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4-08 21:43:00

경기도 시내버스/업체별 도색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경기도 시내버스
1. 개요2. 현재 사용 중인 도색
2.1. 시내버스/마을버스 통합 도색
2.1.1. 성남시 전기버스2.1.2. 용인시 공공버스2.1.3. 화성시 H버스
2.2. 시내버스 전용 도색2.3. 마을버스 전용 도색
2.3.1. 남양주시 공영버스2.3.2. 미래교통(구리)2.3.3. 분당마을버스, 영상교통2.3.4. 태화상운(남양주)2.3.5. 하남시 마을버스 일부
3. 현재 사용하지 않는 도색
3.1. 가곡여객3.2. 구일교통3.3. 과천시영버스, 과천운수3.4. 광주시 공영버스3.5. 대통운수3.6. 파주시 마을버스 도색3.7. 율전버스3.8. 율포마을버스, 녹양교통
4. 2006년 GBUS 브랜딩 이전 도색
4.1. 공용 도색
4.1.1. 1990년대 이전 도색(매일우유 도색)4.1.2. 경기도 좌석버스 도색4.1.3. 몬드리안 도색4.1.4. 물방울 도색4.1.5. 서울특별시 좌석버스 도색4.1.6. 평행사변형 도색
4.2. 지자체/운수업체 자체도색
4.2.1. 경원여객, 태화상운(안산/시내일반)4.2.2. 경남여객 자체도색4.2.3. 성남시내버스, 안전교통4.2.4. 삼영/보영운수4.2.5. 소신여객4.2.6. 진흥고속4.2.7. 화영운수4.2.8. 2가지 색 도색4.2.9. 부산광역시 도색4.2.10. 성남시 좌석버스 도색4.2.11. 수원시 월드컵 도색4.2.12. 수원 삼성여객 좌석버스 도색4.2.13. 시외버스 도색4.2.14. 안산시 테마버스 도색4.2.15. 에버랜드 도색4.2.16. 용인시 공영버스 도색4.2.17. 인천광역시 구 도색(N자 도색)4.2.18. 파주시 구 도색4.2.19. 팔달문 도색4.2.20. 평택시 구 도색
4.3. 그 외

1. 개요

경기도 시내버스 도색은 표준형 도색 사용을 원칙으로 하나 기초자치단체에서 시행하는 공영버스, GBUS 규정 준수에서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마을버스 등에서 자체도색을 볼 수 있다. 2006년 GBUS 브랜드 시행 전 경기도 시내버스들은 시, 회사별로 도색이 각각 달랐으므로 이에 대해서도 같이 서술한다.

2. 현재 사용 중인 도색

2.1. 시내버스/마을버스 통합 도색

2.1.1. 성남시 전기버스

파일:성남 370번 대우전기차량.jpg 파일:88_6389.png
전체적인 색상 톤은 파란색이고, 뒷바퀴에 감싸진 성남시 심벌마크 주위 색상이 시내버스는 초록색, 마을버스는 노란색이다. 수원시와 마찬가지로 2019년부터 2020년 출고분만 해당되며, 2021년부터는 경기도 신도색 적용후 출고된다.

2.1.2. 용인시 공공버스

파일:2_1625.png
파일:18_9971.png

경기버스 신도색과 아산버스 신도색을 섞어 놓은 듯한 도색 및 앞뒤로는 'GBUS' 대신 '용인시 공공버스'라고 적어놓고 측면에는 "용인시 공공버스"라고 크게 적어 놓은 것이 특징이다. 다만 도색의 색상은 경기도 표준도색의 색을 따른다.

2.1.3. 화성시 H버스

파일:20210501_143750.jpg
파일:화성도시공사 H404_1548.jpg

경기도 버스 도색에서 화성시 마스코트인 코리요가 추가된 도색이다. H18, H23, H24, H65, H67을 제외한 모든 H버스에 적용되었다.

2.2. 시내버스 전용 도색

2.2.1. 양주시 공영버스

파일:양주22.png
일부 공영버스 노선들은 하늘색의 도색을 하고있으며, 문짝과 뒷부분이 하얀색이며, 앞부분에 양주시 공영버스라는 표시와 눈과 입이 있는게 특징.

2.2.2. 남양주시 땡큐버스

파일:땡큐70_1425.png
세종 1000번, 1004번 1005번과 동일한 분홍색 단색으로 적용했다.

2.2.3. 수원시 전기버스

파일:수원여객 30_1966.jpg
짙은 하늘색 단색 바탕에 조그만 흰색 무늬가 같이 있다. 2019년부터 2020년 출고분만 해당되며, 2021년부터는 경기도 신도색 적용후 출고되었다.

2.2.4. 성남시 누리버스

파일:Seongnam누리2-도색후-a.png
전체적인 색상 톤은 경기도 급행버스 도색의 역순으로, 차량 전면부터 노란색 → 형광색 → 초록색 → 파란색 순으로 칠해져 있다. 성남시 심벌마크가 45도 기울어진 상태로 뒷바퀴를 둘러싸고 있어 성남시의 도색이라는 것이 티가 확 난다.

이 도색의 변형된 도색이 있는데 바로 남원여객이 있다. 남원여객의 색상 톤은 누리버스 도색의 역순으로, 차량 전면부터 파란색 → 연한파란색 → 초록색 → 노란색 순으로 칠해져 있다.

2.2.5. 오산시 까산이버스

파일:오산교통C1번(9153).png
파일:오산교통C1번(9154).png

현재 C1번이 유일하게 이 도색을 사용중이다.

2.3. 마을버스 전용 도색

2.3.1. 남양주시 공영버스

파일:_DSC0149.png
남양주시 CI로 된 도색이다. 도색 자체는 2000년대 초반부터 있었다. 남양주시의 공영버스 63번이 이 도색으로 운행 중이다.

2.3.2. 미래교통(구리)

파일:구리시 2-2번 그린시티 8132 .jpg
구리시 마을버스 회사. 파란색과 흰색 투톤이며 차체 후방은 상/하단으로, 중간은 파랗게 칠해져 있다.

2.3.3. 분당마을버스, 영상교통

파일:3-1_7545.png

성남시 마을버스 회사인 분당마을버스와 영상교통에서 사용하는 도색. 상단은 노랑색, 하단은 주황색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래는 성남의 다른 마을버스 회사들도 이 도색을 사용했으나 현재는 분당마을버스와 영상교통만이 신차에도 이 도색을 적용하여 출고하고 있다.

2.3.4. 태화상운(남양주)

하단부는 파란색, 상단부는 초록색으로 되어있으며(정확히는 남양주시 로고의 색 배합 활용), 남양주시 마을버스를 담당하고 있는 태화상운에서 사용되고 있다.

2.3.5. 하남시 마을버스 일부

파일:1_8130.png 파일:22_8451.png


3. 현재 사용하지 않는 도색

3.1. 가곡여객

파일:가곡여객.jpg
과거 기아 코스모스 차량으로 운행하던 당시에는 다른 도색이 사용되었으며, 이후 BM090과 로얄미디가 운행했을 때는 청록색 계통의 도색으로 되어 있었다. 2005년의 모습 2009년의 모습 1 2009년의 모습 2

이후 차량이 그린시티와 로얄미디 F/L로 대차되면서 경기도 표준도색을 채용하였다.

여수시 시내버스의 천연가스버스 초기 도입분에서도 이와 비슷한 도색을 사용했다.

3.2. 구일교통

파일:구일교통.jpg
구리시 마을버스 회사. 짙은 초록색 줄이 쭉 그어져있는 도색이다. 대구광역시 시내버스의 구도색[1]과 비슷한 형태.

새로 반입하는 차량들은 GBUS 표준 마을버스 도색을 하고 있어 구 도색은 완전히 사라졌다.

3.3. 과천시영버스, 과천운수

노선이 모두 과천운수로 이관된 이후에도 과천시영버스 시절 도색을 그대로 쓰고 있었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전 차량이 경기도 마을버스 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3.4. 광주시 공영버스

파일:bus_plus_100.png
100번이 이 도색을 적용했으나 폐선과 함께 차량들이 타 노선으로 흩어지면서 경기도 시내버스 도색으로 재도색되었다.

3.5. 대통운수

파일:하남1번마을(대).png
하얀색과 파란색 투톤인 로얄미디 표준 도색으로 되어있다. 다만 최근 도입한 그린시티는 초록 단색도색으로 되어 있다.

3.6. 파주시 마을버스 도색

파일:100-94.jpg
짙은 녹색과 진한 파란색(남색) 사이에 주황색 줄이 그어져 있으며, 뒷부분에는 은색이 추가되어 있는 형태다.
현재는 경기도 마을버스 신도색으로 변경되면서 사라졌다. [2]

3.7. 율전버스

파일:수원마을2-1.jpg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대전광역시 간선버스와 동일한 파랑색 단색도색을 적용하고 있다.[3]

3.8. 율포마을버스, 녹양교통

파일:평택10.jpg

기아 코스모스 기본도색 중 하나. 평택의 율포마을버스[4]와 의정부의 녹양교통이 사용했다.

10번 등에서 볼 수 있었다.

GBUS 도색이 나온 이후로도 기존 차들은 재도색하지 않아 2010년대 중반까지는 볼 수 있었다. 현재는 기존 차들이 모두 대차되면서 전멸.

4. 2006년 GBUS 브랜딩 이전 도색

4.1. 공용 도색

4.1.1. 1990년대 이전 도색(매일우유 도색)

파일:안산501B_1430.png
파일:attachment/P101002211.jpg
경원여객에서 적용한 레트로 도색으로 투톤 계열 색상은 80년대까지 주로 볼 수 있던 도색이다. 3톤계열 색상으로 1990년대 부터는 왼쪽 사진 모습에서 하단에 남색을 추가한 도색이다. 출처

1990년대까지 경기도 대다수 지역에서 일반버스 도색으로 쓰였다. 매일우유 우유곽처럼 파랑색과 하늘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렇게 불리게 되었다. 본래 3톤 계열이 아닌 2톤 계열을 사용하던 도색으로 하늘색과 흰색만을 사용하였으나 나중에는 수원여객처럼 남색만 적용하는 업체도 존재하였다. 1980년대 후반부터는 3톤 계열이 등장하였고 하늘색 바탕에서 하단에 남색을 추가한 모습이었다.

1990년대 후반부터 서울에서 사용하던 몬드리안 도색이나 물방울 도색 등을 적용하며 차츰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명성운수 등 소수 업체만이 2000년대 이후 신차를 출고할때에도 해당 도장을 적용하였으며 가장 마지막까지 남아있던 곳 역시 명성운수였다.

또 다른 변종으로 하늘색/남색이 적용되는 위치에 옅은 갈색 도색을 적용한 사례가 있었고 평택 업체인 서울고속과 성호여객에 적용 된 적 있었으나, 냉방차량이 신차로 도입되며 대차 될 때 남색만 적용된 도색으로 변경 되었다.(이후 평택 신도색이 등장)

투톤에서 남색만 적용된 도색은 현재 완도군 보길여객에서 볼 수 있다.

4.1.2. 경기도 좌석버스 도색

파일:transit-20180304-112550-000.jpg

서울시 좌석버스 도색에서 초록색 부분을 남색으로 변경하여 사용하였다. 창틀쪽은 서울시 좌석버스 도색과는 달리 베이지색으로 처리. 천장부분만 초록색 부분을 남색으로 변경하였다.

경성여객, 강화운수, 수원여객, 소신여객, 신원여객 등에 사용되었다.

대구광역시 좌석버스에도 비슷한 도색을 볼 수 있었다.[5][6]

4.1.3. 몬드리안 도색

파일:17_1800.jpg
파일:16_2621.jpg

1990년 중후반 ~ 2004년까지 사용했던 서울시내버스의 표준 도색으로, 경기도 대다수 지역[7] 시내버스에서 사용되었다.
노란 바탕의 도색과 나무 그림이 그려진 초록 바탕의 도색이 있었는데 노랑은 디젤, 초록은 천연가스버스에 적용되었다.

노랑 도색을 메인으로 사용했던 업체로는 경기고속, 대원고속, 대원운수KD 운송그룹 계열사, 경진여객, 선진여객(구 대신여객, 현 경기상운), 금강고속(빨간색 부분을 파란색으로 바꾼 변형도색)[8]이 있으며 다른 도색을 주로 사용하였지만 해당 도색의 차량도 섞여있던 업체로는 강화운수, 삼영운수, 보영운수, 경남여객, 백마교통, 현 대호운수, 경성버스 시절 부천버스, 협진여객[9], 수원여객[10] 등 매우 많은 업체에서 볼 수 있었던 도색이다.

초록 나무 도색을 주로 사용한 업체는 KD 운송그룹[11] 신성교통[12], 삼영/보영운수, 도원교통, 선진여객, 부천버스[13] 등이 있었다.

성남시내버스의 경우 중문 뒷 부분이 흰색이 아닌 노란색이 쭉 이어진 도색을 사용했었다. #

GBUS 브랜딩 이후로 경기도에서는 더이상 볼 수 없으며[14] 현재는 당진시, 예산군, 홍성군, 울산시, 홍천군, 인제군에서 볼 수 있다.

4.1.4. 물방울 도색

파일:external/www.snilbo.co.kr/020930123105car1.jpg

버스 미관개선을 이유로 경기도에서 주도하여, 도내 여러 도시에서 사용했던 도색. 의정부시 소속 명진여객평안운수, 성남시 소속 경기교통 등 여러 업체에서 쓰던 도색으로 현재는 전멸. 기본적으로 흰색 차체에 일부분을 원 형태로 채색한 것이 특징으로 지자체 또는 회사에 따라 원의 색깔이 달랐다.
  • 청록색 : 수원, 안산, 양평, 의정부, 파주[15][16]
  • 노란색 : 남양주, 성남[17]
  • 파란색 : 수원, 동두천, 성남, 안성, 용인, 파주, 포천[18]
  • 주황색 : 성남[19]

4.1.5. 서울특별시 좌석버스 도색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SANY0186.jpg
광신교통, 경기고속, 경원여객, 경일여객, 대원고속, 대진운수, 명성운수, 명진운수, 보영운수, 삼영운수, 성호여객, 신성교통, 연천교통, 영종여객, 용남여객, 창운여객, 평안운수, 포천교통, 화영운수 등에 사용되었다.

4.1.6. 평행사변형 도색

물방울 도색과 동시에 도입된 좌석버스 도색. 빨간색과 주황색, 초록색 평행사변형이 있었다.예외적으로, 물방울 도색을 쓰지 않는 제부여객에서도 이 도색(빨간색)을 사용했다.

4.2. 지자체/운수업체 자체도색

4.2.1. 경원여객, 태화상운(안산/시내일반)

두 가지 도색이 있었다. 관련 게시물
  • 앞쪽이 보라색, 측면이 옥색인 도색
  • 차 뒷부분에 단풍잎이 그려져 있던 도색
이것이 바로 안산시 오리지널 도색이다.

4.2.2. 경남여객 자체도색

파일:용인 좌석버스 600.jpg
좌석버스에서 사용되었던 도색으로 초록색 계열인 시외버스 도색에 색만 파란색으로 칠한 모양이었다.

4.2.3. 성남시내버스, 안전교통

파일:attachment/P508691.jpg 파일:helpwjy_307110_1[492679].jpg
일반차량[20] 초저상차량[21]

성남시 버스회사인 성남시내버스의 도색. 일반차량은 앞부분이 은색, 뒷부분이 푸른색 배경으로 되어 있었으며 중간 부분에 당시 성남시 모토인 e-푸른성남을 의미하는 첨단 도시 이미지를 형상화한 도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반면 초저상버스 차량은 보라색 배경에 도시 그림이 그려져 있었다.

성남시내버스의 자회사이자 마을버스 업체인 성남여객버스에서도 일반차량 도색이 된 차량을 88-1번 등에서 볼 수 있었다.

4.2.4. 삼영/보영운수

그야말로 짬뽕도색의 끝판왕이던 업체. 2006년 개편 이전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행선판처럼 다양한 도색이 있었다. 비슷한 도색도 변형하여 시 자체도색이 무려 네 가지로 분화됐을 정도. 변종 도색까지 합쳤을 경우 50여가지에 달한다는 전설적인 이야기가 내려온다. 동일 노선에 서울 지선도색과 간선도색이 같이 돌아다니던 시절도 있었다. 서울시 노선과 경합하다 보니 온갖 서울시 도색은 다 섞어썼지만 일명 물방울무늬 구 경기도 도색은 사용하지 않았다.

그 예시를 적어보면,

이것들을 동시대에 한 도시에서 볼 수 있었다.

4.2.5. 소신여객

파일:attachment/경기도 시내버스/업체별 도색/Example.jpg
부천시 업체인 소신여객부흥운수, 성광마을버스에서 쓰였던 도색. 상단은 흰색, 차량 선두부와 하단은 푸른색으로 되어 있고 차 양측엔 빨간줄 2개가 특징인 도색. 도색에 사용된 색상은 부천시의 CIP(City Identity Project)에 지정된 부천청색과 부천적색으로, 1990년 전국 자치단체 최초로 CIP를 도입할 때 제정되었고 냉방 시내버스 도색에 이용되면서 시작되었다. 이른바 부천시 오리지"날" 도색. 부천시 마을버스 업체들도 모두 이 도색을 사용했으며 GBUS 도입 후 빠르게 재도색된 소신여객 차량들과 달리 마을버스로는 2010년대 중순까지 남아있었다.

이 도색은 90년대 후반부터 2006년 G BUS 브랜드 통합 이전까지 사용되었으며 그 전에는 '매일우유 도색'을 사용했다.

4.2.6. 진흥고속

대우버스 BM090 기본도색. 진흥고속에는 전차량 재도색되어 사라졌고 영신버스, 울진여객 등 타 지방에서 여전히 볼 수 있다.

4.2.7. 화영운수

파일:attachment/1237916312_hy21.jpg
광명시 업체인 화영운수서 쓰였던 도색. 현재는 전멸. 몬드리안 도색과 비슷하면서 파스텔톤의 초록색의 비중이 높은 도색으로 이로 인해 생긴 별명은 배추운수. 밝은 계열의 도색은 관리를 잘못하면 미관상 상당히 보기 안 좋을 수도 있으나 화영운수는 차량 관리를 철저히 하는 편이라 별 문제없었다.

이 외에도 광명시에서 자체적으로 시범 도입한 도색이 있었으나 얼마 못 가 사라졌다. 관련 게시물

4.2.8. 2가지 색 도색

파일:attachment/P508552.jpg
경기번호 달린 서울버스
소위 GRYB 도색, 떡칠 도색이라고 불리는 그 도색으로 경기도 버스가 서울 버스 코스프레를 한 것이다. 정확히는 본체는 한가지 색이고 하단부 범퍼만 검정색인 형태. 삼영운수 일부, 시흥교통(입석형)[27], 선진여객(이상 녹색 혹은 황색), 선진상운[28]/유성운수/진흥고속(구 7번)/대양운수(100번)/보영운수 일부(청), 부천버스 일부/경남여객 일부/진흥고속/대원고속/안산 5601번 등(적)이 단색으로 도색했다.

GRYB 외에 다른 색으로 되어 있는 경우도 있었다. 신일여객 30-1번,301번의 경우 청록색으로 된 에어로타운이 운행되었다.

도색과는 별개로 서울 버스 행선안내표지 양식을 사용한 경우도 많이 있었다.

4.2.9. 부산광역시 도색

신일여객 일부 차량에서만 볼 수가 있었다. 모터쇼에 부산도색을 칠하고 전시되었던 준저상 차량을 들이고 꽤 오랫동안 재도색을 하지 않았던 것.

4.2.10. 성남시 좌석버스 도색

파일:경기720번버스.jpg
베이지색 바탕에 연두색과 녹색으로 구성된 도색이다. 1990년대 후반까지 경기교통에서 대다수의 일반좌석버스에 사용했고, 성남시내버스도 좌석버스 차량에 이 도색을 칠하고 다녔던 적이 있다.

수원 용일여객이나 의정부 평안운수도 일부 차량에 이 도색을 하고 다니기도 했다.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차량도 대차되고, 남아있던 차량도 일반버스 도색이나 서울 고급좌석 도색으로 재도색하면서 사라졌다.[29]

패턴은 대구 일반버스 중도색(녹색 + 파랑 + 주황) 도색과 유사하다.

4.2.11. 수원시 월드컵 도색

월드컵 기간에만 적용한 이벤트 도색으로 구 58번과 82-1번에만 사용되었다고 하며, 서로 다른 도색이었다고 한다. 2002 한일 월드컵 종료 후 팔달문 도색으로 재도색. 실제 운행 사진

4.2.12. 수원 삼성여객 좌석버스 도색

흰색 바탕에 파란 줄이 2줄 그어져있는 도색. 삼성여객에서만 사용했으며 삼성여객 폐업 후 차량을 받은 남양여객에도 한동안 생존해있다가 2000년을 기해 전차량 평행사변형 도색으로 재도색되어 사라졌다. 다만 재도색 이후에도 창틀 위에 파란 줄이 남아 있는 등 일부 차량은 대차될때까지 삼성여객 도색의 흔적이 남아 있었다.

4.2.13. 시외버스 도색

시외완행버스에서 시내일반버스로 형간전환할 당시에 아주 잠깐만 쓰였다. 경원여객 30번, 경남여객 22번 등이 그랬다. 특이하게 태화상운 717번(형간전환 직후엔 번호가 없었다.) 일반좌석버스에도 적용했다.

시외직행버스에서 형간전환한 경우도 해당되는데, 태화상운 707번과 용일여객의 900, 909번이 이에 해당되며, 용일여객 출신 노선은 후에 성우운수로 넘어갔다.

4.2.14. 안산시 테마버스 도색

파일:attachment/안산 버스 501/501.jpg

안산시에서 501번을 직접 운영했을 때 GBUS 도색이 아닌 Happy Bus라는 자체 도색을 하고 다녔다. 관련 기사 빨간 바탕에 '행복을 타고가는 Let´s Go Ansan Bus' 문구와 악보, 네잎클로버가 있는 것이 특징.

현재는 노선이 경원여객으로 이관되면서 모두 GBUS 도색으로 변경되었다.

4.2.15. 에버랜드 도색

파일:경기광주1113_alynesinc.png
에버랜드를 기점으로 하는 일부 직행좌석버스 노선에 있던 도색이다. 경기광주 버스 1113용인 버스 5002 등이 이에 속했다.

4.2.16. 용인시 공영버스 도색

용인시 수성교통 마을버스 등 일부 공영마을버스에서 있던 도색이다. 파란색 떡칠에 아래는 군청색으로 한 것이 특징. 용인 버스 15-1등 공영 출신 노선에 있었다.

4.2.17. 인천광역시 구 도색(N자 도색)

김포운수 소속 노선과 태화상운 소속 66번에서 볼 수 있었다. 66번의 경우 취소차나 중고차량을 들고 온 건 아니고, 그냥 도색이 잘못 나왔다.(...) 해당 차량은 GBUS 도입 후 가장 빠르게 재도색했다.

4.2.18. 파주시 구 도색

신성교통 등에서 GBUS 표준 디자인이 나오기 전까지 사용하였다.

4.2.19. 팔달문 도색

파일:/data26/2008/2/13/175/sv600048_ghu3632.jpg 파일:/data24/2007/4/15/112/070414-0179.jpg
디젤버스 도색 천연가스버스 도색
수원시 소속의 버스업체서 쓰였던 도색. G-BUS도색이 등장한 현재는 전멸. 2001년 상반기에 등장했는데, 이는 2002 월드컵 개최도시인 수원의 아이덴티티를 나타낸 도색이라고 할 수 있다. 차량에 팔달문 그림이 있어서 팔달문 도색으로 불렸다. 경기도 버스 도색 중에서 상당히 인기가 좋은 도색 중 하나였는데, 여담으로 이러한 차량을 예비차로 사용한 것이 너무도 유명세를 탔다. 3분요리(버스)수원여객 참조.

4.2.20. 평택시 구 도색

파일:2049846313_Z9PS3QkH_B9F6BDBA+B9F8C8A32C+B8D6B8AEBCADB5B5+C7D1+B4ABBFA1+BABC+BCF6+C0D6B0D4.jpg
베이지색 배경에 앞쪽을 크게 주황색으로 칠하고 노랑색 선 2개가 뒤로 이어지는 형태의 도색이다.

4.3. 그 외


[1] 1982년부터 1995년까지 적용했던 도색.[2] 파주시 마을버스 준공영제 시행 이후에도 다른 회사들의 차량들은 모두 신도색으로 변경되었으나, 한전운수는 차량대수 미달로 준공영제에 참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이후에도 구도색을 유지하고 있었다.그러나 2023년에 한전운수가 모든 노선과 차량들을 기흥여객에 매각하면서 구도색은 완전히 볼 수 없게 되었다.[3] 하남시 마을버스 업체인 은방울교통하남 100번에도 있었으나 GBUS표준 도색으로 대차되었다.[4] 현재 율포여객[5] 1988년 ~ 1995년 도입분에 존재했다.[6] 패턴은 동일하지만 경기도 차량은 짙은 남색에 가까웠던 반면 대구 차량은 조금 진한 파란색에 가까운 색이었다.[7] 광주, 구리, 김포, 남양주, 동두천, 성남, 수원, 안양, 양평, 여주, 오산, 용인, 의정부, 이천, 파주, 하남, 화성 등[8] 해당 패턴을 현재는 의성여객에서 좌석버스 도색으로 사용하고 있다.[9] 경진여객 50번 인수분[10] 경진여객 888번 인수분[11] KD는 2003년부터 2007년초까지 가스차량을 뽑을 때마다 이 도색을 썼다. 인천 도색의 변종을 입혀서 들여온 차와 기본형 몬드리안에 가스차 폰트만 붙인 차들도 있었지만, 대형차는 전부 녹색 몬드리안 도색으로 들여왔다.[12] 왜 이런 도색이 다녔냐면, 907번 도시형이 다시 광역버스로 격상되면서 567번을 도시형으로 전환시켰는데, 이 때 567번에서 쓰던 좌석버스와 907번에서 쓰던 입석차량을 교환했기 때문이다.[13] 하남 선진여객 취소분이었다.[14] 경기도 차적은 전멸했지만, 금강고속 노선 중 홍천에서 용문터미널까지 넘어오는 차량이 있어서 경기도 안에서 볼 순 있다.[15] 경원여객, 금강고속, 남양여객, 명진여객, 신성교통, 연천교통, 영종여객, 태화상운, 평안운수, 포천교통.[16] 사실 남양여객에서 다니던 원형도색차는 의정부 명진여객 출신 중고차였다.[17] 경기교통, 대진운수, 삼용버스, 성남시내버스, 세진버스.[18] 경기교통, 경남여객, 대양운수[31], 백성운수, 신성교통, 신일여객, 포천상운.[19] 경기교통.[20] 사진 차량은 2013년 2월에 대차되었고, 현재는 231번에서 운행 중이다.[21] 성남시 최초로 투입된 초저상버스로, 51번 출신이었으며, 이후 50번60번으로 이동했다가 2015년 말에 NEW BS106 NGV로 대차되었고, 현재는 220번에서 운행 중.[22] 1998년 말에 선보였고, 개편 전 서울시 면허 지역순환버스 도색을 기반으로 만들었는데, 전후면만 노란색으로 변경하였다.[23] 실은 경기도 공용도색 중 남색만 적용된 도색에서 1998년 이후에 재도색된 차량이다.[24] 실은 경기도 공용도색 중 매일우유 도색에서 1998년 이후에 재도색된 차량이다.[25] 2002년에 초에 도입된 인천중고 BS106 로얄시티에서 확인되었다.[26] 2003년 디젤차량 2대에 재도색되었다가 몬드리안도색으로 재도색되면서 사리졌다.[27] 경원여객 차량과 동일하게 뒷면에 단풍잎 로고가 붙어 있었다.[28] 7-5번과 8번, 73번, 88번, 707번이 파란색, 3번과 3-1번, 7-3번은 녹색이었다. 7-4번과 7-7번은 남양주시 공영버스 도색이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다가 차량 교체로 사라졌다.[29] 사진의 1304호는 말년에 파란색 물방울 도색으로 재도색하고 다녔다.[30] 해당 도색은 아산여객의 같은 차량에도 적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