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16 01:27:31

크롬웰 전차

센토어 전차에서 넘어옴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영국군 기갑차량
파일:영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영국군기갑차량
전차 탱켓 <colbgcolor=#fefefe,#191919>L3/35C
경전차 M2A4, 경전차 Mk.I, 경전차 Mk.II, 경전차 Mk.III, 경전차 Mk.IV, 경전차 Mk.V, 경전차 Mk.VIA, ,경전차 Mk.VIB, 빅커스 Mk. ET, 테트라크 I/CS, 해리 홉킨스, 하고C, 2호 전차 L형 '룩스'C
순항전차 순항전차 Mk. I (A9), 순항전차 Mk.II (A10), A13 Mk.I, A13 Mk.II, A13 "커버넌터", 순항전차 Mk.VIA 크루세이더 I/II/II CS/III (A15), 카발리어 (A24), 순항전차 Mk.VIII 센토어 I/II/III/IV/V/VI/VII/VIII/CS (A27L), 순항전차 Mk.VIII 크롬웰 I/II/III/IV/V (A27M), 챌린저 (A30), 코멧 I (A34)
보병전차 빅커스 미디엄 Mk.II, 보병전차 Mk. I "마틸다" I (A11), 보병전차 Mk.II "마틸다II" I/II/IIA/III/IV/IV CS (A12), 보병전차 Mk. III "밸런타인" I/II/III/IV/V/VI/VII/VIII/IX/X/XI, 보병전차 Mk.IV "처칠" I/II/III/IV/V/VI/VII(A22)
중형전차 그랜트 I/II/III/IV/V/VI/VII/VIII/IX, 셔먼 IC/IC 하이브리드/셔먼 VC, Pz.Kpfw. T-34/85 747(r)C, 3호 전차C, 4호 전차 D/G형C
중전차 Mark VC, Mark VIC
렌드리스 차량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스튜어트 I/II/III/IV/V/VI, 채피, 리 I/II/III/IV/V/VI/VII/VIII/IX, ,셔먼 V,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I 하이브리드, 셔먼 II, 셔먼 IIA, 셔먼 IIAY, 셔먼 IB, 셔먼 IBY, M10 Mk.I, M10 Mk.II, T26, T26E3, "튤립" 파생형 전차 및 장갑차(M4 셔먼, 크롬웰 문서 참고.), 그레이하운드 파일:소련 국기.svg German Heavy Tank,Mark V
시험 차량 인디펜던트 (A1E1)), TOG I, TOG II*, A39 토터스, A33 엑셀시어, A38 발리언트, A7 전차, A41 센추리온A, A43 블랙 프린스
대전차 자주포 알렉토 I/II/III/IV, T48 GMCL, M10 Mk.IL, M10 Mk.IIL, M10 IC 아킬레스L/M, M10 IIC 아킬레스L/M, Mk.I 아처, AEC Mk.I 건 캐리어 디콘
보병지원용 조명전차 셔먼 CDLL/M, 마틸다 CDL, 그랜트 CDL
구난전차 크루세이더 ARV, 처칠 ARV, 그랜트 ARV
해변용 구난전차 셔먼 BARV, 그랜트 BARV
공병전차 처칠 AVRE
화염방사전차 처칠 크로커다일
지뢰제거전차 셔먼 III 크랩, 셔먼 V 크랩, 그랜트 스콜피온 III/IV, 밸런타인 스콜피온
가교전차 처칠 가교전차, 밸런타인 가교전차, 커버넌터 가교전차
자주포 섹스턴, 프리스트L, 비숍
장갑차 롤스로이스 장갑차, AEC Mk.I/II/III 장갑차, 스탠다드 비버레테, 카든-로이드 Mk.VI, 유니버설 캐리어 Mk.I, 유니버설 캐리어 Mk.II, 컨벤트리 장갑차, 다임러 AC 장갑차,
가이 장갑차, 험버 장갑차, 마몬-헤링턴 장갑차, 캥거루 APC, 란체스터 6x4 중장갑차, 테라핀 수륙양용 장갑차, ACV-IP 장갑차,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L, 화이트 스카웃 카L,디어하운드L,
정찰 차량 다임러 딩고, 험버 LRC, 모리스-커머셜 LRC, 모리스-커머셜 CS9, T17E1 스태그하운드
차량 AEC "도체스터" ACV 4x4/6x6 장갑지휘차, 베드포드 QL 다목적 트럭, 베드포드 OX/OY 다목적 트럭,
오스틴 K2/Y 중 의무후송트럭(앰뷸런스), 오스틴 K3/YF 다목적 트럭, 오스틴 K5 다목적 트럭,
모리스-커머셜 C8 쿼드 FAT 포병 트랙터,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DSW 6x4 포병트랙터, 모리스-커머셜 C9/B 4x4 40mm 보포스 탑재형
AEC "마타도어" 포병용 중 트랙터/하프트랙, 레일랜드 리트리버 6x6 10톤 대형 수송트럭,
레일랜드 히포 MK.II 중형 다목적 트럭, 레일랜드 비버-얼(장갑화) 건트럭, GMC DUKWL, 윌리스 MBL, Sd.Kfz. 7C, Vauxhall B.T. Three-Quarter track Traclat, 스카멜 파이오니어
자주대공포크루세이더 AA Mk.I, 크루세이더 AA Mk.II, 크루세이더 AA Mk.III, 경형 AA Mk.I, AEC AA, T17E2 스태그하운드
기술교류파일:소련 국기.svg T-34-76, KV-1 1941년형
기타 전차 퍼니전차, A46, FV 시리즈, AT 시리즈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윗첨자A: 전후 도입
윗첨자C: 노획 차량
윗첨자M: 개조 차량
윗첨자L: 렌드리스 차량
윗첨자T: 훈련용 차량
※둘러보기 :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파일:A27L_Cromwell_Thumbnail.jpg
Tank, Cruiser, Mk VIII, Cromwell (A27M)

1. 개요

크롬웰 기동 영상
영국군제2차 세계 대전~6.25 전쟁 당시 운용한 순항전차. 명칭의 유래는 잉글랜드 연방의 초대 호국경올리버 크롬웰.

2. 제원

파일:external/static.howstuffworks.com/cromwell-a-27m-infantry-tank-2.jpg
Tank, Cruiser, Mk VIII, Cromwell (A27M)
제원
중량 28t
전장 6.35m
전폭 2.908m
전고 2.49m
승무원 5명 (전차장, 포수, 탄약수(무전수 겸임), 조종수, 전방기총사수)
장갑 최대 102mm
주무장 Ordnance QF 75mm (64발)
부무장 7.92 mm Besa 기관총 2정 (4,950발)
엔진 롤스로이스 미티어 V12 가솔린 엔진 (600hp)
출력비 21.4 hp/t
변속기 메리트-브라운 Z.5 변속기 (5단 전진, 1단 후진)
현가장치 크리스티 개량형
연료량 500L + 128L(외부 연료탱크 추가)
항속거리 270km (도로), 128km (야지)
속도 64km->52km/h
생산량 3,016대

3. 개발사

파일:external/www.militaryfactory.com/cruiser-tank-cavalier-a24.jpg
A24 카발리어 프로토타입

당초 개발되고 있던 A24에는 롤스로이스 멀린 항공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던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을 탑재할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당시 영국 본토 항공전(Battle of Britain)을 비롯한 많은 항공전들도 한창 일어나던 상황이라, 롤스로이스는 공군 항공기에 필요한 멀린의 증산에 바쁜 상황이라서 미티어 엔진의 생산과 부품조달이 어려울거라는 우려가 있었다. 여기에 냉각장치를 비롯한 미티어 엔진의 기계적인 안정성 문제도 우려되는 상황이었고, 당시 너필드는 자신들이 라이센스권을 가진 리버티 엔진을 더 많이 생산하기를 바라고 있었기 때문에 미티어 엔진 탑재를 거절했다. 결국 'MK VII 순항전차 A24 크롬웰'에는 너필드의 리버티 엔진을 장비되는게 확정났다.

너필드 사의 반대로 결국 A24 전차에 미티어 엔진의 탑재가 좌절되었는데, 이런 상황에서도 여전히 너필드 사의 리버티 엔진보다 성능이 뛰어난 미티어 엔진의 필요성이 제기되었고 결국에는 탑재 엔진을 놓고 순항전차 개발 프로젝트가 2개로 분리되었다. 1941년 중순부터 당시 영국에서 가장 큰 차량 회사였던 레이랜드도 개발권을 얻으면서 미티어 엔진 탑재를 추진하는 방향으로 순항전차 개발을 시작했으며, A24의 설계를 기반으로 A27 프로젝트의 개발을 시작했다. 이로써 순항전차 개발 프로젝트는 크게 2갈래로 갈렸다.

이미 1942년에는 라이벌 A24의 생산이 시작되었고, 리버티 엔진 장착형인 A27L도 동년에 생산에 돌입했다. 하지만 미티어엔진의 수급과 냉각장치 문제로 궁극적으로 계획한 A27M은 개발에 난항이 생긴다. 일단 개발중에는 미티어 엔진의 수급이 어렵기도 해서 중고 롤스로이스 멀린 엔진들을 개조해서라도 미티어 엔진을 만들어가는 상황도 있었지만 1943년동안 미티어 엔진을 장착한 크롬웰의 테스트는 지속적으로 진행되었다.

1943년 하반기에는 테스트가 거의 끝나갔다. 여러 시험을 거치면서 크롬웰에 장착된 미티어 엔진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었고, 미티어 엔진의 수급도 이전보다 안정화되면서 전차와 엔진을 생산할 준비가 되었다. 크롬웰의 본격적인 생산은 1943년 말부터 시작하여 1944년까지 진행되었다. 다만 M4 셔먼이 이미 많이 영국군에 조달되었던 상태라 크롬웰은 3000대 정도만 생산되었다.

4. 형식

4.1. 크롬웰 I

파일:Puckapunyal-Cromwell-2.jpg
Cromwell I
센토어 1과 유사하지만 센토어 1과 다르게 미티어 엔진을 사용하였다. 6파운더 또는 75mm 주포를 사용할 수 있다. 357대 생산됨.

4.2. 크롬웰 II

궤도의 폭을 넓히고 공간확보를 위해 차체에 장착한 기관총을 제거하였다. 양산되지 않았다.

4.3. 크롬웰 III

센토어 1에 미티어 V12 엔진을 장착. 200대 정도 생산된 걸로 추정된다.

4.4. 크롬웰 IV

파일:external/www.theworldwars.net/thumb_uk_cromwell.jpg
Cromwell IV
미티어 엔진을 센토어 1 또는 3에 장착하였다. 1935대 생산됨.

4.5. 크롬웰 IVw

미티어 엔진을 사용. 용접된 차체를 사용하였다.

4.6. 크롬웰 Vw

75mm 주포를 장착하였다. 용접 차체를 사용하였다.

4.7. 크롬웰 VI

파일:external/www.tanks-encyclopedia.com/Cromwell-VI.jpg
Cromwell VI
QF 95mm 곡사포를 장착하였다. 341대 생산.

4.8. 크롬웰 VII

크롬웰 IV와 크롬웰 V에서 궤도를 넓히고 리벳방식에서 용접방식으로 바뀌면서 생긴 여유 중량으로 인해 장갑을 102mm까지 증가시키고 기어박스를 추가하였다.

4.9. 크롬웰 VIIw

크롬웰 VII를 기준으로하여 크롬웰 Vw를 재작업하였다.

4.10. 크롬웰 VIII

파일:external/www.tanksinworldwar2.com/cromwell-03.jpg
Cromwell VIII
크롬웰 VI를 크롬웰 VII 수준으로 재작업하였다.

5. 파생형

5.1. 기술 기반 파생형

5.1.1. A24 카발리어

파일:1dfa2n9p5wb41.jpg
Tank, Cruiser, Mk VII "Cavalier" (A24)
1940년부터 영국군은 6파운더 혹은 그 이상의 주포를 탑재하는 순항전차의 개발을 구상하고 있었다. 대전 초기였던 당시 크루세이더 전차의 개발이 급하게 진행되었고 머지 않아 첫 실전 배치도 이루어졌는데 영국군은 크루세이더의 빈약한 화력과 성능문제를 개선할 필요를 느끼고 있었다.

신형 순항전차의 요구사항은 6파운더 또는 그 이상의 주포를 운용할 수 있는 3인승 포탑, 76mm이상의 장갑, 보다 강력한 엔진, 그리고 24t 이내의 중량이었다. 이에 따라 처칠을 만든 벅스홀은 처칠의 설계를 축소하여 만든 A23 순항전차의 설계안을 내놓았고, 크루세이더 전차를 만든 너필드측은 크루세이더의 차체를 기반으로 제작한 A24 카발리어를 내놓는다. 경쟁에서 복잡하고 비효율적인 처칠의 엔진과 구동장치와 현가장치 설계를 그대로 옮겨온 A23보다 A24가 더 높은 평가를 받은 결과 신형 순항전차의 개발은 너필드의 A24로 이어지게 되었다.

A24의 본격적인 개발은 1941년부터 돌입하여 1942년까지 생산을 목표로 하였다. 또한 A24에는 당시 개발되고 있던 롤스로이스 멀린 항공용 엔진 기반의 신형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의 탑재도 예상되고 있었다. 그러나 당시는 아직 영국 본토 항공전(Battle of Britain)을 비롯한 많은 항공전들도 한창 일어나던 상황이라, 롤스로이스공군 항공기에 필요한 멀린의 증산에 바쁜 상황이라서 미티어 엔진의 생산과 부품조달이 우려되는 상황이었다. 여기에 미티어 엔진의 기계적인 안정성 문제도 우려되었고, 너필드는 자신들이 라이센스권을 가진 리버티 엔진을 더 많이 생산하기를 바라고 있었기 때문에 미티어 엔진 탑재를 거절하였고 결국 'MK VII 순항전차 A24 크롬웰'에는 너필드의 리버티 엔진을 장비되는게 확정났다.
결국 A24 전차에 미티어 엔진의 탑재가 좌절되었지만 이런 상황에서도 고성능 미티어 엔진의 필요성은 계속 제기되었고 결국에는 프로젝트는 크게 엔진을 중심으로 2개로 분리 되었다. 1941년 중순부터 당시 영국에서 가장 큰 차량 회사였던 레일랜드도 개발권을 얻으면서 새로운 순항전차 개발 프로젝트를 시작했는데, 레일랜드는 A24의 설계를 기반으로 미티어 엔진의 탑재를 추진하며 A27 프로젝트의 개발을 시작했다. 이로써 순항전차 개발 프로젝트는 크게 2갈래로 분리되었다.

프로젝트가 분리된 이후로도 A24는 A27과 별개로 개발되었다. 1942년 3월에는 A24의 시제차량이 처음 완성되었고, 영국 육군의 요구대로 6파운더 대전차포와 보다 강화된 리버티 엔진, 그리고 76mm 두께의 전면 장갑을 갖추었지만, 중량은 예정보다 늘어나 26.9t을 기록했다. 이때 첫 주행 테스트를 거쳤는데, 리버티 엔진의 낮은 성능으로 요구된 순항전차의 성능에 도달하기도 어려운 결과를 보이고, 현가장치와 변속기 등에서도 잔고장이 일어나면서 테스트에서 각종 문제점이 발견되었다.

원래 1942년 상반기에는 생산에 들어갈 계획이었지만 개발이 지연되는 바람에 빨리 6파운더 순항전차를 배치해야 했던 영국군은 급한대로 크루세이더 전차의 포탑을 재설계하여 6파운더를 장착하고 장갑을 50mm로 강화한 크루세이더 Mk.3 업그레이드를 추진하게 되었다.

A24 자체도 여러 문제가 발견되긴 했지만 1942년까지 엔진 문제에 있어서는 너필드가 유리한 상황이었는데 당시 미티어 엔진은 생산과 수급에도 불안함이 있었고, 기계적으로도 완벽함이 증명되지 않아서 미티어 엔진을 추진하던 레이랜드 역시 미티어 엔진의 실패를 대비하여 리버티 엔진을 장착할 A27L의 대비에도 동의했다. 때문에 A24 자체에도 문제가 있었음에도 급한대로 생산을 추진하는데는 A24가 유리했다.

1942년 중순부터 A24의 생산이 결정났고, 생산은 1943년 중순까지 진행되어 총 500대의 차량이 제작되었다. 하지만 리버티 엔진의 성능 문제 등으로 A24는 실전용으로 쓰이지 않고 훈련용으로만 쓰이거나 주포를 제거한[1] 포병 관측차량으로 개조되어 쓰였다. 일부는 구난전차로 개조되어 1944년 유럽전선에 보내져서 활약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1.1.1. 제원
제원
형식 명칭 순항전차 Mk.VII 카발리어 (개발명 A24)
중량 26.9t
전장 6.35m
전폭 2.90m
전고 2.44m
승무원 4명
장갑 최소 20mm, 최대 76mm
주무장 6파운더포(57mm 52구경) 1문 (64발)
부무장 7.92mm Besa 기관총
엔진 너필드 리버티 12기통 410마력 공랭식 가솔린 엔진
출력비 14.9hp/t
현가장치 크리스티
항속거리 266km
속도 39km/h(도로), 23km/h(야지)
총 생산대수 500량

5.1.2. A27L 센토어

파일:A27L_Centaur_Command_Tank_‘T187617’_–_IWM_Duxford_(51291803222).jpg
Tank, Cruiser, Mk VIII "Centaur"(A27L)
크루세이더 전차가 막 개발되어 배치되기 시작한 1940년부터 이미 크루세이더 전차를 대체하기 위한 신형 순항전차 프로젝트가 구상되기 시작했고, 여기서 너필드의 A24 크롬웰이 채택되며 1941년부터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갔다.

당초 개발되고 있던 A24에는 롤스로이스 멀린 항공 엔진을 기반으로 개발되던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을 탑재할 계획이 있었지만, 항공전이 한창이라 항공용 멀린 엔진의 생산이 급했던 당시 멀린 엔진 베이스의 미티어 엔진은 부품 수급문제가 우려되는 상황이었고 냉각장치를 비롯한 일부 기계적인 안정성에 대한 우려도 있었다. 결정적으로 리버티 엔진의 생산을 원하던 너필드사의 거부로 결국 A24에서 미티어 엔진의 탑재는 좌절되었다[2].

결국 미티어 엔진이 좌절되었음에도 여전히 너필드 사의 리버티 엔진보다 성능이 뛰어난 고출력 미티어 엔진에 대한 필요성도 제기되어 왔다. 1941년에 레이랜드는 미티어 엔진을 장착한 개선형 모델을 설계하기로 결정했고, 레이랜드는 롤스로이스 미티어 엔진의 탑재를 계획하며 A24의 설계를 기반으로 A27 프로젝트의 개발을 시작한다.

다만 A27의 개발이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은 1941년 6월에는 미티어 엔진이 실패할때를 대비하여 탑재 엔진에 따라 생산할 모델을 나눌 계획도 세워졌다. 이렇게 해서 리버티 엔진을 탑재한 A27L(크롬웰 2)과 미티어 엔진을 탑재한 A27M(크롬웰 3)이 계획되었다.

1942년 2월에 미티어 엔진을 단 A27의 시제차량이 생산되었는데, 이는 1942년 3월에 첫 시제차가 나온 라이벌 A24보다 2개월정도 프로토타입이 빨리 나온 것이다. 테스트 결과 600마력대 미티어 엔진 덕분에 우수한 주행을 기록했지만 우려대로 냉각 시스템에 문제가 발견되었고, 이에 따라 미티어 엔진의 실패를 대비하여 A27의 리버티 엔진 탑재형인 A27L의 생산을 먼저 추진하게 되었다. 그 결과 A27의 리버티 엔진 탑재형인 A27L(liverty) 크롬웰 2가 먼저 등장한다.

1942년 후반부터 1943년까지 총 950대가 생산되었다고 하며 1942년 11월에는 프로젝트 구분을 위해 크롬웰 2에서 센토어로 개명되었다.
파일:Tank_Mark_VIII_Centaur_in_the_Musée_des_Blindés,_France,_pic-5.jpg
파일:Memorial_Pegasus_-_Char_Centaur_IV.jpg
Centaur CS(Close-Support)[3]
A27L은 A27M 등장 이전부터 생산이 시작되어 1942년 말부터 총 950대가 생산되었다. 일부 차량은 95mm 곡사포를 장착한 CS 모델로 개수되어 1944년에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 투입되어 A27M 크롬웰과 함께 사용되었다.

그러나 95mm 장착형 센토어 역시 A27M 크롬웰의 95mm 버전이 등장하면서 교체되었다. 미티어엔진의 생산이 활발해지고 A27M 크롬웰이 본격적으로 투입된 1944년 이후에는 일부 센토어 차량들도 엔진을 미티어 엔진으로 교체하는 등의 작업을 거쳐 A27M 크롬웰과 동일한 사양으로 업그레이드되어 진짜 A27M들과 함께 사용되기도 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5.1.3. A34 코멧

파일:The_Tank_Museum_Comet_'Cestus'.jpg
A34 Comet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멧 전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4. FV4101 채리어티어

파일:BovCharioter.jpg
FV4101 Tank, Medium Gun, Charioteer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채리어티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5. A30 챌린저

파일:Challenger_A30_tank_Overloon_Aug_2019_02.jpg
Tank, Cruiser, Mk VIII "Challenger" (A30)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30 챌린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6. 엑셀시어

파일:external/www.themittani.com/a33%20real%202.jpg
Tank, Heavy Assault, Excelsior (A33)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A33 엑셀시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특징

파일:external/img.thesun.co.uk/SNN0421CRO_682_1385714a.jpg
파일:ee1f0spfme711.jpg
점프 기동을 시연하는 크롬웰
이전의 커버넌터크루세이더 순항전차가 급한 개발로 인한 무리수로 인해 평가가 안 좋은 것에 비해 크롬웰은 성능과 신뢰성에서 모두 이전의 순항전차들보다 우수했다.

크롬웰은 제2차 세계 대전중형전차순항전차들 중에서 가장 빠른 전차로 기록되었는데, 초기형의 경우 64km/h의 최대 속력을 자랑했고 현가장치도 개량되었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고속을 낼 수 있었다. 그리고 처음부터 6파운더를 탑재했기 때문에 이전의 영국군 전차들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고폭탄이 없다는 문제가 없었고, 이후 미국제 75mm를 영국식으로 자체 생산하면서 화력을 강화했다. 그러나 장갑과 주포의 강화로 중량이 늘어났고, 너무 빠른 속도에서의 기동은 구동부에 무리를 줬기 때문에 후기형은 일부러 최대 속력을 52km/h까지 제한시켰다. 이 정도로도 당시 기준으로는 충분하고도 남았다.

크롬웰의 기동성능에 관련된 일화들이 몇 있는데 한 전차장의 회고록에 따르면 적의 기습을 받아 후퇴하던 3대의 크롬웰이 6미터 너비의 강을 건너뛰어 도주한 적도 있다고 한다. #[4] 또 이상하게 자기 전차만 속력이 빨라서 정찰임무를 맡곤 했는데 전면 장갑에 맞은 20mm 기관포탄을 방호하지 못하고 그대로 박혀서 깜짝 놀라 알아보니 장갑이 얇은 훈련용 전차가 잘못 배정된 걸 실전에서 타고 있었다고 했다.[5] 그래도 여태껏 모르고도 잘 타고 다녔으니 계속 타고 다니기로 했고 주변의 배려로 비교적 안전한 정찰 임무를 계속 맡은 덕분에 전쟁 끝날 때까지 문제없이 살아남았다. 이 내용은 월드 오브 탱크에서 만화로도 나왔다.
크롬웰의 제자리 선회 기능
또한, 제자리 선회[6]가 가능했으며 동시기 판터나 티거 2는 제자리 선회를 정말 급할 때나 쓰는 비상수단쯤으로 여겼던 것에 비해 자유자재로 쓸 수 있었다. 영국 특유의 기술인 'Merrit-Brown trile differential'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처칠 전차와 크롬웰 전차에 첫 도입되어 아직도 저 기술이 챌린저 2에도 사용되고 있다.

7. 한계

파일:크롬웰 전차(구조도).jpg
크롬웰 전차 구조도
파일:001LoadingGauge.jpg
왼쪽부터 순서대로 영국, 유럽 대륙, 미국의 철도 건설한계[7]
보통 2차 대전기의 전차중에서 T-34 전차가 최악의 거주공간으로 손에 꼽지만, 크롬웰도 T-34와 비교 가능할 정도의 만만치 않은 실내 공간이 문제였다.[8]

그나마 차체가 수직 장갑이라 T-34보다는 실내공간 확보가 되었다고 하지만, 전차 내부의 공간을 차지하는 크리스티 현가장치의 한계가 있었고 여기에 실내에 공간장갑을 만들어서 그 공간에 현가장치를 넣는 설계때문에 T-34보다도 실질적인 내부 공간은 좁았다. 또한 구조상 현가장치의 수리시에는 해당 면의 바퀴를 전부 해제해야 했다. 이러한 단점들로 인해 승무원 피로가 늘어났는데, 사실 당대 보병전차였던 처칠 전차도 내부 공간이 비좁은 걸로[9] 유명해서 '닭장'이라고 비아냥댈 정도였다.

일단 당시 크롬웰의 기본적인 성능과 신뢰성은 우수한 편이었으나 설계가 본질적으로 1940년에 시작된 6파운더를 상정한 설계였다 보니 6파운더보다 큰 주포를 올리기가 어려웠다는 문제가 있었다. 화력 문제를 극복하려고 처음에는 대전차용 6파운더를 장착한 버전과 대보병용 95mm 곡사포를 장착한 버전을 함께 쓰려고 했으나 전장에서는 그런 합동운용은 힘들었고, 크롬웰이 배치된 1944년에는 사실상 6파운더로는 독일군의 중전차를 상대하기 어렵다고 판명이 났기 때문에 더 강력한 주포가 필요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원래 크롬웰이 배치되던 시기에 미국의 75mm의 탄자를 유용해서 QF 3인치 20cwt 대공포 포의 약협에다 끼운 75mm HV 주포를 크롬웰에 올릴 목적으로 개발했으나 크롬웰 포탑의 한계 때문에 올리기 어렵다고 판명났다. 결국 75mm HV 대신에 M4 셔먼 초기형 주포로 쓰인 M3 전차포의 포탄을 쓰는 QF 75mm 주포를 올리게 되었는데, 이 75mm는 화력이 6파운더보다 좋아도 관통력은 6파운더보다 떨어져서 티거판터같은 독일군의 전차들과 비교해서 대전차 능력이 형편없었다.

하지만 90mm가 나오기 전까지 M4 셔먼과 76mm 대전차 자주포밖에 없었던 미군보다는 상황이 나았는데, 영국군은 순항전차 3대마다 1대의 파이어플라이나 챌린저가 배속되어 화력을 보충하였고, 크롬웰의 기동력이 셔먼보다 훨씬 우수했기 때문에 우회타격이 용이하였다. 크롬웰 자체의 성능 문제보다는 설계된 시기에 비해 실전 배치가 이루어진게 너무 늦다보니 대전 후반의 전차들과 비교해서 전투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질 수 밖에 없었던 상황이었던 것이다.

한편 A27M 크롬웰이 생산되기 얼마전이었던 1943년 하반기에는 화력을 위해 연장한 크롬웰의 차체에 17파운더를 장착한 대형포탑을 올린 챌린저 순항전차도 1943년에 개발되었지만, 이것은 17파운더를 달기 위해 만든 무겁고 불편한 포탑 덕분에 신뢰성이 떨어지면서 실패로 돌아갔다.

결국 크롬웰이 배치되던 1944년 초반은 이미 OQF 6파운더 대전차포로는 모자른 시점이었고 더 강력한 주포를 장착한 새로운 전차가 필요하다고 판단되기 시작했다. 이미 1943년 하반기에 처음부터 17파운더를 장착하는 차세대 순항전차 A41의 개발이 시작되기는 했지만, A41의 등장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영국군은 일단 급한대로 빠르게 생산할 임시 고화력 순항전차의 개발을 요구하였다. 곧이어 빅커스-암스트롱에서 개발한 77mm 17파운더 HV[10]를 크롬웰 기반의 개량 차체에 장착한 코멧 전차가 개발되어 양산되었다. 그러나 코멧은 1945년 초가 돼서야 배치되어[11] 2차 대전중에 큰 활약을 하지는 못했다.

8. 실전

8.1. 제2차 세계 대전

8.1.1. 노르망디 상륙작전

파일:A_Cromwell_tank_of_7th_Armoured_Division,_Normandy,_30_July_1944._B8183.jpg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의 영국 육군 제7기갑사단 소속 크롬웰 전차
1944년부터 실전배치가 이루어졌기 때문에 2차 세계대전에서 오래 쓰이지는 않았다. 1944년 중순에 개시된 노르망디 상륙작전에 투입되는 것으로 첫 실전 기록을 세웠고, 상륙 일후(D+1) 시점에 상륙했다. 노르망디 상륙작전 당시 일어난 빌레르보카쥬 전투에도 투입되었는데, 독일의 미하엘 비트만이 지휘한 티거 부대와 붙으면서 셔먼 파이어플라이 와 함께 십수대가 파괴되는 일이 일어나기도 했다[12].

8.1.2. 독일 본토 진격전

파일:Czechoslovak soldiers in the end of the War in La Panne near Dunkerque in 1945.jpg
덩케르크 포위전 직후의 체코슬로바키아 독립기갑여단 소속 크롬웰
독일 본토 진격전 당시에도, 다수의 크롬웰이 영국 및 영연방군, 폴란드 서부군, 체코슬로바키아군 소속으로 편제되어 실전을 치뤘다.

8.2. 냉전

전후 크롬웰 약 200대는 20파운더를 설치한 신형 포탑을 장착하면서 채리어티어로 개조되었다.

8.2.1. 6.25 전쟁

파일:1953_cromwell_tank.jpg
6.25 전쟁 당시의 영국 육군 소속 크롬웰[13]
6.25 전쟁 당시 참전한 영국군이 운용하였으며, 1950년 11월 기준으로 제8왕립아이리시후사르연대 산하 정찰중대에 6대, 왕립포병 제45야전연대에 주포가 제거된 포병관측용 전차 8대로 총 14대의 크롬웰 전차가 한반도 땅을 밟았다.
8.2.1.1. 해피 밸리 전투
파일:happy_valley_cromwell.jpg
해피 밸리 전투 중 중공군의 집속수류탄 공격으로 인해 파괴된 영국 육군 산하 제8 왕립아이리시후사르 연대 소속 크롬웰
해피 밸리 전투 당시 제8 왕립아이리시후사르 연대 소속의 6량의 크롬웰 전차는 북한군과 중공군의 기습으로 인해 보병의 퇴각을 지원하며 후퇴하던 중 모두 유실되고 말았다.

이 중 4량이 북한군과 중공군의 육탄 공격으로 인해 완전 격파되고, 2량만이 살아남아 북한군이 노획하였는데, 이 중 1량은 사용 국가 문단의 북한군이 탑승하고 있는 24Z643번차와, 훗날 전략도서 확보 작전 중, 북한군이 유기하고 가 회수된 "히드라"였다.
8.2.1.2. 리퍼 작전
파일:North_korean_army_captured_Cromwell_tank.jpg
리퍼 작전 당시의 조선인민군 육군 노획 크롬웰 VII "24Z643번차"[14]
리퍼 작전 당시, 북한군이 해피 밸리 전투에서 노획한 사진의 크롬웰 24Z643번차가 투입되었으나, 한강 철교 아래에서 매복 중, 센추리온 전차의 저격으로 격파된 기록이 존재한다.[15]
8.2.1.3. 전략도서 확보 작전
파일:Cromwell Tank Hydra.jpg
전략도서 확보 작전 중 월미도에 유기된 조선인민군 노획 크롬웰 "히드라"
전략도서 확보 작전 중, 북한군은 인천을 방호할 병력이 남아 있지 않은 상태였기에, 월미도에 급한대로 노획한 "히드라"를 참호에 파묻고 전차호로 이용하다 공세를 이기지 못하고 이를 유기하고 패주하였다.

그리고 그 직후, 2월 11일 오전 7시 경, 월미도에 상륙한 대한민국 해군·해병 혼성부대가 "히드라"를 노획한 후, 구동계 수리를 진행하였으나, 자국의 전차이자 이전 해피 밸리 전투에서 북한군에게 노획된 전차라는 것을 확인한 영국군이 다음 날 새벽에 회수하였다. 그러나, 이는 국군과의 사전협의 없이 영국군이 가져간 것이었기에 당시 해군의 노명호 함장, 김종기 부대장이 영국군에 항의하였으나 영국군 측에서는 오히려 이 전차는 우리 재산이라며 엄포를 놓았고, 끝내 돌려받지 못했다.

8.2.2. 중동전쟁

8.2.2.1. 이스라엘 독립전쟁
파일:1948_Arab-Israeli_War_cromwell.jpg
이스라엘 독립전쟁 당시의 이스라엘 방위군 산하 제8기갑여단 82전차대대 소속 크롬웰
1948년 6월 29일 영국 육군 소속의 마이크 플래네건과 해리 맥도날드가 이스라엘 하이파에 위치한 영국군 기지의 크롬웰 2대를 몰래 이스라엘 방위군에게 가져다 줘 이스라엘 방위군이 이스라엘 독립전쟁에서 이길 수 있도록 도움을 주었다.

당시 해당 단차들은 "미리암"과, "루스"라는 이름이 부여되었으며, 종전 시까지 일선에서 고군분투하였다고 한다.

9. 사용 국가

9.1. 유럽

9.1.1. 서유럽

9.1.1.1. 영국
파일:sokkp4r79m521.jpg
바스토뉴 박물관 소장 근위 기갑사단 소속 크롬웰
원조 사용국.

9.1.2. 중부유럽

9.1.2.1. 폴란드 망명정부
파일:Cromwell_(A27M)_front-right_2017_Bovington.jpg
보빙턴 전차 박물관 소장 자유 폴란드군 제1기갑사단 소속 크롬웰 "T190003호차"
자유 폴란드군이 영국 정부의 지원을 받아 셔먼 파이어플라이와 함께 주력으로 운용하였다.
9.1.2.2. 체코슬로바키아 망명 정부
파일:czechoslovak_Cromwell.jpg
핸드맷 밀리터리 소장 자유 체코슬로바키아군 소속 크롬웰
자유 폴란드군과 마찬가지로 자유 체코슬로바키아군이 영국으로부터 공여받아 운용했다.

9.1.3. 동유럽

9.1.3.1. 소련
파일:Kubinka_Tank_Museum_Cromwell_IV.jpg
쿠빙카 전차 박물관 소장 크롬웰 IV
영국으로부터 6대를 공여받아 테스트용으로 사용했다.

9.2. 아시아

9.2.1. 동아시아

9.2.1.1. 북한
파일:wolmido_korean_marine_captured_Cromwell.jpg
영국군이 회수하기 전 촬영된 조선인민군 노획 크롬웰 네임드 차량 "히드라"[16]
해피 밸리 전투 직후, 도합 2량의 크롬웰 전차를 노획하였는데, 그 중 하나인 "24Z643번차"는 훗날 리퍼 작전 당시 한강 철교 아래 숨어 있다 센추리온 전차의 저격으로 완전 격파되었으며,[17] 나머지 1량은 전략도서 확보 작전 당시, 월미도 방어용으로 배치된 사진의 네임드 차량 "히드라 (Hydra)"로,[18] 대한민국 해병대 측에서 북한군이 유기하고 간 이 단차를 2월 11일 오전 7시 경, 월미도에서 노획하였다가 다음 날인 2월 12일 영국군에게 반환하였다.[19]

9.2.2. 서아시아

9.2.2.1. 이스라엘
파일:Yad_la_Shiryon_Cromwell_IV.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크롬웰 457번차 "미리암"
파일:Yad_la_Shiryon_Cromwell_III.jpg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 소장 크롬웰 211번차 "루스"[20]
1948년 6월 29일 깊은 밤, 유대인들을 도와주기 위해, 영국 육군 소속의 아일랜드인 마이크 플래네건[21]과 스코틀랜드인 해리 맥도날드[22]가 팔레스타인 하이파에 위치한 영국군 기지의 크롬웰 2대를 몰래 이스라엘 방위군에게 가져다 줘 이스라엘 방위군의 기갑전력에 도움을 주었다.

전시 중, 해당 전차 2대 모두 큰 피해를 입는 바람에 유기될 위기에 처하였으나, 다행히도 이 중 한대인 457번차 "루스"는 엔진에만 피해를 입었고, 나머지 211번차 "미리암"의 경우 포탑만 피해를 입었기에, 이후 이 두대를 믹스하여 새로운 크롬웰을 만들어 전시 내내 사용하였다고 한다.

전후, 이 "혼종 크롬웰"은 일선에서 물러난 후, 예비역으로 사용되었으며, 1978년 메르카바 전차의 데뷔 당시, 의장용으로 동원되기도 하였다.

현재 이 2대의 크롬웰은 모두 야드 라 시론 전차 박물관에 소장 중에 있다.

10. 미디어

미디어에서 등장한 크롬웰 전차 일람

10.1. 영화/드라마

10.1.1. 밴드 오브 브라더스

파일:external/www.ifelix.net/bandofbrothers10-450x252.jpg
밴드 오브 브라더스의 영국 육군 소속 크롬웰
4화에서 제101 공수사단 제506공수연대 제2대대 소속 이지 중대를 엄호하는 영국군 전차부대의 차량으로 등장한다. 셔먼과 함께 티거야크트판터에게 털려나간다.

10.2. 게임

10.2.1. 월드 오브 탱크

파일:external/wiki.gcdn.co/Cromwell_scr_2.jpg
크롬웰
영국 6티어 중형전차로 등장한다. 경전차에 비견될 만큼 빠른 전차이며 6티어 전차들 중에서도 독보적인 속력을 자랑한다. 하지만 수직안정기가 아직 달리지 않기 때문에 기동간 사격시에는 에임이 허벌창으로 벌어지기 때문에 이지에잇을 필두로한 미국 전차들과 비교해선 상황별 대처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7티어에는 코멧 전차로 올라간다.
파일:external/wiki.gcdn.co/Excelsior_scr_2.jpg
엑셀시어
파일:external/wiki.gcdn.co/Cromwell_B_scr_2.jpg
크롬웰 B형
크롬웰을 베이스로 개발된 중전차 영국 프리미엄 중(重)전차 엑셀시어와 영국 프리미엄 중형전차인 크롬웰 B형도 등장한다.
파일:월탱영국카발리어.jpg
카발리어
카발리어는 영국의 5티어 중형전차로 등장한다.

10.2.2. 워 썬더

파일:GarageImage_Cromwell_I.jpg
크롬웰 I
파일:GarageImage_Cromwell_V.jpg
크롬웰 V
파일:GarageImage_Cromwell_V_(RP-3).jpg
크롬웰 V (RP-3)
영국의 2랭크 중형전차로 나온다. 준수한 화력과 빠른 기동으로 준OP 취급 받는다. 그에 비해 장갑은 부실하니 주의를 요한다.

프리미엄 전차로 RP-3로켓이 달린 바리에이션도 있다.

10.2.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시리즈

10.2.3.1.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파일:external/static.giantbomb.com/1318607-cromwell_tank.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의 크롬웰 전차
어포징 프론트에서 영국군이 추가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전차의 성능은 그저 셔먼보다 조금 싸게 많이 뽑을 수 있고(참고로 4호 돌격포도 더 싼 가격에 얘보다 대전차전을 잘한다!) 진영 기본 생산 가능 기본 전차 중 가장 약하다. 심지어 영국군 미션에서 3대가 있어야 5호 전차 판터 하나를 겨우 상대할 수 있다는 걸 보여준다. 탄약을 소모하여 이동 속도를 항상 최대 속도로 이동할 수 있는 기술이 있다. 전장으로 빠르게 지원하러 가거나 도망칠 때 사용하자. 지휘전차 형태도 있다. 주변 전차에게 여러 보너스를 제공하며 일반 크롬웰과는 방어유형과 체력이 달라선지 적의 공격을 꽤 잘 버틴다. 대신에 주포는 아예 없고 위장용 가짜 주포가 달려 있어 전투용으론 거의 사용 불가.
10.2.3.2.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
파일:20210307_231334.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2에서 등장한 영국군 소속 크롬웰 전차
There's a rather splendid cromwell ready to go!
후속작인 2편에서도 영국군의 기본 전차로 등장한다.체력은 딱 평균급, 화력은 한심한 AOE, 산탄도, 관통력의 삼중주로 그야말로 중형전차 최악이지만 기동력이 좋고 셔먼과 같은 가격이다. 옛날엔 시스템상 덩치가 동급의 다른 전차들보다 크게 설정돼 있고 선회력이 높아 속력을 이용해 보병을 무지막지하게 밟을수 있었지만 지금은 덩치가 줄어서 그때만큼의 위용은 보여주지 못한다.
대신 재장전 속도 보너스를 두 번 받아 3베테런시 크롬웰은 상당히 강력하다.
10.2.3.3.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
파일:16776센토어04484812.jpg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 3에 등장한 영국군 소속 센토어 CS
영국군 진영의 유닛으로 센토어 CS가 등장한다.

10.2.4. 강철의 왈츠

중형전차로 등장하는데 특전차항목에 중형전차로 등장하는 마크7 데니스 아크니릭의 별명이 떽떽이다.

10.2.5. World Of Steel: Tank Force

5티어 전차로 등장하는데 화력이나 장갑은 당연히 4티어인 M4에 비해 좋지만, 그놈의 연사력이 고자라서 문제. 하필이면 M4의 연사력이 좋은편인지라 체감적으로 더 비교당한다.

10.2.6. Gunship Sequel WW2

파일:윙듀크롬웰.jpg
Gunship Sequel WW2의 크롬웰
영국군 2티어 전차로 등장한다.

10.2.7. 스틸 디비전 시리즈

크롬웰 IV, V, VI, VII형과 센토어 IV가 등장한다. 영국군 외에 자유 폴란드군이나 자유 체코슬로바키아군도 셔먼과 함께 공여받아서 사용한다. 하지만 영연방군 전체나 영국 본국 부대조차 셔먼 전차를 훨씬 많이 쓴다.

주력인 V형과 VII형의 공격력 자체는 셔면 75mm와 같지만 속도가 훨씬 빠르다. 셔먼도 크게 느린 편은 아니지만 속도로는 최고 수준. V형은 셔먼보다 방어력이 낮으며 중형 전차 중에선 상당히 장갑이 낮은 편이다. VII형은 셔먼보다 훨씬 튼튼하고 전면 한정 타이거와 비비는 수준의 방어력을 자랑한다. 독일이 1.7km 정도에서 PaK 40을 쏴도 잘 관통이 안 된다. 하지만 결국 주포 관통력이 약한 것이 단점이다. 1944년 시점의 게임이라 미디움급인 4호 전차3호 돌격포 전면장갑조차 1km 이상에서 관통을 잘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 셔먼과 마찬가지로 상당히 근접전으로 싸워야 하며 판터4호 구축전차는 초근접에서 정면을 쏴도 관통이 안 된다.

VI형은 95mm 고폭탄을 쏘는 주포로 2km까지 직사로 보병이나 중화기들을 날려버릴 수 있다. 센토어 IV 현장개조버전은 7km까지 곡사포격이 가능하다.

10.3. 만화

10.3.1. 걸즈 앤 판처

파일:external/pds23.egloos.com/b0012149_509cd09ab959b.jpg
걸즈 앤 판처에서 등장한 크롬웰 모형
5화에선 아키야마 유카리가 모은 프라모델로 등장하며 그 외 세인트 글로리아나 여학원의 추가 차량으로 등장한다.[23]

11. 모형

11.1. 프라모델

  • 1/35
    • 니치모
    • 타미야 모형
      1997년 제품으로 품질은 영국군 마니아 제조사 타미야답게 꽤 좋은 편이다. 조립 편의성은 말할 것도 없고 디테일과 기믹 모두 빠지지 않는다.
    • 에어픽스
      2021년 발매된 제품으로 금형 제작은 아카데미가 했다.
  • 1/72
    • 레벨
      에이스 금형이다. 에이스 금형 전차들이 그렇듯이 작은 크기에 디테일이 뛰어나다.
    • 에이스모형

12. 참고 문헌

13. 둘러보기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기갑장비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efefe,#393b42>모리스-커머셜 LRC, 다임러 장갑차, 험버 Mk. IV 장갑차, 폭스 장갑차
정찰차량, 기타 차량 링스 정찰장갑차, 모리스-커머셜 LRC, M3 스카웃 카, M6 스태그하운드, 험버 Mk. I 정찰차, 오터 LRC 경정찰차량, 쉐보레 CMP FAT 전장전개형 포병 트랙터,C15TA 장갑 트럭, 브렌건 캐리어
전차 경전차 M2A4, M3 스튜어트, 경전차 Mk.VI, M24 채피
중(中)형전차 M3 리/그랜트, 셔먼 I, 셔먼 III, 셔먼 IV, 셔먼 V, 셔먼 VC
중전차 Mk.VI
순항전차 센토어 IV, 그리즐리 I, 램 Mk.I, 램 Mk.II
보병전차 처칠 Mk.I, 처칠 Oke, 마틸다 II, 밸런타인 Mk.VII, Mk.VIIA
화염방사전차 Ram Badger flame tank
자주포 비숍, 섹스턴, M7 프리스트
대전차 자주포 M10 GMC, M10 아킬레스, 아처
자주대공포 Crusader III, AA Mk.I, Mk.II/III, 스킹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체코슬로바키아군 기갑차량
파일:체코 국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전간기 및 2차 세계대전
체코슬로바키아군(ČSA) 기갑차량
장갑차 <colbgcolor=#ffffff,#d80c13>OA vz. 23, OA vz. 27, OA vz. 30, PA-ll
전차 경전차 KH 전차, Tančík vz. 33, AH-IV, LT vz. 34, LT vz. 35,
T-12 경전차, T-15, T-70O, M5 스튜어트O
순항전차 크롬웰O, A30 챌린저O
중형전차 ST vz. 39, LT vz. 38S, T-21 전차, T-24, T-25, T-34-76O,T-34-85O, Pz.Kpfw. T-34/85 747(r)O, 파이어플라이O, 투란 중형전차O, 밸런타인 IIIO
중전차 IS-2O
자주포 Zb 16051/53/57/63/64, LSD 76/42SO, SU-85O, SU-100O, ISU-152O, 43M 즈리니IIO
※ 윗첨자O: 타국에서 노획 및 지원
※ 윗첨자S: 제식명을 부여받았으나, 정식 채용되지 못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대전기 기갑차량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소련군 기갑장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556b2f> 겨울전쟁 소련-일본 국경분쟁 제2차 세계 대전
소련 육·해군·NKVD기갑차량
전차
MS-1, V-26S, T-26A (1931년형, 1932년형), T-26B (1933년형, 1935년형, 1936년형), T-26S (1937년형, 1939년형), T-27, T-37, T-38, T-40, BT-2, BT-5, BT-7, BT-7M, T-50, T-60, T-70, T-80, T-46X, NI 전차

T-24, T-28, T-34-76 (1940년형, 1941년형, 1942년형, 1943년형), T-34E, T-34-57X, T-34-85 (D-5T) (1943년형, 1944년형), T-34-85 (S-53), T-34-85 (ZiS-S-53) (1944년형, 1945년형, 1946년형), T-44

T-35, KV-1, KV-85, KV-2, KV-220X, IS-1, IS-2, IS-3

KV-T, T-34-T, SU-85T, ISU-T

TU-26, TT-26, TT-BT-5, TT-BT-7
장갑차 D-8/12, BA-3, BA-6, BA-10, BA-11, BA-20, BA-27, BAL/BAL-M, FAI/FAI-M, BA-64, 이조르스크 장갑차
자주포 BT-7A, ZiS-30, SU-122, SU-76, SU-76M, SU-152, SU-85, SU-85M, ISU-152, ISU-122, ISU-122S, SU-100, SU-26X, SU-100YX, SU-14X
자주대공포 T-60-Z, T-90, ZUT-37, ZSU-37C, GAZ-AAA (4M), GAZ-AAA (DShK), GAZ-AA (72-K), GAZ-MM-V (72-K), ZiS-11/12(94-KM), ZiS-43
다연장로켓 BM-13,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T-20, GAZ-64, GAZ-AA, GAZ-AAA, GAZ-MM, GAZ-MM-V, UAZ-AA, GAZ-M1, GAZ-03-30, ZiS-5, ZiS-6, YAS-6, GAZ-51C, GAZ-63C, 코민테른 포병용 트랙터, 보로실로베츠 중 포병 트랙터, AT-P, GAZ-67
모터사이클 M-72
렌드리스 및 개조 차량 M3/M5 경형, M3 중형, M4A2 (75) «엠차», M4A2 (76)W «엠차», M4A2E8 «엠차», T26E3S, SU-M10X, MK-III «바랴-타냐», MK-IIIM, MK-III (F-95)X, 처칠 전차 (Mk.II, Mk.III, Mk.IV) , MK-II 마틸다, MK-II (ZiS-5), SU-57, 스카웃 장갑차,, 브렌건 캐리어, MK-VII 테트라크X, CCKW, 윌리스 MB, DUKW, 포드 GPA, M24 채피S, M4A4S, 스튜드베이커 US6, T70 GMCX, M2 하프트랙, M3 하프트랙X, M5 하프트랙, M9 하프트랙, ZSU M15A1 CGMC, ZSU M17 MGMC, M29 위즐X, LVTX, A27M 크롬웰S
노획 및 개조차량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TKS, 7TPS 파일: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국기.svg LT-40,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Т-38 프라하, Т-I, 지휘전차 КI, Т-II, Т-III, StuG SU-75, SU-76I, SG-122, Т-IV, Т-V 판터, Т-VI 티거 1X, Т-VI 티거 2S, 마우스S, 베스페 SU-105, 훔멜 SU-150, 나스호른 SU-88, 페르디난트S, 야크트티거S, M4 748(a)S, 35-R 731(f), 35-R 731(f) 20mm ShVAK 기관포 장착형, T-35 751(r), T-34 747(r), M4 748(a), 소뮤아 S35, 호치키스 H35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Т-2597 치하, 47mm 신호토 치하, Т-2595 하고, 3식 경전차 케루S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35M 안살도, 40/43M 즈리니IIX, 38M 톨디 IX, 42M 톨디 IIAX, 41M 투란 IIX, 40M 님로드X, M3 중형, T-28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르노 R35, R-1, 마레샬 구축전차S,TACAM T-60S 파일:핀란드 국기.svg BT-42S, ISU-152, 코이라스, Mk. E (Psv.K/36)S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L6/40S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르노 FTX 파일:러시아 해군기.svg 헤처
프로토타입 S-51, KV-3, KV-13, A-20, A-32, A-34, A-40, A-43, A-44, T-22 그로테, T-29, T-43, T-100, T-111, T-150, SMK, IT-45, IT-76, SU-122-44, T-54C, IS-4C, IS-6, KSP-76, ZiS-41, T-34-57 1943년형
페이퍼 플랜 KV-4, KV-5, 소련의 기갑병기 설계안 중 일부, LTP, MT-25, LTG, LTTB, 오비옉트 212, ST-1
그 외 보로실로프 전차, 스탈린 전차, 소련군/차량, KhTz-16 트랙터 전차
※ 윗첨자S: 노획 혹은 공여받거나 구매했으나, 테스트 용도로만 사용하거나 운용하지 않음
※ 윗첨자C: 프로토타입 상태로 종전 후 양산 됨
※ 윗첨자X: 실전에 참여했거나 노획 혹은 공여받았으나 100대 미만의 극소량만 운용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기갑장비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fefefe,#c0392b>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기갑차량
전간기 차량 피우수트스키 장갑차, 포드 Tf-c, 오스틴-푸틸로프O, 제프리-포플라프코O, 가포드-푸틸로프O, 에르하르트 E-V/4O, 피어리스O, 피아트-이조르스키O, 푸조O, 카든 로이드 Mk.VIO, 르노 FTO, 르노 M26/27O, 르노 NC-27O, 피아트 3000O
전차 <colbgcolor=#fefefe,#c0392b> 탱켓 TK-3, TKF, TKS
경전차 7TP, 빅커스 Mk. EO, 르노 FTO, 르노 R35O, 호치키스 H35O
프로토타입 TK-1, TK-2, TKW, TKS-B, PZInż.160, 4TP, 9TP, 10TP, PZInż.130
페이퍼플랜 13TP, 14TP, 53TP
장갑차 경장갑차 Wz.28, Wz.34
중장갑차 Wz.29 우르수스
대전차 자주포 TKS-D
자주포 TKD
군용차량 모터사이클 MOJ 130, 소쿠우 200, 소쿠우 600, 소쿠우 1000, 포드코바 98
차량 CWS T1, PF-508 와지크, PF-518 마주르, PF-508/518, 라플리 V15RO, 르노 AGKO, PF-618 그롬, Wz.34 하프트랙, 라틸 FB6O
군용트럭 PF-621L, PF-621R, 우르수스 A, 프라가 RVO, 베를리에 CBAO, 쉐보레 157
견인차 PZInż.302, C2P, C4P, C7P, 시트로엥-케그레스 B2 10CVO, 시트로엥-케그레스 C6 P14/17/19O
자유 폴란드군 장비 르노 FT, 르노 R35, 르노 R40, A13 Mk.III, 마틸다 I, 크롬웰, 크루세이더, 처칠, M3A3 스튜어트, 셔먼 I, 셔먼 IIA, 셔먼 IB, 셔먼 III, 셔먼 V, 셔먼 VC, 셔먼 IC, Mk.I 아처, 유니버설 캐리어, M3 하프트랙, 험버 장갑차, M6 스태그하운드, 모리스-커머셜 LRC, AEC 도체스터 ACV, M10 GMC, 3호 전차G형O, 4호 전차O
폴란드 인민군 장비 T-34-76O / T-34-85O, T-70O, IS-2O, BA-20O, 윌리스 MBO, BA-64O, M4A2 (76)O, BA-64, SU-57O, SU-76MO, SU-85O, ISU-122O, ISU-152O, 유니버설 캐리어O, M17 MGMCO
폴란드 국내군 장비 쿠부시, Sd.Kfz. 251 D형O, BA-20MO, BA-202(r)O, M14/41O, 헤처O, 4호 전차H형O, 5호 전차 판터O, 6호 전차 티거O
※ 윗첨자O: 타국에서 구매, 공여 및 노획
}}}}}}}}}

한국전쟁기 국군 및 유엔군의 기갑차량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파일:UN기.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국전쟁 시기
파일:대한민국 국기(1949-1997).svg 대한민국 국군 / 파일:UN기.svg 유엔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ff,#1c1d1f>M24 채피, M41 워커 불독
중형전차 M4A1, M4 컴포지트 헐, M4A3 (76) W VVSS,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 A34 코멧, M26 퍼싱, T-34-85C
돌격전차 M4 (105), M4A3 (105), M4 (105) HVSS, M4A3 (105) HVSS, M4 (105) 셔먼 도저, POA-CWS-H5, M4A3 (105) "포큐파인", M45 중형전차
주력전차 센추리온 Mk.3, M46 패튼, M47 패튼
중전차 A22 처칠 크로커다일, A22 처칠
구난전차 M32 TRV
장갑차 차륜장갑차 M8 그레이하운드, BA-64AC
반궤도 장갑차 M3A1 하프트랙
궤도 장갑차 M39 AUV, M44, M75, 유니버설 캐리어 Mk.I/II
상륙장갑차 LVT-3, LVT(A)-4
구난 및 견인차량 92식 8톤 견인차 니쿠?/IJA/R, M32B1A1, M32B1A2
대전차 자주포 M18 헬캣, M36 GMC, M36B2, M10 GMC, M10 아킬레스, SU-76MC
자주포 M7B1/B2 프리스트, M37 자주곡사포, M40 GMC, M41 고릴라
차량 차량 윌리스 MB, 닷지 M37
트럭 CCKW, 닛산 180IJA, 토요타 BM, GAZ-51C, GAZ-63C, ZIS-150C
자주대공포 M16 MGMC, M19 더스터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 전시 중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사용 기록 실증이 되지 않은 차량.
※ 윗첨자IJA: 일제 패망 후 남겨진 차량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군 운용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운용무기·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군 운용무기 ·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캐나다군 운용무기 ·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군 운용무기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군 운용무기 | 파일:tank_icon__.png 냉전기 기갑차량 }}}
}}}}}}


한국전의 북한군 및 인민지원군 기갑차량
파일:북한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한국전쟁
조선인민군, 인민지원군기갑차량
전차 경전차 <colbgcolor=#fefefe,#191919>공신호 전차CN, M5A1CN/?
중형전차 T-34-76X, T-34-85, M4A2 (76) WX
중전차 IS-2CN
화염방사전차 OT-34CN
장갑차 BA-64, BTR-40
자주포 SU-76M, LVT(A)-4 (ZiS-2)CN
다연장로켓 카츄샤 다연장로켓
차량 GAZ-51, GAZ-63, GAZ-64, GAZ-AA, ZiS-5, ZiS-6, ZiS-150
모터사이클 M-72
노획 차량 M24 채피, M4A3 (76) W HVSS, A27M 크롬웰NONE, M26 퍼싱, M19 더스터, M41 고릴라, 센추리온, M36 GMC, 옥스포드 캐리어, 와스프 IIC, M46 패튼, M18 헬캣
※ 윗첨자?: 사용 여부가 불확실하고 일부 자료(사진 등)에만 등장하는 차량이거나 증명이 되질 않은 차량
※ 윗첨자CN: 인민지원군이 사용
※ 윗첨자X: 소련에게 공여받은 차량이나 소수 만을 운용
※ 윗첨자NONE 전시 중 전량 유실
}}}}}}}}}


파일:영국 국기.svg 현대 영국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영국군 (1707~현재)
His Majesty's Armed Forces
기타전차 <colbgcolor=#fefefe,#393b42>빅커스 중형 순항전차E, 키메라, 마틸다 II Mk. II, 마틸다 II Mk. IIIR/P, 셔먼 IIAR, 셔먼 IIIAYR, 셔먼 VR, 셔먼 VCR, 셔먼 ICR, 셔먼 IC 하이브리드R, T-34-85C/R, T-34-85CZC/R
MBT <colbgcolor=#000066> 1세대 A41 센추리온R, 59식 전차T/R
2세대 FV4201 치프틴R, 빅커스 MBT Mk.(1, 2 , 3)E
3세대 FV4030/4 챌린저 1R, 빅커스 MBT Mk.(4E, 7), MBT-80
3.5세대 FV4034 챌린저 2, {챌린저 3}
경전차 키메라, GSR 3301 세터, FV301, FV101 스콜피온R, 채피R
중전차 FV214 컨커러R, FV214SA
장갑차 차륜형 AT105C 색슨R, 험버 피그R, FV701 페렛R, FV721 폭스R, FV601 살라딘R, FV603 사라센R,
훅스 1 NBC, 부시마스터, 쿠거, 마스티프, 릿지백, 울프하운드, {MIV 복서}
궤도형 CVR(T), FV430 불독 / FV432 트로잔, FV510 워리어, FV107 시미터R, FV4333 스토머
{에이잭스, 아레스, 아테나, 아틀라스, 아폴로}, BvS-10 바이킹
차량 소형 핀츠가우어, 벡터, 울프, 핑크 팬더R, 폭스하운드,
MXT-MV / 허스키 TSV, 코요테 TSV / 재칼 2, {MRV-P} {MWMIK}, 판터 CLV, MRZR-D
트럭 MAN 지원 차량, 베드포드 TM 6-6/4-4, DROPS, 오시코시 MTVR Mk.31,
오시코시 HET 1070F, 모바크 DURO-II/III, 알비스 스톨워트R
자주포 자주곡사포 L131 AS-90 · AS-90 브레이브하트, SP-70, FV215, M777 LIMAWS(G), FV433 애봇R, M109(A1/A2)R, M110(A2)R, {아처}, {MFP}
자주박격포 FV432 81mm 자주박격포
대전차 자주포 SD-100C/R, FV4101 채리어티어R, M36C/R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V434 팔콘, 마크맨 대공 시스템
단거리 대공미사일 트랙드 레이피어R, 스토머 HVM
다연장로켓 MLRS
무인 차량 UGV 미션 마스터 SP
기타 FV 시리즈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 윗첨자P: 의장용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차T: 테스트용 도입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현대 이스라엘 방위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이스라엘 방위군 (1948~현재)
צבא ההגנה לישראל
기타전차 셔먼 VC/R, 셔먼 V 디젤C/M/R, M4A4(FL-10)C/R, M-1 셔먼R, M-1 슈퍼 셔먼R, M4A1 (FL-10)C/R, 셔먼 IIIC/R, 셔먼 III "메이어"UK/R, M-3, M4(75) "타마르"M/R, M4A3R, M-4 셔먼R, 크루프 셔먼M/R, M-50 (알레프, 유드, 베트)M/R, M-51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M/R, 티란 T-34C/R, 4호 전차(G, H, J)C/R, M.13/40C/R, IS-3MC/R, A27M 크롬웰R
MBT 1세대 숏(Meteor)R, 숏 칼(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R, 센추리온 전차C/R, TariqC/R, M47 패튼C/R, 마가크-1/2/3/5M/R, 티란-1C/R, 티란-4(S, Sh)C/M/R, 티란-2C/R, 티란-5(Sh)C/M/R
2세대 마가크-6(A, B, C)/7/갈 바타쉬M/R, 티란-6(6S, 6Sh)C/M/R, 메르카바 Mk.1R/2
3세대 메르카바 Mk.3
3.5세대 메르카바 Mk.4
경전차 르노 R35C/R, M22 로커스트C/R, 호치키스 H39R, 경전차 Mk.VIBC/R, AMX-13-75R, PT-76BC/R/88대대 개량형M/R
장갑차 차륜장갑차 BTR-152AC/R, BTR-40C/R,IAI RBY Mk.1R, IAI RAM Mk.2000R, 에이탄 AFV
궤도장갑차 OT-62 TOPASR, 바델라스 · 젤다, M548 알파M, 나메르, 나그마혼M, 아흐자리트C/M, 자흘람 M3 (알레프, 베트, 기멜, 달렛, He, Waw)R, 브렌건 캐리어C/UK/R, 셔먼 응급 수송 차량M/R
차량 소형 M151R, M325R, 험비, 지브, AIL 스톰, MDT 다비드, 샌드캣, 오토카르 아크렙
트럭 M35, M977 HEMTT, 벤츠 우니모크 437, AIL 아비르, FMTV
자주포 자주곡사포 2호 자주포C/R, M7 프리스트R, 쏠탐 M-68M/R/*, M109A5+ Doher, M110A2R 숄레프, ATMOS 2000E
자주평사포 M107R
자주박격포 마크맛, 스피어E
대전차 자주포 M-50 (M10)M/R, M10 아킬레스R, SD-100C/R, 3호 돌격포 G형C/R, ISU-152C/R, Mk.I 아처C/R, ST-I
대공 차량 자주대공포 호벳, 마흐벳M, ZSU-23-4 쉴카C, ZSU-57-2C/R, T10E2R
단거리 대공미사일 드라콘R
레이저 아이언 빔
다연장로켓 MAR-240M/R, MAR-290M/R, LAR-160, M270 메나테츠, 링스E, 라하브
구난전차 M32 ARVR, M74 ARVR
기타 캐터필러 D9 두비 장갑 불도저, 캐터필러 966 로더,
캐터필러 굴착기, 나메르 CEV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UK: 영국군이 남기고 간 차량을 수습
※ 윗첨자M: 개조 차량
※ 윗첨자C: 노획 차량
※ 윗첨자E: 수출용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개조된 셔먼 차체에 Soltam社 의 155mm 곡사포를 올린 자주포.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군의 운용장비 | 파일:tank_icon__.png 현대 기갑차량 }}}
}}}}}}


기갑차량 둘러보기
대전기(1914~1945) 냉전기(1945~1991) 현대전(1991~)



[1] 실제 주포를 제거하는 대신 외부에 더미 주포 구조물을 달았다.[2] 리버티 엔진의 생산권을 가진 너필드의 뒷 공작도 있었다는 설이 있다.[3] 아래쪽 전차의 포탑 외부 눈금은 상륙정에 실려있는 전차가 모두 같은 방향으로 사격하기 위해 타 차량 포탑의 아지무스를 확인할 수 있도록 그려놓은 것이다.[4] 정찰임무를 맡아 다리를 건너갔는데 다리 건너가자마자 8,8cm FlaK이 설치된 적 진지와 맞닥뜨렸다. 그래서 급히 회피하다 보니 다리 방향과는 멀어졌고 이때 이렇게 된 거 강을 건너뛰자고 결정을 내렸다. 강둑 가장자리가 경사가 져 있어서 마치 영화처럼 공중을 날아갔다고 한다. 처음 한 대는 공중을 날아가는 동안 재빨리 기어 중립을 넣어서 무사히 착지했지만 두 번째는 그러지 못해서 착지와 동시에 뒤집어질 뻔 하면서 위에 실려있던 보급품들이 다 날아가버렸고 세 번째는 속력이 충분히 빠르지 못해 강둑에 간신히 걸쳤다가 겨우 올라왔다. 그래도 현수장치와 기어가 버텼다는 데서 구동계의 내구성이 어마어마함을 알 수 있다.[5] Bill Bellamy의 회고록 Troop Leader에 나온 내용으로 연철 재질에 더 얇은 장갑으로 되어 있는 전차였다고 한다.[6] 변속기가 중립인 상태에서 양측의 무한궤도의 진행방향을 서로 반대로 하여 빠르게 제자리에서 선회하는 것. 2차 대전 당시에는 크롬웰이나 티거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무한궤도 차량의 선회는 보통 한쪽 무한궤도는 정지하고 다른 한쪽만 진행하여 방향을 바꾸었다.[7] 소련 및 러시아는 미국보다 살짝 크거나 비슷하다. 이를 통해서 영국이 타국에 비해서 전차의 확대가 어려움을 알 수 있다.[8] 포탑링 지름을 비교하면 처칠 전차가 1377mm T-34/76이 1425 mm 크롬웰이 1524mm, T-34/85가 1600mm 셔먼이 1753mm이다. 독일군은 3호전차가 1530mm 4호전차가 1600mm 5호전차 판터가 1650mm 6호전차 티거가 1800mm이다[9] 포탑링 지름이 크롬웰은 물론 T-34-76보다도 작다.[10] 위에 쓴 75mm HV에서 탄자를 17파운더의 탄자로 바꾼 포.[11] 이마저도 아르덴 대공세로 늦어졌다.[12] 크롬웰에 장착된 6파운더나 75mm로는 티거와 판터를 상대하기 충분하지 않았기 때문에 티거와 붙어서 크롬웰이 불리했다고 여겨진다. 사실 6파운더도 근거리에서는 티거의 전면장갑을 관통하는게 이론적으로 가능기는 하지만, 실전에서의 변수를 감안하면 6파운더만으로 실전에서 티거를 효과적으로 격파할 확률은 더 강력한 포를 쓸때보다 낮다.[13] 1953년 촬영된 사진이다.[14] 해당 사진은 해피 밸리 전투에서, 리퍼 작전 사이 중 촬영된 것으로 추산되며, 전차병들의 전투복이 중공군의 전차병 전용 복장이 아닌, 북한군의 정복을 입고 있는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15] 해당 크롬웰을 격파한 센추리온 전차는 아이러니하게도, 이전 해당 크롬웰이 소속된 제8후사르대대의 C중대 소속 네임드 차량, "콜롬보"였다고 한다.[16] 해당 차량에 국군 해병대의 문자가 적혀있는데, 이는 후술할 사연이 있다.[17] 서울 수복 당시 기록에 따르면, 약 2km 너머에서 다리에 숨어 있던 크롬웰을 영국군의 센추리온이 격파했다는 기록이 남아있는데, 해당 크롬웰을 제외한 나머지 네임드 차량 "히드라"은 10일 이상 살아남아, 해병대의 노획 이후 영국군이 회수하였기에, 해당 단차가 격파되었다는 것이 기정사실이다.[18] 물론 북한군이 붙어준 명칭이 아니라 노획 이전 후사르연대에서 붙여준 명칭이었는데, 어째서인지 북한군은 해당 단차의 흰색 별은 물론, 애칭마저 지우지 않고 운용하였다.[19] 아쉽게도, 해당 네임드 단차인 "히드라"의 행방은 알 수 없다. 대한민국 국군의 기록에 따르면, 백두산함의 함번인 701을 추가로 새기고, 정면 하단에 해병대라는 글자까지 새겨놓은 상태로 확인되나, 영국 측에서 함선으로 회수해 간 이후로는 더 이상 사료에 등장하지 않기 때문이다. 크롬웰 및, 센토어 전차 잔존 개체 목록에서도, 히드라라는 네임드 개체의 기록은 없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20] 설명과 다르게, 번호가 다르게 기술되어 있는데, 이는 전시 중, 포가 유실된 상단의 "미리암"의 포탑을 얹었기 때문으로, 17파운더 포의 가짜 포신을 장착하고 있다.[21] 211번차 탈취[22] 457번차 탈취.[23]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크롬웰, M36 잭슨, Sd.Kfz 223, 2호 전차, 4호 돌격전차, 게파르트, Sd.Kfz. 2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