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12 11:32:11

안드레이 즈다노프

즈다노프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옛 이름이 즈다노프였던 도시에 대한 내용은 마리우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d0000, #d40000 20%, #d40000 80%, #cd0000); color: #ffd700; min-height: 31px"
{{{#!folding[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d700> 국가원수
<rowcolor=#ffd700> 전러시아 중앙집행위원회 주석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레프 카메네프 야코프 스베르들로프 미하일 블라디미르스키 미하일 칼리닌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주석 러시아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안드레이 즈다노프 알렉세이 바다예프 이반 블라소프 니콜라이 슈베르니크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7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이반 블라소프 미하일 타라소프 니콜라이 이그나토프 니콜라이 오르가노프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상무회 주석
(제10대) 제12대 제13대 제14대
니콜라이 이그나토프 미하일 야스노프 블라디미르 오를로프 비탈리 보로트니코프
<rowcolor=#ffd700> 러시아 최고회의 주석 러시아 공화국 대통령
제15대 초대
보리스 옐친 보리스 옐친
<rowcolor=#ffd700> 정부수반
<rowcolor=#ffd700> 러시아 인민위원장
<rowcolor=#ffd7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블라디미르 레닌 알렉세이 리코프 세르게이 시르초프 다닐 술리모프
<rowcolor=#ffd700> 러시아 인민위원장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니콜라이 불가닌 바실리 바흐루셰프 이반 호흘로프 알렉세이 코시긴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미하일 로디오노프 보리스 체르누소프 알렉산드르 푸자노프 미하일 야스노프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프롤 코즐로프 드미트리 폴랸스키 겐나디 보로노프 미하일 솔로멘체프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보로트니코프 알렉산드르 블라소프 이반 실라예프 올레그 로보프
<rowcolor=#ffd700> 러시아 장관회의 주석
제21대
보리스 옐친
<rowcolor=#ffd700> 서기장
<rowcolor=#ffd700> 러시아 공산당 중앙위원회 제1서기
초대 제2대
이반 폴로즈코프 발렌틴 쿠프초프 }}}
}}}}}}
안드레이 즈다노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소련 국방부 휘장.svg 제2차 세계 대전 소련군 장성급 장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수
Маршал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 / Адмирал флота
육군
원수
클리멘트 보로실로프P | 세묜 부됸니 | 세묜 티모셴코 | 보리스 샤포시니코프 | 게오르기 주코프 | 알렉산드르 바실렙스키 | 이오시프 스탈린P | 이반 코네프 | 레오니트 고보로프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 로디온 말리놉스키 | 표도르 톨부힌 | 키릴 메레츠코프
NKVD
원수
라브렌티 베리야
해군
원수
니콜라이 쿠즈네초프 | 이반 이사코프
병과상원수
Главный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상원수
포병상원수
니콜라이 보로노프
공군
항공상원수
알렉산드르 노비코프 | 알렉산드르 골로바노프
병과원수
Маршал рода войск
육군
병과원수
포병원수
니콜라이 야코블레프
기갑원수
파벨 로트미스트로프 | 세묜 보그다노프 | 파벨 리발코 | 야코프 페도렌코
통신원수
이반 페레십킨
공병원수
미하일 보로비요프
공군
항공원수
그리고리 보로제이킨 | 세르게이 후댜코프
대장
Генерал армии
육군
대장
이반 튤레네프 | 드미트리 파블로프1 | 니콜라이 바투틴 | 알렉세이 안토노프 | 안드레이 예료멘코 | 바실리 소콜롭스키 | 안드레이 흐룰료프 | 이반 바그라먄 | 이반 체르냐홉스키 | 게오르기 자하로프 | 이반 마슬렌니코프 | 막심 푸르카예프 | 이반 페트로프 | 니콜라이 불가닌P | 마트베이 자하로프
상장
Генерал-полковник / Адмирал
육군
상장
미하일 키르포노스 | 야코프 체레비첸코 | 표도르 쿠즈네초프 | 필리프 골리코프P | 막스 레이테르 | 바실리 쿠즈네초프 | 파벨 쿠로치킨 | 바실리 고르도프 | 바실리 카자코프A | 키릴 모스칼렌코 | 안드레이 그레치코 | 세르게이 바렌초프A | 바실리 추이코프 | 니칸드르 치비소프 | 미트로판 네델린A | 미하일 카투코프T | 마르키안 포포프2 | 드미트리 렐류셴코 | 세르게이 비류조프 | 안드레이 즈다노프P | 파벨 바토프 | 니콜라이 크릴로프 | 이반 페듀닌스키 | 세르게이 시테멘코 | 이반 치스차코프 |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알렉세이 프로실랴코프Sa | 안드레이 크라브첸코T | 테렌티 시티코프 | 드미트리 우스티노프 | 세묜 이바노프 | 이반 류드니코프 | 이사 플리예프 | 뱌체슬라프 츠베타예프 | 미하일 슈밀로프 | 니콜라이 나고르니A | 아파나시 벨로보로도프 | 니콜라이 푸호프
해군
상장
레프 갈레르 | 아르세니 골로프코 | 블라디미르 트리부츠 | 이반 유마셰프 | 가브릴 자시힌A | 필리프 옥탸브리스키 | 블라디미르 알라푸조프 | 고르데이 레브첸코
공군
항공상장
콘스탄틴 베르시닌 | 스테판 크라솝스키 | 세르게이 루덴코 | 블라디미르 수데츠 | 파벨 지가레프
중장
Генерал-лейтенант / Вице-адмирал
육군
중장
드미트리 랴비셰프 | 미하일 예프레모프 | 파벨 폴루보야로프T | 이반 자하르킨 | 안드레이 블라소프4 | 알렉산드르 로딤체프 | 바실리 글라주노프 | 표트르 코셰보이 | 알렉산드르 루친스키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P | 미하일 글린스키 | 안드레이 게트만T | 알렉세이 라지옙스키T | 표트르 이바슈틴 | 파벨 쿨레쇼프A | 니콜라이 비류코프 | 야쿠브 차니셰프 | 미하일 루킨
해군
중장
유리 판텔레예프 | 니콜라이 하를라모프 | 세르게이 고르시코프
공군
항공중장
예브게니 로기노프 | 예브게니 사비츠키
소장
Генерал-майор / Контр-адмирал
육군
소장
미하일 페트로프 | 파벨 바티츠키 | 표트르 라셴코 | 이반 야쿠봅스키 | 아마자습 바바자냔T | 이반 파블롭스키 | 이오시프 구사콥스키T | 그리고리 쿨리크3 | 콘스탄틴 카자코프A
해군
소장
블라디미르 카사토노프
공군
항공소장
필리프 아갈초프 | 게오르기 지민
P: 정치장교, A: 포병, T: 기갑, Si: 통신, Sa: 공병
※ 문서가 있는 인물만 종전 당시 계급으로 서술
※ 병과원수랑 병과상원수는 대장과 동급이나 의전서열상 대장과 원수 사이에 있었다
※ 포병·기갑·통신·공병·공군 장교는 상장→대장이 아닌 상장→병과원수로 진급
※ 윗 첨자 : 전사
1. 반공 및 지시불이행 혐의로 총살당했으나 전후 1957년 7월 31일 무죄로 판결나면서 복권
2. 1944년 4월 20일 대장에서 상장으로 강등, 전후 1953년 8월 3일 대장 계급 복권
3. 1942년 3월 17일 원수→소장으로 4계급 강등 및 1945년 7월 19일 중장→소장으로 강등
4. 1942년 7월 12일 독일군에게 생포당한 이후 나치 독일에 전향, 종전 후 체포되어 나치 부역 혐의로 사형됨
}}}}}}}}}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러시아 SFSR 제5대 최고회의 주석
안드레이 알렉산드로비치 즈다노프
Андр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Жданов
Andrei Alexandrovich Zhdanov
파일:Андрей_Александрович_Жданов_1.jpg
출생 1896년 2월 26일
러시아 제국 예카테리노슬라프현 마리우폴구 마리우폴
(現 러시아 도네츠크 인민공화국 마리우폴)
사망 1948년 8월 31일 (향년 52세)
소련 러시아SFSR 모스크바
묘소 크렘린 벽 묘지
학력 해당사항 없음
직업 혁명가, 정치가
종교 무종교(무신론)
정당 소련 공산당

1. 개요2. 생애3. 주요 수훈4. 즈다놉시나(즈다노프 독트린)5. 그 외

[clearfix]

1. 개요

소련의 정치인이자, 한때 스탈린의 후계자로 거론할 만큼 거물급 인사로서 유명했지만, 이른 죽음으로 권력의 승계에 실패했다.

2. 생애

당시 러시아 제국의 영토였던 우크라이나의 동부지역에 있는 마리우폴에서 태어났다. 청소년기의 행적은 알려진 것이 드문데, 아버지가 초등학교 장학사였지만 일찍 사망하는 바람에 가세가 기울어 제대로 학교 교육을 받지 못하고 이곳저곳 떠돌다가 1915년에 러시아 사회민주당의 볼셰비키 진영에 가담했던 것 정도만 간략하게 파악되고 있다. 이듬해 러시아 제국군에 징집되었으나 레닌10월 혁명을 일으키자 재빨리 가담해 선동가로서의 재능을 행동으로 증명하면서 혁명의 성공에 일조한 덕택에 본격적으로 소련 정계에 발을 들였다.

1920년대까지는 정치 일선에서 그렇게 두각을 나타내지 못했지만, 1934년에 열린 제17차 소련 공산당대회에서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위원장 겸 정치국의 후보위원으로 선출되면서 중앙당에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했고 친스탈린 급진 파벌에 속해 소련 공산당의 당조직을 개혁하는 사업을 진행하면서[1] 소비에트 연방의 문화계에 대하여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념의 주입을 주도했다. 같은 해 12월 스탈린과 어깨를 나란히 하던 최고위급 정치인이던 세르게이 키로프가 암살당하자 소련 공산당의 레닌그라드 지구당의 서기장에 임명되었고, 1938년에는 러시아 소비에트의 최고회의 주석으로 영전했다. 이 직책은 1947년까지 유지했다.

이듬해인 1939년에는 소련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선전선동부장과 정치국 위원으로 임명되어 뱌체슬라프 몰로토프, 클리멘트 보로실로프, 라자르 카가노비치를 포함한 소련 공산당의 최고위급 정치인들과 함께 스탈린의 대숙청에 적극 가담했다.[2] 대숙청 시기 동안 즈다노프가 서명한 처형 지시 문건은 176건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니콜라이 예조프의 숙청 방식은 그 역시 마음에 안 들었는지 "당원 교육으로 해결될 일을 무조건 숙청으로만 해결하려 든다." 며 비판했다고도 한다.

1940년에는 라트비아, 리투아니아와 함께 소련군이 점령한 에스토니아에 파견되어 에스토니아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의 수립과 소비에트 연방에 병합하는 작업을 지휘했다. 독소전쟁 중에는 레닌그라드 공방전 기간 동안 레닌그라드에 남아 시의 방어와 질서 유지를 맡았고, 계속전쟁에서 소련이 핀란드를 상대로 승리하고 휴전 협정을 체결한 뒤 설치된 핀란드 점령국 위원회를 1947년까지 감독했다.

종전 후에는 스탈린의 지시로 문화 부문에 강한 영향력을 행사하기 시작해 사회주의적 사실주의 노선을 대대적으로 밀어붙였는데, 이러한 문화계에 대한 숙청, 정풍(整風) 작업은 훗날 즈다놉시나(ждановщина)라는 이름으로 역사에 남았다.(아래 문단 참조) 1947년에는 코민테른을 대체하기 위한 해외(주로 동유럽) 공산당 조직들의 연락망 겸 통제 기구인 코민포름을 결성했다. 즈다노프는 코민포름 회의에서 냉전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
우리가 전쟁의 종결로부터 멀리 떨어지면 떨어질수록 전후 국제 정치에서 두 가지 기본 지향이 더욱더 분명히 두드러지는데, 이는 두 개의 기본 진영으로의 분열에 해당하는 것입니다. 제국주의 · 반민주주의 진영이 하나이고 반제국주의·민주주의 진영이 다론 하나입니다. 제국주의 진영을 이끄는 주요 세력은 미국입니다. 제국주의 진영의 근본적인 목표는 제국주의를 강화하고 새로운 제국주의 전쟁을 준비하고 사회주의와 민주주의에 맞서 싸우고 반동적·반민주주의적·친파시즘 체제와 운동을 전면적으로 지지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제국주의 진영은 모든 나라에서 반동적·반민주주의적 분자들에 의지하고, 자신의 전시 동맹국들에 반대하여 이전의 전쟁 적국들을 지지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반제국주의·반파시즘 세력은 다른진영을 구성하는데, 이 세력의 중추는 소련과 신민주주의 국가들입니다. 이 진영의 목표는새로운전쟁과제국주의 팽창의 위협에 맞서 싸우고 민주주의를 공고히 하며 파시즘 잔재를 뿌리 뽑는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거칠 것 없던 즈다노프의 권력은 1948년 6월을 기점으로 크게 꺾였다. 스탈린은 게오르기 말렌코프와 즈다노프를 루마니아부쿠레슈티에서 개최된 코민포름 국제회의에 소련 대표단으로 파견했는데, 스탈린의 의중은 종전 후 소련에 강한 반항심을 드러내고 있던 요시프 브로즈 티토유고슬라비아를 대놓고 쪽줘서 코민포름에서 제명시키는 것이었다. 물론 이 의도는 예상대로 실행되었지만, 말렌코프가 회의 석상에서 유고슬라비아와 티토를 극딜한 반면에 즈다노프는 다소 유화적인 태도로 협상할 의향을 드러냈기 때문에 스탈린의 분노를 샀다. 코민포름 국제회의가 끝나고 즈다노프와 말렌코프가 귀국하자, 스탈린은 즈다노프를 모든 공직에서 해임하고 모스크바의 어느 요양원으로 보낸 뒤 언론에는 건강상의 이유로 공직을 사임했다는 짤막한 보도만 나가게 했다. 즈다노프는 이후 두 번 다시 복직하지 못하고 몇 개월이 지난 8월에 심장마비로 사망했다.

3. 주요 수훈

4. 즈다놉시나(즈다노프 독트린)

대숙청 당시에도 즈다노프는 맹활약하였으나, 그의 악명이 본격적으로 알려지게 된 계기는 전후 본인이 전두지휘한 문화계 숙청 "즈다놉시나"(Ждановщина)이었다.[3] 스탈린은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후 서유럽과 미국을 비롯한 자유 진영과 냉전이 시작되자 체제 유지를 위해 극좌적인 스탠스를 취하게 되었고, 전쟁 중에는 승전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다소 풀어주었던 서방 연합국과의 교류를 틀어막으면서 민족주의 노선을 문인들과 예술인들에게 강요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스탈린의 의도에 맞춰 즈다노프는 서구 '제국주의' 국가들과 소련/동유럽 '민주주의' 국가들이라는 이분법을 설정하고 '건전한 사회주의 예술은 어떠한 종류의 비관주의든 반혁명주의든 모두 단호히 배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이것을 하나의 예술 이념으로 만든 것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이였다. 이 사회주의 리얼리즘은 소련 이후 형성된 거의 모든 사회주의 국가의 예술 이념으로 자리잡았다.

이러한 정치 이념에 따른 즈다노프의 첫 숙청 작업은 문예계에서 시작되었다. 즈다노프는 1946년에 소련 작가 동맹 회의 연설을 통해 시인 안나 아흐마토바와 풍자 작가 미하일 조셴코를 개인주의적·부르주아적·반정치적 문인으로 공개 비판하면서 이들을 작가 동맹에서 제명시켰다.[4] 아흐마토바와 조셴코는 모두 당시 소련의 거장 문학가로 손꼽히는 이들이었기 때문에, 이 비판과 제명은 소련 문학계에 큰 충격을 가져다 주었다. 이어 수많은 작가들이 즈다노프의 의도대로 상호 비난과 자아비판 등을 통해 창작 권리를 잃고 야인이 되어 빈곤 속에서 죽거나 절필하게 되었다. 동시에 연극계와 영화계에 대한 공격도 시작되어 세르게이 예이젠시테인과 브세볼로드 푸돕킨 등이 비슷한 방법으로 공개 비판을 받고 연극 동맹과 영화 동맹으로부터 제명되었다.

1948년에는 소련 음악계에도 대대적으로 간섭하기 시작해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아람 하차투리안, 니콜라이 먀스콥스키 등의 작곡가들을 '사회주의 리얼리즘 이념을 경시하고 서방 제국주의 국가들의 형식주의를 추종했다'고 맹비난하며 이들을 작곡가 동맹에서 제명시키고 자아비판을 강요했으며, 작품 연주도 금지시켰다. 이 음악계 숙청 작업은 공식적으로는 바노 무라델리가 1948년 2월에 발표한 오페라 '위대한 친선'에 대한 공식 비판으로 촉발되기는 했지만, 주요 대상은 그 동안 서방에도 명성을 얻고 있던 작곡가나 연주가, 성악가, 지휘자 등이었다. 즈다노프가 주도한 이 비판으로 소련 문화계 전반이 크게 경직되어 창작자의 개성과 창의력이 억눌리고 당의 노선과 체제를 찬양하는 데만 중점을 두는 함량 미달의 선전용 작품들이 난립하는 커다란 부작용을 낳았다. 특히 당시 소련에서 인기를 얻으며 급속히 확산되던 재즈 장르 또한 서구의 불순한 이념에 기반한 음악으로 보아 인정사정없이 탄압을 가했고, 이 과정에서 훗날까지도 회자되는 문제의 발언 От саксофона до ножа — один шаг!(색소폰에서 칼날 사이에는 오직 한 발짝 뿐!)이 나왔다.[5]

즈다놉시나는 실행자 즈다노프가 죽은 뒤에도 계속 후임자들에 의해 진행되었으나, 절대 권력을 휘두르던 스탈린의 죽음과 함께 무력화되기 시작했고 이후 집단 지도 체제를 거쳐 권력 투쟁 끝에 흐루쇼프가 친스탈린 파벌들을 제치고 서기장 자리에 오르면서 1958년까지 대부분의 피해자들에 대한 명예 회복이 이루어졌다. 즈다놉시나는 중국문화대혁명 등과 함께 전체주의 독재 체제에서 문화와 예술이 어떻게 자유를 유린당하고 정권에 간섭받을 수 있는 지에 대한 반면교사가 되었다.

5. 그 외

예술가들에게는 원수같은 즈다노프이지만, 스탈린 정권 말기 등용된 수슬로프, 브레즈네프처럼 즈다노프는 스탈린이 집권시킨 인물 답지 않게 스탈린의 이너서클 내에서 온건파에 속했다. 유고슬라비아와의 결렬, 동유럽에서의 전시재판 등은 전부 즈다노프의 사후 발생했으며, 애초에 유대인 의사들을 숙청한 의사들의 음모 사건조차 즈다노프의 죽음을 빌미로 일어났다. 철저한 통제와 검열을 주장하는 즈다노프였고 그걸 위해 대숙청의 기반까지 닦았지만, 정작 '정적을 무차별적으로 살해하는 행위'에서는 한 발짝 물러서 있었던 셈이다.[6]

즈다노프의 죽음에 대해서는 스탈린 집권 시기 사망한 수많은 정치인들과 마찬가지로 여러 가지 음모론이 나왔다. 흐루쇼프의 회고록에 따르면 즈다노프는 말년에 폭음을 자주 해서 숙취로 골골거리며 당무를 제대로 보지 못할 지경이었고, 역시 주당으로 유명했던[7] 스탈린조차도 이 꼴을 보다 못해 '앞으로는 주스만 마시시오!'라고 핀잔을 줄 정도였다고 한다. 대숙청 항목의 수정주의적 접근에 따르면 숙청 사유 중에도 과음이 있었다는데, 이게 사실이라면 그 숙청에 주도적으로 참가한 즈다노프 역시 과음으로 정치 경력과 인생을 모두 말아먹었다는 아이러니한 결과인 셈이다.

아무튼 스탈린은 자신의 자리를 넘본다고 생각한 많은 이들에게 했던 것처럼, 즈다노프가 사망한 직후 정치 공작질을 벌여 즈다노프 파벌을 일소했다. 언론을 통해 소련 공산당의 레닌그라드 지구당에서 반혁명 음모가 있었다고 발표하고, 수괴들로 소련 국가계획위원회 의장 니콜라이 보즈네센스키[8], 러시아 소비에트 연방 사회주의 공화국의 장관회의 주석 미하일 로디오노프, 서기국원 알렉세이 쿠즈네초프, 레닌그라드 지구당 제1서기 표트르 폽코프, 도시위원회 위원장 야콥 카푸스틴과 집행위원회 위원장 표트르 라주틴을 지목했다. 이들은 전원 체포되어 재판에서 사형을 선고받고 1950년에 총살형에 처해졌다. 6명 모두 즈다노프의 심복들이었고, 이들 외에도 즈다노프 파벌로 지목된 2000여 명의 관료들 역시 기소되어 징역을 선고받고 굴라크에 수감되거나 당적을 박탈당하고 파면되었다. 이렇게 날조된 정치 음모 사건에는 '레닌그라드 사건'이라는 이름이 붙었고, 스탈린 집권기 후반에 행해진 정치적 숙청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이 사건의 희생자들 역시 흐루쇼프에 의해 대부분 복권되었다. 이들은 스탈린이 죽인 인사들 중에서도 정말로 억울한 사례 중 하나인데, 레닌그라드 공방전 당시의 활약이 너무나 영웅적이어서 죽은 것이나 다름이 없었다. 이때 즈다노프 파벌이었지만 기적적으로 생존한 사람이 후일 소련 수상이 되는 알렉세이 코시긴이다.

즈다노프의 출생지인 마리우폴은 사망 직후인 1948년에 즈다노프로 개칭되었지만, 1989년에 원래 이름으로 환원되었다.

슬하에 아들 유리 즈다노프를 뒀는데, 유리는 스탈린의 딸이었던 스베틀라나 알릴루예바와 1949년에 결혼했지만 겨우 1년 만인 1950년에 이혼했다. 이후 화학자로 일하면서 로스토프 대학에서 화학과 교수를 역임했고, 소련 과학원의 회원으로 선출되기도 했다. 환갑도 못넘기고 죽은 아버지와 달리 소련 붕괴까지 지켜보고 80대까지 장수하다가 2006년에 사망했다.


[1] 이 개혁안에 따르면 놀랍게도 대숙청이 없었다면 최고 소비에트에 다자후보 선거가 도입될 예정이었다.[2] 그는 대숙청에 가담하면서 말하기를 당내에서 항시 중요한 것은 비판과 자아비판이며, 자유로운 비판의 분위기가 만들어질 때야말로 당내 관료조직의 일이 효율적으로 처리될 수가 있다고 주장하였다.[3] 해석하면 즈다노프(Жданов)의 범죄(щина)를 의미한다. 접미사 -щина는 특정 조건이나 대상을 총칭하는 단어를 만드는 접미사로 사용되나 특정인이나 대상의 이름 뒤에 붙어 해당 인물이 저지른 범죄를 가리키는 의미로도 사용된다. СталинщинаДедовщина 등이 그 예시.[4] 공교롭게도 셋 다 우크라이나 SSR에 고향이 있었다.[5] 여담으로 이 문장은 훗날 소련의 유명 락밴드인 마시나 브레메니의 노래 "Мой друг лучше всех играет блюз"(나의 친구는 그 누구보다도 멋지게 블루스를 연주해)에서 인용된 바 있다.[6] 따지고보면 '통제와 검열이 불가능할 때' 일어나는 것이 무차별적인 살상이고, 소련의 많은 인사들은 적백내전 때 그걸 겪었기 때문에 새삼 공산당이 아닌 다른 세력을 인정하느니 뭐니 하는 발언을 하지는 않더라도 '같은 공산당원들까지' 마구잡이로 죽여대는 학살에 찬성하는 인사는 스탈린의 핵심 동지들 중에서도 거의 없었다. 기껏해야 니콜라이 예조프 정도. 대숙청에 대한 수정주의적인 시각도 참고하면 좋다.[7] 사실 스탈린뿐만 아니라 당시 공산당 집행위원들 중 많은 이가 술꾼이었다.[8] 소련의 주요 공업지대를 독일의 침공에 맞서 우랄산맥으로 옮기는 것을 진두지휘한 전쟁영웅이나 다름없는 사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