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02 23:35:36

신칸센 E7·W7계 전동차

신칸센 W7계 전동차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신칸센 E7·W7계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2cb4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홋카이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cb431><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홋카이도 신칸센
연계 노선 도호쿠 신칸센
등급 하야부사 / 하야테
운행 차종 H5
차량기지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운전지령소 삿포로 종합지령소 }}}}}}}}}}}}
{{{#008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동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900><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연계 노선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야마가타 신칸센(신칸센 직통 특급)
아키타 신칸센(신칸센 직통 특급)
등급 도호쿠~홋카이도 <colcolor=#1f2023,#dddddd>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아오바
야마가타&아키타 츠바사 / 코마치
조에츠 토키 / 타니가와 / 아사히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운행 차종 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 신칸센 종합지령소
}}}}}}}}}}}} ||
{{{#f773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도카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77321><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도카이도 신칸센 / 츄오 신칸센공사중
연계 노선 산요 신칸센
등급 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운행 차종 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운행예정
차량기지 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 공장 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 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0072b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서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2bc><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산요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연계 노선 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등급 도카이도-산요 <colbgcolor=#ffffff,#1f2023><colcolor=#1f2023,#dddddd>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산요-큐슈 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운행 차종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 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
{{{#e50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큐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50012><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큐슈 신칸센 / 니시큐슈 신칸센
연계 노선 산요 신칸센
등급 산요-큐슈 <colcolor=#1f2023,#dddddd>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니시큐슈 카모메
운행 차종 800 / N700 / N700S
차량기지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JR 총연 / 노선 계획 / 기타 사항
<colbgcolor=Navy><colcolor=#fff> 기술개발&사업용차량 <colcolor=#000> 표준궤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닥터옐로우 - WIN350
스타21 - 300X - FASTECH 360 - E956형 - 궤간가변열차
초전도 리니어 방식 ML500 - MLU001 - MLU002 - MLX01
관련법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신칸센 철도의 열차 운행 안전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에 관한 특례법
노선 고속철도, 미니 신칸센, 신칸센철도규격신선
<colbgcolor=#fff> 기본계획 홋카이도 신칸센 - 홋카이도 남회 신칸센 - 우에츠 신칸센
오우 신칸센 - 호쿠리쿠-주쿄 신칸센 - 산인 신칸센 - 주고쿠 횡단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 시코쿠 신칸센 - 히가시큐슈 신칸센 - 큐슈 횡단 신칸센
계획 파기 나리타 신칸센 - 제2 도카이도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도카이도 물류 신칸센
구상계획 미에 신칸센
시험용 카모노미야 모델선 - 미야자키 리니어 실험선 - 야마나시 리니어 시험선
좌석 보통차, 그린샤, 그란 클래스, 식당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내수용
전체 목록 0 - 100 -200 - 300 - 400 - 500 - 700 - 800 - N700 - N700S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 L0
파일:JRC-SKS.svg 츄오 L0
도카이도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파일:JRW-SKS.svg 산요
호쿠리쿠 E2 - E7·W7
파일:JRE-SKS.svg
도호쿠 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야마가타 400 - E3 - E8
아키타 E3 - E6
조에츠 200 - E1 - E2 - E3 - E4 - E7
파일:JRH-SKS.svg 홋카이도 H5
파일:JRK-SKS.svg 큐슈 800 - N700
니시큐슈 N700S
수출용
THSR 700T
CRH CRH2
HS1 Class 395
기술개발/사업용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신칸센 모델 체인지 차량 - 슈퍼 히카리 - 닥터옐로우 - WIN350 - 스타 21 - 300X - FASTECH 360(E954형/E955형) - E956형 - 신칸센 궤간가변열차 - MLX01 리니어 모터카 }}}}}}}}}
{{{#!wiki style="margin: -10px -10px" 신칸센 E7·W7계 전동차
新幹線 E7·W7系 電車
Shinkansen E7·W7 Series
}}}
파일:E7系F19編成.jpg
외부(F19편성)
차량 정보
열차 형식 신칸센 입선용 전동차/고속철도차량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전동차
편성 12량 1편성
운행 노선 파일:JRE-SKS.svg 도호쿠 신칸센[1]
파일:JRE-SKS.svg 조에츠 신칸센
파일:JRE-SKS.svg 파일:JRW-SKS.svg 호쿠리쿠 신칸센
도입시기 2013년~
제작사 히타치 제작소
가와사키 차량
종합차량제작소[E7계]
킨키차량[W7계]
디자인 Ken Okuyama Design
소유기관 JR 동일본
JR 서일본
운영기관
차량기지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E7계][W7계]
하쿠산 종합 차량 센터[W7계]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편성 무게 540t
편성 길이 300.25m
전장 25,000㎜[7]
전폭 3,380㎜
전고 3,650㎜
궤간 1,435㎜
차체 알루미늄 합금
대차 DT211(동력차)
TR7010, TR7010A(부수차)
사용 전압 교류 25,000V 50/60Hz 가공전차선
신호 장비 DS-ATC, RS-ATC[8]
제어 방식 도시바, 미쓰비시, 히타치 VVVF-IGBT
동력 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기어비 (전동기 : 차축) 기준으로 28 : 85
= 대략 1 : 3.04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편성 출력 12,000kW
최고 속도 영업 275㎞/h(조에츠 신칸센)
260㎞/h(호쿠리쿠 신칸센)
설계 275㎞/h
기동 가속도 1.6km/h/s
전동차 비 10M 2T }}}}}}}}}
JR 동일본 공식 홍보 동영상

1. 개요2. 차량 사양3. 시운전 및 영업운전4. 기타5. 둘러보기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JR 동일본JR 서일본에서 호쿠리쿠 신칸센에 투입하기 위해 공동 개발한 신칸센 차량. JR 동일본의 차량은 E7계, JR 서일본의 차량은 W7계로 나뉘지만 소속과 도색을 제외하면 기술적으로 완전히 같은 차량이다. 호쿠리쿠 신칸센 이외에 2019년부터는 조에츠 신칸센에도 투입되고 있다.

2015년 호쿠리쿠 신칸센 카나자와 연장에 대비하기 위해 JR 동일본과 서일본 양사가 공동 개발하여 2012년 9월 계획이 공개된 풀규격 신칸센 차량이다. JR 동일본이 17편성 204량, JR 서일본이 10편성 120량을 발주하였고 2013년 10월 첫 실차 편성이 JR 동일본에 인도되었다. 이후 동계시운전을 거쳐 2014년 4월부터 매월 1편성씩 신조하여 호쿠리쿠 신칸센E2계를 완전 대체하였다. 일본 산업 디자인 진흥회의 2014년도 굿 디자인 상 을 수상했다. 그 다음해 철도의 벗 모임의 제 58회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

E7계는 호쿠리쿠 신칸센 카나자와 연장에 앞서 2014년 3월 15일의 다이어 개정에서 나가노 신칸센에 투입되어 도쿄-나가노 간 '아사마'로 영업 운전을 개시했다. 도호쿠 신칸센 E5·H5계처럼 그린샤 윗 등급의 그란 클라스가 있다.

2014년 2월 7일, 보도 관계자를 대상으로 한 시승회가 개최되었다.

차량 제작 비용은 1편성(12량)당 32억 8000만엔 (328억원) [9]

2. 차량 사양

전체적인 사양은 나가노 신칸센에 투입되던 신칸센 E2계 전동차와 기술 개발 차량이었던 FASTECH 360[10]을 베이스로 하여 기어비 조정 및 브레이크 성능을 향상, S-TIMS시스템의 개선 등 자잘한 변화를 주었으며, 12량 1편성으로 운행한다. 그랑 클라스가 편성된 12번 객차는 풀 액티브 서스펜션이 적용되어 있다.

신칸센 E2계 전동차를 베이스로 개발되었으며, 호쿠리쿠 신칸센의 30퍼밀 구배 구간에서도 무리없이 다닐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호쿠리쿠 신칸센과 조에츠 신칸센 모두 연 적설량이 10미터에 육박하는, 그야말로 홋카이도보다 더한 폭설지대에서 운영하므로 전두부에 소규모 제설 장비가 설치되어있다. 호쿠리쿠 신칸센은 조에츠 신칸센 구간의 제한속도가 275km/h, 타카사키 이후 구간의 제한 속도가 260km/h로 E5/E6계처럼 고속으로 주행하는 구간이 없기 때문에, 남는 전력을 이용할 수 있어 전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차량의 디자인은 피닌파리나 출신으로 신칸센 E6계 전동차를 디자인한 오쿠야마 키요유키가 맡았다. 500계를 연상시키는 날렵한 디자인으로 많은 호평을 받고 있다. 그린샤 객차는 도쿄 방면에 1개, 일반실 및 그란 클래스 객차는 객차 양쪽 끝에 출입문이 달려있다. 화장실은 E5계와 같이 2량 1개소의 비율로 설치되어 있다. 7·11 호차에는 휠체어 대응 설비 및 다기능 화장실을, 7 호차에는 이외에 다목적실이 설치되어 있다. JR 동일본의 신칸센 차량으로서는 처음으로 전체 LED화가 이루어졌으며, 일반석을 포함한 전 좌석에 콘센트가 설치되어 있다. E7계의 차임은 조에츠 신칸센과 동일하다. W7계의 차임은 개통 초기에는 도카이도·산요 신칸센큐슈 신칸센을 운행하는 JR 서일본의 신칸센 차량과 같은 차임(좋은 날 여행, 서쪽으로)을 사용하였으나, 현재는 선더버드와 동일한 호쿠리쿠 로망을 사용하고 있다.

차체는 알루미늄 합금의 더블 스킨 구조를 채용하고 있으며, 선두차의 노즈길이는 E2계와 같은 9.1 m이다. 차체 폭은 틸팅기능의 미탑재로 인해 3,380mm가 되었으며, E5·H5계에 비해 30 mm 넓어졌다. 차체 단면적은 E2 계 11 m²보다 약간 작은 10.9 m²이다. 열차의 아래쪽 부분은 연속적인 커버로 덮여 있으나, 대차 부분은 완전히 덮여있지 않고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외관 디자인은 고속 주행을 위한 조형과 일본의 전통적인 색채 주행하는 연선의 풍경을 융합시켜 속도감과 용맹을 표현했다. 선두형상은 환경과 성능을 고려한 공기 역학적 디자인으로 조형되었다. 도장은 차체 상부 색깔이 파란색, 차체 색상이 아이보리 화이트, 차체 중앙의 띠 색깔이 구리색 및 파란색이다. 선두 차량이되는 1·12 호차의 양측면에는 "빛나는 미래를 향해 돌진하는 이미지"를 콘셉트으로 한 심볼 마크가 그려져 있다.

그란 클라스는 E5·H5계와 같이 1+2배열이며, 시트피치도 1,300mm로 같다. 시트의 모든 조작은 전동식으로 되어 있으며, 식사용 테이블은 E5·H5계의 그란 클라스의 그것과는 다른 디자인을 하고 있다. 카타나를 모티브로 디자인한 것이라고 하며, 마치 칼집에서 칼을 뽑듯이 테이블을 뽑아 꺼낸 후 펼치는데, 집어넣을 때는 각도를 잘 맞춰 밀어넣지 않으면 잘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호불호가 갈린다.

그린샤는 2열+2열로 시트피치는 1,160mm이다. 그랑 클래스와 마찬가지로 리클라이닝 및 다리 받침대까지 시트의 모든 조작이 전동식이다. 일반실은 다른 신칸센처럼 5열 배치로, 시트피치도 E5·H5계와 같은 1,040mm이다. 그러면서도 수송 인원은 934명으로, 전체 20량 1편성 객차만 18량의 KTX-1의 935명에 비해서 한 명 적은 수준. 12량에다가 신칸센 특유의 넉넉한 시트피치를 확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엄청난 수송력을 보여준다. 역시 일반실 2+3열 좌석의 위엄.

풀 규격 신칸센 차량이 다 그렇지만, 3열 시트의 중간에 앉으면 좌우 양쪽 승객 사이에 끼어 가는 느낌이 들어 언뜻 불편해 보이지만, 실제로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신칸센 차량의 3열 중간 시트는 다른 시트보다 더 넓게 설계되어 있다. 어느 정도냐면 산요/큐슈 신칸센N700계 8량편성 일반석(지정석)의 2+2열 시트와 같은 폭이다. KTX-1의 그 비좁고 불편한 좌석과 같이 생각하면 곤란하다. 물론 E4계의 3+3열 자유석이라면 이야기가 조금 달라진다

본래 이 차량은 다른 노선에 비해 저속 운행함에 따라 풍절음이 적어 팬터그래프 차음판이 부착되지 않았으나 최근 차량개조를 통해 F13 편성에 차음판을 장착하였다. 2017년 9월부터 시작된 조에츠 신칸센 증속시험에 맞춰 개조되었으며 최고속도인 275km/h로의 증속을 목적으로 각 역사에 소음 측정기를 설치해 비교하는 등 다양한 시험을 진행한 후 2023년 3월 18일부로 조에츠 신칸센의 영업최고속도가 275km/h로 증속되면서 개조한 값을 톡톡히 치를 수 있게 되었다.

이 차량은 동일한 디자인의 차량을 두 회사가 운행을 하기에 언뜻 외관을 보면 구별하기가 힘드나, 동일본과 서일본의 차량을 구별하는 방법은 측면에 써져있는 JR로고의 색[11]과 차내 멜로디를 통해 알 수 있다. 멜로디의 경우 서일본 차량은 호쿠리쿠 로망[12], 동일본은 E4계와 동일한 기본차임을 사용한다.

2019년부터 조에츠 신칸센에 운용되는 열차 중 일부 편성에 분홍색 줄이 추가로 도색되어 있었으며 전용 로고가 따로 부착되어 있었다. 일본 현지에서는 이를 토키(따오기)색이라 부르기도 한다. 2021년에 모두 원래 도색으로 돌아왔다.

3. 시운전 및 영업운전

E7계는 F1편성이 도호쿠 신칸센 센다이~키타카미간 시운전 실시 후 2013년 12월 14일 새벽부터 15일까지 호쿠리쿠 신칸센 으로 회송되었고, F2 편성도 2014년 1월 9일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에, 11일에는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에 회송되어 15 일부터 시운전이 시작되어 호쿠리쿠 신칸센에서 설해에 대응하기 위한 동절기 시험 운행을 하였다. 또한 조에츠 신칸센에서의 시운전도 같은 해 4월 15/16일에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에 회송 된 F5 편성이 실시한 것을 시작으로 다른 편성도 니가타까지 시운전을 실시했다.

2014년 3월부터 나가노 신칸센 아사마에 선행투입되어 1일 7왕복 운행하였다.

한편 W7계는 2014년 4월 30일 하쿠산 종합차량기지 내에서 주행시험을 실시하였으며, 8월 1일부터 열차 주행 시험을 시작하였다. 8월 5일에는 조에츠묘코~카나자와~하쿠산 종합차량기지 사이에서 시운전을 실시하였으며, 8월 7일에는 나가노까지 시운전 구간을 연장했다.

2015년 3월 14일 시각표 개정과 호쿠리쿠 신칸센카나자와 연장 개업에 따라 전 편성이 영업운전에 투입되었다. 운행체계는 속달타입의 카가야키(도쿄~카나자와) 10왕복, 이보다 하위등급인 하쿠타카(도쿄/나가노~카나자와) 15왕복, 아사마(도쿄~나가노) 11왕복, 그리고 단거리 셔틀용인 츠루기(카나자와~도야마) 18왕복 등으로 되어 있다.

2016년부터 부정기적으로 센다이 ~ 카나자와 직통 구간을 운전하고 있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 조에츠 신칸센에 순차적으로 투입되며, 신칸센 E4계 전동차를 대체하며 차후 E2계, E3계도 대체하며 2022년까지 전 열차를 E7계로 통일한다.

2017년 9월부터 조에츠 신칸센에서 오미야 ~ 니가타 간 275Km/h로의 증속시험을 진행하고 있다. F13 편성에 차음판 개조를 진행하였으며 증속에 따른 안정성 시험 및 소음 측정등을 진행하고 있다. 조에츠 신칸센에서 첫 속도향상 시험, 내년에 새로운 차량

2019년 3월 16일 다이어 개정으로 조에츠 신칸센에 공식적으로 투입되었다.

2023년 봄 중에 증속에 따른 소음대책 공사 완료로 다이아 개정을 통해 조에츠 신칸센에서 오미야 ~ 니가타 간 최고속도를 기존 240㎞/h에서 275㎞/h로 증속하기로 발표하였다. 이로인해 E7계의 설계속도인 275Km/h의 최고속도로 운행을 시작할 예정이며 소요시간을 최대 7분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

2023년 3월 18일 다이아 개정으로 조에츠 신칸센 오미야 ~ 니가타 구간의 최고속도가 기존 240㎞/h에서 275㎞/h로 증속되면서 소요 시간이 최대 7분 정도 단축되었다. 또한, 조에츠 신칸센에서의 운행 차량이 E7계로 통일되었다.

4. 기타

  • 2019년 10월 11~12일 사이 일본을 강타한 태풍 하기비스로 인해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에서 주박하고 있던 10편성 120량[13]이 침수되었다. 침수된 높이를 생각하면 폐차를 피할 수 없을 것이다.(기사 링크, 트위터) 설상가상 10편성 모두 침수상태가 심각해 수리해도 다시 고장날 확률이 높다고 하며, 전부 폐기할 경우 3000억원 이상 손해를 본다.[14] 결국은 120량 전량 폐차하기로 결정되었다. 폐차가 확정된 탓에 이런 짤방이 돌고 있다. 결국 JR 동일본은 2022년까지 다시 신조한다고 하고, 그 동안의 차량 부족 현상은 2020년까지 퇴역 예정이였던 E2계E4계를 더 굴리는 것으로 때웠다.[15] 침수차들의 폐차가 계속 진행 중인 가운데, 선두차 1량이 일부가 절단된 채로 보관되어 있는 모습이 포착되었다.# 아직 해당 차량의 구체적인 활용 방안은 발표되지 않았다.
  • JR 서일본 소속 동차 중 유일하게 명칭에 알파벳 "W"가 붙는 차량이다. 다른 알파벳 접두어가 붙는 차호는 JR 도카이와 공동 운용하는 N700계 계통이 있다. 다만 N700은 차번에는 N이 붙지 않는다.
  • 신칸센 최초의 자동운전 시험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5. 둘러보기

파일:ken okuyama.png
{{{#!wiki style="margin: 0 -10px -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속열차
JR E3 (도색) JR E6
JR W7&E7 JR E8
🚈 전철&일반 열차
JR E001
JR E235 JR E353
JR E261 Tobu 500
Tokyo Metro 16000 Osaka Metro 400
MTA M9
전철/일반 열차로 되어있는 문단의 이모지는 🚅가 아닌 🚈로 표기, 인테리어 디자인은 틀에서 제외
}}}}}}}}} ||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 151계 전동차 킨테츠 10100계 전동차 키하 81계 동차 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킨테츠 20100계 전동차 오다큐 3100형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 키하 8000계 동차 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583계 전동차 EF66형 전기기관차 세이부 5000계 전동차 - 14계 객차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83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 - 한큐 6300계 전동차 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킨테츠 12400계 전동차 킨테츠 30000계 전동차 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오다큐 7000형 전동차 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 14계 객차 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 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 키하 83·84형 동차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오다큐 10000형 전동차 킨테츠 21000계 전동차 651계 전동차 도부 100계 전동차 오다큐 20000형 전동차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787계 전동차 -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883계 전동차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신칸센 500계 전동차 285계 전동차 E26계 객차 885계 전동차 E257계 전동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킨테츠 21020계 전동차 5100형 전동차 M250계 전동차 오다큐 50000형 전동차 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오다큐 60000형 전동차 E259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 신칸센 E5계 전동차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 킨테츠 50000계 전동차 신칸센 E7·W7계 전동차 한신 5700계 전동차 BEC819계 전동차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5계 객차 오다큐 70000형 전동차 세이부 001계 전동차 킨테츠 80000계 전동차 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HC 85계 동차 도부 N100계 전동차 - - -
}}}}}}}}} ||

6. 관련 문서



[1] 도쿄~오미야 구간[E7계] [W7계] [E7계] [W7계] [W7계] [7] 선두차는 26,000㎜[8] DS-ATC 작동 불능시 사용하는 대용폐색시스템이다. 이 경우 속도가 110km/h로 제한된다.[9] 원래 이금액이 정상적인 원화 가격이지만 환율변동에 따라서 가격은 다르다[10] E954계, 형제기로 FASTECH360Z인 E955계도 존재[11] 동일본은 녹색, 서일본은 파란색을 띄고 있다.[12] 극초기에는 산요 신칸센과 동일한 いい日旅立ち를 사용하였다.[13] E7계 1, 2, 7, 8, 10, 14, 16, 18편성, W7계 2, 7편성[14] 하부기기도 문제이지만 신칸센을 비롯한 최근의 알루미늄 철도차량은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중공 압출형재를 사용한 더블스킨 구조인데, 골판지 상자처럼 되어있는 차체 구조의 특성상 골조 안까지 침수되기 때문에 차체 자체를 폐기해야 한다.[15] 현재 E4계는 2021년 10월 1일을 마지막으로 완전히 퇴역하였고, E2계는 2023년 3월 18일을 마지막으로 조에츠에서의 정식 운행을 종료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