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과천청사역 | |||||
| |||||
불암산 방면과 천 ← 1.0 ㎞ | 4호선 (439) | 오이도 방면인덕원 3.0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미개통 전철 노선 보기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 ||||
덕정 방면양 재 ← 7.8 ㎞ | GTX-C 건설 중 | 인덕원 3.0 ㎞[1] → | }}}}}}}}} | ||
역명 표기 | |||||
과천선 | 정부과천청사 Government Complex Gwacheon 政府果川廳舍 / 政府果川厅舍 / [ruby(政府果川庁舎, ruby=チョンブ·クァチョンチョンサ)] | ||||
4호선 | |||||
주소 | |||||
경기도 과천시 중앙로 지하100 (별양동 1) | |||||
관리역 등급 | |||||
무배치간이역 (과천그룹 소속 / KN 광역사업처) (안양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서부본부) | |||||
운영 기관 | |||||
과천선 | 한국철도공사 |
개업일 | ||
과천선 | 1994년 4월 1일 | |
4호선 |
역사 구조 | ||
지하 2층 | ||
승강장 구조 | ||
복선 상대식 승강장 (횡단 가능) | ||
철도거리표 | ||
금정 방면인덕원 ← 3.0 ㎞ | 과천선 정부과천청사 | 남태령 방면과 천 1.0 ㎞ → |
이 역과 인덕원역 사이에 과천정보타운역이 건설 중이다. |
[clearfix]
1. 개요
<nopad> |
정부과천청사역의 한국철도 100주년 기념 스탬프. 관악산 연주대를 형상화했다. |
2. 역 정보
| |
맞이방 |
|
역 안내도 [[https://drive.google.com/file/d/11hduONnsWGRYs0mQJjki3OOwtCDpuGhQ/view?usp=drive_link|{{{#ffffff 크게 보기}}}]] |
| |
<rowcolor=#fff> 제2종합청사역 시절의 폴 사인 | 제2종합청사역 시절의 역명판 |
2020년 5월, 국토교통부의 발표에 의하면 위례과천선 종점이 될 예정이다.#
2023년 7월, GTX C노선의 정부과천청사역~창동역이 지하 대심도 전용 구간(37.95㎞)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정부과천청사역을 기준으로 오전 7~9시, 오후 6~8시 등 출·퇴근시간에 5분 간격으로 배차가 이뤄진다. 그 외 시간대에는 평균 7.7분 간격으로 운행되며 하루 총 164회 걸쳐 상‧하행 정차된다. GTX C노선은 2023년 착공하여 2028년 완공 예정으로 알려졌다.#
2023년 8월, GTX C노선 정부과천청사역이 과천시 중앙동 6번지 및 6-2번지 지하에 신설되고 4호선과도 연계 예정이다. 출입구는 2곳으로 계획되었다.#
과천역 방향으로는 열차가 서행운전을 한다.
이 역의 이름을 과천정부청사역으로 헷갈려 하는 사람들이 있다. 또한 역명이 6글자인데 비해 역에 걸려있는 안내 LED의 길이가 4글자까지만 표시가 가능해서 '과천청사'로 표시된다.
2024년 11월 30일부터 과천시가 서울시 기후동행카드 사업에 동참하기로 결정하면서, 11월 30일부터 진접선 구간과 함께 기후동행카드 승하차가능 역이 하행 기준 이 역까지 확장됐다.[4] 이에 따라 서울대공원, 서울랜드, 렛츠런파크 서울 등으로 갈 경우에도 기후동행카드를 쓸 수 있게 됐다. 다만 과천선의 승하차량 대부분이 이름과는 다르게 안양시 구간 역들이[5] 1~3등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다음 역인 인덕원역부터는 아직 사용이 불가능한 것은 아쉬운 부분.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정부과천청사가 있다. 정부과천청사 뿐만 아니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국사편찬위원회, 과천소방서, 과천경찰서, 한국수자원공사 한강유역본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과 같은 국가기관이 있다. 지방 공공기관으로는 과천시청과 과천시 출자 지방공기업 과천도시공사 본사가 있다. 그 외에는 코오롱그룹의 본사인 코오롱빌딩, KT M&S 본사, 교보빌딩 등과 같은 대형 빌딩이 있고, 옆으로는 상업지구도 있고 그 뒤로는 아파트가 들어서 과천시의 상업, 경제, 행정 등의 중심지 역할을 맡고 있다. 이 역이 실질적인 과천시의 중심역이자 과천선의 메인역으로 과천선의 과천시 구간 중 승하차량이 가장 많다. 행정기관이 몰려있는 지역 특성상 유사시 대피용 동선으로 설계되었기 때문에, 출구가 11개나 있으며 4호선 단일역으로는 가장 많다.[6]수도권 남부에서 관악산을 등산하기 위해 오는 여행객들이 주로 이 역을 이용한다. 주말에는 아웃도어 등산복 입은 사람이 꽤 보이는 역이다.
이 역 2번출구 앞에 있는 이마트 과천점 건물에 신천지예수교 증거장막성전의 본부가 있었다.
역이 정부과천청사 유휴지와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GTX C노선의 역사 신설과 R&D 시설 등이 함께 추진된다고 한다.
3.1. 출구 정보
| |
1 | 과천중앙공원 국민건강보험공단 과천지사 |
2 | 주공4단지 이마트 과천점 래미안슈르아파트 |
3 | 별양동 |
4 | 별양동행정복지센터 과천문원중학교 문원초등학교 과천우체국 과천위버필드 |
5 | 원문동행정복지센터 과천정보과학도서관 과천위버필드 래미안슈르아파트 |
6 | 정부과천청사 주차장 한국수자원공사 한강유역본부 과천맑은물사업소 과천중앙고등학교 과천센트레빌아스테리움 과천수자인아파트 |
7 | 정부과천청사 정부과천청사 주차장 |
8 | 정부과천청사 정부과천청사 주차장 공정거래위원회 서울지방공정거래사무소 |
9 | 과천시청·과천보건소 과천시민회관 과천도시공사 시민광장 |
10 | 정부과천청사 별관 과천경찰서 과천소방서 구세군사관대학원대학교 과천여자고등학교·과천외국어고등학교 |
11 | 중앙동행정복지센터 과천푸르지오써밋 과천중학교 |
4. 일평균 이용객
||<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00a4e3><bgcolor=#00a4e3> 연도 ||
||<bgcolor=#00a4e3> 비고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1994년~2009년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1994년 | 15,855명 | |||
1995년 | 18,425명 | ||||
1996년 | 20,758명 | ||||
1997년 | 21,251명 | ||||
1998년 | 21,625명 | ||||
1999년 | 20,545명 | ||||
2000년 | 20,265명 | 비고 | |||
2001년 | 24,805명 | ||||
2002년 | 26,284명 | ||||
2003년 | 30,875명 | ||||
2004년 | 21,637명 | [7] | |||
2005년 | 20,500명 | ||||
2006년 | 20,626명 | ||||
2007년 | 21,800명 | ||||
2008년 | 22,302명 | ||||
2009년 | 23,795명 | }}}}}}}}} | |||
2010년 | 24,507명 | ||||
2011년 | 25,035명 | ||||
2012년 | 25,457명 | ||||
2013년 | 24,507명 | ||||
2014년 | 24,632명 | ||||
2015년 | 24,440명 | ||||
2016년 | 24,214명 | ||||
2017년 | 24,330명 | ||||
2018년 | 23,829명 | ||||
2019년 | 23,813명 | ||||
2020년 | 14,847명 | ||||
2021년 | 16,060명 | ||||
2022년 | 18,565명 | ||||
2023년 | 20,716명 | ||||
2024년 | 22,728명 | ||||
출처 | |||||
한국철도공사 광역철도 수송통계 자료실 |
- 수도권 전철 4호선 48개역 중에서 이용자수로 30위를 차지하고 있다.
- 과천선 구간에서 이용자수가 1위인 범계역, 인덕원역, 평촌역에 이어서 4위인 역이면서 과천시에서는 1위다.
- 과천선 과천시 구간에서 가장 이용객이 많은 역이다.
- 정부 관련 부처가 집중되어 있어 공무원들이 주로 이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9시가 가까운 시각에 하차하면 주위에서 주섬주섬 공무원증을 걸고 뛸 준비들을 한다.[8]과천시 거의 대부분이 그린벨트에 묶여있어 시가지가 넓지는 않지만 과천의 상업/업무 중심지이기 때문에 배후 인구에 비해 많은 유동인구와 이용률을 보여 대략 2만 4천여 명이 이 역을 이용한다. - 2012년 정부과천청사의 주요 부처들이 정부세종청사로 이동하였지만, 이용객 수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와 주변 아파트 단지들의 재건축 공사기간이 겹치면서, 2020년 일평균 승하차량이 14,847명으로 절반 가까이 줄어들었다가 2021년부터는 다시금 증가 추세이다.
- 과천정보타운역이 생기면 이 역의 수요는 더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인구 8만 도시에 역이 너무 많다 - 과천시 인구가 8만 5천명임을 고려하면 의외로 이 역의 수요는 적지 않은 편이다. 그러나 GTX 전용선로 역으로 선정된 것에는 말이 많다. 최소 인덕원역까지는 전용선로를 깔았어야 한다는 것. 여기에 이 역은 위례과천선 환승 예정역이라 환승 수요는 더욱 늘어날 예정이다. 다만 과천의 인구가 적어 2만명대 중반 이상의 수요는 못 가져올 가능성이 높다.(...)
5. 승강장
5.1. 수도권 전철 4호선
|
스크린도어 설치 전 승강장 |
|
스크린도어 설치 후 승강장 |
↑ 과천 | |||
1 | ㅣ | ㅣ | 2 |
인덕원 ↓ |
1 | | 대공원·이촌·명동·창동·불암산 방면 |
2 | 인덕원·금정·산본·안산·오이도 방면 |
2021년 과천선 급행화 예비타당성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이 역에 외선을 건설해 쌍섬식 승강장으로 만들어 대피역으로 활용한다는 계획이 나왔다.
5.2.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이 교통 시설 또는 노선은 개통되지 않았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에는 현재 설계, 계획이나 공사 등의 이유로 개통되지 않은 교통 시설 또는 노선에 대한 정보가 서술되어 있습니다.
|
GTX-C 정부과천청사역 조감도 |
↑ 양재 | |||
ㅣ | 상 | 하 | ㅣ |
인덕원 ↓ |
상 | | |
하 |
6. 연계 교통
주요 노선은 모두 중앙로를 따라 운행하며, 통영로에는 과천시 면허 노선만 정차한다.6.1. 상행 정류소 - 정부과천청사역2번출구(21009·37018)
2번 출구와 4번 출구 사이에 위치해 있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6.2. 하행 정류소 - 정부과천청사역3번출구(21010·37006)
9번 출구 정류소에 위치해 있으며, 과천 면허와 일부 노선을 제외한 모든 노선의 경로가 인덕원역까지 동일하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bfff;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0000;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d5bab;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6.3. 통영로 정류소
6.3.1. 정부과천청사역10번출구.시민회관(21060) - 10번 출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b62367;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6.3.2. 소방서앞(21055) - 11번 출구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6.4. 정부과천청사역5번출구(21027) 정류소
- 정부과천청사역 5번 출구에서 우체국 방향으로 150m 가량 걸어가면 나오는 정류소다.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cc99; font-size: .8em"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c600; font-size: .8em"
7.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a4e3> 진접선 | 진접 - 오남 - 별내별가람 - 불암산 > |
서울 지하철 4호선 | > 불암산 - 상계 - | |
과천선 | > 남태령 - 선바위 - 경마공원 - 대공원 - 과천 - 정부과천청사 - 인덕원 - 평촌 - 범계 - | |
안산선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과천선의 역 목록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06e5b> | |
수도권 광역급행철도 C노선 | | |
| ||
| ||
}}}}}}}}} | ||
다른 노선의 역 둘러보기 |
[1] 수도권 전철 4호선과 선로를 공유(기존 과천선 사용)한다.[2] 개정 전 54번. 현재 4호선의 54번은 신길온천역이 가져갔다.[3] 이 무렵 대전광역시에 정부대전청사(가칭 제3종합청사)가 생겼다.[4] 진접선은 이전까지 하차만 가능하였다.[5] 2023년 데이터 기준으로 범계역 - 인덕원역 - 평촌역 순. 과천시 구간 역들은 모두 저 역들보다 승하차량이 적었다.[6] 다만 너무 많기도 하여서, 역에서 다소 떨어진 엉뚱한 곳에 출구가 있기도 한다. 정부과천청사역 11번 출구는 플랫폼으로부터 상당한 길이의 복도를 걸어가야 한다.[7] 해당 연도까지 철도통계연보의 자료를 반영하였다.[8] 정부청사역에서 정부청사까지는 5분 정도로 긴거리가 아니지만 청사 내부가 넓은데다 입구의 보안검색 등을 고려하면 지하철역에서 은근히 오래걸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