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6 06:43:16

동남여객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시내버스 회사
{{{#!wiki style="margin: 0 -11px -5px"
{{{#1f2023,#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국제여객 금진여객 남부여객 대도운수
대진여객 동남여객 동원여객 동진여객
부산여객 부일여객 삼성여객 삼신교통
삼진여객 삼화PTS 성원여객A 세익여객
세진여객 시민여객 신성여객 신한여객
영신여객 오성여객 용화여객 유한여객
일광여객 일신여객 창성여객 태영버스
태진여객 학성여객 한창여객 해동여객
화신여객 산성교통B
A : 본사가 부산광역시 외에 위치
B : 한정 면허 업체
}}}}}}}}}}}}

파일:부산진구 CI.svg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의 버스 회사
<colbgcolor=#2a5caa><colcolor=#fff> 시내버스 대도운수 동남여객1 태진여객2
마을버스 대도공영 대명교통 범우교통 세성교통1
신지교통 한국교통 한창버스1
1: 주사무소가 부산진구 외에 소재
2: 부산진구에 영업소를 둔 회사
동남여객자동차 주식회사
東南旅客自動車
Dongnam Bus Trans Corporation
업종명 운수업
설립일 1977년 5월 13일
대표 성현도, 성재영
주사무소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35 (용당동)
전화번호 본사: 051-624-8201
개금 영업소: 051-893-1901
장림 영업소: 051-263-6011
면허대수 시내: 정규 87대, 예비 4대
마을: 10대
자본금 7억원 (2022.12)
매출액 241억 6,455만 9,559원 (2022)
영업이익 6억 6,793만 6,786원 (2022)
순이익 8억 7,189만 5,466원 (2022)
자산총액 361억 4,653만 76원 (2022.12)
주주 성재영: 51.22%
성현도: 48.78%
임직원 259명 (2022.12)
사이트 http://www.thebus.co.kr[주의]

1. 개요2. 차량 운용3. 역사4. 차고지5. 면허 체계6. 차량운용대수7. 운행 노선
7.1. 개금 영업소 소속 노선7.2. 장림 영업소 소속 노선
8. 폐선·철수한 노선9. 보유 차량10. 관련 문서11.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부산광역시 남구 용당동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시내버스 운수회사다. 창성여객, 마을버스 회사인 대명교통과 계열이다. 홈페이지도 창성여객과 공유한다.(들어가기)

원래 부산 시내버스 최다 보유대수 업체였다. 하지만 2004년도에 동남여객에서 창성여객(134번)을 통째로 인수하면서 용당동 시종착 자사노선들이었던 구.21번, 구.25번, 68번, 구.68-1번 노선들을 모두 창성여객으로 이관시켰다. 그 과정에서 134번이 단독으로 사용했던 차고지 부지를 매각하고 134번 역시 동남여객/창성여객의 본사인 용당차고지에서 시종착을 하게 된다. 본사는 그대로 용당동이지만, 정작 시종착하는 노선은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사실상 개금영업소가 거의 본사처럼 사용되고 있다.[2] 현재는 개금영업소의 67번, 167번과 장림영업소의 138번, 138-1번, 2000번만 남았다.

본래부터 창성여객과 계열 관계였던 것은 아니나 차고지가 인근에 위치했던 관계로[3] 어느정도의 교류는 있었다. 신한여객 계열과는 친인척 관계로 얽혀 있다.[4] 신한여객의 창업주(현 신한여객 대표와 유한여객 대표 형제의 아버지)인 성한경 대표의 동생 성주경 대표의 아들이 동남여객의 대표로 있다고 한다.

계열사인 창성여객과 마찬가지로 회사 내 유일한 두 자리수 노선 번호가 주력노선이다.

2023년 9월 1일에 수요응답형 교통체계(DRT)인 '타바라'를 신설했다.

2. 차량 운용

과거부터 현대자동차 위주로 운영했다. 자일대우버스는 로얄미디와 하이파워/로얄시티를 출고한 것이 전부다.

2006년부터 천연가스버스를 투입했는데, 당시 근처에 충전소[5]가 있었던 장림영업소에 먼저 투입하고 개금충전소는 2009년에 투입을 시작했다. 개금영업소 차량은 대도운수 학장영업소 앞에 있는 대도하이젠(주)에서 충전을 하고, 장림영업소 차량은 신선대CNG충전소[6]에서 충전한다.

2017년 전국 최초현대 일렉시티를 10대를 계약했으며, 그해 12월 차량이 출고되어 167번에 투입했다. 이 때부터 그동안 급경사로 인해 저상버스를 투입하고 있지 않던 개금영업소 노선에 저상버스가 투입되기 시작했다. 이후 2019년 12월 우진산전 아폴로 1100을 도입해 BS106 F/L 이후 11년만에 현대차 외의 제조사를 도입하게 되고 부산에서 최초로 복수 제조사의 전기버스를 보유하게 되었다.[7] 아폴로를 출고하면서 개금영업소는 아예 전기버스 충전이 대량으로 가능하도록 영업소를 리모델링했다.

2022년 11월 마을버스 운영용으로 범한자동차 E-STAR 8을 들여오면서[8] 세 가지의 전기버스를 운영하게 되었으며, 2023년 2월 부산 최초로 범한자동차 E-STAR 11을 동년 3월말부터 67번에 투입해 운행을 시작했다.

2023년 7월에는 장림영업소에도 전기충전소를 설치했으며 시범용으로 67번 범한 E-STAR 11 2대가 138-1번으로 내려가 운행을 했으며, 이후 10월에 범한 E-STAR 11 2대를 추가 출고하여 138-1번에 정식으로 투입했다.[9]

2023년 9월 1일에 수요응답형 교통체계인 타바라를 신설했는데 카운티 뉴 브리즈 3대[10], 마스터 2대[11]로 운용하며 전부 중고차량이다.

2024년 4월 장림수소충전소 개장에 따라 2000번 운행분으로 동진여객과 함께 비수도권 최초 현대 유니버스 FCEV를 출고했다. 부일여객의 BS106 좌석형 이후 약 20년만에 출고되는 전비형 차량이다.

3. 역사

지금의 동남여객은 동남여객 외에도 대명여객, 신평여객에 뿌리를 두고 있다.
  • 동남여객: 1977년 5월, 부산시 당국의 시내버스 직영화와 기업화 시책에 따라 신한여객 용당사업소가 분리독립하여 설립되었다. 설립 당시의 노선은 25번(21대), 34번(13대)이 있었다. 1980년에 34번이 분리독립하는 창성여객으로 넘어가면서 1985년 대명여객에서 68번을 인수해 오기까지는 25번 하나만을 운행하던 소규모 업체였다. 1998년 8월, 화신여객에서 21번을 인수했다. 2004년, 창성여객을 인수함과 동시에 21번, 25번, 68번, 68-1번을 양도하면서 현재까지 동남여객 노선이 용당동 본사에서 시종착하는 노선은 전무한 실정이다. 21번25번은 2007년 5월 15일 준공영제 개편으로 폐선되면서 동남여객 창립 원년 노선마저 없어졌다.
  • 대명여객: 1977년, 아성여객에서 분리된 업체. 대명여객 외에 금화여객이 분리되어 설립되었으나 알려진 정보가 없다. 동성여객에서 운행했던 중형버스 노선인 67번을 양수받았다. 1982년 9월, 동남여객에 인수되어 계열사가 되었고, 1983년 7월, 대명운수 또한 동남여객에 인수되어 계열사가 되었고 1990년 1월, 대명여객에 합병되었다. 이후 구.67-1번, 68번, 구.97번, 167번, 구.168번 등도 대명여객 소속으로 운행했지만, 1985년에 68번을 동남여객에 양도했으며, 구.67-1번, 구.97번, 구.168번은 수요가 저조하여 모두 폐선되었다. 1999년 8월, 신평여객을 흡수하여 장림영업소를 두었으나 2002년 1월, 동남여객에 시내버스 노선을 모두 넘기고 마을버스 노선만 남았다.[12] 현재의 개금영업소.
  • 신평여객: 언제 설립되었는지는 불명확하나 1972년 부산시내버스조합 창립명단에 있었기 때문에 최소한 그 이전부터 존재했다고 볼 수 있다. 당시 사명은 영생운수. 1개 노선 32대를 보유했던 소규모 업체였다. 1973년 2월 22일 노선개편 때 구덕운동장~서면~사상 주물공단으로 변경했다는 기록이 있다. 1979~80년 경에 영생운수에서 신아여객이 분리되어 38번을 가져갔고,[13] 138번을 가져간 영생운수가 동화여객으로 사명을 바꿨다. 동화여객 시절에는 101번을 운행한 이력도 있다.[14] 1년 뒤에 대한여객, 1985년에 신평여객으로 사명을 바꿨다. 1999년 8월, 대명여객에 흡수되었지만 대명여객마저 동남여객에 흡수되면서 장림영업소가 되었다. 1990년대 후반까지 개금영업소는 계열사인 대명여객이었으며, 장림영업소는 신평여객이었다. 정확하게는, 상기했듯이 동남여객과 대명여객은 본래 계열사였고, 1999년 8월에 대명여객이 신평여객을 인수하고 3년 후 동남여객이 대명여객의 모든 지분을 흡수하며, 대명여객은 시내버스 노선을 모두 동남여객에 넘기고 마을버스 업체로 전환되었다. 따라서 개금영업소와 장림영업소가 동남여객 소유가 된 것이며, 현재 운행중인 노선 중 2000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은 전부 대명여객 출신이다. 그리고 이 중 138번, 138-1번은 신평여객에서 대명여객을 거쳐온 노선.

4. 차고지

영업소 소재지 보유 노선 CNG충전소 전기충전소 비고
본사 부산광역시 남구 신선로 335 (용당동) 시종착노선 없음 X O [15]
개금영업소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진사로 78 (개금동) 67번, 167번 시종착 X[16] O [17]
장림영업소 부산광역시 사하구 을숙도대로 678 (장림동) 138번, 138-1번 시종착
2000번 주박
X[18] O [19]

5. 면허 체계

  • 부산 70 아 3701 ~ 3705
    • 타바라 면허.
  • 부산 70 자 1901 ~ 1960
    • 동남여객의 순수 주 면허. 동남여객 용당 본사 노선들이 창성여객으로 대거 넘어가는 바람에 3대[20] 밖에 없다.[21]
  • 부산 70 자 1601 ~ 1653
    • 대명여객 면허. 동남여객에 인수되면서 넘어왔다. 현재 동남여객의 실질적인 주 면허다.
  • 부산 70 자 3501 ~ 3543
    • 구.신평여객 면허. 장림영업소를 대명여객이 인수했다가 동남여객에 인수되면서 넘어왔다.
  • 부산 70 자 5401 ~ 5403, 5406, 5411 ~ 5412, 5415, 5435호
  • 부산 71 자 5501 ~ 5502
    • 동남여객의 좌석버스 면허로, 2000번 운행을 위해 발급받았다.
  • 부산 71 자 16##
    • 동남여객 좌석버스 면허. 2001년에 68번 좌석버스가 폐지된 이후 말소되어 현재에는 사용하지 않고 있다.
  • 부산 71 자 24##
    • 구.신평여객 좌석버스 면허. 현재에도 삼신교통에 2462호 한 대가 남아 있다.
  • 구 번호판: 부산 5 자 16##[22]

6. 차량운용대수

  • 시내버스
    • 67번: 30대
    • 138번: 24대
    • 138-1번: 18대
    • 167번: 13대
    • 2000번: 2대
    • 예비차: 4대
    • 도합: 91대
  • 대명교통
    • 부산진10번: 6대
    • 부산진10-1번: 4대
    • 도합: 10대
  • DRT
    • 타바라 5대

7. 운행 노선

7.1. 개금 영업소 소속 노선

7.1.1. 시내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67 개금아파트 백병원입구 - 개금골목시장 - 부산진우체국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 지오플레이스 ←) - 범곡교차로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 구덕운동장 - 학장교차로 - 엄궁중학교 엄궁아파트단지 5~6분
167[공동배차1] 개금아파트 백병원입구 - 개금주공아파트 - 백양뜨란채아파트 - 협성피닉스 - 당감시장 - 부산진구청 - 서면 - 범내골역 - 부산진시장 - 부산진역 - 부산역 - 부산터널 동아대학교병원 11분

7.1.2. 대명교통 마을버스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부산진
10
개금백병원 개금역 개금삼거리 4분
부산진
10-1
개금아파트 백병원입구 - 개금역 - 주례교차로 - 학장교차로 - 구덕고교 구덕대림아파트 12~13분

7.2. 장림 영업소 소속 노선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138 신평공단 동매역 - 신평배고개 - 신평입구 - 하단교차로 - 동아대학교 - 엄궁동주민센터 - 부산은행사상공단지점 - 주례교차로 - 개금역 - 부산진우체국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중앙시장 - 문현교차로 - 문현초등학교 - 대연SK뷰아파트 - 남구청 - 대연역.부산은행 - UN기념공원.부산문화회관 - 부경대용당캠퍼스 용당동 10분
138-1 신평공단 구평동주민센터 - 동매역 - 신평역 - 가락타운아파트 - 엄궁동주민센터 - 부산은행사상공단지점 - (→ 괘법한신아파트 →) - 서부시외버스터미널.사상역 - 주례역 - 개금역 - 개금주공아파트 - 진양교차로 - 서면역.롯데호텔백화점 - 전포역 - 문현교차로 - 우암초등학교 - UN기념공원.부산문화회관 - 부경대용당캠퍼스 용당동 16분
<rowcolor=#fff> 번호 기점 주요 경유지 종점 배차간격
2000[공동배차2] 하단역 을숙도문화회관 - 명지오션시티 - 경제자유구역청 - 가덕도 - 거가대교 - 대금교차로 - 옥포중학교 - 연초면사무소 고현터미널 20~30분

8. 폐선·철수한 노선

9. 보유 차량

9.1. 현재 보유차량

9.1.1. 현대자동차

9.1.2. 우진산전

9.1.3. 범한자동차

9.1.4. 르노

9.2. 과거 보유차량

9.2.1. 현대자동차

9.2.2. 자일대우버스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지역별 버스운송사업조합 이사장 업체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경성여객·도원교통·선일교통·선진운수 동남여객·창성여객 대명교통 강인여객
광주 대전 울산 경기
대진운수 대전교통·대전버스·대전운수 한성교통 삼경운수·성우운수1
강원 충북 충남 · 세종 전북
화성고속 대성티앤이·청주교통 온양교통·삼안여객 전북고속·전북여객
전남 경북 경남 제주
금호고속 경북고속·진안고속·대화교통·일선교통·코리아와이드 포항·코리아와이드 포항마을버스 부산교통·대한여객·영화여객·부일교통·통영교통·삼포교통·하동버스 극동여객
1: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연합회 회장 겸임
}}}}}}}}} ||


[주의] 해외에서 접속은 불가능하다.[2] 다만 장림에서 시종착하는 노선들은 모두 종점이 용당동이긴 하다.[3] 현재 창성여객 용당동 본사 맞은편에 있는 주유소 자리가 구 창성여객 본사였다.[4] 동남여객의 탄생배경부터가 신한여객 용당영업소가 분리되어 탄생한 업체이다.[5] 당시 영업소 바로 앞에 영신여객 CNG충전소도 있고, 장림CNG충전소도 있었다.[6] 둘 다 용당에서 종착한 뒤 바로 운행하지 않고 본사 와 가까운 충전소에서 충전을 한뒤 신평공단으로 출발한다.[7] 두 차량 모두 기존의 전기 충전기를 공유하는 건 아니고 기존에 설치되어 있던 전기 충전기는 일렉시티 충전용으로 사용하고 다른 한 쪽에 아폴로 전용 충전기를 따로 설치했다.[8] 부산 최초의 중국산 반조립 차량이다. 다만 반조립 차량이라 차대번호를 조회하면 법적으로 국산차로 간주한다. 비슷한 시기에 남부여객에서도 부산 시내버스 최초로 들여왔다.[9] 기존 67번에서 138-1번으로 잠시 파견을 갔던 E-STAR 11 차량은 67번으로 복귀했다.[10] (주)서호, 어린이집/유치원 출신이다. 어린이집/유치원 출신 차량의 경우 앨리슨 오토 미션이 탑재됐다.[11] 자가용 출신이다.[12] 그러나 대명여객이 순수 마을버스 업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마을버스 운송조합에는 가입하지 않았다.[13] 신아여객은 1983년 2월, 광진여객에 인수되어 계열사가 됨과 동시에 안전여객으로 사명을 바꿨고, 38번이 폐선되어 11번과 96번을 공동배차했다. 1985년 10월, 광진여객과 합병되어 동진여객이 설립되었다.[14] 현존하는 부산 버스 101 노선이 맞다.[15] 창성여객 본사. 창성여객과 계열사가 되고 나서도 본사는 용당동에 그대로 두고 있다. 다만 138번과 138-1번의 회차지점이 이 근처이긴 하다. 138번 주말 운휴 일부 차량, 67번 휴차차량이 용당동에서 주박한다.[16] 대도운수 학장영업소에 있는 대도하이젠에서 충전을 한다.[17] 사실상 본사 및 면허등록지. 본래는 구.대명여객 본사였다. 측면 행선판과 후면 행선판에는 차고지 부근에 있는 동서대학교로 표기되어 있다.[18] 신선대CNG충전소에서 충전을 한다.[19] 본래는 구.신평여객 본사였다.[20] 1925, 1932, 1948[21] 서울의 서울버스와 비슷한 케이스다.[22] 재미있게도 2000년 대명여객을 인수하면서 부산 70 자 16##의 면허도 가지게 된다.[공동배차1] 창성여객 공동배차[공동배차2] 동원여객, 동진여객, 태영버스, 세일교통, 삼화여객 공동배차[25] 초기 시절부터 엄궁~부산진시장~구덕운동장 시절까지 대명여객에서 운행했으나, 용당동으로 이전되면서 동남여객으로 변경. 2004년도에는 용당동 기점 노선들을 창성여객으로 분리하면서 변경.[26] 2017년 4월 22일에 철수했다.[27] 타바라 전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