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Creole임시적으로 만들어진 언어인 피진이 다음 세대에게로 전해지면서 모어화된 언어를 말한다.
2. 이해
예를 들어서 화성인들이 지구에 와서 한국인·독일인·튀르키예인들을 노예로 부려먹으려고 납치해 갔다고 해 보자. 이들은 오직 자기 나라의 말만 할 줄 알고 서로의 언어는 전혀 모르며, 영어 등의 여타 지구 언어도 전혀 할 줄 모른다. 결국 이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쓰는 언어는 원래 구사하던 모국어에서 유래한 표현, 자신들을 납치해 온 화성인들이 구사하는 화성어를 주워들어 배운 표현, 서로가 서로의 언어를 주워들어 배운 표현 또는 무언가의 소리를 따라 함으로써 그 대상을 가리키고자 하는 의성어 같은 것이 뒤섞여 구성된 아주 간략화된 언어인데 이것이 피진어다. 피진어는 단순한 의사소통만 가능한 수준으로, 쓰는 어휘도 극히 제한적이고 문법도 매우 간단하다.이후 한국인, 독일인, 튀르키예인 노예들이 통혼을 해서 자식을 갖는다고 해 보자. 이 경우 서로가 서로의 언어를 모르고, 통역도 불가능한 상태에서 섞여 있는 사회이기 때문에 이들의 자녀 세대는 부모들의 모국어인 한국어, 독일어, 튀르키예어를 쓰는 게 아니라 부모들이 서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쓰던 화성 피진어를 모어로 습득하게 된다. 그런데 이들이 쓰는 이 새로운 모어는 피진어와는 전혀 다른 별개의 언어가 된다. 원래 피진어는 극단적으로 간단한 형태인데 이것이 2세대의 모국어가 되면서부터는 체계적인 문법과 풍부한 어휘가 생성되며 그 결과 한국어·독일어·튀르키예어는 물론 부모 세대가 쓰던 화성 피진어와도 완전히 다른 더욱 체계적인 형태의 언어가 되는 것이다. 만약 이들이 나중에 지구로 돌아와서 한국인, 독일인, 튀르키예인을 만나게 된다고 하면 어휘나 표현에서 유사한 부분들이 어느 정도 있을지 몰라도 의사소통은 거의 안 된다고 봐야 한다.
정리하자면 크리올어는 비록 어휘의 대부분을 모태가 되는 언어들로부터 빌려 오지만 문법·음운 및 모든 것이 다른 그야말로 새로운 언어이다. 새로운 자연 언어가 탄생하는 순간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언어학적으로 무한한 탐구 대상이 된다. 이에 따라 선사 시대에는 현존하는 주요 어족들 중의 일부가 고대에 존재했던 몇몇 언어 간의 크리올어에서 기원했다는 가설도 있고[1] 이 설에 근거해서 고대 인류의 언어들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크리올어가 형성되었다는 설도 있다.
그 특성상, 언어 순수주의가 사실상 불가능하다.
3. 오용
흔히 여러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언어(프랑스어의 영향을 많이 받은 영어라든가)를 크리올어로 부르는 사람들도 있는데 엄밀히 따지면 단순히 기타 언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해서 크리올어라고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설령 어휘를 외국어에서 90% 이상 차용해 오더라도 크리올어가 아닐 수도 있다. 크리올어라고 부를 수 있는 전제는 그것이 피진어에서 파생했다는 것이다.또한 피진과 크리올어를 동일 개념으로 혼동하는 경우도 있는데 피진이 언어 체계를 갖추고 발전해야 비로소 크리올어가 되는 것이다. 상술한 화성의 예시를 보면 두 개념을 구분할 수 있다.
4. 세계의 크리올어
크리올어는 학문적으로 매우 흥미롭지만 대개 그 규모가 매우 작고 주로 도서 지방에 국한된다. 이들 사회에서는 크리올어와 그 기반이 되는 식민 언어가 둘 다 쓰이는 양층 언어 현상이 일어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때 식민 언어는 격식 언어가 되고 크리올어는 비격식 언어가 되는 경우가 많다. 대표적으로 아이티에서는 아이티 크레올어와 프랑스어가 둘 다 쓰이고 있다.4.1. 아메리카
- 기아나 크리올: 프랑스령 기아나에서 쓰는 프랑스어 기반 크리올이다.
- 루이지애나 크리올: 해시태그에 '프랑스어'와 '루이지애나 프랑스어'가 적혀 있고 프랑스인과 아이티인이 전부는 아니지만 알아들을 수 있다는 댓글이 있어 프랑스어가 기반임을 알 수 있다. 루이지애나는 미국이 구입하기 전까지 프랑스령이었다. 루이지애나의 St. Landry Parish 출신이라고 한다. 지인과의 전화 통화를 딸이 녹화하며 통역해 주는 모습
- 모호크 네덜란드어: 17세기부터 20세기 초까지 오늘날의 뉴욕주 올버니 일대에서 쓰였던 네덜란드어 기반의 크리올어다. 네덜란드어에 모호크어[2] 어휘가 대거 섞여서 형성되었다. 오늘날의 뉴욕 주 일대를 네덜란드가 뉴네덜란드라는 이름으로 식민지배할 때만 해도 모호크어를 사용하는 민족인 모호크족이 속한 이로쿼이 연맹 측에서 네덜란드인들과의 교류를 위해 배워서 사용했으나 영란전쟁의 결과로 인해 북아메리카에서 네덜란드가 철수한 이후로는 이 언어에 대한 관심도가 줄어들면서 화자 수가 꾸준히 감소하다가[3] 20세기 초에 사멸했다.
- 미국 수어: 미국의 청각장애인들이 사용하는 수어로, 프랑스 수어 기반의 크리올어다. 프랑스 수어에 마서즈비니아드 수어(Martha's Vineyard Sign Language)가 섞인 언어로, 마서즈비니아드 수어는 1952년까지 미국 매사추세츠 주의 듀크 카운티에 있는 동명의 섬에서 쓰였던 수어다.[4]
- 베이전 크리올: 바베이도스에서 쓰이는 영어 크리올이다.
- 상파울루 공통어: 20세기까지 브라질의 상파울루에서 쓰였던 투피어[5] 기반 크리올어다. 이 언어는 역시 투피어에 기반한 언어인 아마존 공통어[6]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다.
- 스라난 통고: 영어에 기초한 크리올로 영어, 네덜란드어, 포르투갈어,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언어가 섞인 언어다. 수리남에서 쓰인다.
- 아이티 크레올어: 아이티에서 사용되는 프랑스어에 기초한 크리올로, 아이티에서 구어로 폭넓게 쓰인다.
- 안틸레스 크리올: 프랑스령 서인도 제도와 프랑스의 지배를 받았던 그레나다, 세인트 루시아 등의 일부 지역에서 쓰이는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언어이며 각 섬마다 사용하는 어휘가 다르다.
- 은주카어: 수리남의 정글 지대에서 쓰이는 크리올로, 노예 제도가 버젓이 시행되던 시절에 탈출한 흑인 노예들에 의해 탄생하였다고 한다. 문법과 음운 체계는 아프리카 지역어에서 따 왔고 어휘는 영어의 영향을 받은 언어다. 크리올로서는 특이하게도 자체 문자까지 갖춘 언어로, 그 문자를 아파카 문자라고 한다. 영어 위키백과의 아파카 문자
- 자메이카 파트와: Jamaican Patois/Patwa. 언어학적으로는 Jamaican Creole이 정식 표기이며 자메이카식 영어와는 다르다. 구사자는 320만 명으로, 자메이카 인구를 초월하지만 구어(口語)로, 일상생활에 쓰일 뿐 글을 쓸 때는 자메이카식 영어를 사용한다. 듣고 싶다면 비디오 게임 Grand Theft Auto IV의 등장인물 '리틀 제이콥'이 자메이카 파트와를 구사하니 들어 볼 수 있다. 실제 자메이카 출신이 목소리를 맡았다고 한다.
- 치누크 자르곤: 치누크 족이 쓰는 치누크어(현재는 사멸), 영어, 프랑스어 등이 섞인 크리올. 현재 화자가 1명밖에 안 남은 소멸위기언어다.
- 파피아멘토어: 아루바에서 쓰이는 토착어다.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를 기본으로 네덜란드어와 아프리카계 언어,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언어가 다양하게 섞인 형태다. 가정에서 파피아멘토어를 사용하는 인구는 7만 명 남짓이라고 추측된다. 튜토리얼 #
- 팔렝케로어: 콜롬비아에 거주하는 아프리카계 콜롬비아인들이 쓰는 스페인어 바탕의 크리올이지만 현재는 사멸되고 있다.
- 과들루프 크레올어: 과들루프에서 쓰이는 프랑스어 크리올이다.
4.2. 아프리카
- 세이셸 크레올어: 세이셸에서 쓰이며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한다. 1976년에 영국으로부터 독립한 이래 정부 차원에서 공용어로 지정하고 문법 시스템을 발전시키는 등 사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모어 구사자 수는 인구의 80%인 7만여 명.
- 모리셔스 크레올어: 모리셔스에서 쓰이고 있는 언어로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크리오어: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진 않지만 시에라리온 인구의 97%가 구사하므로 실질적인 공용어다. 영어에 기반을 두었으며 포르투갈어, 프랑스어, 그리고 수많은 아프리카 토착어로부터 차용된 단어들이 합쳐져 탄생했다. 튜토리얼[7] 에볼라 Q&A[8]
- 주바 아랍어: 남수단에서 쓰이는 아랍어 방언 또는 크리올어로 아랍어를 기반으로 남수단의 여러 소수민족들의 언어에 영향을 많이 받았다.
- 기니비사우 크레올어: 기니비사우에서 쓰이는 언어로 포르투갈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 레위니옹 크레올어: 레위니옹에서 쓰이는 언어로 프랑스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서인도해의 크레올어들 중 가장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은 크레올어이다.
- 카보베르데 크레올어: 카보베르데에서 쓰이는 언어로 포르투갈어를 기반으로 만들어졌다.
4.3. 아시아
- 마카오어: 포르투갈어를 바탕으로 말레이어, 광동어가 섞인 언어다. 마카오에서 사용되긴 하지만 구사자 5천 명 중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은 50명밖에 남지 않아서 소멸 위기에 처해 있고 마카오에선 부활시키자는 목소리가 존재한다. #
-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 말레이어는 예로부터 도서부 동남아시아의 교통어이자 문화어로 쓰여 이에 기반한 크리올이 다수 존재한다.
- 브타위어(자카르타 말레이어):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에서 쓰이는 언어로, '브타위'라는 이름은 자카르타의 옛 이름인 바타비아에서 유래했다. 말레이어를 기반으로 하여 포르투갈어, 네덜란드어 등의 유럽어와 민어, 객가어 등 중국어 남방 방언이 섞였다.
- 트르나테 말레이어: 말루쿠 제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기반의 크리올로서 트르나테어가 주로 섞였다.
- 사바 말레이어: 사바 주에서 사용되는 크리올.
- 발리 말레이어: 발리섬에서 사용되는 크리올. 말레이어 기반에 발리어가 주로 섞였다.
- 마카사르 말레이어: 술라웨시섬 남부 마카사르 주변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기반의 크리올로서 마카사르어가 주로 섞였다.
- 암본 말레이어: 암본 섬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기반의 크리올.
- 파푸아 말레이어: 서뉴기니(서파푸아)에서 사용되는 말레이어 기반 크리올. 기본적으로 말레이어/인도네시아어와 서뉴기니 지방어들이 섞였으며, 암본 말레이어와 유사한 특징도 있다.
- 서배어: 프랑스의 영향으로 생겨난 베트남의 피진 프랑스어였지만 1980년에 소멸되었다. 떠이 보이라고 한다.
- 이란 크리올: 대만의 이란현 일부 지역에서 쓰이는 크리올. 대만 원주민 언어 중 일부인 아타얄(泰雅)어와 시디크(賽德克)어, 그리고 일본어의 크리올로 추정되며 대만일치시기에 일제의 원주민 집단 이주 정책 과정에서 형성된 것으로 여겨진다. 마이니치 신문 기사
- 크리스탕어: 말레이시아에서 쓰이는 포르투갈어 크리올이다.
- 차바카노어: 필리핀 삼보앙가에서 사용되는 스페인어 기반 크리올어다.
4.4. 오세아니아
- 보닌 영어: 일본의 오가사와라 제도에서 쓰이는 영어 기반의 크리올어로, 아래의 오가사와라 크리올과는 달리 학계에서 명확하게 크리올어로 분류하는 언어다. 1830년에 오가사와라 제도에 정착한 미국인 및 하와이 원주민 이민자의 후손[9]들에 의해 생겨난 언어로, 2021년 기준으로 1,000명에서 2,000명 정도의 화자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 비슬라마어: 바누아투의 언어 중 하나. 영어 등을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이다.
- 오가사와라 크리올: 일본어 기반의 크리올이기는 한데 크리올이 아닌 일본어의 방언일 뿐이라는 주장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어휘 면에서 영어는 물론 오세아니아 원주민들의 영향도 같이 받았다. 이 말이 쓰이던 지역인 오가사와라 제도가 지리적으로 오세아니아에 속한다는 걸 생각하면 당연한 이야이다. 현재는 사멸하였다.
- 오스트레일리아 크리올: Kriol이 정식 표기다. 호주 시드니와 뉴캐슬 지방에서 유럽계 이주민, 중국인과 애버리지니의 언어가 합쳐져서 탄생했다. 구사자는 3만여 명, 원어민은 4,200여 명이 있다는 듯하다. 정작 현재는 호주 북부에 위치한 노던 준주의 캐서린(Katherine) 마을을 중심으로 널리 쓰일 뿐 명맥이 끊기는 중이다. 2007년에 크리올 성경(!!)이 발행되었는데 번역 작업은 장장 29년이 걸렸으며 오스트레일리아의 토착어로는 최초의 발행이라 그 의미가 깊다.[10] 외딴 지역의 주택 임대 절차에 대한 비디오
- 운저도이치어: 파푸아뉴기니에서 쓰이는 독일어 기반 크리올어로, 파푸아뉴기니가 독일의 식민 지배를 받던 시기에 현지로 파견된 독일인 사회복지사들이 운영했던 보육원에 입소한 현지인 아이들에 의해 형성된 언어다.
- 톡 피신: 파푸아뉴기니의 공용어이자 동시에 파푸아뉴기니에서 쓰이는 영어 바탕의 크리올어다. 독일의 지배를 받았을 때는 독일어로부터의 차용어가 많아지다가 호주의 지배를 받은 뒤에는 영어 어휘를 많이 받아들이고 문법적으로는 파푸아 제어의 특징이 강하게 나타나는 언어이다. 유럽계 언어에서 차용된 단어들도 파푸아 제도의 문화적·언어적 영향을 받아서 본래 뜻에서 변화한 경우가 많은데 그래서 낱말이 얼핏 들려도 당최 무슨 말인지 갈피를 잡기 힘든 경우가 많다. 예를 들자면 '크리스마스(Krismas)'라는 단어는 '1년'을 나타내는 단위로 차용되어 "나는 …살입니다"라는 문장은 "Krismas bilong mi …"가 된다.
- 피진어: 솔로몬 제도에서 쓰이는 언어로 영어 기반 크리올어다.
- 핏케언어: 핏케언 제도에서 쓰이는 영어 기반 크리올어다.
- 하와이 피진[11]: 하와이주에서 쓰이는 영어 기반 크리올어다. 외상하기 Sh*t People From Hawaii Say[12]
4.5. 유럽
- 바스크-아이슬란드 피진#: 바스크어 기반 크리올어로, 고래잡이 등 원양어업에 종사하던 바스크인 선원들이 아이슬란드로 이주하여 현지인들과 통혼하면서 바스크어와 아이슬란드어가 섞여 형성된 언어다.
- 야니토어: 이베리아반도의 영국령 도시인 지브롤터에서 쓰이는 영어 기반 크리올어로, 영어와 스페인어가 합쳐져서 형성된 언어다. 영어와 스페인어 이외에도 아랍어와 베르베르어, 라디노어[13] 등에서 차용한 어휘들이 상당히 많이 있다.
- 지중해 링구아 프랑카: 11세기에서 19세기까지 쓰였던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들[14]을 기반으로 한 언어였지만 이후에 소멸되었다.
- 코이네 그리스어[15]: 현대 그리스어의 직접적인 기원이 되는 그리스어 기반의 크리올로, 현재까지 크리올어임이 밝혀진 언어로서는 가장 오래된 것이다. 고전 그리스어의 여러 방언들 중 아티카 방언[16]을 기반으로 하여 그리스어의 다른 방언들과 미노스어[17]나 고대 키프로스어 등 그리스 내부의 비인도유럽어족 계통 언어, 그리고 아나톨리아 반도에서 쓰이던 아나톨리아어파[18] 계열 언어들이 혼합하여 만들어졌다.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 이후에는 고대 중앙아시아와 인도 아대륙에서 쓰였던 박트리아어나 페르시아어 등 현지 언어에서도 많은 어휘가 차용되어서 코이네 그리스어에 유입되었다고 추정된다.
5. 크리올어로 추정되는 언어
- 알타이 제어: 이들 언어들은 문법적으로는 비슷하면서 유독 기초 어휘가 다르다는 점 때문에 계통론에서 논란을 많이 일으킨다. 실제로 이들이 과거에 알타이어족일 것이라는 가설이 나왔던 까닭이 이들의 문법적 유사성 때문이었지만 그 유사성이라는 것이 풍부하지 않았고 무엇보다도 신체어 및 수사 등 기초 어휘가 서로 너무나 달랐다. 이 때문에 현재 알타이어족 가설은 폐기되었다. 그러나 알타이 제어를 쓰는 민족들의 기원지가 대체로 바이칼 호 근처인데 실제로 돌궐(튀르크어족)·실위(몽골어족)·숙신(퉁구스어족) 등의 민족들은 한반도 북부 및 북서부에서 엎치락뒤치락하던 사이였다. 이들이 기초 어휘마저 변이가 심하던 시절부터 서로 갈라지기 시작한 원시 알타이어의 후손 언어들이 아니라면 서로 교류하고 얽히는 과정에서 서로 다른 어족들이 섞이며 조금씩 피진화하고 이것이 크리올 화한 결과로 지금과 같은 어중간하게 닮은 꼴들이 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다만 안타깝게도 대부분의 이들 언어 화자들은 본디 유목민들이었고 그래서 문자를 쓰지 않았다. 그나마 일찌감치 정주 민족이 된 이들도 자신의 언어와 상성이 좋지 않은 문자인 한자를 받아들이는 바람에 고대어 연구가 매우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이들 언어가 본디 피진이 있었는지 어땠는지 알 길이 없다.
- 일본어: 한반도에서 온 도래인과 이전에 일본 열도로 온 남방계 민족, 그리고 원주민인 아이누족이 오늘날의 일본인의 조상의 세 주축을 담당하고 있고 일본어가 한국어와 문법적으로는 상당히 유사하지만 기본 어휘 부분에서는 큰 관련성이 없으며 어째 오스트로네시아어족과 어휘·음운적인 유사성이 적지 않게 발견된다. 이 때문에 도래인이 사용하던 한국어의 조상 언어와 남방계 민족이 사용하던 오스트로네시아어족이 일본 열도에서 섞여 크리올어가 되어 오늘날의 일본어로 이어진다는 가설도 있다.
- 한국어: 한국어는 계통상 고립된 어족(Language Isolate)으로 분류되어 주변의 그 어느 언어와도 친연성이 없기로 유명하지만 문법적으로는 알타이 제어와 유사하고 일부 음운과 고유 어휘가 고대 일본어, 고대 중국어와 유사한 점이 발견되기도 하며 한편으로는 만주어 등 퉁구스어족 계열과의 관련성도 보이는 등 계통에 대한 학설이 난립한다. 크리올어 기원설도 학설이 여럿 있는데 대표적으로 몽골어족 또는 튀르크어족, 혹은 이들과 가까운 북방 교착어를 바탕으로 중국티베트어족, 오스트로네시아어족 등 한반도 내 또는 주변의 언어들이 섞여 이루어진 크리올어가 한국어의 기원이라고 보는 설, 미지의 어느 언어를 바탕으로 한반도 주변의 온갖 언어들이 섞여 이루어진 크리올어가 기원이라는 설(김방한 등의 가설), 북방 알타이 계 교착어와 오스트로네시아 언어가 만나 이루어진 크리올어가 기원이라는 설, 그리고 진나라 망명인들의 중국티베트어족과 한반도 내 일본어족이 만나 이루어진 진한의 크리올어가 기원이라는 설 등이 있다. 한국 언어학계의 원로 김방한 교수는 한국어가 원시 한반도어라는 미지의 언어와 알타이 제어 계통의 한 언어가 합쳐져서 만들어졌다고 주장했는데, 그 미지의 원시 한반도어를 니브흐어로 추정했다. 강길운 교수는 여기서 더 나아가 한국어에는 튀르크어, 여진어, 드라비다어, 아이누어 등이 혼재되었다고 주장했다.
- 프랑스어: 프랑스의 원류인 프랑크 왕국의 태동기에는 상류층인 프랑크족은 고대 독일어, 중·하류층인 갈리아 인은 갈리아어를 쓰고 있어서 의사소통이 전혀 되지 않았기 때문에 엉터리 라틴어로 만든 피진어로 의사소통을 하던 것이 다음 세대에서 새로운 공통 모어인 크리올로 자리 잡았고 이것이 최초의 '프랑스'어라는 소수 의견이 있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프랑스는 원래 라틴어를 모어로 하는 로마인들이 살고 있던 이탈리아나 로마 인들이 이주해 들어간 지역인 스페인·루마니아와는 다르다.[19]
- 상고어: 중앙아프리카공화국의 두 공용어 중 하나인 언어로[20], 응반디어 기반의 크리올어라고 보는 시각이 많지만 크리올어가 아니라 그냥 우방기어족 내지는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는 언어라는 설도 있어서 논란이 많다.
- 영어: 중세 영어가 크레올이었을 것이라는 가설이 존재한다. 라틴어 기반에 게르만어파 단어를 일부 섞어 쓴 프랑스어와는 반대로 이쪽은 게르만어 기반에 프랑스어 단어를 섞어 쓴 케이스. 영어 위키백과의 Middle English creole hypothesis 항목 참고.
- 중국어: 상고한어, 중고한어 등을 보더라도 딱히 옛 시절의 중국어가 현대 중국어에 비해 문법이 크게 복잡하진 않았던 듯하다. 라틴어, 고대 영어, 산스크리트어, 그리고 중세 한국어 등 대개 옛 언어와 현대의 언어를 비교하면 옛 언어가 후손언어보다 문법적으로 훨씬 까다롭고 섬세한 경우가 많다. 하지만 고전 중국어를 글로 옮겼던 한문을 보면 알 수 있듯, 옛 중국어는 어순의 모든 유형이 의미는 달라질지언정 문법적으로 성립하거니와 굴절 따위도 없었기에 그저 단음절 단어들을 나열한 수준에 불과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문법보다는 맥락에 기대 말의 뜻을 이해해야 하는 경우가 많았고 이는 오늘날 한문 교육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더군다나 중국티베트어족에 속한 대부분 언어가 목적어 뒤에 동사가 오는 반면 중국어는 고대부터 주변의 타이카다이어족, 몽몐어족, 오스트로아시아어족 등과 같이 동사-목적어 순서 배열이 일반적이라는 점에서도 다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어가 언어집단 간의 충돌로 생긴 극도로 단순한 피진이 거의 그대로 굳어져 생긴 크리올어에서 유래했다는 가설을 제시하기도 한다.
- 원시 파마-늉아어: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토착 언어의 90%가 속한 어족인 파마늉아어족의 기원을 설명하는 가설 중에는 현지에서 쓰이던 언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가 지역에 따라 여러 언어로 분화되었다고 추정하는 설이 있다.
- 인류조어: 인류조어의 실존 여부도 의문이지만, 만일 이 언어가 실존했다면 현생 인류가 쓰던 초창기 언어들 사이에서 광범위하게 크리올화가 일어나서 오늘날 인류가 사용하는 언어들의 공통 조어가 형성되었다는 가설이 있다. 특히 네안데르탈인 및 데니소바인이 신체구조 상 언어를 사용할 수 있었다는 사실이 밝혀지고 이들이 현생 인류인 호모 사피엔스 사피엔스와 상당한 기간 동안을 공존하면서 간간이 혼혈이 일어나기도 했음이 드러나자 인류조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이들 언어의 영향이 적지 않게 있었다는 설도 나왔다.
[1] 오스트레일리아 원주민들의 언어의 대부분이 속해 있는 파마늉아어족이 대표적이다. 이 어족의 형성 과정에 대해 원시 파마늉아어가 오스트레일리아 대륙 밖에서 형성되어 들어왔다는 설도 있지만 반대로 이미 오스트레일리아에 수많은 언어가 들어온 뒤에 이들 부족끼리 서로 교류하는 과정에서 형성된 크리올어가 기원이 됐다는 설도 있다.[2] 북아메리카의 원주민들인 모호크 족이 사용했던 언어로, 이로쿼이어족에 속한다.[3] 네덜란드가 패해서 그런 게 아니다. 되려 네덜란드는 영국을 상대로 대승을 거두었는데 이때 영국이 식민 지배 했던 곳으로 질 좋은 향신료의 산지인 인도네시아의 암본 섬을 전쟁 배상금 명목으로 뜯어내고 경제적 가치가 떨어지는 뉴네덜란드 식민지를 넘겨 버린 것이다. 덕분에 남아있던 네덜란드인 이주민들은 영국령 식민지 시기와 미국 독립을 거치면서 서서히 영국계 이주민들에게 동화되어 갔는데 때문에 네덜란드어의 중요성이 떨어지면서 이를 기반으로 한 크리올어인 모호크 네덜란드어도 관심도가 떨어졌다.[4] 마서즈비니아드 수어는 17세기까지 영국 잉글랜드의 켄트 주에서 쓰였던 고대 켄트 수어의 직계 후손 격 언어다.[5] 투피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파라과이의 공용어인 과라니어의 사촌뻘 언어다.[6] 크리올어는 아니고 당대에 표준 투피어로 간주된 투피어 방언이다. 이름처럼 아마조니아 정글 지대에서 이 지역으로 진출한 백인 탐험가들과 선교사들, 현지 원주민들 사이에서 링구아 프랑카로서 널리 통용되었다.[7] 몰몬교 선교자다.[8] 시에라리온 계 미국인들이라 실제 시에라리온에서 쓰이는 언어에 비해 영어의 비율이 매우 높다.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에 대한 질의응답 비디오다.[9] 2021년 기준으로 일본 사회에서는 이들을 구미계도민이라고 부른다.[10] 창세기 1장 1절과 2절은 다음과 같다: "Orait, longtaim wen God bin stat meigimbat ebrijing, nomo enijing bin jidan. Imbin jis eniwei, nomo garram enijing. Oni strongbala woda bin goran goran ebriwei, en imbin brabli dakbala, en det spirit blanga God bin mubabat ontop langa det woda."[11] Hawaiian Pidgin English, Hawaiian Creole English(HCE) 둘 다 정식 명칭이다.[12] 유튜브 스타 nigahiga가 맞다.[13] 이베리아반도의 유대인들이 사용하는 로망스어군 계열 언어[14] 프랑스어와 이탈리아어, 스페인어 등이 마구 뒤섞여서 정확히 무슨 언어가 기반인지는 확실히 알기 어렵다.[21] 다만 가장 큰 영향을 준 언어는 지중해 무역을 꽉 잡고 있던 이탈리아인들의 언어인 이탈리아어이며 따라서 북부 이탈리아의 언어인 베네토어가 지중해 링구아 프랑카의 기반이 된 언어로 유력하게 추정되고 있다.[15] 신학대학에서 헬라어라고 부르는 언어가 바로 코이네 그리스어다.[16] 아테네 일대에서 쓰이던 고전 그리스어 방언으로, 소크라테스나 아리스토텔레스 같은 고전 그리스 황금기의 태산북두 같은 학자들의 저서가 이 방언으로 저술되었다.[17] 크레타의 미노스 문명에서 쓰인 언어다.[18] 인도유럽어족의 사멸된 일파다.[19] 스페인어나 루마니아어도 각각 라틴어가 현지어인 바스크어나 고트어, 다키아어와의 접촉으로 생긴 크리올어라고 볼 여지는 있으나 그 기반이 된 피진어로 추정되는 언어가 발견된 바가 없어서 크리올어임이 확실히 입증되지 않았다. 반면, 프랑스어는 기반이 되는 피진어로 추정되는 언어가 스트라스부르 서약 원문에 기록되어서 크리올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20] 나머지 하나는 프랑스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