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26 10:50:00

현대 엑센트/1세대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현대 엑센트
파일:현대자동차 심볼.svg
파일:heritage_accent_10.jpg
1세대 엑센트

1. 개요2. 모델별 설명 (X3, 1994 ~ 1999)
2.1. 초기형 (1994 ~ 1997)
2.1.1. 라인업2.1.2. 색상
2.2. 페이스리프트: 뉴 엑센트 (1997 ~ 1999)
2.2.1. 라인업2.2.2. 색상2.2.3. 전기차 사양
3. 제원
3.1. 초기형3.2. 페이스리프트: 뉴 엑센트
4. 둘러보기

1. 개요

현대자동차에서 1994년부터 엑셀의 후속으로 생산됐던 소형 전륜구동 세단/해치백.

2. 모델별 설명 (X3, 1994 ~ 1999)

2.1. 초기형 (1994 ~ 1997)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Dxc52b40055d6683.jpg
파일:lb130-26724-354590.jpg
<rowcolor=#fff> 전면부[1] 후면부[2]
파일:Heritage_Accent_Outside_shot02_08.jpg
파일:1994 엑센트 실내.png
실내[3]
파일:external/file1.bobaedream.co.kr/fo411366257740.jpg
운전 교습용 모델
신세대·신감각[4]
앞선 기술 앞선 성능
좋은차 엑센트
야무진 차![5]

엑셀의 후속 모델로 1994년 4월 1일에 출시되었다. 전륜구동 플랫폼, 엔진, 변속기를 비롯한 차량 제작 전반에 대한 것들을 순수하게 국산 자체 기술력으로 해결한 첫 국산차이다.[6] 4기통 1.3L와 1.5L 알파 엔진을 얹었고, 그 전까지의 차량 디자인 흐름과 사뭇 다른 동글동글한 곡선형 디자인과 파스텔 톤 색상이 특징이다. 1세대 엑센트는 "색깔혁명"을 주도한 차이기도 했다.[7] 이로써 같은 해 출시했던 아벨라를 완벽하게 눌렀고,[8] 프라이드르망 역시 엑센트에 밀려 점차 하락세를 타기 시작했다.

현대차는 독자적으로 개발한 첫 엔진인 알파 엔진[9] 스쿠프에 먼저 적용하면서 주력 차종에도 해당 엔진을 적용해도 되겠다는 확신을 하게 되었다. 때마침 당시는 X세대가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면서 이들이 마케팅 타겟으로 떠오르고 있던 상황이었고, 스쿠프가 X세대에게 인기를 얻고 있었지만 그 전까지의 차량 디자인 흐름으로는 X세대에게 어필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10] 이에 따라 신세대가 탈 차는 우리 손으로 제대로 만들자는 일념으로 개발한 결과물이 바로 엑센트다.

유럽 수출명은 포니, 호주랑 남미 수출명은 엑셀이었다.[11]

한국에선 동급 최초ABS와 운전석 에어백[12]을 적용했지만 전작인 엑셀에 적용되었던 뒷좌석 파워 윈도우가 제외되었다. 물론 전작인 엑셀과 다르게 전동조절 사이드미러(조수석 한정)가 추가되었다.
파일:ww0uMJ2.jpg
파일:Heritage_ACCENT_Outside_02.jpg
5도어 (유로) 3도어 (프로)
해치백
마삼 트리오 편 (1994년)[13]
파일:7ZIflRG.jpg
신문 지면 광고

4도어 세단이 출시되고 4개월 뒤에는 5도어 해치백인 유로 엑센트와 3도어 해치백인 프로 엑센트가 라인업에 추가되었으며 해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아 꾸준히 팔려나갔다. 국내에서는 당시 마삼트리오로 유명했던 이수만, 이문세, 유열이 광고 모델로 기용되어 눈길을 끌었다.

사실 유로 엑센트와 프로 엑센트는 정통 해치백[14][15]은 아니고, 세단에 꽁무니가 반쯤 잘려나간 듯한 형태를 하고 있는 테라스 해치백[16] 디자인으로 부르는 것이 정확하다. 이는 3년 뒤인 1997년에 시판된 슈마보다도 앞선 것으로, 한국 최초의 테라스 해치백 디자인 적용 차량이다.[17]


2013년 방영된 나혼자산다 방송에서 94년식 엑센트[18]가 기타리스트 김도균의 자가용 차량으로 등장했다.

2.1.1. 라인업

2.1.2. 색상


※각주가 없는 것은 4도어를 포함한 전 모델에 적용 가능한 색상.

2.2. 페이스리프트: 뉴 엑센트 (1997 ~ 1999)

파일:CpThjqj.jpg
파일:2ztOk0H.jpg
<rowcolor=#fff> 세단 3도어 해치백 (프로)
야무지고 강한차, 뉴 엑센트

1997년 2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뉴 엑센트가 시판되었다. 기존에는 1.3L와 1.5L SOHC만 있었지만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구아방에 쓰이는 1.5L 알파 DOHC 엔진도 추가되었다. 세단은 앞뒤 디자인이 소폭 변경되었고 유로 엑센트와 프로 엑센트도 후면의 후미등과 범퍼의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프로 엑센트의 전면 디자인은 큰 변화 없이 범퍼만 조금 바뀌었다.
파일:j6R6MEU.jpg
파일:XKEMTA2.jpg
TGR
뉴 엑센트 출시와 함께 프로 엑센트의 팩토리 튜닝 모델인 TGR도 추가되었다. 1.5L DOHC 엔진은 그대로 사용했지만 바디 무게를 줄이고 기어비를 촘촘하게 세팅해서 가속 성능이 뛰어났다. 전용 바디킷도 가지고 있었지만 21세기에 남아 있는 TGR 중에 순정 차량이 씨가 마른 상태라서 자료를 찾기가 힘들다. 한국 모터스포츠계에서 특히 사랑받았으며, TGR 자체가 아니라 정확히 각종 옵션을 줄여 레이싱 차량에 가깝게 세팅한 프로 레이싱 모델 한정으로 500대 한정 판매되었다.[42]

1996년에는 이 모델을 기반으로 한 전기자동차를 시험생산하였다. 자세한 내용은 현대 엑센트 전기차 참조.

IMF를 전후하여 엔진을 디튠해 연비를 높인 1.5L DOHC 린번[43](희박연소 방식) 모델도 새로 추가되었으며 영문 엑센트 로고는 단종 직전 연식인 1999년식 한정으로 1994년 출시 당시 부터 사용했던 스티커 레이블식에서 플라스틱 재질로 변경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1999년 6월까지 판매되고 후속 모델인 베르나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단종되었지만 해외에서는 베르나가 엑센트라는 이름으로 팔려나갔다.

2020년대 기준으로 세월이 세월인지라 개체 수가 꽤 줄어들어 보기가 비교적 어렵다.[44]

2.2.1. 라인업

2.2.2. 색상

  • 순백색(Noble White/NW)
  • 적회색(PLUM MIST/YG)[4도어][5도어]
  • 은색(WARM SILVER/YK)[4도어][5도어]
  • 흑색(EBONY BLACK/EB)
  • 녹색(JUNGLE GREEN/YC)[3도어]
  • 진청색(POTOMAC BLUE/YA)
  • 빨강색(BLUEISH RED/FW)
  • 진보라(LOBELIA/PQ)
  • 청녹색(TEAL GREEN/XT)

====# 해외 사양 #====
유럽에는 포니라는 이름으로 수출되었다. 현대는 포니라는 이름을 오랫동안 사용했는데, 포니엑셀이 유럽에서는 포니 3세대, 엑셀이 포니 4세대, 엑센트가 포니 5세대였다.

파일:external/c1.staticflickr.com/6957009698_f0584618d2_b.jpg
남미에서 닷지 브리사(Brisa)로 수출되었고, 브리사? 중국에서는 기아기차유한공사에서 페이스리프트형천리마(Qianlima)로 생산했다.

파일:external/carphotos.cardomain.com/3910760048_large.jpg
의외로 지중해 몰타에 엄청난 수가 남겨져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것도 영국의 영향을 받은 국가 특성상 우핸들 버전이다.


요르단에서는 동시기 모델인 구아방과 같이 아예 국민차 수준으로 자주 보이며 운행중인 차량 대부분이 국내에서 가져온 내수용 모델이랑 유럽에서 가져온 유럽형 모델이다.

2.2.3. 전기차 사양

3. 제원

3.1. 초기형

ACCENT/1세대
<colbgcolor=#002e6b><colcolor=#ffffff> 생산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코드네임 X3
차량형태 4도어 소형 세단 5도어 소형 해치백
(유로)
3도어 소형 해치백
(프로)
승차인원 5명
전장 4,115mm 4,105mm
전폭 1,620mm
전고 1,395mm
축거 2,400mm
윤거(전) 1,420mm
윤거(후) 1,410mm
공차중량 935 ~ 955kg (1.3L)
990 ~ 1,010kg (1.5L)
연료탱크 용량 45L
타이어 크기 155/80R13
175/70R13
플랫폼 현대 X3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듀얼링크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과급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현대 뉴 알파
(G4EH)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341cc 86ps 12.5kgf·m 5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현대 뉴 알파
(G4EK)
자연흡기 1,495cc 96ps 13.9kgf·m

3.2. 페이스리프트: 뉴 엑센트

ACCENT/1세대(F/L)
<colbgcolor=#002e6b><colcolor=#ffffff> 생산지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울산광역시 북구 양정동
코드네임 X3
차량형태 4도어 소형 세단 5도어 소형 해치백
(유로)
3도어 소형 해치백
(프로)
승차인원 5명
전장 4,115mm 4,105mm
전폭 1,620mm 1,630mm
전고 1,395mm
축거 2,400mm
윤거(전) 1,420mm
윤거(후) 1,410mm
공차중량 935 ~ 955kg (1.3L SOHC)
990 ~ 1,010kg (1.5L SOHC)
987 ~ 1,051kg (1.5L DOHC)
연료탱크 용량 45L
타이어 크기 155/80R13
175/70R13
플랫폼 현대 X3 플랫폼
구동방식 앞엔진-앞바퀴굴림(FF)
전륜 현가장치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후륜 현가장치 듀얼링크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전륜 제동장치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후륜 제동장치 드럼 브레이크
파워트레인
<rowcolor=#fff> 엔진 엔진 형식 흡기/과급 방식 배기량 최고 출력 최대 토크 변속기
현대 뉴 알파
(G4EH)
직렬 4기통 자연흡기 1,341cc 86 → 85ps 12.5 → 12kgf·m 5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현대 뉴 알파
(G4EK)
1,495cc 96 → 95ps 13.9 → 13.6kgf·m
현대 뉴 알파
(G4FK)
(린번)
95ps 13.6kgf·m
현대 뉴 알파
(G4FK)
110 → 104ps 14.8 → 14.3kgf·m

4. 둘러보기

파일:현대자동차 로고 세로형(흰색).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회색 글씨: 단종 차량
<colbgcolor=#002c5f><colcolor=#fff><rowcolor=#fff> 승용 · SUV · RV · 승합버스트럭
19​60​년대
코티나 · 포드 20MR버스-
19​70​년대
포니 · 그라나다 · HD1000승합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HD버스 · RB버스 · D버스 · DK버스HD1000트럭 · 바이슨 · 대형트럭
19​80​년대
프레스토 · 포니엑셀 · 엑셀 · 스텔라 · 쏘나타 · 그랜저 · 그레이스 · 미쓰비시 프레시스코러스 · FB버스 · 에어로버스포터 · 마이티
19​90​년대
아토스/쌍트로(1세대) · 아토스 프라임 · 엑센트/베르나 · 엘란트라/아반떼(1세대) · 마르샤 · 다이너스티 · 에쿠스 · 스쿠프 · 티뷰론 · 갤로퍼 · 싼타모 · 트라제 XG · 스타렉스카운티 · 에어로타운 · 에어로시티중형트럭 · 슈퍼트럭
20​00​년대
i10 · 클릭 · i20 · i30 · 링샹 · 투스카니 · 제네시스 · 제네시스 쿠페 · 라비타 · 투싼(ix35) · 싼타페 · 테라칸 · 베라크루즈 · 앙트라지 · 닷지 브리사 · 쏘나타 모인카 · 기아 천리마슈퍼 에어로시티 · 그린시티(구 글로벌900) · 유니버스리베로 · 메가트럭 · 뉴파워트럭 · 트라고
20​10​년대
이온 · 블루온 · HB20 · XCENT · 위에둥 · 아이오닉 · i40 · 미스트라 · 아슬란 · 벨로스터 · 아반떼 쿠페 · ix20 · 크레타 · 맥스크루즈 · 쏠라티 · 코나 · 레이나 · 넥쏘 · 라페스타 · 팰리세이드 · 베뉴블루시티 · 유니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엑시언트 · H350 · 루이웨/홍투 · 파비스
20​20​년대
아우라 · 포레스트 · 쿠스토 · 베이온 · 아이오닉 5 · 스타리아 · 알카자르 · 싼타크루즈 · 캐스퍼 · 스타게이저 · 아이오닉 6 · 무파사 · 엑스터 · ST1 · 아이오닉 9예정HD50S · 일렉시티 이층버스 · 일렉시티 타운-}}}}}}}}}{{{#!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color: #fff"
{{{#!folding [ 차급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colbgcolor=#002e6b><rowcolor=#fff><colcolor=#fff>차급생산 차량단종 차량
승용​차
경차i10 · 아우라아토스 · 블루온 · 이온 · 쌍트로 · XCENT
소형​차엑센트 · i20 · HB20포니 · 엑셀 · 프레스토 · 클릭 · 베르나 · 닷지 브리사/기아 천리마 · 미쓰비시 프레시스 · 레이나 · 닷지 애티튜드
준중형​차아반떼 · i30 · 라페스타포드 코티나 · 엘란트라 · 아반떼 쿠페 · 벨로스터 · 위에둥/셀레스타
중형​차쏘나타 · 아이오닉 6포드 코티나 · 스텔라 · 마르샤 · i40 · 링샹 · 쏘나타 모인카 · 미스트라
준대형​차그랜저포드 20M · 그라나다 · 아슬란 · 다이너스티 · 제네시스
대형​차-에쿠스
스포츠​카-스쿠프 · 티뷰론 · 투스카니 · 제네시스 쿠페
SUV
경형 SUV캐스퍼 · 엑스터-
소형 SUV베뉴 · 코나 · 크레타 · 알카자르 · 베이온-
준중형 SUV투싼 · 아이오닉 5 · 무파사-
중형 SUV싼타페 · 넥쏘갤로퍼
준대형 SUV팰리세이드테라칸 · 베라크루즈 · 맥스크루즈
픽업​트럭
소형 픽업​트럭싼타크루즈픽업 · 포드 코티나 픽업
MP​V
소형 MPV-라비타 · ix20
준중형 MPV스타게이저싼타모
중형 MPV쿠스토트라제 XG
준대형 MPV-앙트라지
대형 MPV스타리아스타렉스
캠핑카-포레스트
상용​차
소형버스쏠라티그레이스 · HD1000
준중형버스카운티 · HD50SD버스 · 코러스
중형버스일렉시티 타운에어로타운 · 그린시티
준대형버스슈퍼 에어로시티 · 일렉시티 · H500 버스R버스 · DK버스 · RB버스 · HD버스 · FB버스 · 에어로시티 · 블루시티 · 유니시티
대형버스유니버스 · 유니버스 FCEV​ ·일렉시티 이층버스메르세데스-벤츠 O302 · 메르세데스-벤츠 O303 · 에어로버스
소형트럭포터 · H350HD1000 · 리베로
준중형트럭마이티-
중형트럭루이웨/홍투 · 파비스바이슨 · 대형트럭 · 중형트럭 · 슈퍼트럭 · 메가트럭
준대형트럭뉴파워트럭-
대형트럭엑시언트마루 · 트라고}}}}}}}}}
}}}
파일:현대 N 로고.svg · 파일:아이오닉 로고.svg · 콘셉트 카



[1] 알로이 휠은 1.5 CS 전용 선택사양이다. 사진의 알로이 휠은 94년 4월부터 8월식까지만 적용되었다.[2] 94년 8월 5도어 유로엑센트와 3도어 프로엑센트가 등장하면서 알로이 휠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97년 1월식까지 사용하였다.[3] 하얀색 바탕에 알록달록한 도형들을 집어넣어 당시 젊은이들의 취향을 잘 반영했다. 해당 실내는 94년 10월까지 적용되었으며 94년 11월 생산분 이후에는 뒷좌석 헤드레스트 옵션이 추가되면서 회색 바탕에 검은색 얼룩이 돼있는듯한 어두운 색조로 변경되었다.[4] 이 문구와 함께 출시 전 신문 지면 광고에 "엑센트가 옵니다!"라는 문구도 같이 있었다.[5] 휠 디자인도 비슷하다.[6] 2년 전인 1992년에 출시되었던 세피아전륜구동 플랫폼만 독자적으로 만든 것이다. 주력인 1.5L 엔진은 마쓰다제를 썼고, 페이스리프트 이후 추가된 1.8L 엔진기아 자체 엔진이었다.[7] 엑센트가 출시될 당시에는 ‘컬러 혁명’이라는 기존의 무채색 계열의 물건들을 형형색색으로 출시하는 열풍이 불었고, 엑센트도 그 열풍에 힘입어 다양한 색상 라인업, 주로 눈에 띄는 파스텔톤의 색상들을 출시했다. 비슷한 시기에 나온 아벨라도 출시 당시 남청색과 옥색 계열의 색상들을 재공했다. 라노스도 해당 유행에 편승하여 라임색이나 자몽색등 독특한 색상을 많이 출시하였다.[8] 때문에 아벨라는 현재 사람들에게 생소한 수준이다. 선대 모델인 프라이드는 나름 클래식카 느낌이 있는 디자인과 당시의 선풍적인 인기 등으로 잔존대수가 상당히 남은 결과 인지도로는 아벨라가 프라이드에게도 한참 밀린다.[9] 사실 알파 엔진은 완전 독자개발 엔진까지는 아니었다. 당시 영국의 약간의 기술과 합해서 개발한 것이었다. 이 후에 아반떼(구아방)에 장착된 베타 엔진은 대한민국이 순수하게 완전히 독자개발한 엔진이 되었다.[10] 2020년대로 치면 MZ세대가 본격적으로 사회에 진출하면서 마케팅 타겟으로 떠오르고 있는 상황을 생각하면 된다. 현대차는 90년대에 엑센트와 아반떼(구아방)로 X세대에게 어필했다면, 2020년대에는 코나캐스퍼로 MZ세대에게 어필하고 있다.[11] 북미에서는 엑센트 그대로 팔렸다.[12] 다만 에어백은 당시 인식이 낮아 거의 장착되지 않은 개체가(되려 경차동사의 아토스가 에어백 옵션의 선택률이 높았다.) 대부분이며 에어백이 있는 엑센트는 전멸한 것으로 추정.[13] 배경 음악은 야니Once Upon A Time의 초반부. 이 곡은 공교롭게도 유열음악앨범 시그널에도 사용되었다.(이현우로 DJ가 바뀐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 이 곡도 교양 프로그램 오프닝 혹은 몇몇 프로그램 예고편이나 프로그램 개편 배경 음악이나 지역 캠페인 배경 음악으로 사용되기도 했다.[14] 참고로 2011년에 나온 엑센트 위트가 정통 해치백 스타일을 채택하고 있다.[15] 엑센트 유로처럼 트렁크가 있는 노치백 스타일이면서 해치백인 것은 틀린 표현이 아니다. 해치백이란 용어는 트렁크 쪽의 모양과 상관 없이 뒷창문까지 열리는 것을 뜻하기 때문이다.[16] 당시 현대자동차에서는 '세미노치백'이라고 선전하였다. 그렇지만 일부 자동차 잡지에서는 "세미 해치백"으로도 불렀다. 대표적인 테라스 해치백이 베르토네가 디자인했던 시트로엥 잔티아였다. 또 1970~1980년대를 풍미한 해치백 준중형차 대표 모델 중 하나인 포드 에스코트도 테라스 해치백이었다.[17] 사실 기아도 비슷한 시기에 세피아의 테라스 해치백 버전인 세피아 레오를 내놓으려고 준비하는 중이었고, 1994년부터 자동차 잡지에서 양산 직전 수준의 차량 사진이 실리기도 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세피아 1세대 단종 직전인 1996년 후반에서야 겨우 출시되었으며, 시기가 시기인지라 사실상 묻혔다.[18] 어느 예능에서 밝히길 94년 11월 생산분이었다.[MT] [AT] [21] 1995년에 추가된 경제형 트림이다.[MT] [AT] [MT] [AT] [MT] [AT] [28] 테라스 스타일의 유럽형 5도어 해치백.[MT] [AT] [MT] [AT] [33] 테라스 스타일의 미국형 3도어 해치백.[MT] [AT] [3도어] [5도어] [3도어] [3도어] [5도어] [5도어] [42] 엑센트 TGR 자체가 500대 한정 판매되었다는 말이 그동안 자동차에 관심 많은 일반인은 물론 매니아들 사이에서도 널리 퍼져 왔었다. 최근 한 페이스북 올드카 매니아 네티즌에 의해 밝혀진 바에 따르면 TGR 자체가 한정판이 아니고 TGR 모델 중에서도 프로 레이싱이라는 레이싱 차량에 가깝게 세팅한 모델이 있었는데, 그 모델의 경우 진짜로 500대 한정 판매였다고 하니 해당 사실이 여러 사람들을 거치면서 TGR 자체가 한정판 차량이었다고 외전된 듯하다. 출처[43] 엔진으로 들어오는 혼합기에서 연료보다 공기의 비중이 더 크게 되는 엔진 방식이다. 현대자동차의 가솔린 린번 엔진아반떼 XD와 베르나 초기형까지 적용되었다.[44] 그래도 동시기 출시된 차들 중 일부가 조기에 폐차당해 거의 찾아보기 힘든 것에 비하면 자주 보인다. 지금도 개발이 거의 안된 농촌이나 구시가지 골목길에 들어가보면 1대쯤은 보인다.[MT] [AT] [MT] [AT] [49] 현대그룹 창립 50주년 기념 한정판 모델로, 트렁크에는 "SE" 스티커 엠블럼을 부착하고, 전용 알루미늄 휠과 리어 헤드레스트, 전용 고급직물시트로 차별화한 모델이다.1.5 DOHC는 100만원 상당의 옵션 패키지로 준비되어있다.[MT] [AT] [린번] [MT] [AT] [SOHC] [MT] [AT] [DOHC] [MT] [AT] [61] 5도어 해치백[MT] [AT] [MT] [AT] [린번] [MT] [AT] [SOHC] [MT] [AT] [DOHC] [MT] [AT] [75] 3도어 해치백[SOHC] [MT] [AT] [DOHC] [MT] [AT] [DOHC] [83] 투어링 B 계열 레이싱용 출전차량으로 알려져 있다.[4도어] [5도어] [4도어] [5도어] [3도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0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0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