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3-12-13 15:15:54

파블로 카잘스

파블로 카살스에서 넘어옴
그라모폰 명예의 전당 헌액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tablebgcolor=#FFF,#1f2023>파일:D8FE539D-CCB2-44DA-9D5B-B6EEC0E8759F.png그라모폰 명예의 전당은 예술적 탁월함, 혁신, 혹은 상상력을 통해 클래식 음악 녹음에 기여한 예술가들을 기리기 위해 만들었다.
★는 첫 발표(2012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는 두번째 발표(2013년)때 헌액된 인물들이다.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지휘자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 빌헬름 푸르트벵글러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게오르그 솔티 | 클라우디오 아바도 | 존 바비롤리 | 다니엘 바렌보임 | 토머스 비첨 | 레너드 번스타인 | 피에르 불레즈 | 존 엘리엇 가디너 | 니콜라우스 아르농쿠르 | 카를로스 클라이버 | 오토 클렘페러 | 사이먼 래틀
카를 뵘 | 에이드리언 볼트 | 세르주 첼리비다케 | 콜린 데이비스 |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마리스 얀손스 | 라파엘 쿠벨릭 | 제임스 리바인 | 찰스 매케러스 | 주빈 메타 | 조지 셀 | 브루노 발터 | 구스타보 두다멜
벤저민 브리튼 | 리카르도 샤이 | 크리스토퍼 호그우드 | 네빌 마리너 | 예브게니 므라빈스키 | 유진 오르만디 | 안토니오 파파노 | 트레버 피노크 | 프리츠 라이너 | 레오폴드 스토코프스키 | 마이클 틸슨 토머스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성악가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루치아노 파바로티 | 플라시도 도밍고 | 마리아 칼라스 | 유시 비욜링 | 자네트 베이커 | 안젤라 게오르기우 | 체칠리아 바르톨리 | 엔리코 카루소 | 디트리히 피셔 디스카우 | 비르기트 닐손 | 엘리자베트 슈바르츠코프 | 조안 서덜랜드 | 조이스 디도나토
몽세라 카바예 | 르네 플레밍 | 토머스 햄프슨 | 안나 네트렙코 | 레온타인 프라이스 | 브린 터펠 | 프리츠 분더리히
토머스 앨렌 | 빅토리아 데 로스 앙헬레스 | 호세 카레라스 | 표도르 샬리아핀 | 캐슬린 페리어 | 시르스텐 플라그스타 | 니콜라이 갸로프 | 티토 고비 | 마릴린 혼 | 한스 호터 | 드미트리 흐보로스톱스키 | 군둘라 야노비츠 | 요나스 카우프만 | 사이먼 킨리사이드 | 엠마 커크비 | 제시 노먼 | 안네 소피 폰 오터 | 레나타 테발디 | 키리 테 카나와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피아니스트 & 오르가니스트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5px"
글렌 굴드 | 마르타 아르헤리치 | 클라우디오 아라우 | 알프레드 브렌델 |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 머리 페라이어 | 마우리치오 폴리니 | 스뱌토슬라프 리흐테르 |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 다니엘 바렌보임
블라디미르 아슈케나지 | 에밀 길렐스 | 빌헬름 켐프 |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 | 그리고리 소콜로프 | 레이프 오베 안스네스
프리드리히 굴다 | 마르크 앙드레 아믈랭 | 안젤라 휴이트 | 스테판 허프 | 예브게니 키신 | 구스타프 레온하르트 | 디누 리파티 | 라두 루푸 | 안드라스 쉬프 | 아르투르 슈나벨 | 우치다 미츠코 | 랑랑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2em"
{{{#!folding [ 현악기 & 관악기 부문 헌액자 ]
{{{#!wiki style="margin:-5px 0 -10px"
파블로 카잘스 | 자클린 뒤 프레 | 야샤 하이페츠 | 예후디 메뉴인 | 다비드 오이스트라흐 | 이작 펄만 | 므스티슬라프 로스트로포비치
모리스 앙드레 | 줄리안 브림 | 제임스 골웨이 | 하인츠 홀리거 | 스티븐 이설리스 | 요요마 | 윈튼 마살리스 | 알브레흐트 마이어 | 안네 소피 무터 | 엠마누엘 파후드 | 장 피에르 랑팔 | 조르디 사발 | 안드레스 세고비아
데니스 브레인 | 정경화 | 아르튀르 그뤼미오 | 프리츠 크라이슬러 | 기돈 크레머 | 나탄 밀스타인 | 존 윌리엄스 }}}}}}}}}
}}}
}}}}}}}}} ||

파일:Grammy.svg
'''[[그래미 어워드#s-5.3.2|그래미 어워드 평생 공로상 수상자]]'''
{{{#!wiki style="margin:0 -10px;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5px"
<colbgcolor=#fff,#353535>1963년빙 크로스비
1965년프랭크 시나트라
1966년듀크 엘링턴
1967년엘라 피츠제럴드
1968년어빙 벌린
1971년엘비스 프레슬리
1972년루이 암스트롱, 마할리아 잭슨
1984년척 베리, 찰리 파커
1985년레너드 번스타인
1986년베니 굿맨, 롤링 스톤스, 안드레스 세고비아
1987년로이 에이커프, 베니 카터, 엔리코 카루소, 레이 찰스, 패츠 도미노, 우디 허먼, 빌리 홀리데이, 비비 킹, 아이작 스턴, 이고르 스트라빈스키,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행크 윌리엄스
1989년프레드 아스테어, 파블로 카잘스, 디지 길레스피, 야샤 하이페츠, 리나 혼, 레온타인 프라이스, 베시 스미스, 아트 테이텀, 사라 본
1990년냇 킹 콜, 마일스 데이비스, 블라디미르 호로비츠, 폴 매카트니
1991년매리언 앤더슨, 밥 딜런, 존 레논, 줄리 스턴, 키티 웰스
1992년제임스 브라운, 존 콜트레인, 지미 헨드릭스, 머디 워터스
1993년쳇 앳킨스, 리틀 리처드, 델로니어스 몽크, 빌 먼로, 피트 시거, 패츠 월러
1994년빌 에반스, 아레사 프랭클린, 아르투르 루빈스타인
1995년팻시 클라인, 페기 리, 헨리 맨시니, 커티스 메이필드,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1996년데이브 브루벡, 마빈 게이, 게오르그 솔티, 스티비 원더
1997년바비 블랜드, 에벌리 브라더스, 주디 갈란드, 스테판 그라펠리, 버디 홀리, 찰스 밍거스, 오스카 피터슨, 프랭크 자파
1998년보 디들리, 밀스 브라더스, 로이 오비슨, 폴 로브슨
1999년조니 캐쉬, 샘 쿡, 오티스 레딩, 스모키 로빈슨, 멜 토메
2000년해리 벨라폰테, 우디 거스리, 존 리 후커, 미치 밀러, 윌리 넬슨
2001년비치 보이스, 토니 베넷, 새미 데이비스 주니어, 밥 말리, 더 후
2002년카운트 베이시, 로즈메리 클루니, 페리 코모, 알 그린, 조니 미첼
2003년에타 제임스, 조니 마티스, 글렌 밀러, 티토 푸엔테, 사이먼 앤 가펑클
2004년밴 클라이번, 펑크 브라더스, 엘라 젠킨스, 소니 롤린스, 아티 쇼, 독 왓슨
2005년에디 아놀드, 아트 블래키, 카터 패밀리, 모턴 굴드, 재니스 조플린, 레드 제플린, 제리 리 루이스, 젤리 롤 모턴, 파인톱 퍼킨스, 스태플 싱어즈
2006년데이비드 보위, 크림, 멀 해거드, 로버트 존슨, 제시 노먼, 리처드 프라이어, 더 위버스
2007년조안 바에즈, 부커 티 앤 엠지 에스, 마리아 칼라스, 오넷 콜먼, 도어즈, 그레이트풀 데드, 밥 윌스
2008년버트 배커랙, 더 밴드, 캡 캘러웨이, 도리스 데이, 이작 펄만, 맥스 로치, 얼 스크럭스
2009년진 오트리, 더 블라인드 보이즈 오브 알라바마, 포 탑스, 행크 존스, 브렌다 리, 딘 마틴, 톰 팩스톤
2010년레너드 코헨, 바비 다린, 데이비드 "허니보이" 에드워즈, 마이클 잭슨, 로레타 린, 앙드레 프레빈, 클락 테리
2011년줄리 앤드류스, 로이 헤인즈, 줄리아드 현악 콰르텟, 킹스턴 트리오, 돌리 파튼, 라몬즈, 조지 비벌리 시어
2012년올맨 브라더스 밴드, 글렌 캠벨, 안토니우 카를루스 조빙, 조지 존스, 더 멤피스 혼즈, 다이애나 로스, 길 스콧 헤론
2013년글렌 굴드, 찰리 헤이든, 라이트닝 홉킨스, 캐롤 킹, 패티 페이지, 템테이션스
2014년비틀즈, 클리프턴 체니어, 아이즐리 브라더스, 크라프트베르크, 크리스 크리스토퍼슨, 아르만도 만사네로, 마우드 파웰
2015년비 지스, 피에르 불레즈, 버디 가이, 조지 해리슨, 플라코 지메네즈, 루빈 브라더스, 웨인 쇼터
2016년루스 브라운, 셀리아 크루즈, 어스 윈드 앤 파이어, 허비 행콕, 제퍼슨 에어플레인, 린다 론스태드, Run-D.M.C.
2017년셜리 시저, 아마드 자말, 찰리 프라이드, 지미 로저스, 니나 시몬, 슬라이 스톤, 벨벳 언더그라운드
2018년할 블레인, 닐 다이아몬드, 에밀루 해리스, 루이스 조던, 더 미터스, , 티나 터너
2019년블랙 사바스, 조지 클린턴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빌리 엑스타인, 도니 해서웨이, 훌리오 이글레시아스, 샘 & 데이브, 디안 워윅
2020년시카고, 로버타 플랙, 아이작 헤이즈, 이기 팝, 존 프라인, 퍼블릭 에너미, 시스터 로제타 사프
2021년그랜드마스터 플래시 앤 더 퓨리어스 파이브, 라이오넬 햄프턴, 마릴린 혼, 솔트 앤 페파, 셀레나, 토킹 헤즈
2022년보니 레잇
2023년바비 맥퍼린, 너바나, 마 레이니, 슬릭 릭, 나일 로저스, 슈프림즈, 하트
같이 보기: 공로상 수상자 · 레전드상 수상자}}}}}}}}}
<colbgcolor=#000><colcolor=#fff> 파블로 카잘스
Pablo Casals
파일:133713172_1124103504701572_4548432378244767459_n.jpg
본명 파우 카잘스 이 데필료
Pau Casals i Defilló
출생 1876년 12월 29일
스페인 카탈루냐 엘 벤드렐
사망 1973년 10월 22일 (향년 96세)
푸에르토리코 산후안
직업 첼리스트, 작곡가, 지휘자

1. 개요2. 생애3. 바흐무반주 첼로 모음곡과의 관계4. 레퍼토리5. 음반6. 악기7. 기타

[clearfix]

1. 개요

왜냐하면 저는 지금도 조금씩 발전하는 것을 느끼기 때문이죠.
파블로 카잘스, 95세 때 기자가 아직도 6시간씩 매일 연습하는 이유를 묻자


스페인에서 태어난 첼리스트, 지휘자, 작곡가. 그는 20세기 전반의 가장 뛰어난 첼리스트이자 역사상 가장 위대한 첼리스트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2. 생애

카잘스는 1876년 12월 29일 스페인 카탈루냐 지방에서 태어났다. 그의 본명 역시 카탈루냐어식인 '파우 카잘스 이 데필료(Pau Casals i Defilló)'이다. 그의 아버지가 작은 교회에서 오르간을 연주했기 때문에 카잘스는 어렸을 때부터 자연스럽게 악기를 접할 수 있었다. 4살때부터 오르간, 피아노, 플룻, 바이올린을 연주했고 6살때는 대중들 앞에서 바이올린을 연주할 정도로 재능이 뛰어났다.

그가 본격적으로 첼로를 연주한 것은 11살때 부터였다고 하며, 그 전에는 아버지가 만든 첼로 비슷한 악기로 연습을 했다고 한다. 12살때 바르셀로나 음악원에 입학한 카잘스는 첼로와 음악이론등을 배우기 시작했고 13살때 중고 악보상점을 뒤지던 중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전집을 발견하게 된다.

돈이 그다지 많지 않았던 그는 카페 토스트라는 작은 가게에서 연주하는 것으로 돈을 벌던 중 작곡가 이삭 알베니즈의 눈에 띄게 되었으며, 이후 스페인 왕비의 비서에게 추천장을 받아 바르셀로나를 떠나 마드리드 왕립 음악원에서 공부를 하기 시작한다. 이 맘때 그가 발견한 악보가 바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

이어서 잠깐 파리에서도 공부를 했지만 1년만에 다시 카탈루냐로 돌아오는 그는 17세의 나이에 마드리드 교향악단과 협연을 하면서 본격적인 솔리스트로서 활동을 하게 된다. 또한 비슷한 나이의 피아니스트 알프레드 코르토와 바이올리니스트 자크 티보와 같이 카잘스 트리오를 조직, 1937년 해체할 때 까지 다양한 연주활동과 녹음활동을 하게된다.[1][2] 솔리스트로서는 다양한 지역에서 활동을 했다. 1904년에는 프랭클린 루즈벨트 미국 대통령의 초청으로 백악관에서 연주를 하기도 했다. 1915년에는 스페인 가수 수잔 멧칼페와 결혼을 했지만 1928년에 별거에 들어가게 된다. 그러나 1957년까지 이혼은 하지 않았다.

1920년대에 들어서는 솔리스트로서의 활동 뿐만 아니라 지휘쪽으로도 관심을 두기 시작했고 그의 이름을 딴 파우 카잘스 오케스트라를 조직하면서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는 1936년까지 연주활동을 하기도 한다. 이후 스페인 내전이 발발하고 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독재정권이 들어서게 되었다. 당시 카잘스는 프랑코 정권대놓고 반감을 드러냈고, 이에 당시 프랑코의 수하 중 한 명은 대놓고 라디오에서 '널 잡기만 하면 다시는 첼로를 연주할 수 없도록 팔꿈치 아래 두 팔을 완전히 잘라버리겠다'며 협박을 했다. 결국 카잘스는 1938년 10월 19일 카탈루냐 공연을 마지막으로 해외로 도피한다. 1939~42년에 프랑스 남부와 스위스 지역의 한적한 마을에서 가끔씩 연주회를 열었다. 백악관에서 연주회를 열었던 게 주목받아, 1963년 12월 6일 케네디 대통령이 대통령 자유 훈장을 수여했다. 그는 푸에르토리코산후안에서 심장마비로 인한 합병증으로 인해 1973년 96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3. 바흐무반주 첼로 모음곡과의 관계

그저 그런 연습곡 정도로 여겨지던 바흐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재평가받게 하고, 첼로의 구약성서라 불릴만큼 엄청난 지위로써 끌어올렸다.

많은 사람들이 알기로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카잘스가 처음 발견하고 초연한 것이라고 알고 있지만 이는 결코 사실이 아니다. 다만 지금처럼 모음곡 형태가 아니라 연습곡 정도로만 인식이 되었던 것으로, 카잘스가 이를 발견한 이후 약 12년에 걸친 연구 끝에 이를 완전한 모음곡 형태로써 그 모습을 갖추게 된 것이다.

카잘스가 이 곡에 대해 한 일은 크게 두 가지로, 첫번째는 그가 가지고 있던, 활 쓰는 법이라든가 템포 등이 적혀있지 않은 악보(바흐의 아내인 막달레나의 필사본)에 템포와 운궁법을 지정함으로서 이 곡에 대한 이해와 연주를 좀더 쉽게 만든 것이며, 두번째는 일반적인 형태의 첼로를 위해 작곡되지 않은 5번·6번 모음곡을 연주가 가능하게끔 정리한 것이다.

5번 모음곡의 경우는 스코르다투라(연주의 편의성이나 음색적인 효과를 누리고자 일반적인 조현과는 다르게 조율하는 것)을 이용해 가장 높은 현인 A현을 G음으로 낮춘채 연주하라고 지시되어 있는데, 카잘스는 바흐가 지시한대로 음을 낮추는 것이 연주하는 데에는 편하지만 음색이 둔해지고, 현재의 테크닉으로는 일반적인 조현으로도 연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해서 바흐의 지시를 따르지 않고 연주하였다.(시대연주가 활성화된 요즘에는 바흐의 지시를 따르는 경우도 많다.)

6번 모음곡은 비올라 폼 포사라고 하는 바흐가 고안한 5현 악기를 위해 쓰인 모음곡인데(일부에서는 피콜로 첼로를 위해서 작곡한 것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5현으로 된 만큼 악보를 봐도 낮은 음자리표만 써져있는 다른 모음곡과는 달리 6번 모음곡은 대부분이 가온음자리표로 되어있을 정도로 음역대가 더 높고 5개의 음을 한번에 연주해야 하는 등 연주가 불가능한 부분도 일부 있는데 이를 연주가 가능하게끔 정리하였다.

4. 레퍼토리

주 레퍼토리는(첼로나 지휘나 레퍼토리가 비슷하다) 바흐와 베토벤을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브람스슈만과 같은 낭만파음악이 많은 편이다. 또한 첼로로 편곡한 소품들도 꽤 연주한 편이다. 낙소스에서는 이러한 음원들만 모아서 5장의 음반으로 발매하기도 했다.

5. 음반

그가 남긴 음반들은 1920년대부터 그가 사망하기 전인 1970년대까지 녹음되었다. 그중 1920년대에서 1950년대까지의 음반은 첼리스트로서 녹음한 것이 대부분이며, 이후의 음반들은 주로 지휘자로 나섰을 때의 연주를 담은 것들이 많다.

그 중에서도 그의 대명사처럼 여겨지는 바흐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이 가장 유명하다. 이미 저작권이 만료된 지 한참 지난 음반이어서 이곳저곳에서 마구 음반발매를 하고 있다. 그만큼 이 음반이 아직도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을 듯.

그밖에도 베토벤의 첼로 소나타나 조지 셸과 같이 연주한 드보르작의 첼로 협주곡도 추천할만하다. 그밖에 그의 친구들인 자크 티보(바이올린)와 알프레드 코르토(피아노)와 함께 작업한 트리오 음반도 많다. 또한 그가 백악관에서 초청받아 연주한 실황 음반도 존재한다.

다만 대부분의 음반이 레코딩 초창기에 이뤄져서 음질이 조악한 것들이 많은 편이다.

6. 악기

그의 애기이자 평생을 동반했던 첼로는 마테오 고프릴러 이다. 고프릴러는 18세기 이탈리아 베니스 현악기 제작계에서 도메니코 몬타냐나 와 양대산맥을 이루던 대가이다.

7. 기타

카잘스와 또다른 첼로의 명장 그레고르 피아티고르스키에 얽힌 이야기가 있는데, 다음과 같다.
그레고르 피아티고르스키가 아직 젊은 신예였던 시절, 그는 당시 이미 첼리스트로 명성이 자자했던 카잘스를 만나게 되었다. 자네의 연주를 들어보고 싶다는 카잘스의 말에 피아티고르스키는 연주를 했지만, 거장이자 까마득한 대선배 앞이라는 긴장 때문에 그만 연주를 망치고 말았다. 그러나 어째서인지 카잘스는 칭찬을 아끼지 않으며 피아티고르스키를 포옹하기까지 했다. 분명 자신의 연주는 형편없었는데, 그것을 모르지 않을 카잘스가 어째서 이렇게 칭찬하는가 하여 피아티고르스키는 부끄러움에 몸둘 바를 몰랐다.
몇 년 후 피아티고르스키는 다시 한 번 카잘스를 만나게 되었다. 그동안 피나는 연습과 노력을 한 덕분에 이번에는 카잘스와 이중주를 하면서도 떨지 않을 수 있었다. 피아티고르스키는 카잘스에게 이전의 만남을 이야기하며 그때 제가 분명 엉망이었는데도 크게 칭찬을 해주셔서 몹시 부끄러웠다고 고백했다.
그러자 카잘스는 말했다. "그날 자네는 이런 주법으로, 또 활을 이렇게 들어 연주했었지. 기억나는가? 아주 참신한 방법이었어. 그것을 보고 내가 한 수 배웠다네. 과거의 잘못에 얽매이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야. 한 마디, 한 음정에서도 늘 배울 게 있다네." 그 말을 들은 피아티고르스키는 카잘스의 겸손과 첼로에 대한 열정에 크게 깨달음을 얻었다고 한다. #

한국에서는 조금 다르게 각색되었는지 '피아티고르스키가 카잘스 앞에서 그만 첫 독주회를 망쳤지만 카잘스의 열렬한 박수를 받았는데, 몇 년 후 카잘스에게 그때 일에 대해 묻자 카잘스가 자네는 그때 내가 마침 잘 안 되어 고민하던 음을 훌륭히 연주했고 그렇기에 자네는 내 박수를 받을 만했다고 대답했다'는 이야기로 알려져 있다. 다만 피아티고르스키가 "카잘스 선생이 보러 오신 공연에서 내가 긴장하여 엉망으로 연주한 적이 있었다. 그런데 카잘스 선생은 공연이 끝나고 내게 굉장히 칭찬을 해주셨고 그것이 내게 위로가 되었다"라는 말을 하기도 한 것을 보면, 어쨌든 피아티고르스키가 카잘스 앞에서 연주를 망쳤음에도 칭찬을 받은 일이 있기는 했던 듯하다.


[1] 이들은 정치적인 견해의 차이로 인해 해체한다. 알프레드 코르토가 비시 프랑스에 협력을 하면서 카잘스와의 사이가 틀어진 것이다. 또한 나치 독일의 위협을 받은 자크 티보 역시 프랑스를 도망쳐야만 했다. 아이러니 한 것은 카잘스는 훗날 코르토와 화해를 하지만 티보와는 전혀 교류를 하지 않는다.[2] 이 트리오는 1930년대 일제강점기 시절 내한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