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6 14:41:39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타자

홈런왕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KBO 리그/역대 타이틀홀더
  • 빨간 글씨는 그 기록이 한국프로야구 최고 또는 최다 기록임을 뜻한다.

1. 타율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타율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0.412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69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0.340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73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29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0.387
김상훈
MBC 청룡 / 0.354
고원부
빙그레 이글스 / 0.327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 0.334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48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0.360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1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0.393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6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0.337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0.342
마해영
롯데 자이언츠 / 0.372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 0.340
양준혁
LG 트윈스 / 0.355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장성호
KIA 타이거즈 / 0.343
김동주
두산 베어스 / 0.342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 0.343
이병규
LG 트윈스 / 0.337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36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현곤
KIA 타이거즈 / 0.337
김현수
두산 베어스 / 0.357
박용택
LG 트윈스 / 0.372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64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0.357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 0.363
이병규
LG 트윈스 / 0.348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0.370
테임즈
NC 다이노스 / 0.381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0.376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김선빈
KIA 타이거즈 / 0.370
김현수
LG 트윈스 / 0.362
양의지
NC 다이노스 / 0.354
최형우
KIA 타이거즈 / 0.354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60
<rowcolor=#fff> 2022 2023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0.349
손아섭
NC 다이노스 / 0.339
}}}}}}}}} ||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백인천 MBC 청룡 0.412 단일 시즌 최고 타율
2관왕(타율&출루율)
KBO 리그 유일무이 4할타자
1983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1] 0.369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 이만수 0.340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 장효조 0.373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6 0.329 최초 2년 연속 타격왕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7 0.387 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타격왕
2관왕(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88 김상훈 MBC 청룡 0.354 -
1989 고원부 빙그레 이글스 0.327 역대 최저타율 타격왕
골든글러브
1990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0.335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1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0.348 골든글러브
1992 0.360 2년 연속 타격왕
골든글러브
1993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341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1994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0.393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 김광림 쌍방울 레이더스 0.337 골든글러브
1996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346 3관왕(타율&최다안타&장타율)&골든글러브
1997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0.344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1998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342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1999 마해영 롯데 자이언츠 0.372 -
2000[2] 박종호 현대 유니콘스 0.340 최초 스위치 타자 타격왕
골든글러브
2001 양준혁 LG 트윈스 0.355 골든글러브
2002 장성호 KIA 타이거즈 0.343 2관왕(타율&출루율)
2003 김동주 두산 베어스 0.342 골든글러브
2004 클리프 브룸바 현대 유니콘스 0.343 최초 외국인 타격왕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5 이병규 LG 트윈스 0.337 2관왕(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2006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0.336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 이현곤 KIA 타이거즈 0.338 2관왕(타율&최다안타)
2008 김현수 두산 베어스 0.357 역대 최연소 타격왕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09 박용택 LG 트윈스 0.372 골든글러브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0.364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0.357 2년 연속 타격왕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12 김태균 한화 이글스 0.363 2관왕(타율&출루율)
2013 이병규 LG 트윈스 0.348 역대 최고령 타격왕
골든글러브
2014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0.370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2015 에릭 테임즈 NC 다이노스 0.381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0.376 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2017 김선빈 KIA 타이거즈 0.370 골든글러브
2018 김현수 LG 트윈스 0.362 -
2019 양의지 NC 다이노스 0.354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년 이만수 이후 첫 포수 타격왕
2020 최형우 KIA 타이거즈 0.354 골든글러브
2021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0.360 세계 최초 부자 타격왕[4]
골든글러브
2022 0.349 2년 연속 타격왕
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MVP
2023 손아섭 NC 다이노스 0.339 2관왕(타율&최다안타)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NC 키움 KIA LG 삼성 한화 롯데 두산 kt SSG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0-01-01)]년 [age(2018-01-01)]년 [age(2016-01-01)]년 [age(2012-01-01)]년 [age(2011-01-01)]년 [age(2008-01-01)]년 [없음] [없음]

2. 안타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최다안타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백인천
MBC 청룡 / 103개
박종훈
OB 베어스 / 117개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 117개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 112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3개
이광은
MBC 청룡 / 124개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 124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131개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37개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 146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160개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 152개
김형석
OB 베어스 / 147개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 196개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 147개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1개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170개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 156개
이병규
LG 트윈스 / 192개
이병규
LG 트윈스 / 170개
장원진
두산 베어스 / 170개
이병규
LG 트윈스 / 167개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 172개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 151개
홍성흔
두산 베어스 / 165개
이병규
LG 트윈스 / 157개
이용규
KIA 타이거즈 / 154개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이현곤
KIA 타이거즈 / 154개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68개
김현수
두산 베어스 / 172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174개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58개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72개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 201개
유한준
넥센 히어로즈 / 188개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195개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 193개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0개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7개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 199개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 192개
<rowcolor=#fff> 2022 2023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 193개
손아섭
NC 다이노스 / 187개
* 최다안타왕은 199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안타상은 1990년에 신설됐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백인천 MBC 청룡 103 -
1983 박종훈 OB 베어스 117
(공동 1위)
신인왕&골든글러브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골든글러브
1984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122 골든글러브
1985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133 MVP&골든글러브
1986 이광은 MBC 청룡 124 골든글러브
1987 이정훈 빙그레 이글스 124 신인왕
1988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131 MVP&골든글러브
1989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137 골든글러브
1990년 최다안타상 타이틀 신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90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146 최초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1991 장종훈 160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152 2관왕(최다안타&도루)
골든글러브
1993 김형석 OB 베어스 147 -
1994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196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 최태원 쌍방울 레이더스 147 -
1996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151 3관왕(타율&최다안타&장타율)&골든글러브
1997 이승엽 170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8 양준혁 156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1999 이병규 LG 트윈스 192 골든글러브
2000[2] 170
(공동 1위)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장원진 두산 베어스 -
2001 이병규 LG 트윈스 167 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최다안타 1위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02 마해영 삼성 라이온즈 172 골든글러브
2003 박한이 170 -
2004 홍성흔 두산 베어스 165 골든글러브
2005 이병규 LG 트윈스 157 2관왕(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2006 이용규 KIA 타이거즈 154 골든글러브
2007 이현곤 153 2관왕(타율&최다안타)
2008 김현수 두산 베어스 168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09 172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174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176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12 손아섭 158 골든글러브
2013 172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
골든글러브
2014 서건창 넥센 히어로즈 201 단일 시즌 최다 안타[9]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KBO 리그 유일무이 200안타
2015 유한준 188 골든글러브
2016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195 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2017 손아섭 롯데 자이언츠 193 골든글러브
2018 전준우 190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19 호세 미겔 페르난데스 두산 베어스 197 골든글러브
외국인 선수 최초 최다안타 1위
2020 199 2년 연속 최다안타 1위&단일시즌 외국인 선수 최다안타
2021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192
2022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193 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 손아섭 NC 다이노스 187 2관왕(타율&최다안타)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NC 키움 롯데 두산 삼성 KIA LG 한화 kt SSG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1-01-01)]년 [age(2020-01-01)]년 [age(2016-01-01)]년 [age(2007-01-01)]년 [age(2005-01-01)]년 [age(1991-01-01)]년 [없음] [없음]

3. 홈런

{{{#!wiki style="margin: -5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2561><tablebgcolor=#002561> 파일:KBO 심벌마크(화이트).svgKBO 리그
역대 홈런 1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0px"
<rowcolor=#fff> 1982 1983 1984 1985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22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7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3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22개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 22개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 21개
<rowcolor=#fff> 1987 1988 1989 1990 1991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22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30개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 26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28개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35개
<rowcolor=#fff> 1992 1993 1994 1995 1996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 41개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 28개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 25개
김상호
OB 베어스 / 25개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 30개
<rowcolor=#fff> 1997 1998 1999 2000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32개
우즈
OB 베어스 / 42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54개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 40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39개
<rowcolor=#fff> 2002 2003 2004 2005 2006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47개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 56개
박경완
SK 와이번스 / 34개
서튼
현대 유니콘스 / 35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26개
<rowcolor=#fff> 2007 2008 2009 2010 2011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 31개
김태균
한화 이글스 / 31개
김상현
KIA 타이거즈 / 36개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 44개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 30개
<rowcolor=#fff> 2012 2013 2014 2015 2016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31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37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52개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 53개
테임즈
NC 다이노스 / 40개
최정
SK 와이번스 / 40개
<rowcolor=#fff> 2017 2018 2019 2020 2021
최정
SK 와이번스 / 46개
김재환
두산 베어스 / 44개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 33개
로하스
kt wiz / 47개
최정
SSG 랜더스 / 35개
<rowcolor=#fff> 2022 2023
박병호
kt wiz / 35개
노시환
한화 이글스 / 31개
}}}}}}}}} ||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22 KBO 리그 최초 홈런왕
1983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27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4 23 최초 2년 연속 홈런왕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22
(공동 1위)
2관왕(홈런&장타율)&MVP&골든글러브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최초 3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21 역대 최소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7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22 유일한 2루수 홈런왕&골든글러브
1988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30 최초 단일 시즌 30홈런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9 26 2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1990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28 유일한 유격수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91 35 2년 연속 홈런왕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 41 최초 단일 시즌 40홈런 달성
3년 연속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3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28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4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25 최초 좌타자 홈런왕
최초이자 마지막 방위병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1995 김상호 OB 베어스 25 최초 잠실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6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30 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1997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32 역대 최연소 홈런왕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8 타이론 우즈 OB 베어스 42 외국인 최초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MVP
1999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54 최초 단일 시즌 50홈런 달성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 박경완 현대 유니콘스 40 MVP&골든글러브
2001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39 MVP&골든글러브
2002 47 2년 연속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 56 단일 시즌 최다 홈런
개인 5번째 홈런왕
3년 연속 홈런왕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2004 박경완 SK 와이번스 34 -
2005 래리 서튼 현대 유니콘스 35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06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26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31 역대 최저 타율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2008 김태균 한화 이글스 31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09 김상현 KIA 타이거즈 36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44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30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12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31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3 37 2년 연속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 52 3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2015 53 KBO 리그 유일무이 4년 연속 홈런왕
최초 2년 연속 50홈런
2관왕(홈런&타점)
2016 에릭 테임즈 NC 다이노스 40
(공동 1위)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최정 SK 와이번스 골든글러브
2017 46 2년 연속 홈런왕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18 김재환 두산 베어스 44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2019 박병호 키움 히어로즈 33 개인 5번째 홈런왕
골든글러브 
2020 멜 로하스 주니어 kt wiz 47 최초 스위치 히터 홈런왕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 최정 SSG 랜더스 35 골든글러브
2022 박병호 kt wiz 35 KBO 리그 유일무이 개인 6번째 홈런왕
KBO 사상 최고령 홈런왕
2023 노시환 한화 이글스 31 2관왕(홈런&타점)
2000년대생 최초 홈런왕
골든글러브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한화 kt SSG 키움 두산 NC 삼성 롯데 KIA LG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1-01-01)]년 [age(2019-01-01)]년 [age(2018-01-01)]년 [age(2016-01-01)]년 [age(2011-01-01)]년 [age(2010-01-01)]년 [age(2009-01-01)]년 [없음]

4. 타점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역대 최다 타점 1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김성한
해태 / 69타점
이만수
삼성 / 74타점
이만수
삼성 / 80타점
이만수
삼성 / 87타점
1986년 1987 1988년 1989년 1990년
김봉연
해태 / 74타점
이만수
삼성 / 76타점
김성한
해태 / 89타점
유승안
빙그레 / 85타점
장종훈
빙그레 / 91타점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장종훈
빙그레 / 114타점
장종훈
빙그레 / 119타점
김성래
삼성 / 91타점
양준혁
삼성 / 87타점
김상호
OB / 101타점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박재홍
현대 / 108타점
이승엽
삼성 / 114타점
타이론 우즈
OB / 103타점
이승엽
삼성 / 123타점
박재홍
현대 / 115타점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타이론 우즈
두산 / 113타점
이승엽
삼성 / 126타점
이승엽
삼성 / 144타점
이호준
SK /112타점
래리 서튼
현대 / 102타점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이대호
롯데 / 88타점
심정수
삼성 / 101타점
카림 가르시아
롯데 / 111타점
김상현
KIA / 127타점
이대호
롯데 / 133타점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최형우
삼성 / 118타점
박병호
넥센 / 105타점
박병호
넥센 / 117타점
박병호
넥센 / 124타점
박병호
넥센 / 146타점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최형우
삼성 / 144타점
다린 러프
삼성 / 124타점
김재환
두산 / 133타점
제리 샌즈
키움 / 113타점
멜 로하스 주니어
kt / 135개
2021년 2022년 2023년
양의지
NC / 111타점
이정후
키움 / 113타점
노시환
한화 / 101타점
관련 둘러보기 틀 타자 역대 타율 1위 | 역대 최다안타 1위 | 역대 홈런 1위 | 역대 타점 1위 | 역대 득점 1위 | 역대 도루 1위 | 역대 출루율 1위 | 역대 장타율 1위 | 역대 승리타점 1위
투수 역대 다승 1위 | 역대 평균자책점 1위 | 역대 탈삼진 1위 | 역대 세이브 1위 | 역대 홀드 1위 | 역대 승률 1위 |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69 -
1983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74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84 80 최초 2년 연속 타점 1위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 87 최초 3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골든글러브
1986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74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7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76 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8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89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9 유승안 빙그레 이글스 85 골든글러브
1990 장종훈 91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91 114 최초 단일 시즌 100타점 달성
2년 연속 타점 1위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 119 3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3 김성래 삼성 라이온즈 91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4 양준혁 87 -
1995 김상호 OB 베어스 101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6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108 2관왕(홈런&타점)&신인왕&골든글러브
1997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14 3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1998 타이론 우즈 OB 베어스 103 외국인 최초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MVP
1999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23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 박재홍 현대 유니콘스 115 골든글러브
2001 타이론 우즈 두산 베어스 113 -
2002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26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 144 2년 연속 타점 1위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2004 이호준 SK 와이번스 112 -
2005 래리 서튼 현대 유니콘스 102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06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88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 심정수 삼성 라이온즈 101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역대 최저타율 타점왕
2008 카림 가르시아 롯데 자이언츠 111 골든글러브
2009 김상현 KIA 타이거즈 127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133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118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12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105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3 117 2년 연속 타점 1위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 124 3년 연속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골든글러브
2015 146 단일 시즌 최다 타점
KBO 리그 유일무이 4년 연속 타점 1위
2관왕(홈런&타점)
2016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144 3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골든글러브
2017 다린 러프 124 -
2018 김재환 두산 베어스 133 2관왕(홈런&타점)&MVP&골든글러브
2019 제리 샌즈 키움 히어로즈 113 골든글러브
2020 멜 로하스 주니어 kt wiz 135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 양의지 NC 다이노스 111 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22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113 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 노시환 한화 이글스 101 2관왕(홈런&타점)
2000년대생 최초 타점왕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한화 키움 NC kt 두산 삼성 롯데 KIA SSG LG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1-01-01)]년 [age(2020-01-01)]년 [age(2018-01-01)]년 [age(2017-01-01)]년 [age(2010-01-01)]년 [age(2009-01-01)]년 [age(2004-01-01)]년 [없음]

5. 득점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역대 득점 1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김봉연
해태 / 55득점
백인천
MBC / 55득점
이해창
MBC / 65득점
이해창
MBC / 62득점
홍문종
롯데 / 62득점
이순철
해태 / 67득점
1986년 1987 1988년 1989년 1990년
김재박
MBC / 67득점
이광은
MBC / 66득점
이순철
해태 / 81득점
김성한
해태 / 93득점
이강돈
빙그레 / 91득점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장종훈
빙그레 / 104득점
장종훈
빙그레 / 106득점
이종범
해태 / 85득점
이종범
해태 / 113득점
전준호
롯데 / 93득점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이종범
해태 / 94득점
이종범
해태 / 112득점
이승엽
삼성 / 100득점
이승엽
삼성 / 128득점
이승엽
삼성 / 109득점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이병규
LG / 107득점
이승엽
삼성 / 123득점
이승엽
삼성 / 115득점
이종범
KIA / 100득점
박용택
LG / 90득점
제이 데이비스
한화 / 90득점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박한이
삼성 / 89득점
고영민
두산 / 89득점
이종욱
두산 / 98득점
정근우
SK / 98득점
최희섭
KIA / 98득점
이대호
롯데 / 99득점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전준우
롯데 / 97득점
이용규
KIA / 86득점
박병호
넥센 / 91득점
서건창
넥센 / 135득점
에릭 테임즈
NC / 130득점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정근우
한화 / 121득점
로저 버나디나
KIA / 118득점
전준우
롯데 / 118득점
김하성
키움 / 112득점
멜 로하스 주니어
kt / 116득점
2021년 2022년
구자욱
삼성 / 107득점
호세 피렐라
삼성 / 102득점
2000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관련 둘러보기 틀 타자 역대 타율 1위 | 역대 최다안타 1위 | 역대 홈런 1위 | 역대 타점 1위 | 역대 득점 1위 | 역대 도루 1위 | 역대 출루율 1위 | 역대 장타율 1위 | 역대 승리타점 1위
투수 역대 다승 1위 | 역대 평균자책점 1위 | 역대 탈삼진 1위 | 역대 세이브 1위 | 역대 홀드 1위 | 역대 승률 1위 |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다득점상은 2000년에 신설됐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김봉연 해태 타이거즈 55
(공동 1위)
-
백인천 MBC 청룡 -
1983 이해창 65 -
1984 62
(공동 1위)
최초 2년 연속 득점 1위
홍문종 롯데 자이언츠 골든글러브
1985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67 신인왕&골든글러브
1986 김재박 MBC 청룡 67 골든글러브
1987 이광은 66 골든글러브
1988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81 골든글러브
1989 김성한 93 골든글러브
1990 이강돈 빙그레 이글스 91 골든글러브
1991 장종훈 104 최초 단일 시즌 100득점 달성
MVP&골든글러브
1992 106 2년 연속 득점 1위
MVP&골든글러브
1993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85 골든글러브
역대 최저출루율 득점왕
1994 113 2년 연속 득점 1위
MVP&골든글러브
1995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93 골든글러브
1996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94 골든글러브
1997 112 2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1998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00 골든글러브
1999 128 2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2000년 최다득점상 타이틀 신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2000[2]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08 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득점 1위
골든글러브
2001 이병규 LG 트윈스 107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02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123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 115 2년 연속 득점 1위
3관왕(홈런&타점&득점)&MVP&골든글러브
2004 이종범 KIA 타이거즈 100 -
2005 박용택 LG 트윈스 90
(공동 1위)
2관왕(득점&도루)
제이 데이비스 한화 이글스 최초 외국인 득점 1위
골든글러브
2006 박한이 삼성 라이온즈 89 골든글러브
2007 고영민 두산 베어스 89 골든글러브
2008 이종욱 98 골든글러브
2009 정근우 SK 와이번스 98
(공동 1위)
골든글러브
최희섭 KIA 타이거즈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99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전준우 97 -
2012 이용규 KIA 타이거즈 86 2관왕(득점&도루)&골든글러브
2013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91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 서건창 135 단일 시즌 최다 득점
3관왕(타율&최다안타&득점)&MVP&골든글러브
2015 에릭 테임즈 NC 다이노스 130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 정근우 한화 이글스 121 -
2017 로저 버나디나 KIA 타이거즈 118 골든글러브
2018 전준우 롯데 자이언츠 118 2관왕(최다안타&득점)&골든글러브
2019 김하성 키움 히어로즈 112 골든글러브
2020 멜 로하스 주니어 kt wiz 116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 구자욱 삼성 라이온즈 107 골든글러브
2022 호세 피렐라 102 골든글러브
2023 홍창기 LG 트윈스 109 2관왕(득점&출루율)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LG 삼성 kt 키움 롯데 KIA 한화 NC SSG 두산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0-01-01)]년 [age(2019-01-01)]년 [age(2018-01-01)]년 [age(2017-01-01)]년 [age(2016-01-01)]년 [age(2015-01-01)]년 [age(2009-01-01)]년 [age(2008-01-01)]년

6. 도루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역대 도루 1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김일권
해태 / 53도루
김일권
해태 / 48도루
김일권
해태 / 41도루
김재박
MBC / 50도루
1986년 1987년 1988년 1989년 1990년
서정환
해태 / 43도루
이해창
청보 / 54도루
이순철
해태 / 58도루
김일권
태평양 / 62도루
김일권
태평양 / 48도루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이순철
해태 / 56도루
이순철
해태 / 44도루
전준호
롯데 / 75도루
이종범
해태 / 84도루
전준호
롯데 / 69도루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이종범
해태 / 57도루
이종범
해태 / 64도루
정수근
OB / 44도루
정수근
두산 / 57도루
정수근
두산 / 47도루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정수근
두산 / 52도루
김종국
KIA / 50도루
이종범
KIA / 50도루
전준호
현대 / 53도루
박용택
LG / 43도루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이종욱
두산 / 51도루
이대형
LG / 53도루
이대형
LG / 63도루
이대형
LG / 64도루
이대형
LG / 66도루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오재원
두산 / 46도루
이용규
KIA / 44도루
김종호
NC / 50도루
김상수
삼성 / 53도루
박해민
삼성 / 60도루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박해민
삼성 / 52도루
박해민
삼성 / 40도루
박해민
삼성 / 36도루
박찬호
KIA / 39도루
심우준
kt / 35도루
2021년 2022년
김혜성
키움 / 46도루
박찬호
KIA / 42도루
관련 둘러보기 틀 타자 역대 타율 1위 | 역대 최다안타 1위 | 역대 홈런 1위 | 역대 타점 1위 | 역대 득점 1위 | 역대 도루 1위 | 역대 출루율 1위 | 역대 장타율 1위 | 역대 승리타점 1위
투수 역대 다승 1위 | 역대 평균자책점 1위 | 역대 탈삼진 1위 | 역대 세이브 1위 | 역대 홀드 1위 | 역대 승률 1위 |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김일권 해태 타이거즈 53 -
1983 48 최초 2년 연속 도루왕
1984 41 최초 3년 연속 도루왕
1985 김재박 MBC 청룡 50 골든글러브
1986 서정환 해태 타이거즈 43 -
1987 이해창 청보 핀토스 54 역대 도루왕중 최저타율(0.232)
1988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58 골든글러브
1989 김일권 태평양 돌핀스 62 골든글러브
1990 48 2년 연속 도루왕, 역대 최다 도루왕 수상(5회)
1991 이순철 해태 타이거즈 56 골든글러브
1992 44 2년 연속 도루왕
2관왕(최다안타&도루)&골든글러브
1993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75 -
1994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84 단일 시즌 최다 도루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 전준호 롯데 자이언츠 69 골든글러브
1996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57 골든글러브
1997 64 2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1998 정수근 OB 베어스 44 -
1999 두산 베어스 57 2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2000[2] 47 3년 연속 도루왕
2001 52 최초 4년 연속 도루왕
골든글러브
2002 김종국 KIA 타이거즈 50 골든글러브
2003 이종범 50 골든글러브
2004 전준호 현대 유니콘스 53 -
2005 박용택 LG 트윈스 43 2관왕(득점&도루)
2006 이종욱 두산 베어스 51 -
2007 이대형 LG 트윈스 53 골든글러브
2008 63 2년 연속 도루왕
2009 64 3년 연속 도루왕
2010 66 4년 연속 도루왕, 최초 3년 연속 60도루
2011 오재원 두산 베어스 46 -
2012 이용규 KIA 타이거즈 44 2관왕(득점&도루)&골든글러브
2013 김종호 NC 다이노스 50 -
2014 김상수 삼성 라이온즈 53 -
2015 박해민 60 4년 연속 도루왕
2016 52
2017 40
2018 36
2019 박찬호 KIA 타이거즈 39 -
2020 심우준 kt wiz 35 단일 시즌 최저 도루(35개)&최저 타율(0.235)&출루율(0.291)
2021 김혜성 키움 히어로즈 46[21] 골든글러브
2022 박찬호 KIA 타이거즈 42
2023 정수빈 두산 베어스 39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두산 KIA 키움 kt 삼성 NC LG 롯데 한화 SSG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1-01-01)]년 [age(2020-01-01)]년 [age(2018-01-01)]년 [age(2013-01-01)]년 [age(2010-01-01)]년 [age(1995-01-01)]년 [없음] [없음]

7. 출루율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역대 출루율 1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백인천
MBC / .497
장효조
삼성 / .475
장효조
삼성 / .424
장효조
삼성 / .467
1986년 1987 1988년 1989년 1990년
장효조
삼성 / .436
장효조
삼성 / .461
김성래
삼성 / .459
한대화
해태 / .409
한대화
해태 / .432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장효조
롯데 / .452
김기태
쌍방울 / .461
양준혁
삼성 / .436
이종범
해태 / .452
장종훈
한화 / .424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홍현우
해태 / .453
김기태
쌍방울 / .453
양준혁
삼성 / .450
이승엽
삼성 / .458
장성호
해태 / .436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펠릭스 호세
롯데 / .503
장성호
KIA / .445
심정수
현대 / .478
클리프 브룸바
현대 / .468
김재현
SK / .445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양준혁
삼성 / .445
김동주
두산 / .457
김현수
두산 / .454
로베르토 페타지니
LG / .468
이대호
롯데 / .444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이대호
롯데 / .433
김태균
한화 / .474
김태균
한화 / .444
김태균
한화 / .463
에릭 테임즈
NC / .497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김태균
한화 / .475
최형우
KIA / .450
박병호
넥센 / .457
양의지
NC / .438
박석민
NC / .436
2021년 2022년
홍창기
LG / .456
이정후
키움 / .421

관련 둘러보기 틀 타자 역대 타율 1위 | 역대 최다안타 1위 | 역대 홈런 1위 | 역대 타점 1위 | 역대 득점 1위 | 역대 도루 1위 | 역대 출루율 1위 | 역대 장타율 1위 | 역대 승리타점 1위
투수 역대 다승 1위 | 역대 평균자책점 1위 | 역대 탈삼진 1위 | 역대 세이브 1위 | 역대 홀드 1위 | 역대 승률 1위 |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 1985년까지는 출루율 공식이 (안타+볼넷+몸에 맞은 공)/(타수+볼넷+몸에 맞은 공)으로, 희생플라이가 분모에 포함되지 않았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백인천 MBC 청룡 0.502 2관왕(타율&출루율)
1983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0.475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4 0.424 최초 2년 연속 출루율 1위
골든글러브
1985 0.467 최초 3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6 0.436 최초 4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87 0.461 KBO 리그 유일무이 5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88 김성래 0.459 골든글러브
1989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0.409 골든글러브
역대 최저 출루율 출루율왕
1990 0.432 2년 연속 출루율 1위
2관왕(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1 장효조 롯데 자이언츠 0.452 KBO 리그 유일무이 6번째 출루율왕
1992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0.461 골든글러브
1993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436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1994 이종범 해태 타이거즈 0.452 4관왕(타율&최다안타&도루&출루율)&MVP&골든글러브
1995 장종훈 한화 이글스 0.424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6 홍현우 해태 타이거즈 0.453 골든글러브
1997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0.453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1998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450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1999 이승엽 0.458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 장성호 해태 타이거즈 0.436 -
2001 펠릭스 호세 롯데 자이언츠 0.503 외국인 최초 출루율 1위
단일 시즌 최고 출루율
2관왕(장타율&출루율)
2002 장성호 KIA 타이거즈 0.445 2관왕(타율&출루율)
2003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0.478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4 클리프 브룸바 0.468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5 김재현 SK 와이번스 0.445 골든글러브
2006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445 골든글러브
2007 김동주 두산 베어스 0.457 골든글러브
2008 김현수 0.454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09 로베르토 페타지니 LG 트윈스 0.468 -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0.444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0.433 2년 연속 출루율 1위
3관왕(타율&최다안타&출루율)&골든글러브
2012 김태균 한화 이글스 0.474 2관왕(타율&출루율)
2013 0.444 2년 연속 출루율 1위
2014 0.463 3년 연속 출루율 1위
2015 에릭 테임즈 NC 다이노스 0.497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 김태균 한화 이글스 0.475 골든글러브
2017 최형우 KIA 타이거즈 0.450 골든글러브
2018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0.457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19 양의지 NC 다이노스 0.438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20 박석민 0.436 개인 통산 첫 타이틀 홀더 
2021 홍창기 LG 트윈스 0.456 골든글러브
2022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0.421 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 홍창기 LG 트윈스 0.444 2관왕(득점&출루율)
<rowcolor=#ffffff,#ffffff> 수상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LG 키움 NC KIA 한화 롯데 두산 삼성 SSG kt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0-01-01)]년 [age(2017-01-01)]년 [age(2016-01-01)]년 [age(2011-01-01)]년 [age(2008-01-01)]년 [age(2006-01-01)]년 [age(2005-01-01)]년 [없음]

8. 장타율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역대 장타율 1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백인천
MBC / .740
장효조
삼성 / .618
이만수
삼성 / .633
김성한
해태 / .575
1986년 1987 1988년 1989년 1990년
김봉연
해태 / .514
이만수
삼성 / .579
김성한
해태 / .577
김성한
해태 / .512
장종훈
빙그레 / .545
1991년 1992년 1993년 1994년 1995년
장종훈
빙그레 / .640
장종훈
빙그레 / .659
양준혁
삼성 / .598
김기태
쌍방울 / .590
장종훈
한화 / .562
1996년 1997년 1998년 1999년 2000년
양준혁
삼성 / .624
김기태
쌍방울 / .636
이승엽
삼성 / .624
이승엽
삼성 / .733
송지만
한화 / .622
2001년 2002년 2003년 2004년 2005년
펠릭스 호세
롯데 / .685
이승엽
삼성 / .689
심정수
현대 / .720
클리프 브룸바
현대 / .608
래리 서튼
현대 / .592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
이대호
롯데 / .571
이대호
롯데 / .600
김태균
한화 / .622
김상현
KIA / .632
이대호
롯데 / .667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최형우
삼성 / .617
박병호
넥센 / .561
박병호
넥센 / .602
강정호
넥센 / .739
에릭 테임즈
NC / .790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에릭 테임즈
NC / .679
최정
SK / .684
박병호
넥센 / .718
양의지
NC / .574
멜 로하스 주니어
kt / .680
2021년 2022년 2023년
양의지
NC / .581
이정후
키움 / .575
최정
SSG / .548
1984년부터 공식적으로 수상

관련 둘러보기 틀 타자 역대 타율 1위 | 역대 최다안타 1위 | 역대 홈런 1위 | 역대 타점 1위 | 역대 득점 1위 | 역대 도루 1위 | 역대 출루율 1위 | 역대 장타율 1위 | 역대 승리타점 1위
투수 역대 다승 1위 | 역대 평균자책점 1위 | 역대 탈삼진 1위 | 역대 세이브 1위 | 역대 홀드 1위 | 역대 승률 1위 |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 한국프로야구에서 최고장타율상은 1984년에 신설됐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백인천 MBC 청룡 0.740 -
1983 장효조 삼성 라이온즈 0.618 골든글러브
1984년 최고장타율상 타이틀 신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4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0.633 최초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1985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0.575 2관왕(홈런&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86 김봉연 0.514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7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0.579 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88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0.577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9 0.512 최초 2년 연속 장타율 1위
3관왕(홈런&장타율&승리타점)&골든글러브
역대 최저 장타율 장타율왕
1990 장종훈 빙그레 이글스 0.545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1991 0.640 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최다안타&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2 0.659 KBO 리그 유일무이 3년 연속 장타율 1위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1993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598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신인왕
1994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0.590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1995 장종훈 한화 이글스 0.562 KBO 리그 유일무이 4번째 장타율 1위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1996 양준혁 삼성 라이온즈 0.624 3관왕(타율&장타율&최다안타)&골든글러브
1997 김기태 쌍방울 레이더스 0.636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
1998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0.621 골든글러브
1999 0.733 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00[2] 송지만 한화 이글스 0.622 골든글러브
2001 펠릭스 호세 롯데 자이언츠 0.695 외국인 최초 장타율 1위
2관왕(장타율&출루율)
2002 이승엽 삼성 라이온즈 0.689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03 심정수 현대 유니콘스 0.720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4 클리프 브룸바 0.608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05 래리 서튼 0.592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06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0.571 트리플 크라운+장타율 1위(4관왕)&골든글러브
2007 0.600 2년 연속 장타율 1위
골든글러브
2008 김태균 한화 이글스 0.622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09 김상현 KIA 타이거즈 0.632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0 이대호 롯데 자이언츠 0.667 KBO 리그 유일무이 타격 부문 7관왕[3]&MVP&골든글러브
2011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0.617 3관왕(홈런&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12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0.561 3관왕(홈런&타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3 0.602 2년 연속 장타율 1위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14 강정호 0.739 골든글러브
2015 에릭 테임즈 NC 다이노스 0.790 단일 시즌 최고 장타율
4관왕(타율&득점&장타율&출루율)&MVP&골든글러브
2016 0.679 2년 연속 장타율 1위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17 최정 SK 와이번스 0.684 2관왕(홈런&장타율)&골든글러브
2018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0.718 2관왕(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19 양의지 NC 다이노스 0.574 3관왕(타율&장타율&출루율)&골든글러브
2020 멜 로하스 주니어 kt wiz 0.680 4관왕(홈런&타점&득점&장타율)&MVP&골든글러브
2021 양의지 NC 다이노스 0.581 2관왕(타점&장타율)&골든글러브
2022 이정후 키움 히어로즈 0.575 5관왕(타율&최다안타&타점&출루율&장타율)
2023 최정 SSG 랜더스 0.548 -
<rowcolor=#ffffff,#ffffff> 수상/기록 후 경과 년도 전신 포함 / 해체 구단 제외
SSG 키움 NC kt 삼성 롯데 KIA 한화 LG 두산
[age(2023-01-01)]년 [age(2022-01-01)]년 [age(2021-01-01)]년 [age(2020-01-01)]년 [age(2011-01-01)]년 [age(2010-01-01)]년 [age(2009-01-01)]년 [age(2008-01-01)]년 [age(1982-01-01)]년 [없음]

9. 승리타점

파일:KBO 리그 로고(영문/다크모드).svg 역대 승리타점 1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0px solid; margin:-1px; margin-top:-1px; margin-bottom:-1px"
1982년 1983년 1984년 1985년
양세종
OB / 9점
이만수
삼성 / 13점
김용철
롯데 / 11점
이광은
MBC / 11점
이만수
삼성 / 13점
1986년 1987 1988년 1989년 (승리타점 폐지됨)
한대화
해태 / 15
김형석
OB / 11점
김성한
해태 / 17점
김성한
해태 / 15점
관련 둘러보기 틀 타자 역대 타율 1위 | 역대 최다안타 1위 | 역대 홈런 1위 | 역대 타점 1위 | 역대 득점 1위 | 역대 도루 1위 | 역대 출루율 1위 | 역대 장타율 1위 | 역대 승리타점 1위
투수 역대 다승 1위 | 역대 평균자책점 1위 | 역대 탈삼진 1위 | 역대 세이브 1위 | 역대 홀드 1위 | 역대 승률 1위 | 역대 세이브 포인트 1위
}}}}}} ||
  • 최다승리타점상은 1982년부터 1989년까지 존재했다.
<rowcolor=#ffffff,#ffffff> 연도 이름 소속팀 기록 비고
1982 양세종 OB 베어스 9 골든글러브
1983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13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MVP&골든글러브
1984 김용철 롯데 자이언츠 11
(공동 1위) 
골든글러브
이광은 MBC 청룡
1985 이만수 삼성 라이온즈 13 3관왕(홈런&타점&승리타점)&골든글러브
1986 한대화 해태 타이거즈 15 골든글러브
1987 김형석 OB 베어스 11 -
1988 김성한 해태 타이거즈 17 4관왕(홈런&타점&장타율&승리타점)[30]&MVP&골든글러브
1989 15 KBO 리그 유일무이 2년 연속 승리타점 1위
3관왕(홈런&장타율&승리타점)[31]&골든글러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최장기간 연속 타율 1위 보유[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4] 아버지 이종범은 1994년 해태 타이거즈 소속팀으로 0.393의 타율로 타격왕을 차지했고, 아들 이정후는 2021년 키움 히어로즈 소속팀으로 0.360의 타율로 타격왕을 차지하며 부자 타격왕이라는 타이틀이 만들어졌다.[없음] [없음] [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9] 시즌 128경기 체제에서 기록한 것이다.[없음] [없음] [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없음] [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없음] [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21] 역대 30도루 이상 도루 기록한 선수 중 최고 성공률(92%).[없음] [없음] [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없음] [2] 타격 부문에서 2관왕 이상이 나오지 않은 유일한 해이다.[3] 도루를 제외한 타격 타이틀 전 부문을 석권했다.[없음] [30]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안타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2000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4관왕 달성이다.[31] 김성한은 이 해에 최다득점 1위도 기록했기 때문에, 타격 부문상이 타율, 최다안타, 홈런, 타점, 득점, 도루, 장타율, 출루율로 고정된 2000년부터의 수상 기준으로 봐도 3관왕 달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