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차량의 등화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전방 | ●전조등(하향등, 상향등, 코너링조명등), ●주간주행등, ●방향지시등, ●●안개등, ●●차폭등, ●끝단표시등 | |
측면 | ●옆면보조등, ●●옆면표시등, ●뒷바퀴조명등, ●보조방향지시등, ●승하차보조등 | ||
후방 | ●후미등, ●제동등, ●보조제동등, ●●방향지시등, ●후퇴등, ●후방안개등, ●끝단표시등 | ||
기타 | ●●●●경광등 | ||
기능 | ●●●주차등, ●●등화관제등, ●●후방추돌경고등 | ||
구조 | 리트랙터블 라이트, 클리어 테일램프, 리플렉션 타입 램프, 프로젝션 타입 램프, 렌즈 타입 램프 |
사진 속의 차량은 토요타 알테자. 알테자 스타일 테일램프의 원조다.
사진 속의 차량은 기아 엑스트렉이며 국산차에 적용된 사례 중 하나이다.
1. 개요
알테자 테일램프는 투명한 램프커버와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내부 램프로 이루어진 자동차 후미등의 일종이며, 이러한 스타일의 후미등이 1998년에 출시된 토요타 알테자로부터 유래되었기에 알테자 테일램프라는 이름으로 불린다.알테자 테일램프는 주로 외국에서 쓰는 명칭이며 한국에서는 흔히 "클리어 램프"라고 부른다. 외국에서는 알테자 테일램프 이외에도 "유로 테일램프", "클리어 테일램프", "렉서스 테일램프"[1]로도 불린다.
2. 유래
이러한 형태의 후미등은 제너럴 모터스의 가이드 사업부(Guide Division)에서 1962년형 캐딜락 세단 드 빌용으로 개발한 3상 후방 조명 시스템(Three-Phase Rear Lighting System)이 최초였다. 당시 리어 라이트 클러스터를 혁신적으로 개발해 투명 렌즈로 통합했다. 이후 1964년형 캐딜락 엘도라도 비아리츠에서 완전히 투명한 컬러의 리어라이트를 적용했다.#본격적으로 널리 퍼지고 알려진 계기로는 1998년에 출시된 토요타 알테자에 처음 사용됐으며 알테자 이전에는 4세대 수프라가 투명한 램프커버를 사용한 유사한 형식의 후미등을 사용한 적이 있다. 하지만 수프라의 경우 후미등의 내부 베젤이 검은색이었지만 알테자의 경우 내부 베젤이 크롬이었다.
알테자 스타일의 후미등은 애프터마켓 튜닝 용품으로도 인기가 많았으며 많은 자동차 제조사들이 유사한 스타일의 후미등을 순정 사양으로 내놓기도 했다. 주로 일본차 계열이나 하이브리드 자동차에 순정으로 달려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중 기아 엑스트렉의 경우 클리어 램프가 순정으로 장착돼 나왔지만 출시 초기에 검사소에서 사제로 오인해 불합격 통보를 내리는 경우가 속출해 엑스트렉의 클리어 램프는 불법이 아니라고 모든 검사소에 전파하라고 지시가 내려왔다.
한국에서 사제로 이런 형태의 후미등을 장착하는 것은 불법이다. 하지만 동일 차종의 순정으로 나오는 제품으로 장착하는 것은 합법이다.[2]
3. 적용 차종
3.1. 국산 브랜드
3.2. 외국 브랜드
- BMW
- 포르쉐
- 포드
- 링컨
- 쉐보레
- 카마로 6세대 후기형
- 콜벳 C7
- 스파크(M300)
- 볼트 2세대
- 코발트 2세대 초기형
- 트랙커
- 트래버스 2세대 레드라인
- 타호 5세대 후기형
- 서버번 12세대 후기형
- 이쿼녹스 1세대
- 이쿼녹스 EV
- 블래이저 EV SS
- 트레일블레이저(RG)
- 캐딜락
- 1962년형 드 빌
- 1963년형 플리트우드
- 1964년형 엘도라도 비아리츠
- 1966년형 플리트우드 엘도라도
- CTS 2세대
- CTS-V 2세대
- STS
- STS-V
- CT4 스포츠
- CT5 스포츠
- SRX 1세대
- XT4 스포츠
- XT5 스포츠
- XT6 스포츠
- 에스컬레이드
- 폰티악
- 홀덴
- 홀덴 모나로 3세대
- 홀덴 코모도어 4세대 VF SSV
- 홀덴 캡티바 7 시리즈 II
- 홀덴 트레일블레이저
- 토요타
- 렉서스
- 혼다
- 닛산
- 마쓰다
- 미쓰비시
- 뷰익
- 랜드로버
- 르노
- 1968년형 닷지 코로넷
- 스바루 임프레자 2~3세대
- 시트로엥 그랜드 C4 스페이스투어러
- 롤스로이스 스펙터
- 로터스 엘레트라
- 1965년형 크라이슬러 뉴요커
- 아우디 A1 1세대[8]
- 1968년형 플리머스 바라쿠다
[1] 1세대 렉서스 IS와 알테자는 형제차이고, 이러한 형태의 후미등을 유행시킨 것도 렉서스이기 때문에 이렇게로도 불린다.[2] 예시로, 일반 쏘나타의 후미등을 쏘나타 하이브리드의 클리어 후미등으로 바꾸는 경우가 있다.[3] LED 한정이며, 전구타입은 해당하지 않는다.[4] 내부 트렁크 후미등 한정[5] GTS 라인업과 타이칸은 기본 사양이다.[6] 미국형의 방향지시등이 브레이크등과 겸용으로 작동하는 빨간색인데, MKZ는 멕시코산이라서 FTA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전기형 모델에 한해 램프 안쪽을 클리어 타입으로 장착했다.[7] 북미 사양 중 Tsunami Edition 모델 한정[8] 내부 트렁크 후미등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