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04 23:36:13

Z(군사 표식)

Z 표식에서 넘어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808080><colcolor=#fff> 2014년 러시아의 크림 반도 합병
전투 크림 최고 라다 점령
2014년 우크라이나 친러 시위
친러 미승인국 도네츠크 · 루간스크 · 하리코프 · 오데사
돈바스 전쟁
경과 2014년 (우크라이나 공군 일류신 Il-76 격추 사건 · 말레이시아 항공 17편 격추 사건 · 민스크 협정) · 2015~2020년 · 2021년
전선
도네츠크 전선
[첨자1]
아르테미우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포위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마리우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1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제2차 도네츠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일로바이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데발체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우디이우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루한스크 전선

루한스크 국제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요 원인 · 반응 · 전선 · 교전국 상황 · 변수 · 논란
경과 경과 요약 · 침공 이전(쿠데타 시도)
· 2022년(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3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2024년(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전선 및 전투
동부 우크라이나 전선
[첨자2]
동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하르키우 전투파일:ongo.png · 쿠퍈스크 전투파일:ongo.png · 이지움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스타로빌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스바토베-크레민나 전선 전투파일:ongo.png · 크레민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루베즈노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세베로도네츠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시찬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리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키도네츠강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슬로뱐스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시베르스크 전투파일:ongo.png · 졸로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파스나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솔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바흐무트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차시우야르 전투파일:ongo.png · 토레츠크 전투파일:ongo.png · 니우요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아우디이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피스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오체레티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포크로우스크 전투파일:ongo.png · 셀리도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우크라인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크라스노고롭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노보미하일리우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라호베 전투파일:ongo.png · 부흘레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마리우폴 포위전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2022년-2023년 우크라이나 역공세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2024년 러시아 동계 공세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남부 우크라이나 전선

크리비리흐 공습 · 즈미이니 섬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남부 우크라이나 공세파일:ongo.png (헤르손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미콜라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드니프로강 공방전파일:ongo.png · 멜리토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토크마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베르댠스크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에네르호다르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자포리자 발전소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폴로히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훌랴이폴레 전투파일:ongo.png ) · 오데사 상륙전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세바스토폴 항구 공격파일:ongo.png · 2023년 우크라이나 대반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오리히우 전투파일:ongo.png · 벨리카 노보실카 전투파일:ongo.png · 크린키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북부 우크라이나 전선

코노토프 공세 (코노토프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흘루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쇼스트카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니히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체르노빌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키이우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호스토멜 공항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수미 전투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본토 공격 (2023년 브랸스크주 공격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러시아-우크라이나 국경 전투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 쿠르스크 전투(2024년)파일:ongo.png)
각지 특수작전 및 전투
[첨자3]
베르댠스크항 미사일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모스크바함 격침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벨고로드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노보페도리우카 사키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타간로크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크림 대교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2023년 모스크바 공습(2023년 모스크바 드론 공격파일:모호 아이콘.svg · 2023년 크렘린 드론 폭격 미수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우크라이나의 러시아 항공우주군 공습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댜길레보 비행장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엥겔스 비행장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쿠르스크 공항 공격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 벨라루스 마슐리시치 군공항 공습[BLR] · 노바 카호우카 댐 폭파 사건파일:모호 아이콘.svg · 크림 대교 2차 붕괴 사건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전쟁범죄 부차 학살 · 마리우폴 극장 공습 · 크라마토르스크 기차역 미사일 공격 · 크레멘추크 쇼핑 센터 미사일 공격 · 빈니차 미사일 공격 · 이지움 학살 · 드니프로 아파트 미사일 공격흐로자 공습오크마디트 아동병원 공습콘스탄티놉카 시장 미사일 공격
경제제재와 영향 영향 · 경과 (비판 및 반론 · 2~3월 · 4월 · 5월 · 6월 · 하반기 · 식량·에너지 위기) · 난민 사태 · 2023년 우크라이나 곡물 금수 사건
반응
전쟁 당사국 지지

국제기구 · 러시아 지지 · 우크라이나 지지 (유럽 · 아시아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아프리카 · 오세아니아) · 중립
상징

Z · 백청백기 · 백록백기
인터넷 밈

키이우의 유령 · 테크노 하우스 전투 · 아조우짱 · 성 재블린
의용군

우크라이나 국제군단(자유 러시아 군단)· 워스태시 · 카이사르 · 데니스 카푸스틴
민간군사기업

바그너 그룹(바그너 그룹의 우크라이나 침공 개입) · 모차르트 그룹 · 상트 안드레이 십자가 · 애국자
무기 지원

무기대여법(렌드리스) · 푸틴을 위한 선물 (빅토르 방공시스템) · 우크라이나 민간 스타트업(트렘비타)
러시아의 대응 평화와 질서를 위한 구국위원회 · 헤르손 인민공화국 · 우리는 러시아와 함께한다 · 군민정청(헤르손[A] · 자포로지예[A] · 하리코프[B] · 니콜라예프[B]) · 우크라이나 점령 지역의 러시아 편입에 관한 국민투표 · 2022년 러시아 동원령 ·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 바그너 선 · 북한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참전
사건 사고 64km 돈좌 · 러시아 재벌 의문사 사건 · 데니스 키리예우 처형 사건 · 노르트스트림 가스관 폭발 사건 · 2022년 폴란드 미사일 피격 사건 · 우크라이나 기반시설 공습 · 2022년 몰도바 에너지 위기 · 다리야 두기나 피살 사건 · 블라데렌 타타르스키 암살 사건 · 바그너 그룹 반란 (경과) · 캐나다 의회의 나치 부역자 초청 사건 · 2024년 러시아 Il-76 추락 사고 · 막심 쿠즈미노프 피살 사건
기타 크림 공화국 · 2022년 나토 마드리드 정상회의 · 2022년 흑해 항로 협상 · 2022년 대한민국-폴란드 방산계약 · 탈나치화 · 자포리자 원자력 발전소 · UEFA 유로 2024/예선(C조) · Ukraine War Stories · 우리는 모두 여기 있습니다 · 나는 살고 싶다
전쟁의 현재 진행 상황은 경과/24년 11월 문서의 오늘 문단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첨자1]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친러반군의 승리[첨자2] 파일:ongo.png: 진행중,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승리, 파일:러시아 원형 국기.svg: 러시아군의 승리[첨자3] 파일:우크라이나 원형 국기.png: 우크라군의 공격, 파일:모호 아이콘.svg: 공격주체 미상, 그 외 각주 참조[BLR] 벨라루스 파르티잔 공격[A]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이후 러시아 연방에 편입된 군민정청[A] [B] 러시아의 동남부 우크라이나 병합 당시 독립적인 주로서 러시아 연방에 편입되지 않은 군민정청[B]
}}}}}}}}} }}}}}}}}}

1. 개요2. 다양한 피아식별 표지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3.1. 영국3.2. 이스라엘3.3. 우크라이나3.4. 일본
4. 애국의 상징화5. 금기화
5.1. 각국의 상표명 및 이름 변경 사례5.2. 사건사고
6. 기타7. 둘러보기

1. 개요

파일:P47 Nova Kakhovka russian 1.png
파일:P47 Nova Kakhovka russian 2.png
파일:P47 Nova Kakhovka russian 3.png
파일:Russian_MT-LB.jpg
파일:51904079330_8526b409c9_b.jpg
파일:KHERSON-URAL4320.webp
<rowcolor=#fff> Z 표식을 한 러시아군 소속 기갑차량들[1]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에서 러시아 연방군, 도네츠크/루간스크 인민 민병대바그너 그룹과 파병된 조선인민군이 사용하는 피아식별용 표지. 'Z'가 가장 유명하며 외부에서 널리 알려졌다. 무엇을 의미하는지 정확하게 알려지지는 않아서 전쟁 초반에는 다양한 추측이 있었지만 피아식별 용도라는 의견이 주류가 되었다. 이고리 만구셰프가 Z의 작가인 걸로 알려졌다.

2. 다양한 피아식별 표지

파일:Russian_Army_Marking.webp
전쟁 초기 우크라이나군이 배포한 유인물에 등장한 러시아군의 군사 표식.[2]
파일:2022_Russian_Invasion_vehicle_marking_Z.svg
파일:벨고로드 주둔군 표식.svg
Z 표식 테두리 Z 표식
크림반도, 로스토프 주 주둔군 벨고로드 주 주둔군
파일:2022_Russian_Invasion_vehicle_marking_V.svg
파일:체르니히우 공격군 표식.svg
V 표식 O 표식
벨라루스 주둔 병력 체르니히우 공격군
파일:Z우크라이나.jpg
해당 표식들이 식별된 위치를 한눈에 보기 쉽도록 지도에 표기한 버전

Z는 키릴 문자에 없는 글자이고 그 발음은 З가 대신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쟁 초기에는 Z를 반대로 그려넣은 사진이 찍혀서 망신을 당하기도 했다. 그래서 굳이 이를 표식으로 도입한 이유에 대해 아래와 같은 추측이 제기되었다.
  • 서쪽 방향 (запад)을 의미
    : 독소전쟁 이후 러시아에서는 "서쪽으로(На запад)!" 라는 구호가 승리의 상징으로 자리잡았다.
  • 승리를 기원하는 문구
    : 역시 독소전쟁을 계기로 널리 퍼진 "승리를 위하여(За победу)", "조국을 위하여(За родину)"가 대표적이다.[3]
  • Запад(Zapad, 서)와 Восток(Vostok, 동)의 라틴 전사 앞글자
    : 전술한 "서쪽으로"와는 결이 다른 설로, 침공 전 러시아군에서 훈련을 할 때 동군과 서군으로 훈련군을 나누었고 테이프로 피아식별 표식을 붙일 때 키릴의 З와 В보다 직선 위주라 붙이기 쉬운 Z와 V가 쓰였다.

친러 진영에서는 러시아 지지 표식처럼 사용된다. 이 외에도 Z가 사각형 안에 들어간 표식, V자 표식, O 표식 등 표식별로 모여 행동하는 러시아측 차량 장비들이 우크라이나에서 목격된다. 특히 O와 V는 Z 표식와 함께 침공 초기부터 계속 목격된 표식들이다.

이 표식들은 각 전선들의 병력들을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것으로 보인다. V 표식은 키이우, 호스토멜 등 북부 전선에서 주로 목격되었으며, O 표식은 수미 등 북동부 전선에서 자주 포착되었고, Z가 사각형 안에 들어간 표식은 하르키우 전선에서 주로 목격되었다. Z 표식은 크림 반도, 헤르손, 도네츠크 등 남부-동부 지역에서 국지적으로 목격되었다. 문양은 체첸 지원병, A표식은 특수작전부대라는 설명도 있다. 세모(#), 세모 두 개, 마름모 등 다양한 표식이 사용된다. 다만 확실한 정보가 아닌 것도 섞여 있으니 유의할 것.

여담으로 전쟁 극초기에는 위 사진처럼 군종별로 다른 표식을 사용한다는 말이 있었으나 앨리게이터급 상륙함 안에 적재된 장갑차에서도 'Z'가 식별되는 등 군종별로 식별마크가 있다는 전쟁 초기의 추정은 틀린 것으로 밝혀졌다. #

서방 기갑차량은 피아식별용으로는 적외선 피아식별장치가 사용되고 소속부대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는 표식은 따로 있다. 자세한 내용은 IFF 문서 참조. 러시아군은 같은 러시아권 무장을 주력으로 운용하는 국가와 교전한 경험이 별로 없다 보니 육안으로 식별하는 표식이 피아구분도 겸하고 있다.

4월 들어 키이우 전투이후 북부 전선에서 러시아군이 전면적으로 철수한 후 "V"와 "O" 표식은 이전에 비해 잘 목격되지 않고 있지만 도네츠크 전선에서 일부 목격되고 있다.

우크라이나 전쟁이 장기화된 후 Z 표식과 V, O 등 기타 표식들은 사실상 러시아군 차량들에 무작위로 그려지고 있다. 그나마 전쟁 초기에는 소속 부대나 전투 중인 전선을 표기하는 데 사용하였다면 이제는 그냥 그런 것 없이 지휘관 마음대로 골라서 그리고 있거나 다른 전선으로 재배치되어도 기존의 표식을 지우지 않고 그대로 쓰는 것으로 보인다.

2024년 5월 러시아군이 하르키우 방면으로 공격을 시작했는데 여기서 새로운 표식이 발견되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2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2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3.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전

Z, V, O 표지는 러시아군이 최초로 사용한 군사 표식은 아니다.

3.1. 영국

파일:Matilda_II_Z.webp
북아프리카 전선에서의 영국군 소속 마틸다 II
영국은 2차 대전기부터 기갑부대 식별표식으로 사용했다.

3.2. 이스라엘

파일:Merkava Mk 1 tanks during training on Golan Heights, 1981.jpg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메르카바 Mk I, 1981년 골란 고원
파일:Merkava_Mark_IV.jpg
이스라엘 방위군 소속 메르카바 Mk IV
이스라엘 방위군은 제5중대 소속을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하며 V 표식을 제1중대 소속임을 나타내는 표식으로 사용한다.

3.3. 우크라이나

파일:V우크라이나T-80BV.jpg
우크라이나 육군 소속 T-80BV
V 표식은 전쟁 이전 우크라이나군도 사용했다.

3.4. 일본

파일:attachment/3세대 전차/kyumaru.jpg
일본 육상자위대 소속 90식 전차
쓰시마 해전의 승리 이후 일본에서 Z기는 승리를 기원하는 상징이 되어 이후 해군이 큰 해전을 치르기 앞서 계양하게 되었으며 진주만 공습 전에도 항공모함 아카기에 동일한 뜻이 되는 D-G기를 걸어 출전하였다고 한다. 해군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도 각종 경쟁에 앞서 '승리의 각오'의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는데 1966년 토요타 자동차에서 닛산의 써니와 경쟁하면서 모든 서류에 Z 도장을 찍어 모든 작업을 한층 분발, 노력하라는 뜻을 담았고 이 때 나온 게 토요타 코롤라라고 한다. 닛산의 메이커인 페어레이디 Z도 '개발코드 Z'라고 하여 Z기가 뜻하는 승리를 기원하며 만든 것이다. 이후 스포츠 경기나 중요한 경쟁, 대학 입시 등에서 Z기를 모토로 하는 부적이나 상품이 판매되면서 비록 전쟁에서 탄생한 풍습이지만 순수한 승리와 노력을 뜻하면서 이념없는 물건이 되었다.

4. 애국의 상징화

파일:svoikh ne brosaem.svg
러시아 선전물에서 흔히 사용되는 형태

현지 시각으로 3월 3일, 러시아 국방부는 'Z'가 '승리를 위하여(за победу, 로마자로는 za pobedu)'를 뜻한다고 인스타그램을 통해 밝혔다. 이후에 '평화를 위하여(за мир)', '진실을 위하여(за правду)'라는 의미도 있다고 추가했다. Z 뒤에 Своих не бросаем[4]라는 표어도 흔히 따라붙는다.

러시아의 기계체조 선수가 Z 문양을 가슴에 그리고 시상대에 오르는가 하면 하바롭스크에서는 러시아군 지지를 위해 사람들이 Z 모양 인간띠를 만들기도 했다. 위성 발사에 사용된 소유즈 로켓에도 러시아군의 기존 상징 중 하나인 성 게오르기 리본이 Z 모양을 이룬 마킹이 그려졌다.
파일:Za_mir_bez_razuma.jpg
바쁜 사람은 49분부터
2022년 3월모스크바 루즈니키 스타디움에서 열린 크림 반도 합병 기념 행사 Zа мир без нацизма(나치즘 없는 세상을 위하여). 원래는 "За мир без нацизма"가 되어야 하나 일부러 Z로 맞추었다.[5] 이 행사에서는 블라디미르 푸틴이 직접 참여해 연설하였으며 이 외 여러 러시아 정치인 및 가수 류베, 올렉 가즈마노프, 폴리나 가가리나 등의 공연이 있었다. #

벨라루스와 러시아의 유명 록그룹 '비-2'(Би-2)의 공연이 시작 15분 전에 Z 깃발 문제로 취소되었는데 관객들이 들고 온 Z기를 보고 이런 곳에서 공연하지 않겠다며 단호한 태도를 보였고 최종적으로 주최 측의 협상 시도조차 무산되었다고 한다. 비-2는 마시나 브레메니[6], 몰찻 도마[7], 키노[8], 데데테[9], 젬피라[10], 아크바리움[11] 등과 함께 반전 성향 가수이다. 반대로 류베, 올렉 가즈마노프, 발레리 키펠로프 등은 전쟁을 옹호하는 측이다.# 대통령을 위하여라는 내용의 포스터도 원인이라고 한다. #

각종 외신 보도에 따르면 심지어 어린이 호스피스 병원의 어린이 환자들까지 동원해 플래시몹을 하거나 러시아에서 Z 표식이 새겨진 군용차 모양 장난감까지 판매하는 사례가 있다고 한다.[12]

5. 금기화

파일:novaya_svastika.png
Приветствую Z, новая свастика
(새로운 스와스티카, Z에 고개를 조아려라)
(출처: # - 이 영상의 노래는 2022년 노래가 아니라 1987년 노래다.)[13]
일부 국가와 지역에서는 이미 새로운 하켄크로이츠 취급하며 '침략의 상징'으로 금지되기 시작했다.러시아에서도 평화주의 진영은 이 표식에 강한 거부감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Z 표식을 붙인 민간 차량의 유리창이 파손된 사진이 레딧에 돌아다닌 적도 있다. #
러시아 락밴드 "다리에 쥐났다(Ногу свело!)"의 곡 "Z세대(Поколение Z)". 전쟁을 비판하며 러시아인들의 각성을 촉구하는 노래이다.

5.1. 각국의 상표명 및 이름 변경 사례

이로 인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전부터 Z자를 상징으로 쓰던 제품이나 작품(마징가 Z, 기동전사 Z 건담, 기동전사 건담 ZZ, 드래곤볼 Z, 원피스 필름 Z, 파워퍼프걸Z 등) 및 단체들에 대한 걱정도 나왔다.
  • 스위스의 보험사 취리히 보험도 전통적으로 사용해 온 Z자 로고의 사용을 당분간 포기했다.#
  • 일본저비용 항공사 ZIPAIR는 비행기의 꼬리날개에 Z자를 그려넣었으나 삭제하고 꼬리날개의 도장을 교체했다.#
  • 2020년 탈환의 제트로 가제가 공개되었던 코드 기아스 신작의 제목이 2023년 정식 발표를 하면서 코드 기아스: 탈환의 로제로 변경되었다. 세계 정세상 제트를 쓰기 어려웠다고 간접적으로 Z 때문임을 시사했다.
  • 모바일 게임인 Pixel Gun 3D에서 좀비와 싸운다는 설정을 가진 분대인 "Z 분대" 세트와 Z 분대 무기 모두 총의 표식과 이름이 X로 변경되었다.
  • 페이데이 2의 경찰 유닛 중 하나인 ZEAL 팀 불도저에는 바이저에 ZEAL 팀의 첫 글자 Z가 그려져 있었는데 안면 보호구 디자인이 바뀌고 Z도 사라졌다.
  • HP의 워크스테이션 브랜드인 HP Z는 브랜드명과 라인은 존속되었으나 대신 2023년형부터 제품에 각인되어 있던 Z 로고를 모두 HP 로고로 교체했다.

5.2. 사건사고

러시아 도타 2 프로 리그 경기 도중 러시아 팀인 버투스 프로 소속 선수가 해외대회 경기 중 퍼즈가 걸린 사이 미니맵에 Z를 그려 논란이 되었다. 다른 팀메이트들이 황급히 다른 기호들을 그려 가면서 무마하려고 했으나 이미 엎질러진 물이었고 결국 해당 팀은 그 경기 및 모든 잔여경기 몰수패 판정을 받았다. 아울러 해당 표식을 그린 선수는 바로 팀에서 방출당했다.# 게다가 상대 팀에는 우크라이나 출신 선수도 있었기 때문에 더더욱 욕을 먹었다.

6. 기타

대한민국을 비롯해 2022년 전쟁과 직접적으로 관련되지 않은 나라에서는 사용에 제한이 없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에서도 '러시아군 Z'를 검색하면 이 Z를 활용한 각종 굿즈들이 많이 나온다.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시리아 주둔 러시아군도 Z 표식을 사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역으로 우크라이나 웹에서는 Z가 좀비(Zombie, Зомби)나 짐승의 표(Znak Zverya, Знак Зверя)의 앞글자라는 식으로 돌려 까는 경우도 있다. 영어를 쓸 때 Russian을 RuZZian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우크라이나 전쟁 피해 지역 어린이들이 러시아의 침공을 표현한 그림에서도 Z 표식이 발견되었다. 예시

러시아군이 평소에도 썼다고 하지만 이게 N과 합치면 NZ가 된다. NZ가 합쳐지면 위 사진에 보이듯 나치의 스와스티카처럼 되는데 공교롭게도 스펠링까지 NaZi로 똑같기 때문에 러시아가 의도하지 않게 나치 세력으로 몰리게 됐다.[15]

우크라이나 침략 이후 러시아 국방부 공식 유튜브 채널에 올라오는 영상이 Z나 V 기호가 조합된 단어를 나열하며 마무리된다.

공교롭게도 러시아군과 맞서서 싸우는 우크라이나의 대통령 젤렌스키(Zelenskyy)의 라틴 문자 표기 첫글자도 Z이다보니 Z를 띄워 놓아 러시아를 지지하는 척하면서 정반대로 젤렌스키와 우크라이나를 지지하거나 Z의 의미는 사실 수취인 표기라는 농담도 간혹 보인다. 다만 Z 외에도 з이 있기 때문에 우크라이나를 지지할 때는 з 표식을 쓰는 것이 좋다. 페이크 치려다가 오히려 망신을 당할 수 있다. 절묘하게도 Z 이외의 V와 O 표식까지 합치면 해당 인물의 풀네임인 Volodymyr Oleksandrovych Zelenskyy(볼로디미르 올렉산드로비치 젤렌스키)의 머릿글자와 동일하다.노렸나?

게다가 아조프(AZOV)에도 Z, V, O가 전부 들어간다. 그래서 이렇게 원래 Z였던 군사 표식에 AZOV로 덧칠해서 엿먹이는 경우도 있는 듯하다.

디시인사이드 러시아-우크라이나 갤러리뿐만 아니라 스팀, 유튜브 등에서도 러시아를 지지하는 매체들이 러시아를 찬양할 때 댓글로 Z를 달기도 한다. #

자유 러시아 군단은 Z에 대항하는 의미로 "L" 이라는 알파벳을 쓴다.

2022년 9월 우크라이나군이 하르키우 주에 대규모 공세를 개시했는데 우크라이나군은 이때 피아식별 표시로 "+"를 사용했다. 우크라이나 국군기의 십자가 문양을 상징하는 것으로 추정된다.[16] 해당 공세에서 노획한 무기는 주황색 사각형을 칠해 피아식별을 하고 있다. 친러 진영에서는 백색 십자표식은 나치 독일군 전투차량 식별표지였으니 우크라이나 정부가 네오 나치임을 스스로 드러낸 것이라고 여론전을 시도했으나 별 호응이 없었다.친러 진영 주장을 반박하는 기사 거슬러 올라가면 러시아도 소련 시절 프라하의 봄 당시 진압군이 + 표식을 썼으니...

바그너 그룹 반란 당시 바그너 그룹은 자신들의 차량에 붉은색 Z 표식을 새겨놓았다.

나치 독일에서도 이와 비슷하게 생긴 볼프스앙겔 문양을 사용하였다.
파일:제133요새사단 문양.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546px-4._SS-Polizei-Panzergrenadier-Division.svg.png
제133요새사단 제4SS경찰기갑척탄병사단

7. 둘러보기

파일:러시아 국기2.svg
러시아 보수주의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left;"
<colbgcolor=#0070C8><colcolor=#fff>주요 이념내셔널리즘 · 보수주의 · 범슬라브주의 · 유라시아주의(두긴주의) · 정교회 우파 · 푸틴주의
연관 이념가부장적 보수주의 · 가족주의 · 국가주의(국가자본주의) · 국민보수주의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반동주의 · 반서방주의(반미주의) · 사회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제국주의 · 초보수주의
과거 이념군주주의(검은 백인대 · 차르주의) · 범슬라브주의
연관 개념군국주의 · 러시아 정교회 · 실지회복주의 · 울트라내셔널리즘 · 차르
주요 정당<colbgcolor=#0070C8><colcolor=#fff>제정 러시아10월 17일 연합 · 러시아 인민연합
소련소련 자유민주당
러시아 연방우리 집 - 러시아 · 러시아 자유민주당 · 로디나(2003년) · 민족 볼셰비키당 · 진실을 위하여 · 통합
현존하는 정당공정 러시아 · 로디나(2012년) · 성장당 · 시민 연단 · 통합 러시아
정치인니콜라이 1세 · 니콜라이 2세 · 드미트리 로고진 · 라브르 코르닐로프 · 로만 폰 운게른슈테른베르크 · 뱌체슬라프 볼로딘 · 보리스 글리즐로프 · 블라디미르 알렉산드로비치 자도르노프 · 블라디미르 지리노프스키 · 블라디미르 푸틴 · 알렉산드르 3세 · 알렉산드르 콜차크 · 옐레나 미줄리나 · 유리 루시코프
인텔리니콜라이 카람진 · 이고리 샤파레비치 · 이반 일린 · 알렉산드르 두긴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알렉산드르 프로하노프 · 표도르 도스토옙스키
단체과거백군
현재전러시아 인민전선
그 외Z(군사 표식) · 대러시아 · 러시아 파시즘(민족 볼셰비즘) · 소비에트 제국(소비에트 내셔널리즘) · 스탈린주의(신스탈린주의) · 유라시아
파일:파란색 깃발.svg 보수주의/분파 }}}}}}}}}


[1] 상세 형식명은 왼쪽 위에서부터 오른쪽으로 각각 9P157-2 흐리잔테마-S, KamAZ-5350, KrAZ-255, MT-LB, T-72B3, 우랄-4320이다.[2] 전쟁 발발 후 급히 만들어진 것이라 오류가 많다. Z가 사각형 안에 들어간 표식은 유인물에서 설명하는 것처럼 크림반도나 남부 지역이 아닌 하르키우에서 주로 목격되었으며 V 표식 역시 해병대 표식이라고 적혀 있으나 실제로는 키이우 등 북부 전선에서 주로 목격되었다.[3] 이와 관련은 없으나 공교롭게도 쓰시마 해전 이후 일본에서 승리, 성공의 상징으로 쓰이는 줄루 기도 원래 알파벳 Z를 의미하는 국제신호기다.[4] 대략 '스바이흐 니 브라싸임' 정도로 발음되며 '우리의 동족을 내버려두지 않겠다'라는 의미다. 우리의 동족은 러시아계 우크라이나인을 의미하며 우크라이나 정권 하에서 탄압받는 러시아어 화자들을 구원하는 전쟁이라는 러시아 측의 전쟁 명분을 상징한다.[5] 이 때문인지 러시아에서 키릴 문자 З를 Z으로 바꾼다는 개정안을 추진하고 있다는 루머까지 나왔다. 여담으로 표트르 대제가 철자법 개혁을 단행하기 전에는 정말 З를 Z 비슷하게 썼는데 여러 필사본에서 확인 가능하다. 정확히는 그리스 소문자 제타처럼 꼬리가 달려 있는 형태의 Z. 만약 정말로 시행하게 된다면 표트르 대제 이전으로 회귀하게 되는 셈이다.[6] 주요 멤버 중 하나인 안드레이 마카레비치는 공개적으로 반전을 지지했고 이에 이노아겐트에 지정되었다. 재혼한 아내와 함께 이스라엘에 거주 중.[7] 벨라루스 출신 3인조 포스트펑크 밴드로 전쟁 직후 반전을 지지하는 영상을 유튜브에 올렸다.[8] 2020년 10월 재결성되어 기존 곡을 중심으로 투어를 돌고 있다. 대놓고 반전을 지지하지는 않아 현재도 러시아에서 투어를 돌고 있다. 다만 2022년 3월 핵전쟁을 반대하고 평화를 외치는 노래인 "나는 선언한다"(Я объявляю)의 리메이크곡 뮤직비디오를 유튜브에 올리는 등 전쟁에 찬성하지 않는다는 점은 보여주었다.[9] 타 가수들과 달리 여전히 러시아 현지에 남아 있으면서 반전 성향을 뚜렷이 드러내는 몇 안 되는 밴드 중 하나다. 리더 유리 셰프추크는 2022년 5월 러시아 우파 공연 당시 "조국이란 여러분이 물고 빨아야 하는 대통령의 후장이 아닙니다"나 "어째서 우리의 아이들이 다음 차르의 나폴레옹적 계획을 위해 우크라이나에서 죽어나가야 하는 겁니까?" 등 직설적인 반대 발언을 하였다가 러시아 당국에 고발당하고 40주년 기념 공연이 강제 취소당하는 등 탄압을 받고 있다.[10] 전쟁 직후 파리로 도피했으며 전쟁을 직접적으로 저격하는 노래들을 연달아 발표하고 있다.[11] 리더 보리스 그레벤시코프는 마카레비치, 셰프추크 등과 함께 이노아겐트로 지정된 대표적인 가수 중 하나이다. 현재 런던으로 도피해 거주하고 있으며 활발히 반전 활동을 벌이고 있다.[12] 여담으로 러시아군 기갑차량을 재현한 레고로도 심심치 않게 보이고 있다. 예시 1(BRDM-2), 예시 2(T-90, 2S19. BMD-4는 Z 표식이 없음)[13] 원래는 소련 체제를 두고 "너희나 파시스트 새끼들이나 다를 게 뭐냐"는 식으로 비판하는 노래였지만... 이 노래를 부른 밴드는 사상이 불순하다는 혐의로 KGB에 의해 보컬정신병원에 끌려가고 기타리스트는 강제로 군입대를 당하며 한 번 해체된 전력이 있는 밴드다. 위의 이미지에서는 러시아 국기 위에 하켄크로이츠가 있다. 위 아래와 좌우를 보면 Z 2개가 수직으로 겹쳐져서 하켄크로이츠가 생긴 게 보이는데 서로 마주보는 면(위-아래 또는 오른쪽-왼쪽)을 합쳐보면 Z 하나가 나온다.[14] 벌금~징역 3년 이하[15]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명분이 "우크라이나의 탈나치화" 였던 걸 생각해보면 오히려 역효과가 난 거다.[16] +를 쓰는 이유에 대해선 우크라이나 국군기를 상징하는 것도 있지만, 자신들이 코자키의 후예임을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자포리자 코자키 시절 코자키들이 쓰던 깃발에 십자가를 사용 했으며 이게 현대까지 이어져 계속 사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