성주-선남/도흥 |
성주-금수 | 성주-장산-선석사/성주-어산-선석사 | 성주-동포-홈실 | ||
성주-고산정-홈실 | 성주-칠산/대가 | 성주-벽진 | ||
성주-달밭 | 성주-소성 | 성주-초전-월항-성주 | ||
성주-초전-용성-성주 | 성주-벽진-초전-용봉-초전-성주 | |||
대구ㆍ칠곡ㆍ고령ㆍ김천 방면 | 14(성주-김천) | 250 | 400(성주-왜관) | |
성주-고령-대구서부 | ||||
순환버스 | 성주읍 순환버스 |
| |
250번 | 250-1번 |
1. 개요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7동 북부정류장(2)[1]과 성주군 성주버스정류장(5), 칠곡군 왜관북부정류장(5)을 잇는 좌석버스 노선으로, 성주-대구북부-왜관 본선 왕복 운행 거리는 135.9km다.[2]1.1. 전체 정류소 목록
- 성주→문양역→대구북부 전체 정류소 목록
- 왜관북부→대구북부 전체 정류소 목록
- 대구북부→왜관북부 전체 정류소 목록
- 성주→대구북부 전체 정류소 목록
- 대구북부→문양역→성주 전체 정류소 목록
- 대구북부→성주 전체 정류소 목록
- 대구북부발 250-1 전체 정류소 목록
- 왜관발 250-1 전체 정류소 목록
2. 노선 정보
| |||||
| |||||
| |||||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왜관북부정류장) | ||
종점행 | 첫차 | 06:20[3] | 기점행 | 첫차 | 06:30[4] |
막차 | 21:10[5] | 막차 | 21:10[6] | ||
배차간격 | 20~30분(성주: 1일 20회/왜관: 1일 28회)[통합] | ||||
운수사명 | 경일교통 | 인가대수 | 21대 | ||
노선 | 성주버스정류장 - 공간디자인[공간디자인] - 성산리(경일교통) - 신부리 - 선남 - 명인중고등학교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 동곡초등학교 - 문양리 - 부곡리 - 대실역 - 강창역 - 계명대학교정문 - 성서산업단지역 - 용산역 - 두류역 - 반고개역 - 서문시장 - 원대역 - 팔달시장역 - 북부정류장 -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공단역 - 태전역 - 태전중앙시장 - 대구보건대학교 - 추동교 - 옥포 - 상납실 - 하납실 - 신1리 - 신동역 - 연화 - 삼청리 - 순심고등학교 - 왜관남부정류장 - 왜관북부정류장 |
| |||||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 | ||
종점행 | 첫차 | 08:00 | 기점행 | 첫차 | 06:30 |
막차 | 19:20 | 막차 | 18:30 | ||
배차간격 | 1일 4회 | ||||
운수사명 | 경일교통 | 인가대수 | 250번 차량으로 운행 | ||
노선 | 성주버스정류장 - 공간디자인[공간디자인] - 성산리(경일교통) - 신부리 - 선남 - 명인중고등학교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 동곡초등학교 - 문양역 - 문양리 - 부곡리 - 대실역 - 강창역 - 계명대학교정문 - 성서산업단지역 - 용산역 - 두류역 - 반고개역 - 서문시장 - 원대역 - 팔달시장역 - 북부정류장 |
| |||||
기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왜관북부정류장) | 종점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 | ||
종점행 | 첫차 | 08:35 | 기점행 | 첫차 | 08:10 |
막차 | 21:10 | 막차 | 21:30 | ||
배차간격 | 1일 6회 | ||||
운수사명 | 경일교통 | 인가대수 | 250번 차량으로 운행 | ||
노선 | 왜관북부정류장 - 왜관남부정류장 - 순심고등학교 - 삼청리 - 연화 - 영진전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신동역 - 신1리 - 하납실 - 상납실 - 옥포 - 추동교 - 대구보건대학교 - 태전중앙시장 - 태전역 - 공단역 -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북부정류장 |
| |||||
기점 | 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왜관북부정류장) | 종점 |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 | ||
종점행 | 첫차 | - | 기점행 | 첫차 | - |
막차 | - | 막차 | - | ||
배차간격 | 1일 9회 | ||||
운수사명 | 경일교통 | 인가대수 | 250번 차량으로 운행 | ||
노선 | 왜관북부정류장 - 왜관남부정류장 - 순심고등학교 - 삼청리 - 연화 - 신동역 - 신1리 (⇽ 하납실[12] ⇽) - 금호지구종점 - 사수초교 - 서대구역(남측) - 북부정류장 |
| |||||
기점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성주버스정류장) | 종점 | 대구광역시 중구 대신동(서문시장) | ||
종점행 | 첫차 | 10:30 | 기점행 | 첫차 | 11:45 |
막차 | 17:25 | 막차 | 19:00 | ||
배차간격 | 1일 13회 | ||||
운수사명 | 경일교통 | 인가대수 | 250번 차량으로 운행 | ||
경유지 | 성주버스정류장 - 공간디자인[공간디자인] - 성산리(경일교통) - 신부리 - 선남 - 명인중고등학교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 동곡초등학교 - 문양리 - 부곡리 - 대실역 - 강창역 - 계명대학교정문 - 성서산업단지역 - 용산역 - 두류역 → 구)대영학원 → 서문시장 → 두류역 - 이하 역순 |
중간 종료 정류소 | |
왜관 방향 | 대구북부정류장[17] |
성주 방향 | 대구북부정류장[18] |
3. 역사
- 1996년 이전에는 모든 버스가 일괄적으로 0번 일반버스뿐이었다. 일반버스 0번이 대구 북부정류장에 파란색 도색을 하고[19] 정차한 풍경을 자주 볼 수 있었다. 그러나 1996년 250번 좌석버스가 개통되어 일반버스 0번은 성주와 칠곡군 내에서 운행[20]하는 지선 일반버스로 바뀌었고 좌석 250번이 이전 0번의 간선 역할을 이어받았다.
- 문양역 개통 후 문양역 경유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13년 6월 29일 모든 칠곡군 농어촌버스 노선이 개편되었는데 이 개편으로 칠곡군 내에서 운행하는 0번 버스들이 모두 새로운 노선 번호로 바뀌었고, 하루 4회 운행하는 250-1번이 개통했는데, 이 노선은 신동에서 중간에 영진전문대학교 칠곡캠퍼스를 경유하고 신동으로 돌아온다는 것을 빼고는 250번과 노선이 완전히 같다.
- 2014년에 시외버스 대구북부-성주 노선이 폐지되어 대구-성주를 바로 잇는 버스 노선은 이것만 남았다.
- 2017년 9월 12일에 북부정류장발 막차가 21:50(왜관행)/22:00(성주행)에서 둘 다 21:30으로 앞당겨져 대구-성주 간 심야 이동이 불편해졌다.
- 2021년 성산리에 임시성주버스정류장이 생긴 뒤 성주읍내에서 250번을 이용할 수 없게 된 적이 있었고, 이때는 공간디자인 정류소까지 이동해 탑승해야 했다.
- 2022년 8월 5일부터 옛 성주버스정류장 위치에 성주창의문화센터가 준공되어 성주창의문화센터에 정차하게 되면서 1년 만에 성주읍내에서 250번을 다시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 2024년 5월 22일에 대구(북부정류장, 서문시장)-성주 구간의 노선 조정에 따라 대구북부-서문시장-성주 노선은 1일 20회로 감차되었고 서문시장까지만 운행하는 노선이 신설되어 1일 13회 운행한다. 성주군 250번 노선 분리
-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에 따른 의견 청취 과정에서 왜관 ~ 금호지구 ~ 서대구역 ~ 북부터미널을 경유하는 가칭 250-2번 버스 노선이 신설될 계획이 있음이 공문을 통해 공개되었다. # #
4. 특징
- 경일교통의 주력 노선으로, 전부 대형 차량[24]으로 운행한다. 다만 성주-대구는 이 노선 독점이지만[25] 왜관-대구는 대경선이 있어 수요가 적다.
- 대실역 1번 출구 버스 정류장의 노선도에는 250번이 없기 때문에 250번이 통과한다고 착각할 수 있으나 BIS에 등록된 정식 정류장이니 당황하지 말자.[26]
- 성주 방면은 1일 4회 문양역을 경유하고[27], 왜관 방면은 1일 4회 영진전문대학교 칠곡캠퍼스를 경유하는데, 두 정류장 모두 성서2번과 연계된다.
- 표면상 1개 노선이지만, 2개 노선 인가를 합쳐 운행한다. 왜관 ↔ 북부정류장 노선과 북부정류장 ↔ 성주 노선이 따로 인가되어 있다. 하지만 실질적인 운행은 1개 노선처럼 운행하기 때문에 크게 와 닿는 부분은 아니다.[28]
- 대실역과 북부정류장을 잇는 유일한 버스다.
- 한때 오른쪽 창문에 사드 배치 반대 플래카드를 붙이고 다니기도 했다.
- 고령 606번과 더불어 대구 시내에서 속력이 빠른 버스 중 하나로 꼽힌다. 외곽으로 나가면 100km/h 이상으로 밟는 것은 예사다.
- 고원식 횡단보도, 과속방지턱 등으로 인해 저상버스 도입 예외승인노선이다.
5. 소요 시간
대략적 소요 시간은 다음과 같고, 도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성주 - 용산역 35-45분
- 성주 - 반고개 45-55분
- 성주 - 서문시장 1시간 5분 ~ 1시간 10분
- 성주 - 대구북부 1시간 15분-1시간 25분
- 왜관 - 대구북부 50분-1시간
===# 전체 시간표 #===
| ||||
연번 | | | ||
성주→대구북부 | 대구북부→성주 | 왜관북부→대구북부 | 대구북부→왜관북부 | |
1 | 06:20 | 06:10 | 06:30 | 06:30 |
2 | 06:45 | 06:30[문양] | 06:55 | 06:55 |
3 | 07:10 | 06:55[문양] | 07:20 | 07:20 |
4 | 07:35 | 07:20 | 07:45 | 07:45 |
5 | 08:00[문양] | 07:45 | 08:10 | 08:10[영진] |
6 | 08:25 | 08:10 | 08:35[영진] | 08:35 |
7 | 08:50 | 08:35 | 09:00 | 09:00 |
8 | 09:15 | 09:00 | 09:25 | 09:25 |
9 | 09:40 | 09:30 | 09:50 | 09:50 |
10 | 10:05[문양] | 09:50 | 10:15 | 10:15 |
11 | 13:20 | 10:15 | 10:45[영진] | 10:40 |
12 | 14:30 | 10:40 | 11:20 | 11:05 |
13 | 14:55 | 11:05 | 11:50 | 11:35[영진] |
14 | 15:20 | 15:20[문양] | 12:20 | 12:00 |
15 | 15:45 | 15:45 | 12:50 | 12:30 |
16 | 17:50 | 16:10 | 13:15 | 13:00 |
17 | 18:15 | 16:35 | 13:40 | 13:25 |
18 | 18:40[문양] | 17:00 | 14:05[영진] | 13:50 |
19 | 19:05 | 19:05 | 14:30 | 14:15 |
20 | 19:30[문양] | 19:35[문양] | 14:55 | 14:40 |
21 | 19:55 | 20:00 | 15:20 | 15:05 |
22 | 20:20 | 20:30 | 15:45 | 15:30 |
23 | 20:45 | 21:00 | 16:10 | 15:55[영진] |
24 | 21:10 | 21:30 | 16:35 | 16:30 |
25 | 17:00[영진] | 17:00 | ||
26 | 17:25 | 17:30[영진] | ||
27 | 17:50 | 18:00 | ||
28 | 18:15 | 18:30[영진] | ||
29 | 18:40[영진] | 19:00 | ||
30 | 19:10 | 19:30 | ||
31 | 19:40 | 20:00 | ||
32 | 20:10 | 20:30 | ||
33 | 20:40 | 21:00 | ||
34 | 21:10[영진] | 21:30[영진] |
| |||
성주 → 문양역 → 대구북부정류장 | 대구북부정류장 → 문양역 → 성주 | ||
1 | 08:00 | 1 | 06:30 |
2 | 10:05 | 2 | 06:55 |
3 | 18:40 | 3 | 15:20 |
4 | 19:30 | 4 | 19:35 |
===# 영진전문대 글로벌캠퍼스 경유(칠곡군 노선, 250-1번) #===
| |||
왜관 → 영진 → 대구북부정류장 | 대구북부정류장 → 영진 → 왜관 | ||
1 | 08:35 | 1 | 08:10 |
2 | 10:45 | 2 | 11:35 |
3 | 14:05 | 3 | 15:55 |
4 | 17:00 | 4 | 17:30 |
5 | 18:40 | 5 | 18:30 |
6 | 21:10 | 6 | 21:30 |
===# 서문시장 단축 노선(성주군 노선) #===
| |||
성주 → 서문시장 | 서문시장 → 성주 | ||
1 | 10:30 | 1 | 11:45 |
2 | 10:55 | 2 | 12:10 |
3 | 11:20 | 3 | 12:30 |
4 | 11:45 | 4 | 12:55 |
5 | 12:10 | 5 | 13:20 |
6 | 12:35 | 6 | 13:45 |
7 | 13:00 | 7 | 14:15 |
8 | 13:40 | 8 | 14:45 |
9 | 14:05 | 9 | 15:15 |
10 | 16:10 | 10 | 17:45 |
11 | 16:35 | 11 | 18:10 |
12 | 17:00 | 12 | 18:35 |
13 | 17:25 | 13 | 19:00 |
6. 연계 철도역
대구 도시철도 2호선: 문양역[49], 다사역[50], 대실역, 강창역,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이곡역, 용산역, 죽전역, 감삼역, 두류역, 내당역, 반고개역, 청라언덕역
대구 도시철도 3호선: 청라언덕역, 서문시장역, 원대역, 팔달시장역, 만평역, 공단역, 매천시장역, 태전역
대경선 : 왜관역
일반 철도역: 신동역(무궁화호), 왜관역(ITX-새마을, ITX-마음, 무궁화호)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 |
고령군 | 고령-작은동 | |
김천시 | ||
칠곡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colcolor=#923f73> 대구광역시 | 틀:대구-칠곡간 시내·농어촌버스 |
구미시 | ||
김천시 | ||
성주군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1권역 | | |||
2권역 | | ||||
5권역 | 성서2 | 7 | 9 | 20 | 27 |
50 · 50-1星 | 250星 | ||||
7권역 | 급행3 | 급행9軍 | 급행9-1軍 | | |
527 | 730 | 칠곡2 | 칠곡3龜 | 팔공3 | |
38 | 200 | 250星 | 250-1 | 300軍 | |
군위-용수 | |||||
龜: 구미시 진입 노선. 軍: 군위군 진입 및 경유 노선. 星: 성주군 진입 노선. 초록색 : 칠곡군 농어촌버스. / 연두색 : 성주군 농어촌버스.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노선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368846> 4권역 (청도군) | 0 | 0-1 | |||
2, 5권역 (칠곡군 서부) | 성서2 | 7 | | |||
250 | 27 | 51 · 51-1 | 9 | 20 | ||
5권역 (성주군) | 성주-대구서부 | |||||
6권역 (고령군) | 606 | 650 | 달성1 | |||
6권역 (창녕군) | 달성6 | 달성7 | ||||
1, 7권역 (칠곡군 동부) | 급행3 | 급행9 | 급행9-1 | | | |
527 | 730 | 칠곡2 | 팔공3 | 38 | ||
칠곡3 | 200 | 250 | 250-1 | 300 | ||
군위-용수 | | | ||||
7권역 (구미시) | 73-3 | 78-3 | ||||
8권역 (경산시 북부) | 급행5 | 518-1개 | 708개 | 814 | 818 | |
818-1개 | 808 | 55·555 | ||||
8권역 (영천시) | 군위-신녕 | |||||
9권역 (경산시 남부) | | 309 | 449개 | 509 | 609 | |
649 | 719 | 840 | 909개 | 939개 | ||
980(→동구10) | 849-1 | 100 | 100-1 | 399청 | ||
803 | 990청 | 991 | ||||
권역 외 (의성군) | 군위-상곡 | 군위-백학 | ||||
권역 외 (의령군) | 의령/신반-대구[1] | |||||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청: 일부 차량 청도군 금천면 진입 노선 개: 2025년 2월 개편 이후 경유 신설/폐지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관련 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fff>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성주 | 250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급행 | |
간선 | ||
지선 | ||
출근 | 7250 | |
칠곡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성서캠퍼스 | ||||
동문 | 급행1 | 급행5 | 급행7 | 405 | |
425 | 503 | 523 | 524 | ||
527 | 564 | 7250 | |||
달서1 | 달서3 | 달서5 | 성서1-1 | ||
정문 | 급행1 | 524 | 527 | 564 | |
655 | 성서2 | 250 | |||
대명캠퍼스 | |||||
정문 | 순환2-1 | 509 | 650 | 706 | |
805 | 836 | 달서4-1 | |||
후문 | 609 | 808 | 남구1-1 | ||
대명공연거리 | 300 | 306 | 518 | 609 | |
651 | 808 | 남구1-1 | 달서4-1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복현캠퍼스 | ||||
정문 | 503 | 719 | 북구1 | 동구2 | |
후문 | 순환3-1 | 323-1 | 410-1 | 413 | |
719 | 836 | 937 | 북구1 | ||
북구2 | |||||
글로벌캠퍼스 | |||||
정문 | 성서2 | 250-1 |
[1] 북부정류장은 서구 비산7동이지만 북구 생활권으로 인식되어 권역 번호 3번을 쓴다.[2] 대구-태전역-성주 왕복 77.6km, 대구-태전역-왜관 왕복 58.3km, 대구-서대구역-왜관 왕복 55.2km[3] 대구북부발 왜관행 첫차는 06:30.[4] 대구북부발 성주행 첫차는 06:10.[5] 본선 대구북부발 왜관행 막차는 21:00(성주발 19:55 연결), 실질 막차는 21:30 출발 영진전문대 경유 250-1.[6] 대구북부발 성주행 막차는 21:30이며 왜관에서는 20:10분발 연결해서 종점으로 운행한다. 그 이외 20:40, 21:10분배차는 대구북부 타절[통합] 성주: 1일 37회 / 왜관: 1일 34회 (250번 문양역 경유, 250-1 영진전문대 경유 250번 서문시장 단축형 노선 포함)[공간디자인] 성주로터리 위치. 2020년 6월 30일까지는 성주읍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250번을 타려면 여기까지 걸어야 했다.[국도변] 국도변 정류장에 정차한다.[공간디자인] [국도변] [12] 왜관북부 방향에서만 경유[13] 성주발 기준 행선판에 서문시장을 달고 운행[14] 2025년 대구 시내버스 개편으로 성서2번의 서문시장 지선이 폐지될 경우 대체 노선으로 확정된다. 하산리쪽만 해당되며 묘리나 대평리쪽은 성서2번을 타고 문양역으로 와서 대구 도시철도 2호선으로 환승해서 가는 대체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공간디자인] 성주로터리 위치.[국도변] 국도변 정류장에 정차한다.[17] 1일 8회 중간 종료한다.[18] 성주-서문시장 단축형 노선 신설로 하루 12~13회 정도 왜관-대구북부에서 운행을 멈추게 되었다. 그중 4회는 대구북부에서 휴식 후 300번로 바꿔 운행하고, 나머지 8~9회는 진짜 중간 종료다.[19] 당시 경북 일반시내ㆍ농어촌버스 도색이었다. 현재는 의성에서만 볼 수 있다.[20] 칠곡군-성주군 노선(왜관-죽전-월항-성주 등등)과 칠곡군/성주군-대구시 노선(왜관-금남/도흥-문양역, 황학-대구북부정류장, 성주-용암-문양역)도 있었다.[21] 인천 강인여객 중고이며, 전문형 천연가스버스이다.[22] 인천 삼화고속 시내부(현재는 폐지) 광역버스 중고이며, 전중문형과 전문형 2가지 모두 다녔다.[23] 현재도 고급좌석 차량을 투입하며, 자체출고 8대와 중고차 1대다.[24] 에어로시티, BS106, 유니시티[25]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도 있지만, 어른 기준 5200원이라는 비싼 요금 때문에 거의 안 탄다.[26] 이는 노선도를 붙이는 등의 시정이 필요한 부분이다.[27] 그 외 시간에는 문양리 정류장에 내려 걸으면 된다.[28] 북부정류장 환승센터에서 5분 정도 서 있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문양] 문양역 경유[문양] [문양] [영진] 영진전문대 경유(250-1)[영진] [문양] [영진] [영진] [문양] [문양] [영진] [문양] [문양] [영진] [영진] [영진] [영진] [영진] [영진] [영진] [49] 1일 4회 문양역을 경유하는 노선만 해당한다.[50] 매곡사거리 하차 후 약 380m 도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