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문명|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문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 ]]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게임 관련 정보 ] {{{#!wiki style="margin:0 0 -25px; padding-bottom:10px" | <colbgcolor=#000><colcolor=#fff>관련 정보 | 문명 · 지도 · 유닛(영웅 · 연대기) · 동물 및 자원 · 건물 · 기술 · 도전 과제 · 방어 유형 | |||||
시리즈 목록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킹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정복자| 정복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포가튼| 포가튼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아프리카 왕국| 아프리카 ]]왕국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라자의 부흥| 라자의 ]]부흥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s-5| 마지막 ]]칸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2| 서쪽의 ]]군주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3| 군주들의 ]]여명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4| 인도 ]]왕조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로마의 귀환| 로마의 ]]귀환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6| 마운틴 ]]로열스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7| 승자와 ]]패자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8| 연대기: 그리스 전쟁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 결정판/확장팩#s-9| 삼국지 ]] |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0em; min-height:2em" {{{#!folding [ 캠페인 목록 ] | {{{#!wiki style="margin:-15px -10px" | 결정판 이전 캠페인 공략 목록 | 에이지 오브 킹 · 정복자 · 포가튼 · 아프리카 왕국 · 라자의 부흥 | }}} | |||
결정판 캠페인 공략 개괄 | |||||||
아프리카 | |||||||
아메리카 | |||||||
아시아 | |||||||
유럽 | |||||||
서유럽 | |||||||
동유럽 | |||||||
남아시아 | |||||||
코카서스 | |||||||
역사적인 전투 | |||||||
승자와 패자 | |||||||
로마의 귀환 | |||||||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 |||||||
그리스 전쟁 | |||||||
중국 |
- [ 문명 목록 ]
- ||
1. 개요
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의 문명인 위(조위)에 대하여 서술한 문서.2. 배경 이야기
비록 위의 공식적인 초대 황제는 아니었지만, 군벌 조조는 위를 창업한 군주로 널리 인정됩니다. 그는 서기 184년에 벌어진 황건적의 난에서 이름을 날렸고, 서기 190년에 유비, 원소, 손견과 같은 인물들과 함께 동탁에 맞서 싸웠습니다. 동탁 사후 조조는 자신의 흉악한 야망을 옛 동맹들에게 명백히 드러내기 시작했습니다. 조조는 도겸이 자신의 아버지의 죽음에 연루되어 있다는 추정을 구실로 서주를 맹렬히 공격했습니다. 그의 원정으로 인해 수만 명의 백성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또한 서기 196년에 조조는 꼭두각시 황제를 자신의 손아귀에 쥐고 스스로 한의 승상에 올라 사실상 한 황실의 주인이 되었습니다.조조는 여러 다른 군벌들을 정복한 후, 예전의 동맹이었던 원소가 있는 북쪽을 향해 영토를 확장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황하 근처에서 벌어진 관도 대전에서 원소를 패퇴시켰습니다. 원소는 패배한 이후, 아들들 사이에 내분이 일어나 조조의 위협에 대항하여 함께 싸울 수 없었습니다. 조조는 그로부터 약 7년 후에 원씨 집안이 북쪽에 갖고 있던 영토를 모두 손에 넣어 중국 북부를 통일했습니다. 북벌을 통해 조조는 강력한 기병대를 얻게 되었습니다. 그의 가장 유명한 부대는 바로 그가 애지중지하던 호기병으로, 자신의 경호를 담당했던 중기병 부대입니다. 또한 북쪽의 부족들을 정벌하는 것을 통해 그가 정복한 지역의 군대들, 예를 들어 서기 207년에 백랑산 전투에서 이긴 후 선비족의 습격 기병을 그의 군대에 편입시켰습니다.[1]
서기 208년에 조조는 불어난 군세를 이끌고 남쪽으로 진군하여 적벽에서 유비와 손권과 격돌(적벽대전)했지만, 미약한 수군과 진중에 도는 전염병으로 인해 패배했습니다. 그는 장강 남쪽에 단 한 뼘의 영토도 얻지 못했지만, 서기 216년, 헌제에 의해 위왕에 봉해졌습니다.
조조는 그의 군사적 재능으로 유명하지만, 시조에도 일가견이 있었으며 서기 210년 당시 업에 동작대를 지은 것으로도 유명합니다. 이곳은 시를 낭독하는 장소이자 조조의 업적을 칭송하는 공간으로 쓰였습니다. 그의 아들과 그 후계자들은 조조의 뛰어난 시적 재능을 계승했습니다.
서기 220년에 조조가 죽자 그의 후계자인 조비가 위왕이 되었고, 헌제는 황위를 그에게 '양도'하여 위 제국이 공식적으로 탄생했습니다. 조비는 서기 226년에 사망하기 전까지 단 6년 동안 제위했으며, 그의 사후 아들인 조예가 황위에 올라 서기 239년까지 위를 다스렸습니다. 그 후계자는 입양된 아들인 조방이었으나, 그의 나이는 7세에 불과했기 때문에 조상과 사마의, 두 섭정의 보좌를 받게 됩니다. 사마의는 조씨 가문을 위해 오랫동안 일해왔기 때문에 병사들과 군부의 인망이 두터웠습니다. 하지만, 서기 249년에 그는 조방을 사로잡고 조상을 살해합니다. 이 사건으로 인해 위 황실은 사실상 끝나게 됩니다. 서기 266년까지 사마의와 그의 후계자들의 꼭두각시였던 황제들이 있었지만, 사마의의 손자인 사마염이 위의 마지막 황제인 조환을 폐위시켰습니다. 그리고 사마염은 진 제국을 수립하였고, 이는 서기 420년에 완전히 멸망합니다.
3. 문명 특성
문명 스타일 | 기병 문명 |
문명 특성 | 제분소, 제재목 캠프, 채광 캠프 기술 연구 시 무료로 주민 1 획득 |
성주/왕정 시대에 흑광 기병 및 선비족 습격 기병 체력 +15/+30% | |
인력식 투석기와 누선 생산 비용 -25% | |
팀 보너스 | 공성 무기에 대한 기병 공격력 +2 |
불가사의 | 숭악사 탑 |
인게임 언어 | 표준 중국어 |
4. 설명
width=100]]| 문양 |
결정판 위 테마 |
삼국지 DLC로 추가된 5개의 문명 중 하나로 조조의 위나라를 다룬 문명이다.
위의 경제 보너스는 경제 업그레이드시 주민 받는 것으로 버마와 유사하게 주민 보충 받는 계열이다. 경제 업을 더 높은 우선 순위에 놓게 하며, 주민 받는 타이밍이 조금 느리고 최적화가 어렵지만 초중반까지 더 많은 주민일 받을 수 있다. 후반에는 고유기술 둔전으로 군사 유닛 20 당 농장 1개 정도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어서 경제적 이점을 갖는다.
궁사 테크는 기마 궁사는 그나마 선비족으로 대체되고 삼국시대 국가라 총통병이 없는 것은 둘째치고, 아바레스트도 없어서 기술은 모두 지원되도 궁병 계열은 주력으로 쓰기 힘들다. 그래도 척후병이 든든하고 선비족 습격 기병이 대창병 기병 역할을 맡아서 기병 위주의 위나라의 약점을 보완해준다.
기병 테크는 위의 핵심이다. 범용적인 기사가 없는 대신 궁병 특화 호기병, 근접 특화 흑광 기병, 궁사 테크에서 창병 특화 선비족 습격 기병으로 특화된 기병들을 적절하게 활용해서 싸워야된다. 그나마 성주시대에는 호기병과 흑광기병이 범용적이다.
보병 테크는 빈 기술이 많아서 아쉽지만 더 강한 기병을 상대할 방법이 없는 만큼 쓰는 경우가 나온다.
공성 테크는 공성기술자가 없고 아나저나 사석포도 없어서 약하지만 인력식 투석기가 저렴해서 쉽게 모인다.
해군은 적벽대전 고증대로 유닛은 중형 파괴선 빼고 다 있고 누선도 있으며 할인받지만 건선거와 선박비용 할인이 없어서 평범하다.
수비력은 업그레이드가 많아서 좋은 편이다.
위는 특화된 기병으로 모든걸 해결해야되는 문명이다. 성주시대에는 주력 기병들이 범용적이고 석궁병도 쓸만해서 평범하게 쓸 수 있다. 하지만 왕정시대에는 창병을 선비족으로 잡고 그 틈을 다른 기병들이 파고든다. 하지만 정작 대기병 기병이 없어서 튜턴, 리투아니아 팔라딘[2], 혹은 그 급 유닛이나 낙타를 효과적으로 상대할 방법이 없다. 결국 궁병 문명 상대로 특출나게 강하고 다른 기병 문명 상대로 약한 기병 문명이다.
5. 테크트리
5.1. 유닛
보병 양성소 | 궁사 양성소 | 기병 양성소 | ||||||||||||
암흑 시대 | | |||||||||||||
↓ | ||||||||||||||
봉건 시대 | | | | | | |||||||||
↓ | ↓ | ↓ | ↓ | ↓ | ||||||||||
성주 시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왕정 시대 | | | | | | | | | | | | |||
↓ | ||||||||||||||
| | |||||||||||||
|
성 | 수도원 | 공성 무기 제조소 | 항구 | ||||||||
봉건 시대 | | | | ||||||||
↓ | ↓ | ↓ | |||||||||
성주 시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왕정 시대 | | | | | | | | | | | |
↓ | ↓ | ||||||||||
| | | | ||||||||
|
5.1.1. 궁사 양성소
- 궁사 - 석궁병: 아바레스트병 빼고 풀업이다. 성주까지 쓰면서 선비족 습격대 준비하기 좋다.
- 척후병 - 정예 척후병: 풀업이라 무난하게 쓰기 좋다.
5.1.2. 보병 양성소
- 시민군 - 무장 병사 - 장검병 - 양손 검병: 막방업, 갬버슨, 그리고 챔피언이 없어서 하위권이다. 독수리 전사나 화창병 상대로만 뽑는다.
- 창병 - 장창병 - 미늘창병: 막방업이 없지만 위나라가 더 강한 기병을 상대할 유일한 유닛이라 어거지로 쓰게 된다.
5.1.3. 기병 양성소
- 정찰 기병 - 경기병 - 후사르: 막 방업이 없는 대신 고유 기술로 방어력이 높아지고 팀보너스로 공성에게 추가 피해를 준다. 원거리 방어가 낮아서 원거리 탱킹이 부실해서 궁병 잡는데 호기병 쓰는게 더 좋다. 하지만 근접 방어가 상당히 높아서 다른 경기병 막기 좋다.
- 흑광 기병 - 중형 흑광 기병: 위의 흑광기병은 추가 체력을 특성으로 받고 고유 기술로 이미 높은 근접 방어가 더 높아진다. 성주 시대에는 추가 체력과 방어력 덕분에 대부분 적 상대로 버티는 공격의 양이 같거나 더 적고, 한 대 더 빨리 죽는 창병과 낙타 상대로는 더 높은 공격으로 역시 더 빨리 잡아서 상성이 크게 바뀌지는 않는다. 왕정시대에는 특성이 강화되며 정예업을 받고 막방업이 없고 고유 기술이 있어서 원거리 방어는 불안하지만 근접 방어는 보야르급이 된다. 후사르 상대로 1 피해 만 받고 프랑크 팔라딘도 맞싸움 되는 근접 전문가지만 아바레스트 상대로 기사만도 못하는 근접 전문이 된다.
5.1.4. 공성 무기 제조소
- 공성추 - 보강된 공성추 - 특급 공성추: 공성기술자가 없어서
- 망고넬 투석기 - 아너저 투석기: 공성기술자가 없어서 평범한 아나저
- 스콜피온 - 중형 스콜피온 투석기:
- 공성탑:
- 인력식 투석기: 위나라는 할인을 받아서 아나저급 가격으로 생산이 되지만 고유 기술이나 공성기술자도 없어서 최약이다.
5.1.5. 부두
- 화공 갤리선 - 화공선 - 고속 화공선: 누선이 있는 만큼 고속화공선으로 보조해서 싸우기 좋다.
- 철거 뗏목 - 파괴선:
- 갤리선 - 전투 갤리선 - 갤리온선: 갤리온과 손목보호대까지 있어서 나쁘지 않다.
- 누선: 선박 건조비 절감이 없지만 특성으로 할인이 있어서 제일 저렴하다.
5.1.6. 수도원
- 수도사:
5.2. 특수 유닛
5.2.1. 호기병
| |
|
호기병 Tiger Cavalry | 정예 호기병 Tiger Cavalry |
- [ 적용되는 업그레이드 목록 ]
성에서 양성되는 위의 특수 유닛으로, 적 처치 시 공격력과 체력이 최대 +4/40까지 오르는 기병 유닛이다.
본래 명칭은 호표기로 영문 표기인 'Tiger Cavalry'를 번역 과정에서 수정하지 않고 오역했다.[3] 또한 코에이 삼국지 시리즈에서도 안하는 호랑이 가죽을 쓴 이민족 같이 나오는데, 호표기 대부분의 출신이 중원 지역이라는 것 감안하면 상당한 고증오류이다.[4] 관련 인물로 조휴, 조진, 조순, 조인, 조홍이 있다.
기본 성능은 원거리 방어에 치중된 강화 기사로, 높은 원거리 방어와 궁사 추가 피해, 빠른 이동속도 덕에 허스칼 이상으로 궁병을 잘 잡는다. 게다가 기본적으로 기사 체급이라 다른 근접 유닛도 충분히 상대한다. 적을 죽일수록 강해지기에 궁병을 사냥하면서 성장하는게 최고지만 대등한 난전 중에도 갑자기 회복하는 셈이라 생각보다 강하다.
왕정시대에는 무난한 정예업을 가지지만 추가로 고유 기술이 있고 막방업이 없는데, 약점인 근접 방어가 보완되지만 원가리 방어는 평범해져서 최종적으로 팔라딘보다 체력은 30 낮고 공격력은 1 낮으며 근접 방어력은 1 높은 유닛이 된다. 무난한 중기병으로 쓰기에는 성능이 떨어지는 만큼 막방업 없는 후사르를 대신해서 궁병 사냥꾼으로 쓰인다.
5.2.2. 선비족 습격 기병
|
|
선비족 습격 기병 Xianbei Raider |
- [ 적용되는 업그레이드 목록 ]
성주 시대부터 궁사 양성소에서 양성 가능한 위의 특수 유닛으로, 유닛[5]에게 추가 화살을 발사하는 기마 궁사 유닛이다.[6]
기본 피해가 4로 궁사 수준이라 일반 사격은 원거리 방어가 조금이라도 있으면 간지럽고 충전 공격 해야 겨우 기마 궁사보다 조금 좋아진다. 하지만 창병에게는 봐줄만한 피해를 가지며, 충전 공격은 한 방에 걸레로 만들 정도로 강력하다. 덤으로 팀 보너스로 공성무기 추가 피해가 있어서 아나저를 컨트롤로 잡을 수 있다. 금 값이 기마 궁사보다 40이나 저렴해서 부담없이 창병이나 주민 사냥 등에 투자할 수 있는 것도 장점.
정예업이 따로 없지만 특성으로 체력이 조금 증가하고 고유 기술로 근접 방어가 올라가며, 궁기병이라 대장간업 말고도 파르티안 병법도 찍을 수 있다. 고유 기술로 오르는 근접방어가 상당해서 풀업 후사르에게는 3피해, 용광로가 없다면 피해를 1만 받아서 무시할 수 있다.
5.2.3. 조조(영웅)
- HP: 475
- 공격력: 14(궁병+3)
- 공격 속도: 2.0
- 근접 방어: 3
- 원거리 방어: 3
- 방어 유형: 기병, 영웅
- 이동 속도: 1.3
- 시야: 5
- 생산 비용:
500
500
- 생산 시간: 60초
왕정 시대에 성에서 생산, 1명만 보유 가능, 특수능력은 모든 영웅 공통인 자동 HP회복과 전향 면역 및 범위 10 내의 아군 군사 유닛의 공격 속도를 8.75% 증가시키는 오라.
5.3. 기술
경제 | 생산 건물 | |||||||||||||||
마을 회관 | 제분소 | 제재목 캠프 | 채광 캠프 | 시장 | 보병 양성소 | 궁사 양성소 | 기병 양성소 | 항구 | ||||||||
암흑 시대 | | |||||||||||||||
| ||||||||||||||||
봉건 시대 | | | | | | | | | ||||||||
↓ | ↓ | ↓ | ↓ | ↓ | ↓ | |||||||||||
성주 시대 | | | 파일:aoe2_heavyplow.png | | | | | | | | | | | | ||
↓ | ↓ | ↓ | ↓ | |||||||||||||
왕정 시대 | | | | | | | | |||||||||
|
대장간 | 대학 | |||||||||||
봉건 시대 | | | | | | |||||||
↓ | ↓ | ↓ | ↓ | ↓ | ||||||||
성주 시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왕정 시대 | | | | | | | | | | | ||
↓ | ||||||||||||
| ||||||||||||
|
수도원 | 성 | |||||||||||
성주 시대 | | | | | | | | | ||||
↓ | ||||||||||||
왕정 시대 | | | | | | | | | | |||
|
5.4. 특수 기술
기술 이름 | 내용 | 연구 비용 |
둔전 (Tuntian) | 군사 유닛이 자동으로 식량을 생산 | |
명광개 (Ming Guang Armor) | 기병 유닛의 근접 방어력 +4 | |
6. 조합
7. 여담
[1] 명백한 고증오류로, 선비족은 조씨 일족이 조위를 세우고 멸망할 때까지 저항했다. 조조의 군대에 편입된 이민족은 오환족이다.[2] 일반적인 풀업 팔라딘의 경우 역으로 위의 흑광 기병이 승리하고, 프랑크 팔라딘의 경우엔 먼저 때리는 쪽이 이긴다.[3] 정식 영문 표기는 'Tiger and Leopard Cavalry'지만 Tiger Cavalry도 틀린 표현은 아니다. 실제로 중국 온라인 게임명인 'Tiger Knight'도 호표기를 의미한다.[4] 같은 제작사인 에이지 오브 미쏠로지 리톨드의 호랑이 기병은 복식이 송나라인 것 빼면 중국인 스러운 모습을 유지한 것하고 대조된다.[5] 공성무기 제외.[6] 충전시간 30초. 추가 화살은 관통 데미지 +1이며 창병 +4, 보병 +1의 피해를 입힌다.[7] 물론 조위도 선비족를 다룬 적이 있지만 오히려 오환족을 더 기용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