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도시철도
1. 대한민국의 기록
1.1. 역명
- 한글명이 긴 역(8자 이상)
순위 | 역명 | 글자수[1] | 도시철도 노선 |
1위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부] | 10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위 | 동대문역사문화공원역[3] | 9자 | 서울 지하철 2호선 서울 지하철 4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
차량기지임시승강장 | 의정부 경전철 | ||
3위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8자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 서울 지하철 6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
경기도청북부청사역 | 의정부 경전철 |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영문명이 긴 역(40자 이상)
순위 | 역명 | 글자수[4] | 도시철도 노선 |
1위 | 칠곡경대병원역 Chilgok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Center Station | 54자 | 대구도시철도 3호선 |
2위 | 경성대·부경대역 Kyungsung University·Pukyong National University Station | 51자[5]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3위 |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국.부] Busan International Finance Center·Busan Bank Station | 47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4위 | 경기도청북부청사역 Gyeonggi Provincial Government North Office Station | 46자 | 의정부 경전철 |
5위 | 경인교대입구역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tation | 43자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Busan National University Yangsan Campus Station | 43자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인명이 포함된 역
- 사람 이름을 딴 역 문서 참고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개통연도 |
김유정역 | 수도권 전철 경춘선 | 1939년 개통, 2004년 현 역명으로 변경 |
김대중컨벤션센터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2008년 개통 |
기흥역[7]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용인 에버라인 | 분당선은 2011년 개통, 용인 경전철은 2013년 개통 |
세종대왕릉역 | 수도권 전철 경강선 | 2016년 개통 |
수로왕릉역 | 부산김해경전철 | 2011년 개통 |
낙성대(강감찬)역 | 서울 지하철 2호선 | 1983년 개통, 2019년부터 병기 |
- 외래어로 구성되어 있는 역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개통연도 | 기타 |
가산디지털단지역 Gasan Digital Complex |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 1974년[8] 2000년[9] | 부분 외래어가 사용된 역 |
고속터미널역 Express Bus Terminal Station | 수도권 전철 3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 1985년[10] 2000년[11] 2009년[12] | |
남부터미널역 Nambu Bus Terminal Station | 수도권 전철 3호선 | 부분 외래어가 사용된 역 개통 당시 화물터미널역 | |
디지털미디어시티역 Digital Media City Station | 서울 지하철 6호선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인천국제공항철도 | 2000년[13] 2009년[14] 2010년[15] |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16] |
센텀시티역 Centum City Station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2002년 | 지방에 소재하는 역명 전체가 외래어가 사용된 최초의 역 |
센텀역 Centum Station | 동해선 광역전철 | 2016년 |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 |
벡스코역 BEXCO Station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동해선 광역전철 | 2002년[17] 2016년[18] | |
캠퍼스타운역 Campus Town Station | 인천 지하철 1호선 | 2009년[19] | |
테크노파크역 Techno Park station | |||
센트럴파크역 Central Park Station | |||
전대·에버랜드역 Jeondae·Everland Station | 용인 에버라인 | 2013년 | 부분 외래어가 사용된 역 |
파라다이스시티역[20] Paradice City Station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2016년 |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 |
- 부역명에 영어가 들어가 있는 역
역명 | 부역명 | 도시철도 노선 |
센텀시티역 | BEXCO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남천역 | KBS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수성못역 | TBC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
수성구청역 | KBS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 합성어로 구성되어 있는 역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개통연도 | 기타 |
오시리아역 OSIRIA Station | 동해선 광역전철 | 2016년 | 역명 전체가 합성어인 역 |
1.2. 스크린도어
- 국내 최초의 스크린도어 설치역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문화전당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금남로4가역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
-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
- 국내 유일 로프식 스크린도어 설치역[21]
1.3. 역간거리와 소요시간
1.4. 역 개수와 노선의 길이
- 역 개수가 많은 노선
순위 | 도시철도 노선 | 역 개수 |
1위 | 수도권 전철 1호선 | 102개 |
2위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63개 |
3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58개 |
- 노선의 길이가 긴 노선
순위 | 도시철도 노선 | 노선의 길이 |
1위 | 수도권 전철 1호선 | 218.9km |
2위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 137.8km |
3위 |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 106.9km |
1.5. 심도와 해발고도
심도와 해발고도는 선로를 기준으로 한다.해발고도는 심도나 교량높이와는 엄연히 다르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지하구간에서 심도가 깊다고 무조건 낮은 것은 아니며, 지상 및 고가구간에서 교량 높이가 높다고 무조건 높은 것도 아니다.
- 심도가 깊은 역
순위 | 역명 | 도시철도 노선 | 심도 | 비고 |
1위 | 김포공항역 | 수도권 전철 서해선 | 83m | 지하 5층 |
2위 | 만덕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64.25m | 지하 9층 |
3위 | 산성역 | 서울 지하철 8호선 | 55.4m | 지하 3층 |
4위 | 배산역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55.2m | 지하 8층 |
5위 | 서울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51.9m | 지하 7층 |
-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역
수도권 전철 서해선 김포공항역: -?m
- 각 노선별 해발고도가 가장 높은 역
노선 | 역명 | 구간 | 높이(m) | 높이(RL) | 비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 덕계역 | 연천~인천/신창/광명/서동탄 | 약 85m | 약 185 | |
서울 지하철 2호선 | 낙성대역 | 을지로순환선/신정지선/성수지선 | ? |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원당역, 지축역, 무악재역 중 하나 | 대화~오금 | ? | ? | |
수도권 전철 4호선 | 수리산역 | 당고개~오이도 | 약 70~73m | 약 170~173 | |
수도권 전철 5호선 | 마천역, 명일역, 신금호역, 거여역, 고덕역 중 하나 | 방화~하남검단산/마천 | ? |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신내역 | 응암순환~신내 |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장암역 | 장암~석남 | ? | ?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산성역 | 별내~모란 | ? |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중앙보훈병원역 | 개화~중앙보훈병원 | ? | ? | |
인천 1호선 | 계양역 | 계양~국제업무지구 | ? | ? | |
인천 2호선 | 검바위역 | 검단오류~운연 | ? | ? | |
신분당선 | 성복역, 광교역 중 하나 | 강남~광교 | ? | ? | |
경의중앙선 | 지평역 | 임진강~지평/서울역 | 약 93m | 약 193 | |
경춘선 | 평내호평역 | 광운대/청량리~춘천 | 약 120m | 약 1120 | |
수인분당선 | 죽전역, 구성역, 신갈역, 기흥역 중 하나 | 청량리~인천 | ? | ? | |
공항철도 | 계양역, 영종역 중 하나 | 서울역~인천공항2터미널 | ? | ? | |
의정부 경전철 | ? | ? | ? | ? | |
에버라인 | 삼가역 | 기흥~전대·에버랜드 | 약 130m | 약 1130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28] | ? | ? | ? | |
경강선 | 삼동역 | 판교~여주 | ? | ? | |
우이신설선 | 북한산우이역, 솔샘역 중 하나 | 북한산우이~신설동 | ? | ? | |
서해선 | 소새울역 | 소사~원시 | ? | ? | [29] |
김포골드라인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노포역 | 다대포해수욕장~노포 | ? |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만덕역 | 대저~수영 | 94m | 29.75m |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안평기지간이역 | 미남~안평기지간이역 | ? | ? | [30] |
부산김해경전철 | ?[31] | ? | ? | ? | |
동해선 | 부전역, 거제해맞이역, 신해운대역 중 하나 | 부전~태화강 | ? | ? | |
대구 1호선 | 현충로역 | 설화명곡~안심 | ? | ? | |
대구 2호선 | 담티역 | 문양~영남대 | ? | ? | |
대구 3호선 | 용지역 | 칠곡경대병원~용지 | ? | ? | |
광주 1호선 | 녹동역 | 녹동~평동 | ? | ? | |
대전 1호선 | 반석역 | 판암~반석 | ? | ? |
- 각 노선별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역
노선 | 역명 | 구간 | 높이(m) | 높이(RL) | 비고 |
수도권 전철 1호선 | 제기동역 | 연천~인천/신창/광명/서동탄 | ? | ? | |
서울 지하철 2호선 | 까치산역 | 을지로순환선/신정지선/성수지선 | ? | ? | |
수도권 전철 3호선 | ? | ? | ? | ? | |
수도권 전철 4호선 | ? | ? | ? | ? | |
수도권 전철 5호선 | 양평역, 영등포시장역, 여의나루역중 하나 | 방화~하남검단산/마천 | ? | ? | |
서울 지하철 6호선 | ? | ? | ? | ? | |
서울 지하철 7호선 | 가산디지털단지역 | 장암~석남 | ? | ? | |
서울 지하철 8호선 | 잠실역 | 별내~모란 | ? | ? | |
서울 지하철 9호선 | ? | ? | ? | ? | |
인천 1호선 | ? | ? | ? | ? | |
인천 2호선 | ? | ? | ? | ? | |
분당선 | ? | ? | ? | ? | |
신분당선 | ? | ? | ? | ? | |
경의중앙선 | ? | ? | ? | ? | |
경춘선 | ? | ? | ? | ? | |
공항철도 | ? | ? | ? | ? | |
의정부 경전철 | ? | ? | ? | ? | |
수인선 | ? | ? | ? | ? | |
에버라인 | ? | ? | ? | ? |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 ? | ? | ? | ? | |
경강선 | 이매역 | 판교~여주 | ? | ? | |
우이신설선 | 보문역 | 북한산우이~신설동 | ? | ? | |
서해선 | 초지역 | 소사~원시 | ? | ? | |
김포골드라인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 ? | ? | ? |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 ?[32] | ? | ? | ? | |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망미역 | 대저~수영 | ? | -20.36m | [33] |
부산 도시철도 4호선 | ? | ? | ? | ? | |
부산김해경전철 | ? | ? | ? | ? | |
동해선 | ? | ? | ? | ? | |
대구 1호선 | 설화명곡역, 화원역 중 하나 | 설화명곡~안심 | ? | ? | |
대구 2호선 | 계명대역 | 문양~영남대 | ? | ? | |
대구 3호선 | 만평역 | 칠곡경대병원~용지 | ? | ? | |
광주 1호선 | 공항역, 광주송정역 중 하나 | 녹동~평동 | ? | ? | |
대전 1호선 | 중앙로역 | 판암~반석 | ? | ? |
1.6. 기타
- 출구가 많은 역
순위 | 역명 | 출구 수 | 도시철도 노선 |
1위 | 반월당역 | 23개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2위 | 두류역 | 20개[34]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
3위 | 수영역 | 16개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중앙역 | 16개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
종로3가역 | 16개[35] | 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 3호선 수도권 전철 5호선 |
- 환승 관련
- 환승역 최다 연속 구간: 공항철도 서울역~검암 (8개)
- 급행 관련
- 가장 많은 급행을 통과하는 계통: 경부선 B급행 하행의 서울역~금천구청 역 사이 (10개)
- 승강장 관련
- 국내 최초이자 유일의 모노레일 노선
2. 세계의 기록
- 총 노선의 길이의 합
순위 | 이름 | 역 수[36] | 길이 |
1위 | 상하이 | 508 | 832km[37] |
2위 | 베이징 | 463 | 783km |
3위 | 광저우[38] | 262 | 538km |
4위 | 청두 | 333 | 518km |
5위 | 선전 | 301 | 433km |
6위 | 난징 | 199 | 421km |
7위 | 런던 | 270 | 402km |
8위 | 모스크바 | 233[39] | 394km |
9위 | 뉴욕 | 472 | 380km |
10위 | 서울 | 331 | 350km[40] |
11위 | 델리 | ? | 348km |
12위 | 충칭 | 184 | 310km |
13위 | 마드리드 | 316 | 282km |
14위 | 톈진 | 204 | 275km |
15위 | 홍콩 | 184 | 269km |
16위 | 멕시코 시티 | 195 | 226km |
17위 | 싱가포르 | 150 | 217km |
18위 | 파리 | 303 | 214km |
19위 | 도쿄 | 179 | 195.1km[41] |
20위 | 워싱턴 | 91 | 190km |
21위 | 샌프란시스코 | 44 | 167km |
22위 | 시카고 | 145 | 165.4km |
23위 | 타이베이 | 132 | 153km |
24위 | 베를린 | 170 | 151.7km |
25위 | 오사카 | 123 | 131km[42] |
26위 | 테헤란 | 83 | 128km |
27위 | 다롄 | 44 | 124.5km |
28위 | 상트페테르부르크 | 70 | 121.4km |
29위 | 부산 | 108 | 116.6km[43] |
30위 | 스톡홀름 | 100 | 105.7km |
- 가장 긴 단일 노선
유인 노선 | |
노선명 | 길이 |
수도권 전철 1호선 | 218.9km |
무인 노선 | |
노선명 | 길이 |
프랑스 릴 Red Line | 32 km |
- 세계 최초 스크린도어 설치역
역명 | 노선 |
모스콥스카야역 | 상트페테르부르크 지하철 |
- 가장 많은 출구를 가진 역
역명 | 출구수 | 국가 |
신주쿠역 | 200개 | 일본 |
- 이름이 가장 짧은 역
순위 | 역명 | 글자수[44] | 도시철도 노선 |
1위 | 츠역 | 1자 | 키세이 본선 |
[1] '역'이라는 글자는 글자수 계산에서 제외[국.부] 부산국제금융센터의 개장으로 2014년 11월 5일자로 문전역에서 지금의 역명으로 개명되었다.[3] 구 서울운동장역→동대문운동장역.[4] 'Station'이라는 단어는 글자수 계산에 포함, 공백과 가운뎃점은 글자수 계산에서 제외[5] 부역명인 동명대학교(Dongmyung University)를 포함하면 무려 70자나 된다.[국.부] [7] 부역명이 백남준아트센터역이다.[8] 수도권 전철 1호선[9] 서울 지하철 7호선[10] 수도권 전철 3호선[11] 서울 지하철 7호선 고속터미널역[12] 서울 지하철 9호선 고속터미널역[13] 서울 지하철 6호선[14]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개통 당시엔 경의선)[15] 인천국제공항철도[16] 처음 개통 당시에는 수색역으로 불려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최초의 역에 오르지 못했다.[1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개통 당시 역명은 시립미술관역이었으나 동해선과의 연계를 위해 2016년 11월 21일에 역명을 변경하였다.[18] 동해선 광역전철[19] 수도권 전철 최초로 역명 전체가 외래어인 역[20] 구 국제업무단지역. 국제업무지구역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서 바뀌었다.[21] 국내 최초로 로프식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은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의 녹동역이지만 지금은 철거되고 반밀폐 스크린도어로 교체되었다.[22] 한때 가장 역간거리가 길었던 구간은 GTX-A 성남~동탄 구간 22.1km, GTX 제외 시 공항철도 검암~운서 구간으로 18.6km이었다. 3호선 원당~삼송 5.0km, 1호선 평택~성환 9.4km, 공항철도 검암~운서 18.6km, 청라국제도시~운서 13.8km, 디지털미디어시티~김포공항 10.9km 순으로 변화하였다.[23] 경춘선 광운대~상봉 구간도 약 8분이 소요된다. 한때 가장 역간 소요시간이 길었던 구간은 GTX-A 성남~동탄 구간으로 약 14분 소요, GTX 제외 시 공항철도 검암~운서 구간으로 약 13분 30초가 소요되었다. 임진강셔틀 개통 이후부터 운천역 개통 직전까지는 문산 ~ 임진강 구간이 9분으로 가장 길었다.[24] 한때 가장 역간거리가 길었던 운행계통은 1호선 용산~신창 주말급행의 수원역 ~ 평택역 구간으로 33.5km에 달했다.[25] 2번째로 긴 운행계통은 경의중앙선의 중앙선 급행의 양수역 ~ 양평역 구간 16.7km이다.[26] 한때 가장 역간 소요시간이 길었던 운행계통은 1호선 용산~신창 주말급행의 수원역 ~ 평택역 구간으로 시간표 상 소요시간만 21분에 달했으며, 당시 의정부 경전철의 전체 구간 주행 소요시간(20분)보다도 길었다.[27] 2번째로 긴 운행계통은 경의중앙선의 중앙선 급행의 양수역 ~ 양평역 구간으로 약 14분이 소요된다.[28] 일단 인천공항1터미널역은 아니다.[29] 하중역이 개통되면 기록이 바뀐다.[30] 간이역 제외하면 안평역이 가장 높다.[31] 일단 괘법르네시떼역, 공항역, 장신대역은 아니다.[32] 민락역으로 추정[33] 출입구 인근 도로 기준 해발고도가 가장 낮은 역은 4.5m인 덕천역[34] 비환승역 중 가장 출구가 많다.[35] 1~15번 출구와 2-1번 출구가 있다. 수도권 전철에서 가장 출구가 많다. 수도권 전철의 비환승역 중에서 출구가 가장 많은 역은 청담역(14개)이다.[36] 환승역 중복 포함.[37] 상하이 자기부상 시범운영선 포함.[38] 광포선 포함.[39] 모스코브스코예 첸트랄노예 콜초선 포함시.[40] 서울 도시철도만의 기록으로, 인천 지하철 및 기타 광역철도 합산시 1,232km이 되어 압도적 1위가 되지만 다른 도시의 기록도 사철이나 광역철도를 합치지 않은 수치이기 때문에 형평성 문제로 1위는 되지 않을것이다.[41] 의외라고 볼 수 있는데, 이것은 도쿄 도시철도(도에이 지하철, 도쿄 메트로)만의 기록으로, 사철의 구간은 합치지 않은 것이다. 광역권의 JR그룹 노선을 포함시 무려 2045.4km(!!!)이다. 또 사철의 구간까지 합치면 훨씬 더 길어진다.[42] 난코 포트타운선 제외.[43] 1~4호선만을 포함.[44] '역'이라는 글자는 글자수 계산에서 제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