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16:14:29

신칸센 N700계 전동차

N700계에서 넘어옴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신칸센 N700계 전동차/현황
,
,
,
,
,
#!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
新幹線
신칸센 / Shinkansen
{{{#2cb43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홋카이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cb431><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홋카이도 신칸센
연계 노선 도호쿠 신칸센
등급 하야부사 / 하야테
운행 차종 H5
차량기지 하코다테 신칸센 종합차량소
운전지령소 삿포로 종합지령소 }}}}}}}}}}}}
{{{#0089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동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900><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도호쿠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연계 노선 홋카이도 신칸센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야마가타 신칸센(신칸센 직통 특급)
아키타 신칸센(신칸센 직통 특급)
등급 도호쿠~홋카이도 <colcolor=#1f2023,#dddddd>하야부사 / 하야테 / 야마비코 / 나스노 / 아오바
야마가타&아키타 츠바사 / 코마치
조에츠 토키 / 타니가와 / 아사히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아사마
운행 차종 200 / 400 / E1 / E2 / E3 / E4 / E5 / E6 / E7 / E8
차량기지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 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야마가타 신칸센 차량센터 / 아키타 차량센터 / 나가노 신칸센 차량센터 / 도쿄 신칸센 차량센터 / 오야마 신칸센 차량센터 / 모리오카 신칸센 차량센터 / 아오모리 신칸센 차량센터 / 나스시오바라 신칸센 차량센터
운전지령소 신칸센 종합지령소
}}}}}}}}}}}} ||
{{{#f773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도카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77321><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도카이도 신칸센 / 츄오 신칸센
연계 노선 산요 신칸센
등급 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운행 차종 0 / 100 / 300 / 700 / N700 / N700S / L0
차량기지 오이 차량기지 / 미시마 차량소 / 시나가와 차량기지 / 토리카이 차량기지
차량 공장 하마마츠 차량공장
운전지령소 신칸센 제2종합지령소 }}}}}}}}}}}}
{{{#0072bc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서일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72bc><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산요 신칸센 / 호쿠리쿠 신칸센(조에츠묘코~츠루가)
연계 노선 도카이도 신칸센
큐슈 신칸센
도호쿠 신칸센(도쿄~오미야)
조에츠 신칸센(오미야~타카사키)
호쿠리쿠 신칸센(타카사키~조에츠묘코)
등급 도카이도-산요 <colbgcolor=#ffffff,#1f2023><colcolor=#1f2023,#dddddd>노조미 / 히카리 / 코다마
산요-큐슈 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호쿠리쿠 카가야키 / 하쿠타카 / 츠루기
운행 차종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 W7
차량기지 하쿠산 종합 차량소 / 하카타 종합 차량소 / 오카야마 신칸센 운전소 / 히로시마 신칸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카나자와 신칸센 지령소 / 하카타 종합지령센터
}}}}}}}}}}}} ||
{{{#e5001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JR 큐슈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50012><colcolor=#fff> 노선 <colcolor=#1f2023,#dddddd>큐슈 신칸센 / 니시큐슈 신칸센
연계 노선 산요 신칸센
등급 산요-큐슈 <colcolor=#1f2023,#dddddd>미즈호 / 사쿠라 / 츠바메
니시큐슈 카모메
운행 차종 800 / N700 / N700S
차량기지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 / 오무라 차량기지
운전지령소 하카타 신칸센 종합지령소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JR 총연 / 노선 계획 / 기타 사항
<colbgcolor=Navy><colcolor=#fff> 기술개발&사업용차량 <colcolor=#000> 표준궤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닥터옐로우 - WIN350
스타21 - 300X - FASTECH 360 - E956형 - 궤간가변열차
초전도 리니어 방식 ML500 - MLU001 - MLU002 - MLX01
관련법 전국신칸센철도정비법, 신칸센 철도의 열차 운행 안전을 방해하는 행위에 대한 처벌에 관한 특례법
노선 고속철도, 미니 신칸센, 신칸센철도규격신선
<colbgcolor=#fff> 기본계획 홋카이도 신칸센 - 홋카이도 남회 신칸센 - 우에츠 신칸센
오우 신칸센 - 호쿠리쿠-주쿄 신칸센 - 산인 신칸센 - 주고쿠 횡단 신칸센
시코쿠 횡단 신칸센 - 시코쿠 신칸센 - 히가시큐슈 신칸센 - 큐슈 횡단 신칸센
계획 파기 나리타 신칸센 - 제2 도카이도 신칸센 - 조에츠 신칸센 - 도카이도 물류 신칸센
구상계획 미에 신칸센
시험용 카모노미야 모델선 - 미야자키 리니어 실험선 - 야마나시 리니어 시험선
좌석 보통차, 그린샤, 그란 클래스, 식당차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내수용
전체 목록 0 - 100 -200 - 300 - 400 - 500 - 700 - 800 - N700 - N700S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 L0
파일:JRC-SKS.svg 츄오 L0
도카이도 0 - 100 - 300 - 500 - 700 - N700 - N700S
파일:JRW-SKS.svg 산요
호쿠리쿠 E2 - E7·W7
파일:JRE-SKS.svg
도호쿠 200 - 400 - E1 - E2 - E3 - E4 - E5·H5 - E6 - E7·W7 - E8
야마가타 400 - E3 - E8
아키타 E3 - E6
조에츠 200 - E1 - E2 - E3 - E4 - E7·W7
파일:JRH-SKS.svg 홋카이도 E5·H5
파일:JRK-SKS.svg 큐슈 800 - N700
니시큐슈 N700S
수출용
THSR 700T
CRH CRH2
HS1 Class 395
기술개발/사업용
1000형 - 951형 - 961형 - 962형 - 신칸센 모델 체인지 차량 - 슈퍼 히카리 - 닥터옐로우 - WIN350 - 스타 21 - 300X - FASTECH 360(E954형/E955형) - E956형 - 신칸센 궤간가변열차 - MLX01 리니어 모터카 }}}}}}}}}
파일:JR_B.png파일:JR_W.pn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신칸센 N700계 전동차
新幹線 N700系 電車
Shinkansen N700 Series
}}}
파일:N700a_과학8.jpg 파일:N700系S8編成.jpg
외부
(좌) 5000번대(K8편성) (구. 3000번대)[1][2] / (우) 7000번대(S8편성)[3][4]
파일:JR_Central_N700_002.jpg 파일:JRC_Shinkansen_Series_N700_Interior_of_Green_car.jpg
내부
(좌) 일반실 / (우) 그린샤
차량 정보
열차 형식 신칸센 입선용 특급형 전동차/고속철도차량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량 수 16량(F, G, K, X편성)[5], 8량(R, S편성)[6]
운행 노선 파일:JRC-SKS.svg 도카이도 신칸센
파일:JRW-SKS.svg 산요 신칸센
파일:JRK-SKS.svg 큐슈 신칸센
도입시기 2005년~2012년[N700]
2012년~2020년[N700A]
제작사 가와사키 차량
일본차량제조
히타치 제작소
킨키차량
소유기관 JR 도카이
JR 서일본
JR 큐슈
운영기관
차량기지 도쿄 파출소 검사 차량소(JR 도카이)
오사카 파출소 검사 차량소(JR 도카이)
하카타 종합 차량소(JR 서일본)
쿠마모토 종합 차량소(JR 큐슈)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선두차 27,350㎜
중간차 25,000㎜
전폭 3,360㎜
전고 3,600㎜
궤간 1,435㎜
사용전류 교류 25,000V 60Hz 가공전차선
신호 방식 KS-ATC, ATC-NS
제어 방식 도시바, 후지전기VVVF-IGBT[9]
동력 장치 농형 3상 유도전동기
제동 방식 회생제동 병용 전기지령식 공기제동
편성 출력 17,080kW
편성 대수 2976대
최고속도 영업 300㎞/h(산요)
285㎞/h(도카이도)
260㎞/h(큐슈)
설계 330㎞/h
기동
가속도
2.6㎞/h/s
감속도 상용: 2.70㎞/h/s
비상: 3.64㎞/h/s
MT 비 14M 2T(F, G, K, X편성)
8M 0T(R, S편성)
}}}}}}}}}

1. 개요2. 공통 사항
2.1. 차량 성능의 향상2.2. 편리성의 향상
3. 개량형
3.1. N700A3.2. N700S
4. 도카이도 신칸센 & 산요 신칸센 운행 편성5. 큐슈 신칸센·산요 신칸센 운행 편성6. 향후 배치계획7. 사건사고8. 기타9. 관련 문서10.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JR 도카이JR 서일본, JR 큐슈가 운영하는 도카이도 신칸센, 산요 신칸센, 큐슈 신칸센의 열차. 700계의 아들뻘 되는 모델이자, 지금은 21세기 일본 철도의 상징 역할을 톡톡히 하는 말 그대로 플래그십 열차다. 소속 회사, 제작 회사에 따라 F, G, K, X, S, R 편성으로 나뉜다.

차량 제작 비용은 8량 1편성 당 25억엔 (250억원) - 16량 1편성 당 50억엔 (500억원) 이다. [10]

2. 공통 사항

2.1. 차량 성능의 향상

파일:external/www.sugoizo-blog.com/DSC_0160_801.jpg파일:external/www.sugoizo-blog.com/DSC_0155_800.jpg
농형 3상 전동기 브레이크 제어장치와 주 변압기
파일:external/www.sugoizo-blog.com/DSC_0158_800.jpg
문 개폐 장치와 공기 압축기
N700계는 2007년 7월[11]부터 도입되기 시작한 차량으로, 기존에 보유한 300계의 교체와 보다 나은 차내 서비스 및 고속 운전을 위해 개발되었다. 500계의 최고속도 300km/h을 달성하기 위하여 모터출력을 700계의 275kW에서 305kW으로 향상되면서 높이 60cm, 길이 69cm, 폭 71cm, 무게 396kg으로 크기와 무게는 동일하게 개발했다. 또한 700계가 부수차가 4량인 것에 비해 N700계는 기존 차량과 비교해 부수차를 2량으로 줄이면서 편성최고 출력 17,080kW으로 출력을 높이는 동시에 전력소비량은 줄이려 노력하였다. 그 결과 최고속도는 300km/h를 달성함과 동시에, 소비전력은 700계보다 19% 줄이는 데 성공하였다. 이로서 초기의 0계와 비교하여 220km/h 기준으로 전력소모가 51%, 270km/h로 주행시에도 초기 220km/h에 비해 약 70%의 에너지로 주행이 가능하다. 제어 방식은 VVVF-IGBT이며, 기동가속도는 2.6km/h/s로 고속열차 중 최고수준이다. 270km/h까지 가속하는 데 3분이 걸리는 동력 성능을 가진다. 한국의 저항제어 전동차보다도 0.1km/h/s 높다. 대차는 코일스프링과 원통적층고무를 병용한 윙 용수철 식 저널박스 장치의 볼스터리스 대차이다. 구동방식은 WN 카르단 방식과 TD 카르단 방식이다.

이 차량의 더 독특한 점은, 일본의 고속철도용 차량으로서는 최초로 차체경사제어장치, 즉 곡선주로에서 차체를 안쪽으로 기울여 부족한 캔트량을 보충하고 곡선통과한계속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채용하였다는 점이다. 곡선구간에서 차체를 살짝 기울임으로써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기존에는 최고속도 이하로 주행하던 일부 구간에서 약간의 속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기존 255km/h로 설정된 최고속도제한 구간의 경우 감속없이 270km/h로 달릴 수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2015년 3월부터 마침내 23년 만에 도카이도구간 신칸센 최고 속력을 기존 270km/h에서 285km/h로 올리는 데 성공했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heel_disk_brake_the_first.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Wheel_disk_brake_the_second.jpg
내주체결식 중앙체결식
열차 제동 시, 활강이 일어나면 바퀴가 마모되어 탈선 등의 사고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 때문에 신칸센의 브레이크의 개발에서 중요한 과제가 활강이 일어나지 않고 최대한의 효율을 유지하면서 열차를 최대한 단거리에 정차시키는 것이다. N700의 경우, 기존 차량의 운행에서 얻어진 일정 속도에서 브레이크를 작동 시 바퀴의 활강의 유무를 기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최적 효율의 감속 효율을 도출해내어 이에 기초한 프로그램에 의해 브레이크가 작동하여 0계의 제동거리 4,000m에 비해 1,000m, 700계의 3,100m에 비해 100m 줄어든 3,000m에서 제동이 가능하게 되었다.[12] 각 대차에 기초 브레이크로 300계와 700계와 같은 캘리퍼식 디스크 브레이크를 장착하고 있다. 초기형의 경우 디스크 로터를 고정하는 볼트와 너트를 그 내주에 체결하는 내주체결식을 채용하고 있었지만, 중기형부터는 디스크 로터의 중앙에 체결하는 중앙체결식을 채택했다. 이것은 기존의 내주체결식에서는 제동시의 열에 의해 디스크가 열 변형에 의해 휘어서 브레이크 라이닝의 접촉 면적이 감소하고 제동력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에 디스크 로터의 중앙에서 체결함으로써 휘는부분을 줄여 제동력의 저하를 방지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경량화를 달성했다. 또한 ATC시스템의 도입으로 역간의 거리를 시간, 바퀴의 회전수 2가지 방법으로 측정하여(시스템의 오류에 의한 사고 발생 확률을 줄이기 위해 두가지 시스템으로 각 차량마다 제동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각 역에서의 거리를 측정, 자동으로 브레이크가 동작을 하게 하는 시스템을 취하고 있다.

2.2. 편리성의 향상

속도뿐만 아니라, 쾌적성과 환경에의 적합성을 높인 점도 N700계의 특징이다. 모든 차량의 차체와 대차 사이에 '세미 액티브 댐퍼'를 탑재해, 차체의 흔들림을 순간적으로 감지하여, 차체의 진동을 억제했다. 차량과 차량의 사이에는 특수한 수지로 만든 커버를 장착해, 차내의 소음을 줄이고, 차량 밖의 소음을 줄였다. 선두부 모양의 개조 또한 이루어졌다. '에어로 더블윙'이라 불리는 길이 10.7m의 선두부는, 터널 진입 시 시간당 압력변화를 최대 20% 낮추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부의 구조 변경과 차량 사이의 빈 공간에 덮은 커버를 통해 측면저항과 소음을 줄이기도 했다. 참고로 이 모양을 설계하는 데는 특정 변수를 바꿔가며 최적의 조건을 찾는 단순한 컴퓨터 시뮬레이션뿐 아니라 모양을 계속 랜덤으로 바꿔가며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인공지능과 컴퓨터 설계 분야에도 큰 의미가 있는 차량이다.

다만 승객석 창문의 폭은 좁다고 하는 700계보다 더 좁아져 창문의 폭이 500mm밖에 되지 않는다. 때문에 승객석에서 보는 전망시야는 이전보다 더 안좋아졌다. 이는 창과 창 사이의 공간을 두텁게 하여, 그만큼 경량화와 강성을 잡기 위한 것이었다.

기존 신칸센 차량은 흡연이 가능한 객차가 존재하였지만, 이 차량부터는 전 차량 금연이 실시되었으며, 흡연을 원하는 승객들은 흡연실을 이용하여야 한다. 2005년, N700계의 양산선행차가 나왔을땐 N700계에도 흡연칸이 존재했다. 이미 차량 내부에 공기청정기와 환기시설이 마련되어 있었으며 양산시에도 흡연칸을 설정할 계획이었으나 중간에 법 개정으로 인해 전면 금연화가 되었고 지금의 흡연실이 생긴 것이다. [13] 16량 중 4량[14]/8량 중 2량[15]에 방취대책을 완비한 흡연 룸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 내부 무선랜도 서비스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린샤[16]나 보통 좌석의 시트 쿠션이 개선되었고, 본격적으로 열차 내에서 콘센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콘센트는 그린샤에는 각 좌석마다 있으며, 지정석이나 자유석에는 창쪽에 1개씩, 그리고 벽쪽에 각 좌석마다 비치되어 있다.이렇듯 여러가지 편의시설이 기존 700계에 비해 업그레이드되었다. 하지만 2024년 3월 16일부로 전차금연 시행으로 담배를 피울 수 없게되었다.

다만 N700계 특유의 전두부 디자인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말이 많다. 참고로 다른 JR회사들은 디자인 회사에 디자인을 맡기지만, 이 물건은 JR 도카이가 직접 디자인한 것이다. 700계의 오리주둥이와 같은 이유로 탄생한 것인데, 300계부터 터널에 진/출입할 때 발생하는 충격파를 줄이기 위한 디자인을 적용했으나 불안정한 공기흐름과 주변의 소용돌이로 인해 차량이 상당히 흔들리는 문제가 생겼고, 500계에서 앞부분의 돌출부를 늘려서 이 문제를 보완했으나 이제는 선두부 차량의 공간이 줄어들어 탑승인원과 승무원 출입에 제약이 생겼다. 때문에 터널 진출입 충격파를 줄이면서도 진동 문제가 없고 선두부의 길이가 지나치게 길면 안되며 좌석 수는 기존의 300계, 700계와 동일해야 한다는 모든 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형상을 디자인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디자인으로 까이는 N700계는 2008년 블루리본상을 수상했다.

결과적으로, 이전에 0계보다 기술이 진보된 열차인 100계, 300계, 500계[17], 700계 등이 있었지만 이들은 뭔가 하나씩 부족한 부분들이 있었기에 JR 도카이 입장에서는 충분히 만족스럽지 않았고 도카이도 신칸센의 상징이 되기도 어려웠다. 하지만 300계의 16량 1323석 규격과 500계의 최고속도 300km/h와 700계의 높은 효율성을 모두 갖춘 N700계는 JR 도카이가 그동안 염원해온 모든 스펙을 갖춘 첫번째 열차로 등장했다. 이에 도카이는 N700계가 나오기 무섭게 300계, 500계를 몰아냈고 끝내 700계까지 퇴출시키면서 N700계를 도카이도-산요 신칸센의 상징으로 만들어버렸다. 이전까지의 열차들이 감히 0계의 상징적인 자리를 넘볼 수 없을 정도였다는 걸 생각하면 0계의 왕좌는 이 N700계가 물려받은 격이 되었다.

실제로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차량의 계보를 따져보면 0계(1964년)가 개발된 이래 20년 넘도록 써먹다가 100계(1985년)가 개발되었으며, 300계(1990년), 500계(1995년), 700계(1997년) 등 2~5년마다 신차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N700계(2005년)이 개발된 이래 더이상의 신형차량 개발 없이 소소한 개량형 정도만 선보이며 15년 이상 울궈먹고 있다. 그만큼 기술적으로는 정점에 도달한 차량이라는 뜻이며, 가히 0계와 맞먹을만한 신칸센의 새로운 상징이다.

3. 개량형

3.1. N700A

JR 도카이 주도로 개량형이 등장했다. 이름은 N700A로, A는 ‘진화’, ‘진보’등을 뜻하는 Advanced의 약자이다. 2013년 2월 8일 운행을 시작한 이후 2018년 현재까지 G(JR 도카이) 39편성 및 F(JR 서일본) 12편성이 제작되어 도카이도 - 산요신칸센의 새로운 주력 차종으로 자리매김하였다. 기존 N700계와 비교했을 때 주요 개선 사항은 다음과 같다.
  • 제동거리 단축: 브레이크 디스크를 고열에서 강하게 조합하는 방식으로 효율성을 높였다. 270km/h에서 브레이크를 걸어 정지하기까지의 거리가 10% 단축된 약 2,700m로 조정되었다.
  • 정시성 엄수를 위한 시스템 도입: ATC 정보를 활용하여 선로의 경사와 터널에 의한 영향을 예측하면서 속도신호에 맞춘 제어를 진행하는 정속주행장치가 도입되었다. 레이싱 게임으로 치면 최단 랩타입을 내는 빌드 커맨드가 입력된 매크로 프로그램을 깔아놓은 셈. 열차 다이어는 연착될 때를 대비해 여유있게 짜여지기 때문에 평시에도 이걸 써서 운행하면 조착을 하게 된다. 즉, 이상기후 등의 요인으로 다이어가 흐트러졌을 때 보다 신속하게 복구하기 위한 비상용 시스템이다.
  • 에너지 소비효율 및 안정성 향상: 각 대차에 진동시스템을 부착해 고장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는 장치도 장착되었다. 전력 소모도 19%가량 감소했다고 한다.
  • 로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N700A_02.jpg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N700-2000_X6_785-2506_20130815.jpg

    N700A로 신조된 차량 A 로고 출처 기존 N700계에서 개조된 A 로고 출처

    N700A계가 등장하면서 로고도 살짝 변경했는데 새로 생산된 차량은 "A"자가 크게 부각된 로고가 붙었고, 개조된 차량은 기존 로고 옆에 A를 붙이는 방식을 채택했다. 그래서 철도 동호인들 사이에서는 N700A로 신조된 차량을 라지 A, 기존 N700에서 개조된 차량을 소심한 A로 부르고 있다. 또한 기존 N700계에서 개조된 차량을 소문자를 사용하여 N700a라 부르기도 한다. 도색을 보면 금방 알아볼 수 있다.
  • 차내 도어 램프
    F편성과 G편성부터는 JR 동일본 측 최신 신칸센이나 통근 전동차들처럼 출입문 상단에 램프가 추가되었다. 이 램프는 출입문 취급 시 차임벨과 함께 점멸한다. 이 램프는 이후 N700S부터는 기본 사양으로 들어간다.
  • 한편 2013년부터는 기존 N700계도 N700A계의 성능에 맞추도록 중앙체결브레이크 디스크 탑재(브레이크성능 강화) / 정속주행장치 설치 등의 개조를 시행하여 현재는 마무리되었다. 개조와 함께 차량번호와 편성번호도 변경되어 JR 도카이 소속 차량은 2000번대 X편성으로, JR 서일본 소속 차량은 5000번대 K편성으로 변경되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0번대 Z편성/3000번대 N편성은 소멸되었다.

또한 JR도카이가 2021년부터 2년간 기존 N700a N700A 86편성을 N700S에 준하게 개조를 한다고 밝혔다.

이는 N700A 51편성 N700a 35편성인데 현재 폐차가 되지않은 36편성의 나머지 N700a에겐 사실상 사형선고가 떨어진거나 다름없다.

3.2. N700S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신칸센 N700S계 전동차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도카이도 신칸센 & 산요 신칸센 운행 편성

성토구간이 많은 저규격의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과 직선, 터널, 교량구간이 많은 산요 신칸센 구간의 최고 속력이 다르다. 도카이도 구간에서는 285km/h, 산요 구간에서는 300km/h.

이 차량의 더 독특한 점은, 일본의 고속철도용 차량으로서는 최초로 차체경사제어장치, 즉 곡선주로에서 차체를 안쪽으로 기울여 부족한 캔트량을 보충하고 곡선통과한계속도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을 채용하였다는 점이다. 곡선구간에서 차체를 살짝 기울임으로서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서 기존에는 최고속도 이하로 주행하던 일부 구간에서 약간의 속도 향상을 가져올 수 있었다. 예를 들면 기존 255km/h로 설정된 최고속도제한 구간에서 감속없이 270km/h로 달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시나가와-신요코하마-나고야-교토 모두 정차하고도 기존 700계로 시나가와(or 신요코하마)-나고야-교토 3개역을 정차하며 달리는 노조미보다 비슷하거나 더 빠르다. 전체 구간 기준으로 기존 700계에 비해 약 5분 단축. 이는 2008년 3월 이후 시나가와역신요코하마역에 모든 열차가 필수로 정차하는 계기가 된다.

2017년 3월 4일. 다이어 개정으로 히카리, 노조미 전 열차를 N700A로 통일했다. 또한 도쿄 ~ 하카타를 왕복하는 노조미의 운행 시간이 최대 7분 단축되었다.

5. 큐슈 신칸센·산요 신칸센 운행 편성

산요 신칸센과 큐슈 신칸센을 직통으로 연결하는 열차인 사쿠라, 미즈호 역시 이 차량을 기반으로 한 N700계 7000번대(JR 서일본 소유), 8000번대(JR 큐슈 소유)차량[18]이 들어가 있으며, 큐슈 신칸센의 급구배 구간(35퍼밀)에 대응하기 위해 일부 스펙이 변경되었다. 전 편성 8량 1편성이며, 전 차량 모터카 편성이다. 또 틸팅 기능이 삭제되어 있는데, 전 열차에서 곡선통과속도를 높이려면 노반 및 밸러스트 부설상태를 고치거나 콘크리트 도상의 경우에는 도상을 재시공하는 식으로 캔트량을 늘려야 하는데 이것은 아무래도 영업 중단과 토목공사가 필요하며 영업 중단기간 중 수입감소는 피할 수 없기 때문. 도카이도 신칸센에 들어갈 일이 없고 산요 신칸센과 큐슈 신칸센은 선로 스펙이 나쁘지 않은 편이라 필요성이 떨어지는 것도 이유 중 하나.[19] 또 화산 활동이 왕성한 큐슈구간에 대비해 대차에는 방진성능을 강화했다. 최고속도는 산요 신칸센 구간 300km/h, 큐슈 신칸센 구간 260km/h이다. 시간대에 따라 하카타미나미선 구간에 투입되기도 한다.

차내 설비는, 도카이도-산요구간 차량과는 다르게 지정석 2-2 좌석 구성(자유석은 동일하게 2-3 구성), 반실 그린샤(6호차 일부) 등을 채택하였고, 큐슈의 목재를 사용한 내장재 등이 특징이다. 정원은 그린샤 6호차 일부 24명, 보통차 4-8호차 지정석 282명, 자유석 1-3호차 240명. 흡연실은 3, 7호차에 있다. 하지만 2024년 3월 16일부로 전차금연 시행으로 담배를 피울수 없게되었다.

6. 향후 배치계획

JR도카이는 2019년까지 현 700계를 N700A로 완전대차하기로 결정하여 총 20편성을 도입한다. 2016년 1편성, 2017년 7편성, 2018년 7편성, 2019년 5편성을 도입하여, 최종적으로 700계를 대체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계획과 함께 브레이크 등 몇 가지 개량이 이루어진다. 브레이크 라이닝을 개선하여 285km/h에서의 브레이크 성능이 향상되며, 팬터그래프에 카메라를 설치하여 이상유무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대차 진동 검측 및 ATC 이상 체크 장치를 도입하여 안전성을 향상시킨다고 한다.

도입하는 차량부터 적용되며, 운행 중인 편성들은 순차적으로 개조하여 2019년도에 완료할 예정

한편 N700A가 2019년도까지 도입이 완료되면, 곧바로 2020년부터 신형차량인 N700S가 도입된다고 한다. 디자인은 결정되었으나 전조등 모양이 결정이 안 되었던 당시 한 트위터 유저가 여러 가지 약빤 예상을 내놓았다(...).

그리고 2019년 2월 6일, 신칸센 N700계의 양산선행차인 첫번째 편성이 폐차회송되었다.[20] 제작년도가 2005년으로, 신칸센 차량의 평균적인 내구연한이 15년 안팎이니 비교적 오랫동안 사용된 것이다. 향후 이 차량의 역할은 N700S의 양산선행차량이 대신할것으로 보이며. 폐차되는 차량은 리니어 철도관으로 7월 17일부터 전시된다.

그리고 N700S가 운행개시를 한지 하루 뒤인 2020년 7월 2일, 양산차량 중 최초의 폐차가 발생됐다. JR 도카이 소속의 X12편성으로 2008년에 도입된 차량이다.

이후 N700계의 폐차가 계속해서 진행되고 있다. 폐차된 편성은 X0~X30,X39,X41,X43~X45,X47,X49편성으로 보유량이 1/4정도로 줄어들었다.

2023년 8월 현재, N700a X편성 전체 보유량의 거의 절반인 44편성만 남게 되었다.

이렇게 앞으로 N700S계가 생산되면서 감가상각이 된 N700계의 수는 꾸준히 줄어들을 전망인 가운데, JR도카이에서 기존 N700계 83편성에 N700S에 준하는 개조를 한다고 밝혔다. 처음부터 N700A인 차량은 51편성이므로 발표에 따르면 초기형 N700계도 개조대상이라는 것이다(....) 혹은 서일본의 N700A까지 포함해서 83편성이라고 할 수도 있으나 서일본은 N700A를 23편성을 가지고 있어서 말이 안된다.(도카이+서일본의 N700A 차량 합계는 74편성으로, 83편성이 되려면 초기형 N700을 9편성 더 넣어야 한다.)

2022년에 니시큐슈 신칸센에도 N700S계 차량이 6량 편성으로 도입되어 운행중이다.

7. 사건사고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사건 사고 관련 서술 규정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1. JR 서일본 소속 편성 대차 균열사고

문서 참조. 노조미 34호로 운행하던 JR 서일본 소속 N700A 편성에서 대차 부품에 균열이 발생한 사건.

7.2. 도카이도 신칸센 분신자살 화재 사건

문서 참조. 여담으로 이때 불탄 JR 도카이 소속 X59편성 1호차(783-2059)가 폐차되었고, 2016년에 같은 차번으로 대체 생산해서 현재는 운용에 복귀했다. 이것이 N700계 최초의 폐차 차량이다.

7.3. 도카이도 신칸센 살인사건

문서 참조. 신칸센 열차 안에서 어느 정신이상자가 흉기를 휘두른 사건.

8. 기타

  • 16량 편성 기준 전장 404.7미터로 무지막지하게 길다. 칸 수가 네 칸이나 더 많은 KTX-1이 약 388미터에 불과하다는 걸 감안하면 정말 엄청난 수준.
  • 2016년 일본 영화 신 고질라에서 무인 신칸센 폭탄이라는 자폭병기무기로 개조되어 도쿄역에 침범해있던 고지라에게 돌진해 부딪혀서 고지라를 깨우고, 그 뒤 무인 재래선 폭탄이라는 E231계 전동차E233계 전동차 등의 통근형 전동차를 개조한 또 다른 자폭병기로 들이받아 고지라를 쓰러뜨린다.
  • 과거 777-77이라는 차번을 가진 차량이 있었는데, 도카이 소속 Z77편성의 10호차에 편성이 되었으나, N700a로 개조되며 차번도 777-2077로 변경되었다.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1d5ba9><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1d5ba9>
파일:JRC-SKS.svg
新幹線 N700&S系
신칸센 N700&S계
}}}
<colcolor=#fff> 국내 <colbgcolor=#fff,#191919> N700 0번대 / N700S 0번대
N700 3000번대 / N700S 3000번대
N700 7000&8000번대 / N700S 8000번대
수출 센트럴 고속철도

파일:prize_blueribbon.png 블루리본상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58년 1959년 1960년 1961년 1962년
오다큐 3000형 전동차초대 151계 전동차 킨테츠 10100계 전동차 키하 81계 동차 메이테츠 7000계 전동차
1963년 1964년 1965년 1966년 1967년
킨테츠 20100계 전동차 오다큐 3100형 전동차 신칸센 0계 전동차 키하 8000계 동차 킨테츠 18200계 전동차
1968년 1969년 1970년 1971년 1972년
583계 전동차 EF66형 전기기관차 세이부 5000계 전동차 - 14계 객차
1973년 1974년 1975년 1976년 1977년
183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초대 - 한큐 6300계 전동차 메이테츠 6000계 전동차
1978년 1979년 1980년 1981년 1982년
킨테츠 12400계 전동차 킨테츠 30000계 전동차 에노시마 전철 1000형 전동차 오다큐 7000형 전동차 하코네 등산철도 1000형 전동차
1983년 1984년 1985년 1986년 1987년
케이큐 2000형 전동차 14계 객차 메이테츠 8800계 전동차 이즈 급행 2100계 전동차 키하 83·84형 동차
1988년 1989년 1990년 1991년 1992년
오다큐 10000형 전동차 킨테츠 21000계 전동차 651계 전동차 도부 100계 전동차 오다큐 20000형 전동차
1993년 1994년 1995년 1996년 1997년
787계 전동차 - 난카이 50000계 전동차 883계 전동차 -
1998년 1999년 2000년 2001년 2002년
신칸센 500계 전동차 285계 전동차 E26계 객차 885계 전동차 E257계 전동차
2003년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킨테츠 21020계 전동차 5100형 전동차 M250계 전동차 오다큐 50000형 전동차 도야마 지방철도 0600형 전동차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신칸센 N700계 전동차 오다큐 60000형 전동차 E259계 전동차 케이세이 AE형 전동차2대 신칸센 E5계 전동차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도쿄메트로 1000계 전동차 킨테츠 50000계 전동차 신칸센 E7·W7계 전동차 한신 5700계 전동차 BEC819계 전동차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35계 객차 오다큐 70000형 전동차 세이부 001계 전동차 킨테츠 80000계 전동차 케이큐 1000형 전동차2대
2023년 2024년 2025년 2026년 2027년
HC 85계 동차 도부 N100계 전동차 - - -
}}}}}}}}} ||




[1] 도카이도-산요 신칸센 운행하는 16량 1323석 편성.[2] 0번대가 JR 도카이 소유, 3000번대가 JR 서일본 소유라는 차이만 있을 뿐이며 동일 사양. 2018년 현재 전 열차가 N700A계에 준하는 사양(N700a)으로 개조되면서 각각 2000번대(JR도카이)와 5000번대(JR 서일본)으로 번호가 변경되었다. 동시에 편성번호도 변경되었다.[3] 산요-큐슈 신칸센에서 운행하는 8량 편성.[4] 7000번대가 JR 서일본 소유, 8000번대가 JR 큐슈 소유라는 차이만 있을 뿐이며 8000번대 역시 7000번대와 동일 사양이다.[5] 도카이도 신칸센 & 산요 신칸센 운행 편성[6] 산요 신칸센 & 큐슈 신칸센 운행 편성[N700] [N700A] [9] VVVF-IGBT를 사용하여 한국 광역철도 전동차 321000호대, 331000호대, 312000호대와 구동음이 유사하다.[10] 원래 이 금액이 정상적인 원화 가격이지만, 환율변동에 따라 환율로 계산하는 그때 그때의 가격은 다르단 것을 인지하자.[11] N700계가 본격적으로 도입되기 시작한 당시 산요 신칸센에서는 퇴역을 앞둔 0계가 현역이었다. 정식 운행은 2008년 11월 30일까지 하였고, 임시 운행은 2008년 12월 14일까지 하였다.[12] 철로와 열차의 바퀴의 마찰계수는 자동차 타이어와 아스팔트의 마찰계수에 비해 매우 작다. 신칸센 한 량의 차량을 어른 4명이 밀 수 있을 정도.[13] 3,4,10,15,16호차에 있었으며 영업운전은 하지 않았으니 큰 의미는 없다..[14] 3, 7, 10, 15호차. 이중 10호차는 그린샤이다.[15] 3, 7호차[16] 16량 편성에서는 8, 9, 10호차에, 8량 편성에서는 6호차의 절반이 그린샤이다.[17] 사실 JR 도카이는 자체적으로 500계를 운용한 적이 없다.[18] 이 둘을 구분하는 방법은 JR로고 색깔과 큐슈/서일본 로고이다. 큐슈/서일본이면 8000번대, 서일본/큐슈면 7000번대이다.[19] 그러나 신호시스템은 도카이도 신칸센 구간에도 대응하는데, 영업운전은 하지 않지만 오사카 셋츠시에 위치한 토리카이 신칸센 차량기지가 JR 도카이가 관리하는 구간이라 이곳으로의 회송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뭐 신오사카역 앞의 주박시설도 있으나, 만약의 사태를 대비하여 시스템이 내장되어있다.[20] 양산 선행차량이라 양산차와는 전반적인 사양이 다르고 상대적으로 노후화되어 영업용으로 활용하지 않았고, 신기술의 테스트 차량으로 사용되었다. 이것은 300계와 700계도 마찬가지였지만, 두 차량은 양산선행차량이 영업용으로 사용된 이력이 있다.(300계는 폐차 직전 몇년간 N700계 제작을 위한 대차시험차량으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