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2-07-20 12:39:35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22>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바르샤바 조약군의 체코슬로바키아 침공
Warsaw Pact invasion of Czechoslovakia
파일:바르샤바 조약군 침공.jpg
냉전의 일부
날짜 <colbgcolor=#fff,#191919>1968년 8월 20일 ~ 8월 21일
장소 체코슬로바키아
결과 바르샤바 조약군의 승리
영향 1991년 까지 체코슬로바키아소련군 주둔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개혁 과정 탄압
알바니아바르샤바 조약기구 탈퇴
소련 - 중국의 관계 극도로 악화
모스크바 보충 협약 체결
교전국
[ 펼치기 · 접기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 펼치기 · 접기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군사 지원국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외교적 지원국
[ 펼치기 · 접기 ]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알바니아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펼치기 · 접기 ]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지휘관
[ 펼치기 · 접기 ]
파일:체코 국기.svg 알렉산데르 둡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루드비크 스보보다
파일:체코 국기.svg 올드리치 체르니크
파일:체코 국기.svg 마르틴 주르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니콜라에 차우셰스쿠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요시프 브로즈 티토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엔베르 호자
파일:중국 국기.svg 마오쩌둥
파일:중국 국기.svg 저우언라이
[ 펼치기 · 접기 ]
파일:소련 국기.svg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파일:소련 국기.svg 알렉세이 코시긴
파일:소련 국기.svg 니콜라이 포드고르니
파일:소련 국기.svg 안드레이 그레치코
파일:소련 국기.svg 이반 야쿠봅스키
파일:소련 국기.svg 콘스탄틴 프로발로프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브와디스와프 고무우카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보이치에흐 야루젤스키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마리안 스피할스키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유제프 치란키에비치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볼레스와프 초차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플로리안 시위츠키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토도르 지프코프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도브리 드주로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카다르 야노시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러요시 치네게
파일:동독 국기.svg 발터 울브리히트
파일:쿠바 국기.svg 피델 카스트로
파일:북한 국기.svg 김일성
파일:베트남 국기.svg 호찌민
파일:몽골 국기.svg 욤자깅 체뎅발
병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군
235,000명
전차 2,500대 ~ 3,000대
[ 펼치기 · 접기 ]
초기 침공:
총 병력 25만 명
전차 2천 대
최대 병력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35만 명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바르샤바 조약군 7만 명 ~ 8만 명
전차 6,300대
피해 규모
[ 펼치기 · 접기 ]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1]
사망 137명
부상 500명
[ 펼치기 · 접기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군
사망 96명
자살 5명
부상 87명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군 사망 10명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군 사망 4명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군 사망 2명


[clearfix]

1. 개요

소련바르샤바 조약군을 이끌고 체코슬로바키아 사회주의 공화국을 침공한 사건이다.
파일:attachment/praga115Bopt.jpg
체코슬로바키아에 입성한 폴란드군 전차

2. 배경

체코슬로바키아소련위성국이였지만, 체코슬로바키아가 차근차근 자유화를 이뤄나가는 프라하의 봄을 추진하여 개혁하고 있었는데, 소련은 체코슬로바키아가 자유화가 이루어지면 주변 동유럽 국가들까지 공산주의 세력에서 벗어나려 할 것이라고 우려하여 소련은 동유럽의 안정화를 위해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과 함께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다.

3. 전개

침공 후 얼마 되지 않아 8월 20일에서 21일로 넘어가는 새벽에 20만 명의 바르샤바 조약군과 2천 대의 전차가 체코슬로바키아에 입성했고, 입성한 바르샤바 조약군들은 공항과 체코슬로바키아의 군부대를 완전히 장악했고, 이 과정에서 70명의 민간인들이 사망했다. 침공 사실을 알게된 체코슬로바키아의 서기장 알렉산데르 둡체크는 피해가 더 커질 것을 우려하여 자국 시민들에게 소련군에게 저항하지 말라고 요구했지만, 많은 시민들이 탱크에 불을 지르거나 바리게이트를 치거나 길을 잘못 알려주는 등 소련군과 바르샤바 조약군에게 자발적으로 저항했다.

21일 새벽 알렉산데르 둡체크가 바르샤바 조약군에 의해 체포되어 모스크바로 이송되었고, 이 사건으로 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에서는 소련을 규탄하는 시위가 벌여졌다. 알렉산데르 둡체크가 모스크바에서 모든 조치를 철회한다는 프로토콜에 서명하고 체코슬로바키아로 돌아갔다.

4. 영향

알렉산데르 둡체크는 체코슬로바키아에 돌아간 후 바로 구스타우 후사크에게 후계자 자리를 내어주고 물러난다. 둡체크가 쫓겨나고 새 서기장 구스타우 후사크는 둡체크가 추진했던 개혁들을 모두 돌려놓게 된다.

5. 반응

5.1.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침공 전 중국소련과 계속 갈등을 빚어오고 있었다. 소련이 중국의 경제지원 약속을 지키지도 않고 중국인도가 국경분쟁을 벌일때도 소련은 중국을 지원하지 않고 중립을 취하자 중국은 소련에게 깊은 반감을 가지게 되었고, 관계는 악화된다. 그런데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자 중국은 제3세계 및 다른 사회주의 국가들에게 친중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소련을 제국주의, 팽창주의 국가라고 대대적으로 비난했으며 중국과 소련의 관계는 더욱 극도로 악화되었다.

5.2. 파일:베트남 국기.svg 북베트남

앞서 말했던 중국과 소련이 분쟁을 겪고 있을때 중국은 북베트남에게 자국을 지지해달라고 요청했다. 그러나 북베트남베트남 전쟁이라는 중요한 목적을 가진 전쟁을 한참 치르는 도중이였기 때문에 중국, 소련의 군사지원 모두 절실히 필요했던 상황이였고, 결국 북베트남은 소련을 지지했고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했을때도 소련과 관계를 강화하기 위해 소련을 지원했다.

5.3.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파일:동독 국기.svg 동구권

바르샤바 조약기구 회원국들 중 체코슬로바키아 침공에 참여하거나 가담한 국가들은 체코슬로바키아의 민주주의가 포함된 개혁정책을 규탄했으며, 헝가리 혁명처럼 번질 것을 우려했다.

5.4. 파일:NATO 깃발.svg 북대서양 조약기구

서방의 여러 나라들은 소련에게 군대를 즉시 철수할 것을 요청했으며 명백한 전쟁 도발 행위임을 경고했다.

5.5.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국은 체코슬로바키아의 상황을 대부분 무시했다. 그런데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자 유엔에 안보 회의를 긴급 요청하고 서방과 함께 소련의 행위를 규탄했다. 그러나 미국 또한 한참 베트남 전쟁을 치르는 도중이라 제대로 신경 쓸 여유가 없었고, 미국과 소련은 쿠바 미사일 위기 이후 전략무기제한협정을 체결했기때문에 체코슬로바키아의 사소한 분쟁으로 다시 한번 전쟁 직전의 상황까지 가는건 원하지 않았다.

5.6.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당시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한 소련, 폴란드, 헝가리, 불가리아, 동독의 만행을 규탄했다.

5.7.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루마니아는 침공에 참여하지 않았다. 루마니아의 서기장 니콜라이 차우셰스쿠가 소련의 영향력의 강력한 반대자였고, 알렉산데르 둡체크 편에 섰다고 선언한 바도 있으며, 소련의 정책을 가혹한 말로 묘사한 대중 연설을 한 바도 있다.

5.8.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핀란드는 소련의 정치적 영향력 하에 있었지만, 중립국이였던 핀란드는 소련이 체코슬로바키아를 침공하자 엄청난 충격을 받고 위협을 느낀 바 있다.
[1] 군인 및 민간인 수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