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23:43:07

캐딜락 XTS

파일:캐딜락 로고(2014-2021).svg
캐딜락의 플래그십 세단
<rowcolor=#000> DTS XTS CT6
파일:2019XTSTOP.png
XTS

1. 개요2. 상세
2.1. 1세대
2.1.1. 전기형 (2012~2017)2.1.2. 후기형 (2017~2020)
3. 기타4. 미디어5. 둘러보기


Cadillac X-Series Touring Sedan

1. 개요

미국의 프리미엄 자동차 브랜드인 캐딜락의 대형 세단이다.

2. 상세

2.1. 1세대

2.1.1. 전기형 (2012~2017)

파일:캐딜락 XTS 플래티넘 콘셉트_(1).jpg
파일:캐딜락 XTS 플래티넘 콘셉트_(2).jpg
XTS Platinum Concept
파일:XTS1.jpg
파일:XTS2.jpg
파일:XTS3.jpg
파일:XTS4.jpg
전기형 XTS
런칭 필름

2010년 1월 디트로이트 오토쇼에서 공개된 'XTS 플래티넘 콘셉트' 쇼카를 통해 출시가 예고되었고, 2011년 11월 LA 오토쇼를 통해 양산형이 정식으로 공개되었다. 기존에 캐딜락의 플래그십 역할을 수행하던 대형 세단 DTS는 물론이고, 준대형 세단인 STS의 포지션까지 일부 대체하는 차량이다.[1]

디자인은 앞서 공개된 쇼카와 거의 동일한 모습으로, '아트 앤 사이언트(Art&Science)'에 기반한 캐딜락 브랜드 특유의 권위적 요소가 대거 반영되었다. 격자 패턴의 거대한 전면 그릴과 번쩍이는 대구경 크롬 휠, 수직형 헤드램프와 테일램프를 장착해 전통적인 미국산 고급 승용차의 이미지를 따르면서도 역동적인 느낌을 낸 것이 특징. 실내는 질 좋은 가죽과 원목 트림, 스티칭 장식으로 꾸며져 상당히 무게감 있는 분위기다.

차체는 GM 입실론 II 플랫폼의 장축형을 바탕으로 하며, 뷰익 라크로스, 사브 9-5와 달리 유럽 성향의 SL 장축형 대신 북미 성향의 EL 장축형을 채택했다.[2] 크기는 전장 5,128mm, 전폭 1,852mm, 전고 1,501mm, 축거 2,837mm 수준. 같은 연식의 렉서스 LS와 비교했을 때 전폭이 2cm정도 좁은 것을 빼면 더 큰 덩치를 지닌다.

구동계는 전작인 DTS와 마찬가지로 전륜구동 기반이고, 사양에 따라 사륜구동을 선택할 수도 있었다. 엔진은 304마력을 발휘하는 3.6L V6 자연흡기 엔진과 410마력을 발휘하는 3.6L V6 트윈터보 엔진 두 종이 제공되었는데,[3] 변속기는 둘 모두 6단 자동변속기가 들어갔다. 전반적인 주행 질감은 DTS보다 단단하지만 CTSATS보단 컴포트한 편. 다만 사륜구동 사양의 경우 전자제어식 LSD를 갖추고 있고, 전륜 하이퍼 스트럿과 MRC(Magnetic Ride Control), 브렘보 브레이크까지 장착해 어느 정도 스포티한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편의장비로는 캐딜락 차량 최초의 CUE 인포테인먼트 시스템과 12.3인치 디스플레이 계기판, 헤드업 디스플레이(HUD), 보스 사운드 시스템,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NC), 시프트 패들,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열선 및 통풍 시트, 마사지 시트, 서라운드 비전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이 제공되었다. 또한 차선 이탈 경고, 전방 충돌 경고, 후방 교차 충돌 경고, 전후방 긴급 제동, 햅틱 시트 등의 능동형 안전장비도 선택 가능했다.

북미를 비롯한 글로벌 시장에 판매된 사양은 2012년 상반기부터 캐나다에 위치한 GM 온타리오 공장에서, 중국 시장에 판매된 사양은 상하이-GM 공장에서 생산이 이뤄졌다.
파일:15XTS1.jpg
파일:15XTS2.jpg
2015년형 XTS

2015년형부터는 월계관을 삭제한 신형 캐딜락 로고의 적용과 함께 그릴 디자인이 소폭 바뀌었다.

2016년엔 상급 모델인 CT6의 출시로 캐딜락의 플래그십 세단 자리를 내어줬으나, CT6가 FR 구동계와 약간의 스포츠성을 갖추고 나옴에 따라 컴포트 성향의 미국식 고급차를 찾는 수요가 XTS로 몰렸고, 계속해서 판매를 이어나갔다.[4]

2.1.2. 후기형 (2017~2020)

파일:XTS5.jpg
파일:XTS6.jpg
파일:XTS7.jpg
파일:XTS8.jpg
후기형 XTS

2017년 하반기엔 한 차례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후기형 XTS가 출시되었다. 외관 디자인을 대대적으로 수정했는데, 전면부는 CT6와, 후면부는 DTS와 비슷해진 것이 특징이다. 실내엔 업데이트된 CUE 3.0이 적용된다.

파워트레인은 기존과 동일하다. 다만 OE 타이어를 변경하고 섀시를 개선해 승차감을 향상시켰다.

2019년 말, 북미 시장에서 단종되었다. 현지 판매 실적이 CT6보다 좋았을 정도로 은근히 잘 팔리는 차량이었지만 캐딜락이 최근 들어 밀고 있는 스포츠 콘셉트와 거리가 멀다는 것이 단종 사유이다. 즉, 라인업 개편 차원에서 단종한 것. 2020년엔 중국 시장에서도 단종되었고, XTS를 마지막으로 캐딜락의 전륜구동 세단 계보는 끝을 맺었다.

3. 기타

파일:CadillacXTSTune.jpg}}}||
  • 차급이 대형급이기도 하고, 구동 방식이 전륜구동 기반이다보니 개조가 용이해 캐딜락 차량 중에서도 장의차, 리무진 개조에 유독 많이 활용되는 차량이다. 다만 단종 이후엔 XT5, XT6 등 전륜기반 캐딜락 SUV들이나 에스컬레이드로 특장 수요가 옮겨가고 있다.
  • 워런 버핏이 이 차량을 자가용으로 운용하고 있다.

4. 미디어

  • 모바일 레이싱 게임 아스팔트 8: 에어본에서는 전기형 모델이 플레이어블 D 클래스 차량으로 등장한다.
파일:XTSLimo.jpg}}}||
  • GTA 5 모드로도 리무진이 있다. # # # #
파일:XTSWick.png}}}||
파일:XTSLWB.png}}}||
  • 드라마 더 리크루트에서 CIA 고위 요원들의 경호 차량으로 XTS 후기형이 등장한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000>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 시마론 · ELR
중형차 CT4 · CT4 V-시리즈 BLS · ATS · ATS-V
준대형차 CT5 · CT5 V-시리즈 스빌 · SLS · STS(구) · SLS(중국형) ·
STS · STS-V · 카테라 · CTS · CTS-V
대형차 CT6 · 셀레스틱 모델 A · 모델 B · 모델 C · 모델 D · 모델 E ·
모델 F · 모델 S · 모델 T
· 모델 K · 모델 M ·
모델 H · 모델 L · 모델 G · 모델 30 · 타입 51 ·
타입 V-63 · 시리즈 314 · 시리즈 341 · 시리즈 353
· 시리즈 355 · 시리즈 10 · V-12 · V-16 · 시리즈 60
· 시리즈 61 · 시리즈 62 · 시리즈 65 · 시리즈 70 ·
시리즈 75 · 식스티 스페셜 · 엘도라도 · 브로엄 ·
플리트우드 · 플리트우드 브로엄 · 칼레 · 드 빌 ·
DTS · XTS · CT6-V
로드스터 - 알랑테 · XLR
준중형 SUV XT4 · GT4 -
중형 SUV XT5 · 옵틱 SRX(2세대)
준대형 SUV XT6 · 리릭 · 리릭-V SRX(1세대)
대형 SUV 에스컬레이드 · 에스컬레이드-V · 비스틱(출시예정) -
초대형 SUV 에스컬레이드 ESV · 에스컬레이드 IQ -
의전차량 프레지덴셜 스테이트 카 -
레이스카 V-시리즈.R DPi-V.R · 노스스타 LMP
경전차 - M5 스튜어트 · M24 채피 · M41 워커 불독
공수전차 - M551 셰리든
자주곡사포 - M8 스콧 · M37 자주곡사포 · M41 고릴라
자주대공포 - M19 더스터
캐딜락 V-시리즈의 차량
캐딜락의 전기차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CR-Logo-V2.pn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000> 분류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중형 세단 CT4-V · CT4 V-블랙윙 ATS V-Sport · ATS-V세단/쿠페
준대형 세단 CT5-V · CT5 V-블랙윙 STS-V · CTS V-Sport · CTS-V세단/왜건/쿠페
대형 세단 - XTS V-Sport · CT6-V
로드스터 - XLR-V
준대형 SUV 리릭-V -
초대형 SUV 에스컬레이드-V -
캐딜락의 차량
캐딜락의 전기차 라인업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fff,#000>
파일:SAIC-GM.png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2px 0; min-width: 25%"
{{{#!folding [ 쉐보레 ]
{{{#!wiki style="margin: 2px -1px -11px"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CF9835><tablealign=center><tablebgcolor=#CF9835>
파일:쉐보레 로고(화이트).svg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소형차 <colbgcolor=#fff,#000> 오닉스 · 세일 <colbgcolor=#fff,#000> 아베오[i] · 스파크[i] · 로바[C]
준중형차 멘로[C] · 몬자[C] 크루즈[C] · 카발리에 · 코르시카[i]
중형차 말리부 XL[C] 에피카
대형차 - 카프리스 클래식[i]
스포츠카 - 카마로[i]
슈퍼카 - 콜벳[i]
소형 SUV 시커[C] · 트랙커[C] 트랙스
준중형 SUV 이쿼녹스 · 이쿼녹스 EV[i] -
중형 SUV 블레이저 · 트레일블레이저 캡티바[i]
준대형 SUV 트래버스 -
픽업트럭 - 실버라도[i] · 콜로라도[i]
MPV - 올란도[C] · 로바 · 루미나[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 캐딜락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000000><height=70><width=800>
||<tablebordercolor=#000000><tablealign=center><tablebgcolor=#000000>
파일:캐딜락 로고 화이트.svg
|| ||
||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중형차 <colbgcolor=#fff,#000> CT4 <colbgcolor=#fff,#000> ATS · ATS-L[i][C]
준대형차 CT5 CTS[i] · SLS[C]
대형차 CT6[C] XTS · 플리트우드 브로엄[i] · 플리트우드[i]
스포츠카 - XLR[i]
준중형 SUV GT4[C] · XT4 -
중형 SUV XT5[C] · 옵틱 SRX[i]
준대형 SUV XT6 · 리릭 -
대형 SUV - 에스컬레이드[i]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 뷰익 ]
||<-3><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tablebgcolor=#ffffff><height=70><width=800>
||<tablebordercolor=white,#1f2023><tablealign=center><tablebgcolor=white,#1f2023>
파일:Buick 2023 emblem.png
|| ||
||
<colbgcolor=#000> 차급 생산 차량 단종 차량
준중형차 베라노 프로[C] · 벨라이트 6[C] 벨라이트 5[C] · 엑셀[C] · 엑셀 XT[C] · 엑셀 GT[C]
중형차 리갈[C] 센추리
준대형차 라크로스[C] -
대형차 - 파크 애비뉴 · 로드마스터[i] · 로이엄
소형 SUV 앙코르 GX · 엔비스타 벨라이트 7[C] · 앙코르[C]
준중형 SUV 엔비전 S / 엔비전 플러스[C] -
중형 SUV 엘렉트라 E4[C] · 엘렉트라 E5[C] -
준대형 SUV 엔클레이브 -
MPV GL8[C] GL6[C]
기울어진 글씨: 중국 생산 차종
각주 [ 펼치기 · 접기 ]

||



[1] 이 때문에 F세그먼트급 세단이지만 간혹 다른 브랜드의 E세그먼트급 세단과 비교되기도 한다. 앞서 등장한 링컨 MKS나 이후 등장한 컨티넨탈(10세대)과 유사한 포지션의 차량인 셈. 다만 차급 자체는 엄연한 대형급이 맞다. 미국에서도 XTS를 풀 사이즈 세단으로 분류하고 있다. 영문 위키피디아 참고[2] 이후 출시된 10세대 쉐보레 임팔라도 이 구성을 응용한다.[3] 중국 시장에 한해선 2.0L I4 엔진도 제공되었다.[4] 그렇게 XTS는 2019년 단종될 때까지 미국에서 매년 CT6의 판매량을 이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