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00:44:23

문예봉(야인시대)

무뇌봉에서 넘어옴
파일:야인시대 로고(흰색).png
공산당 파일:낫과 망치.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당수 박헌영
조선청년전위대 김두한(탈퇴) → 정진영
신불출 김천호 김해숙
배우 심영 문예봉 황철
기타 금강 김원봉 허성탁 }}}}}}}}}

파일:무뇌봉.png
파일:몰라요.jpg
<colbgcolor=#df0500><colcolor=#f9d005> 소속 <colbgcolor=#ff7d7d>파일:낫과 망치.svg 남조선공산당
담당 배우 불명
등장 에피소드 63회~64회
가족관계 임선규 (남편)
1. 개요2. 작중 행적3.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clearfix]

1. 개요

이번에 소개할 분은 여러분들께서 정말로 기다리던 분들이십니다!
이 연극의 주인공, 본인 심영과 무뇌봉문예봉 동무를 소개합니다!
심영
(정진영: 심영 동무는 어디로 갔습니까? 심영 동무 말입니다!)
앞서 도망쳐 나가셨어요. 김두한과 그 부하들[1]이 쫓아가는 걸 봤는데, 그리고 어떻게 됐는지 몰라요.
작중에서 문예봉의 유일한 대사. 김두한과 우미관패가 떠난 직후에 조선청년전위대가 중앙극장에 도착한 장면이다.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배우는 아직까지는 불명이다.[2] 그 유명한 내가 고자라니 파트에서 심영황철과 함께 단역으로 등장했다.

2. 작중 행적

64화에서 출연. 심영이 자신을 소개하자 앞으로 나서며 등장한다. 극작가 임선규의 아내이며, 남편이 직접 작사한[3] 연극 에 출연하기 위해 중앙극장에 왔으나 곧 벌어진 김두한 패거리의 난동에 의해 연극은 시작도 못해본 채 대피한다.

그렇게 김두한과 우미관 패거리가 온갖 깽판을 부리고 떠난 뒤 조선청년전위대 상부가 중앙극장에 도착하고, 전위대장 동무심영 동무는 어떻게 되었는지 물어보자 "앞서 도망쳐 나가셨어요. 김두한과 그 부하들이 쫓아가는 걸 봤는데, 그리고 어떻게 됐는지 몰라요."라고 답한다.

그리고 문예봉의 출연은 이것이 끝이었으며 일회용 단역이었다.

3. 야인시대 합성물에서

파일:야인시대 로고.png 합성물 주요 등장인물 · 장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주요 등장인물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1.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2.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3.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4.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5.png
파일:내가 고자라니 레귤러6.png
심영 김두한 상하이 조 의사양반 이정재(형사양반) 심영의 어머니
조병옥 이승만 염동진 김좌진 정진영 장택상
시라소니 나레이션 임화수 박용직 김종원 미군양반
조연 등장인물1
박헌영 김형사 신불출 문영철 김무옥 이석재
문예봉 미와 와사부로 워태커 줄서양반 이기붕 김영태
신영균 개코 애기보살 김해숙 곽영주 눈물의 곡절
최동열 백관옥 신익희 유진산 고깃집 아저씨 유지광
박마리아 중앙극장 관객 이화룡 임동호 신성모 금강
마이클 상사 김관철 정팔 김이수 학생들
연구 대상2
황철 구마적 신마적 쌍칼 이강석 김천호
아구 황병관 삼수 박정희 휘발유 돼지
김후옥 임선규 홍만길 김두한의
친할머니
개고기 김 마루오까
하야시 나미꼬 오상사 와싱턴 김기홍 번개
타 작품 등장인물3
궁예
(태조 왕건)
세기중기 수리공
(영웅시대)
왕창한
(미지왕)
나레이션 양반
(태조 왕건)
홍재근
(야수)
흑곰4
(바리바리 짱)
레이
북두의 권(실사한국판)
장면
폭☆8 백병원 앞을 지나가는 자동차
1. 주요 등장인물만큼 많이 합성되지는 않지만 합성물에는 사용되거나 원작 내 이름이 없는 인물 또는 사물.
2. 아직까지 이들이 비중있게 나오는 합성물은 많이 나오지 못했지만, 부분적으로나마 쓰이고 있거나 거의 쓰이지 않았다 하더라도 여러 야인시대 합성물 제작자들의 연구 대상에 포함되는 인물 또는 사물.

3. 야인시대가 아닌 다른 작품에서 출연했지만 야인시대 출연 배우와 같은 인물이 맡은 배역이라서 합성물에 쓰이고 있는 인물 또는 사물.
}}}}}}}}}

무뇌봉 동무를 소개합니다!!
심영

몬더그린으로 인해 심영이 그녀를 소개하는 부분이 무뇌으로 들려서인지 해당 발음이 별명으로 굳어졌다. 게다가 '몰라요' 라는 대사가 있는 덕에, 활용될 경우 아무것도 모른다거나 뇌가 없다는 식의 캐릭터가 부여된다. 대사 한 줄도 없는 임선규와 부부 관계라는 사실은 무시되고, 심영의 연인 혹은 짝사랑 상대로 나오는 설정으로 등장하기도 하며 그녀를 두고 심영과 김두한이 싸우는 합성물도 극히 드물지만 있다. 무뇌봉 외에는 심영의 라이벌이자 소울메이트인 황철과 남편 임선규도 있지만 그들은 주로 엑스트라 1, 2 정도의 역할로 나온 거 말고는 주역으로 나온 건 거의 없다.[4] 정작 야인시대 2부가 방영되는 당시에 좌익배우들 중 비중이 가장 높았던 사람은 1부 중후반 때부터 나온 신불출이었고, 그 다음이 몇 화 정도 나온 심영이었다. 반면 그녀는 그냥 63, 64화에서만 짤막하게 나왔다. 내가 고자라니가 방영된 지 [age(2003-03-04)]년이 지난 지금의 위치를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다.

심영물에서 무뇌봉이라는 존재가 처음 언급된 건 2009년의 일이다. 음원은 소실되었으나... 2024년 1월 25일에 발견되었다. 대본도 남아있으며, 문예봉이라는 존재가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무뇌봉이라고 표기한 것이 굳어졌다. 이 합성물은 장난전화 음원에 심영 목소리를 짜집기 해서 합성한 것이다.[5]

야인시대 필수요소의 범위가 야인시대 전체로 넓어진 현재 심영물에서는 무뇌 속성이 더욱 강화되어 끝의 '몰라요' 구간이 자주 쓰이기 시작했다. #예시 #예시2 요즘은 몇 없는 대사를 조교해무뇌 자동차 봉봉[6]이런 영상을 만들어내기도 한다.

이제는 하다못해 심영과 공연 중에 싸우기까지 한다.[7]

무뇌봉의 뇌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영상. 이 영상은 유튜버 진용진의 컨텐츠인 "그것을 알려드림"의 패러디이다. 위의 "공연중에 무뇌봉과 싸우는 심영" 제작자가 이 작품도 만들었다.[8]

심영의 랩에 피쳐링되기도 한다..

실제 문예봉까지 끌어온 심영물도 나왔다.[9]

믿거나 말거나 의사로 나온 적도 있다. 이른바 무뇌과 의사(…) 이렇게 못미더운 의사는 내 생전에 처음이다.


[1] 문영철, 김관철, 상하이 조.[2] 배우 추연희가 맡았다는 말도 있었지만, 아닌 걸로 판명났고 아직도 알아내지 못해 오리무중이다. 그래서 배우가 맡은 다른 인물을 조교할 수도 없어서 줄서맨과 함께 조교 난이도가 굉장히 높다. 저 두 줄 반짜리 대사 한 마디로백마스킹까지 쪽쪽 빨아서 조교를 다 해야하기 때문.[3] 단, 이는 어디까지나 야인시대에서의 창작. 실제론 의 작가는 박영호였다.[4] 그나마 황철은 대사가 조금이라도 있어서 2020년 이후 합성물에서 어쩌다가 쓰이고 있지만 임선규는 아예 대사가 없어서 거의 안 나온다. 심지어 줄서양반보다도 안쓰인다![5] 장난전화한 사람은 케인으로, 케인인님 한판해요, 죄송합니다, 뭉탱이 등 밈, 유행어가 있는 그 케인 맞다. 2007년에는 장난전화를 콘텐츠로 했으며 자신도 잘못했다고 인정했다.[6] 폭8전야 단품[7] 무뇌봉의 멍청한 짓거리와 심영의 "무뇌봉 니는 그 X같은 몰라요 좀 하지말라고"가 인상적이다.[8] 문예봉을 가장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제작자다. 만든 작품들을 보면 문예봉이 등장하는 게 많다. 또한 이 제작자의 '절 화장실에 간 야인들' 작품으로 인해 정진영의 따까리 역으로만 나오던 김해숙의 합성물에서의 비중 또한 올랐다.[9] 심지어 실제 심영황철도 끌고 오기까지 했다. 다만 황철은 목소리 소스가 없어서 대사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