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A SHUMA[1] / SPECTRA[2] / MENTOR |
1. 개요
기아자동차가 1997년부터 2000년까지 판매했던 전륜구동 준중형차. 스포츠 세단의 성격[3]을 지녔지만, 세미노치백 및 테라스 해치백으로 분류된다. 단종 이후로는 정식 후속 차량이 없지만, 기아의 테라스 해치백 계보는 스팅어[4]로 이어진다.2. 모델 설명
전기형 |
스포츠 세단
도시의 로맨티스트
세피아의 해치백 모델 세피아 레오의 후예격인 차량으로, 1997년 12월 5일에 출시되었다. 당시 시장에서 나름 잘 나가던 현대자동차의 티뷰론을 견제하기 위해 세피아의 플랫폼으로 제작된 세미노치백 및 테라스 해치백이다.[5] 세피아Ⅱ의 가지치기 모델이나 세피아와 동일한 동력 성능, 토러스 3세대[6]와 셀리카를 표절한 듯한 짝퉁스런 디자인이 주된 비판의 요소였다. 실내 디자인은 역대 기아차 중 최악이었다고 전해지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99' 프랑스 디자인 어워드 자동차 부문 우수상을 수상한 적 있다. 이렇듯 호불호가 많이 갈리는 디자인을 채택한 국산차 중 하나다.
세피아 2와 차별성을 부각시키지 못한데다 못생겼다는 안 좋은 소리까지 들어서 판매량과 인기가 저조했다. 게다가 생산 기간도 턱없이 짧았다 보니 슈마를 기억하고 있는 사람이 적을 정도로 지금은 완전히 잊혀진 비운의 자동차다. 기아자동차의 대표적인 실패 모델 중(아벨라 델타/세피아 레오/슈마/파크타운)[7] 하나로 꼽힌다(...).[8][9]
자금난으로 자원과 시간은 안 그래도 부족한 마당에 월급마저 깎이다 보니 디자인/설계팀의 사기는 바닥에 떨어졌다. 상술했지만 이런 환경 속에서 디자인과 퀄리티가 잘 나올래야 나올수가 없었다. 그나마 그동안 쌓아둔 기술력이 있어 성능에는 문제가 없었지만, 판매가 신통치 않았다.[10]
다만 T8D와 B5D 엔진 특유의 다이내믹한 성향 덕분에 쎄라토가 출시되기 전까지 간간히 모터스포츠에서 활약했다.[11] 튜닝에 적합하게끔 균형 잡힌 차체 덕에 기아차를 튜닝했던 운전자들 사이에서 엘란을 제외한 기아의 숨은 명기라는 얘기가 나돌았을 정도. 이후 노후화가 되면서 쎄라토와 포르테 쿱, K3 쿱, 스팅어로 대체되었다.
4등식 헤드램프의 디자인을 적용하다 보니 3세대 토러스의 헤드램프와 비슷하다. 다만 토러스는 미국 판매분에만 4등식 헤드램프를 적용했기 때문에 대한민국에서 아예 구경할 수가 없었다.[12] 대한민국에 들어온 3세대 토러스의 앞모습은 세이블에서 가져온 것이다. 여담으로 2번째 프로토타입 사진은 확실히 3세대 토러스와 판박이 수준으로 닮았다.
후기형 |
1998년 7월 10일에 99년형 슈마, 1999년 4월 19일에 2000년형 슈마, 2000년 2월 15일에는 밀레니엄 슈마까지 3번 연속으로 부분 변경을 거쳤다. 같은 해 11월 2일에 스펙트라 윙으로 페이스리프트되었다. 스펙트라 윙에 대해 자세한 것은 해당 문서로...[13]
3. 제원
SHUMA | |
<colbgcolor=#b11116><colcolor=#fff> 생산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경기도 화성시 우정읍 석천리 |
차량형태 | 5도어 준중형 해치백 |
승차인원 | 5명 |
전장 | 4,475mm |
전폭 | 1,700mm |
전고 | 1,410mm |
축거 | 2,560mm |
윤거(전) | 1,465mm |
윤거(후) | 1,455mm |
공차중량 | 1,070 ~ 1,110kg |
연료탱크 용량 | 50L |
타이어 크기 | 175/70R13 185/65R14 |
구동방식 | 앞엔진-앞바퀴굴림(FF) |
전륜 현가장치 |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후륜 현가장치 | 듀얼링크 맥퍼슨 스트럿 서스펜션 |
전륜 제동장치 | 벤틸레이티드 디스크 브레이크 |
후륜 제동장치 | 드럼 브레이크 |
파워트레인 | ||||||
<rowcolor=#fff> 엔진 | 엔진 형식 | 과급방식 | 배기량 | 최고출력 | 최고토크 | 변속기 |
기아 B5E | 1.5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498cc | 90ps | 13.1kg·m | 5단 수동변속기 4단 자동변속기 |
기아 B5D | 101ps | 14kg·m | ||||
기아 TP | 1.8L 직렬 4기통 | 자연흡기 | 1,793cc | 130ps | 17kg·m |
4. 라인업
5. 기타
- 트렁크 리드에 빨간색으로 스톱 램프가 붙여져 있으나, 작동 기능이 없다. 양산 이후, 북미 HMSL(High Mounted Stop Lamp)의 규격에 부합하지 못했던 부분을 임시방편으로 만든 것. 램프는 케이스만 있고 내부는 전구와 전선이 없다. 국내 법규는 HMSL이 필수가 아니었고, 규격도 상관 없었다보니 많은 슈마 오너들이 램프에 브레이크등 전구와 전선을 넣고 불이 들어오게 개조하기도 했다.
- 가수 양파의 '아파 아이야' MV에서 나오기도 하였다.
근데 폭발해버린다.
- 슈마와 비슷한 시기에 생산된 대한민국 자동차의 대부분은 다이캐스트 모형이 출시됐으나, 슈마는 다이캐스트 모형이 없다. 반면 슈마와 플랫폼을 공유했던 세피아와 스펙트라는 다이캐스트 모형이 존재한다.
- 북미 시장 한정으로 기아 최초의 해치백이다. 프라이드가 북미 시장으로 수출된 적이 있으나, 포드 페스티바라는 이름으로 뱃지 엔지니어링되었기 때문에, 정식 기아 브랜드로는 슈마가 최초다. 전신 격인 세피아 레오는 북미시장에 출시되지 않았다.
6. 둘러보기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5141f><tablebgcolor=#05141f><height=70><width=45%><nopad>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0%" {{{#!folding [ 연대별 구분 ] {{{#!wiki style="color: #000; margin:-6px -1px -10px" | <colbgcolor=#05141f> 구분 | 승용차, SUV, RV, 승합 / 경상용차 | 버스 | 트럭 | 군용차 |
1960년대 | 피아트 124 | - | K-360, T-600, T-1500, T-2000 | - | |
1970년대 | 브리사, 피아트 132, 푸조 604 | 아시아 P9AMC, 아시아 B버스, 아시아 AB버스, AM버스 | 타이탄, 복사, KB트럭, B-1000 | K-111, K-511, K-711 | |
1980년대 | 프라이드, 캐피탈, 콩코드, 세이블, 봉고(승합 모델), 베스타, AC버스, 토픽 | 콤비, 코스모스 | 봉고(트럭 모델), 세레스, 트레이드, 라이노, AM트럭 | K-311, K-811 | |
1990년대 | 프라이드 전기차 (관용, 일부 기업 판매) 비스토, 아벨라, 리오, 세피아, 슈마, 크레도스, 포텐샤, 엔터프라이즈, 엘란, 스포티지, 록스타, 레토나, 카렌스, 카스타, 카니발, 프레지오, 타우너(승합 모델) | 그랜버드 | 그랜토, 타우너(트럭 모델) | K-131 | |
2000년대 | 모닝, 스펙트라, 쎄라토, 씨드, 포르테, 엑스트렉, 옵티마, 로체, 앙트라지(카니발), K7, 오피러스, 쏘울, 쏘렌토, 모하비, 벤가, 트라벨로, 천리마 | - | 파맥스 | K-911 | |
2010년대 | 레이, K2, K3, K4(중국형), K5, K9, KX3, KX5, KX7, 니로, 스팅어, 스토닉/KX1, 리오 X-라인, 페가스, 즈파오, 텔루라이드, 셀토스, 엑씨드 | - | - | K-151, 중형표준차량 | |
2020년대 | 쏘넷, EV6, K8, 니로 플러스, EV9, EV5, K3(소형차, 리오 후속), K4, EV3, 시로스, EV2예정, EV4예정, EV7예정, 타스만예정, PV1예정, PV5예정, PV7예정,TV1예정 | - | - | - | |
회색 글씨 - 단종 차량 |
}}}}}}}}}
- [ 차급별 구분 ]
- ||<rowbgcolor=#05141f><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tablecolor=#373a3c,#ddd> 차급 || 시판 차량 || 단종 차량 ||
<colbgcolor=#05141f> 경차 모닝 | 레이 <colbgcolor=#eee,#2d2f34> 비스토 소형차 K3(리오 후속) | 페가스 프라이드 (1994 전기차) | 아벨라 | 브리사 | 천리마 | K2 | 리오 | 피아트 124 준중형차 K4 | 씨드 캐피탈 | 세피아 | 슈마 | 스펙트라 | 쎄라토 | 포르테 | K3 중형차 K5 콩코드 | 크레도스 | 옵티마 | 로체 | 스팅어 준대형차 K8 세이블 | 포텐샤 | K7 대형차 K9 푸조 604 | 엔터프라이즈 | 오피러스 스포츠카 - 엘란 소형 SUV 스토닉 | 니로 | 셀토스 | 쏘울 | KX1 | 쏘넷 | EV3 | 시로스 아시아 록스타 | 레토나 | KX3 | 리오 X-라인 | 니로 플러스 준중형 SUV 스포티지 | EV5 | EV6 | 엑씨드 | 즈파오 KX5 중형 SUV 쏘렌토 KX7 준대형 SUV 텔루라이드 | EV9 모하비 소형 MPV - 벤가 준중형 MPV 카렌스 엑스트렉 중형 MPV - 카스타 대형 MPV 카니발 - LCV - 봉고3 미니버스 | 베스타 | 타우너 | 토픽 | 프레지오 | 트라벨로 PBV PV1예정 | PV5예정 | PV7예정 - 픽업트럭 타스만예정 B-1000 경형 트럭 - T-1500 | T-2000 | 타우너 소형 트럭 봉고 세레스 준중형 트럭 - 파맥스 | 타이탄 | 트레이드 중형 트럭 - 복사 | 라이노 | 트레이드 대형 트럭 - AM트럭 | KB트럭 | 그랜토 준중형 버스 - 콤비 중형 버스 - 코스모스 준대형 버스 - 아시아 AB버스 대형 버스 그랜버드 아시아 B버스 군용차 K-151 | K-311 | K-711 | K-911 | 중형표준차량 K-111 | K-131 | K-511 | K-811
[1] 라틴어로 '최고'라는 뜻이다.[2] 북미형 명칭.[3] 실내 트림으로 레드 컬러/가짜 카본 문양 패널이 적용된 모델이 있었다.[4] 스팅어는 슈마와 구동방식이 다르고 한 등급 높은 중형차이기 때문에 정식 후속 차량으로 보기 어렵다. 다만 두 자동차는 스포츠 세단을 지향하는 동시에 테라스 해치백이라는 공통점이 있다.[5] 당시 광고에선 '스포츠 세단'이라는 제목을 붙었지만, 지금은 기아차에서 테라스 해치백이라고 수정했다.[6] 역대 토러스 중에서 최악의 디자인이라고 혹평을 받았다. 그런데 혹평 받은 디자인과는 별개로 막상 사진은 무난하게 잘 나온 편이었다고 한다. 사진을 보고 구매를 결심했다가 막상 차의 문제들을 알고 난 뒤 실망해서 구매를 취소했다는 후기가 꽤 있었던 것으로 전해진다.[7] 참고로 아벨라 델타를 빼고 다 해치백과 왜건 형태의 모델들이다(...). 평범한 세단 컨셉임에도 대실패했다는 것에서부터 슈마가 얼마나 평판이 나빴는지를 대변해 준다.[8] 일단 디자인부터가 시작 단계부터 전부 엉망이었다. 김선홍 회장은 디자인 부서를 적극적으로 밀어주고 일임했지만, 하필 기아자동차가 부도 상황에 몰려버린 통에 법정관리로 넘어가게 된다. 기존 회장단이 물러나면서 새로운 경영진이 들어오게 됐지만, 문제는 이 경영진이 디자인에 대해 아는 것이 없었다는 거다. 게다가 디자인을 마구 휘저어 놓는 바람에 이리저리 꼬여버리고 말았다. 그리고 김선홍 회장도 막판에는 자금난 때문에 현명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고 갈팡질팡한 것 또한 사실이다. 디자인에 힘을 실어주기 위해서는 설계부터가 받쳐주어야 하고, 거기에는 많은 인력, 시간과 돈이 든다. 즉, 저렴한 값에 빨리 만들 수 있는 디자인을 원한 것이다.[9] 예를 들어 어떤 차를 스포티한 A안과 진중한 B안으로 디자인 제안을 했을 때 평가회에서 "A안의 앞면에 B안 뒷면을 합쳐서 내라"고 한다거나, 거기에다 "이 차가 미국에서 인기 있으니 그 램프 디자인을 넣어라"라는 식으로 지시를 받는 식이었다. 그리고 아무래도 회사가 어렵다 보니 공격적이고 참신한 디자인을 낼 수 있던 과/차장급의 젊고 아직은 서투른 디자이너보다는 짬밥 찬 중견 디자이너들의 영향력이 커서 좋은 디자인(=돈 많이 드는 디자인)이 평가에서 선택되기 힘든 여건 또한 당시 기아 디자인이 혹평을 받는데 악영향을 끼쳤다. 당시 신참/과장급이었던 디자이너들은 기아자동차가 현대자동차그룹 산하로 편입되고 피터 슈라이어의 영입 이후에 비로소 "디자인 기아"의 결과물들인 포르테, K5, K7, 쏘울, 모하비 등을 내놓게 되어 그동안 실력이 없어서 못 만든 게 절대로 아니었다는 반증을 비로소 펼칠 수 있게 됐다.[10] 사실 슈마는 엔진부터 내장 나사 하나하나까지 다 분해해 보면 정비성이 우수하고 꼼꼼하게 잘 만든 명품카였다. 문제는 설계, 디자인이 아닌 경영진의 판단이었었는데, 기아차가 죽을 쑨 이유가 비전문가의 디자인 평가, 영업전략부서의 잘못된 포지셔닝 때문이었던 것.[11] 쎄라토 유로는 원메이크 경주용차로 인기를 얻었다.[12] 1996년 포드 코리아 광고에서는 4등식 헤드램프 토러스가 등장한다.[13] 다만 슈마라는 이름은 스펙트라 윙의 수출명으로 쓰였으며, 후손들인 포르테 쿱과 K3 쿱의 중국 수출명으로도 재활용되었다.[SOHC] [DOHC] [DOH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