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order-radius:5px; background:#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 {{{-2 {{{#!folding [ 구 멤버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Ramones 1976.4.23 | Leave Home 1977.1.10 | Rocket to Russia 1977.11.4 | Road to Ruin 1978.9.22 | End of the Century 1980.2.4 | |
Pleasant Dreams 1981.7.20 | Subterranean Jungle 1983.2.23 | Too Tough to Die 1984.10.1 | Animal Boy 1986.5.19 | Halfway to Sanity 1987.9.15 | |
Brain Drain 1989.3.23 | Mondo Bizarro 1992.9.1 | Acid Eaters 1993.12.1 | ¡Adios Amigos! 1995.7.18 |
{{{#!folding [ Live Albums ]
}}}}}} || 라몬즈의 주요 수상 및 헌액 이력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이름 | 라몬즈 RAMONES | |||||||||||||||||||||||||||||||||||||||||||||||||||||||||||||||||||||||||||||||||||||||||||||||||||
헌액 부문 | 공연자 (Performers) | ||||||||||||||||||||||||||||||||||||||||||||||||||||||||||||||||||||||||||||||||||||||||||||||||||||
멤버 | 조이 라몬, 조니 라몬, 디 디 라몬, 토미 라몬, 마키 라몬 | ||||||||||||||||||||||||||||||||||||||||||||||||||||||||||||||||||||||||||||||||||||||||||||||||||||
입성 연도 | 2002년 | ||||||||||||||||||||||||||||||||||||||||||||||||||||||||||||||||||||||||||||||||||||||||||||||||||||
후보자격 연도 | 2002년 | ||||||||||||||||||||||||||||||||||||||||||||||||||||||||||||||||||||||||||||||||||||||||||||||||||||
후보선정 연도 | 2002년 | }}}}}}}}}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롤링 스톤스 | 데이비드 보위 | 브루스 스프링스틴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라디오헤드 | 레드 제플린 | 닐 영 | 프린스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R.E.M. | 엘비스 프레슬리 | 칸예 웨스트 | 더 후 | U2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일스 데이비스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너바나 | 더 클래시 | 지미 헨드릭스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빈 게이 | 핑크 플로이드 | 엘비스 코스텔로 | 스티비 원더 |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마돈나 |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더 스미스 | 마이클 잭슨 | 밴 모리슨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토킹 헤즈 | 켄드릭 라마 | 아케이드 파이어 | 아레사 프랭클린 | 비요크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JAY-Z | 제임스 브라운 | 톰 웨이츠 | 존 콜트레인 | PJ 하비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킹크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비스티 보이즈 | 조니 미첼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벡 한센 | 더 큐어 | 존 레논 | 도어즈 | LCD 사운드시스템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블러 | 크라프트베르크 | 레너드 코헨 | 픽시즈 | 루 리드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조니 캐쉬 | 소닉 유스 | 록시 뮤직 | 오아시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듀크 엘링턴 | 더 밴드 | 아웃캐스트 | 다프트 펑크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사이먼 앤 가펑클 | 프랭크 시나트라 | 척 베리 | 프랭크 오션 | 비욘세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조이 디비전 | AC/DC | 윌코 | 오티스 레딩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뉴 오더 | 메탈리카 | 화이트 스트라입스 | 라몬즈 | 더 폴리스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스투지스 | 브라이언 이노 | 엘튼 존 | 뱀파이어 위켄드 | 퀸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섹스 피스톨즈 | 매시브 어택 | 레이 찰스 | 스틸리 댄 | 블랙 사바스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케이트 부시 | 악틱 몽키즈 | 찰스 밍거스 | 패티 스미스 | 포티스헤드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건즈 앤 로지스 | 페이브먼트 | 수프얀 스티븐스 | 알 그린 | 펑카델릭 | |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 }}}}}}}}} |
ALLMUSIC 선정 올타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통합)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올뮤직의 2017년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세계 최대의 음악 데이터베이스 사이트 및 웹진으로, '모든 음악'이라는 사이트 이름에 걸맞게 장르와 국적을 불문한 전 세계 온갖 음반, 뮤지션과 그에 관한 정보와 리뷰를 찾아볼 수 있다. 세계의 300만 장 이상의 온갖 음반, 100만 명 이상의 음악가의 데이터, 3,000만 이상 트랙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른 아티스트들에게 가장 많이 영향을 준 아티스트의 순위를 매겼다. '통합' 아티스트 순위 리스트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롤링 스톤스 | 데이비드 보위 | 벨벳 언더그라운드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비치 보이스 | 킹크스 | 닐 영 | 지미 헨드릭스 | 더 버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6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레드 제플린 | 마일스 데이비스 | 브라이언 이노 | 크라프트베르크 | 존 콜트레인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제임스 브라운 | 스투지스 | 소닉 유스 | 핑크 플로이드 | 더 후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블랙 사바스 | 행크 윌리엄스 | 엘비스 프레슬리 | 더 클래시 | 라몬즈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 조니 미첼 | 스티비 원더 | 섹스 피스톨즈 | 척 베리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프린스 | 마빈 게이 | 찰리 파커 | 듀크 엘링턴 | 너바나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N.W.A | 머디 워터스 | 조니 캐시 | 더 큐어 | 더 스미스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캔 | 닉 드레이크 | 빅 스타 | R.E.M | 조이 디비전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루이 암스트롱 | 뉴 오더 | 메탈리카 | 픽시즈 | 샘 쿡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빌리 홀리데이 | 마이클 잭슨 | 밥 말리 | 레너드 코헨 | 라디오 헤드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블랙 플래그 | 프랭크 자파 | MC5 | 록시 뮤직 | U2 |
공식 사이트 : 링크, 기사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미국의 음악 언론 Ultimate Classic Rock이 2021년 가장 위대한 미국 밴드를 선정한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치 보이스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밴 헤일런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도어즈 | 토킹 헤즈 | R.E.M. | 이글스 | 사이먼 앤 가펑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스틸리 댄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올맨 브라더스 밴드 | 너바나 | 라몬즈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메탈리카 | 건즈 앤 로지스 | ZZ 탑 | 버즈 | 레너드 스키너드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카스 | 그레이트풀 데드 | 사운드가든 | 앨리스 쿠퍼 | 키스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팔리아멘트 / 펑카델릭 | 벨벳 언더그라운드 | 스투지스 | 부커 T. & 더 M.G.'s | 하트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템테이션스 | 홀 앤 오츠 | 시카고 | 펄 잼 | 산타나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머틀리 크루 | 프랭크 자파 그리고 마더스 오브 인벤션 | 블론디 | 두비 브라더스 | 칩 트릭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저니 | 보스턴 | 제퍼슨 에어플레인 | 픽시즈 | 본 조비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스톤 템플 파일럿츠 | 캡틴 비프하트 & 히스 매직 밴드 | 플레이밍 립스 | 푸 파이터스 | |||||
출처 |
이브닝 스탠더드 선정 25대 미국 록 밴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25deg, #1D1D1B, #1D1D1B 20%, #1D1D1B 83.9%, #DD052B 83.9%);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rowcolor=#000,#fff> 2018년 이브닝 스탠더드가 The 25 greatest American rock bands of all time를 발표.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너바나 | 비치 보이스 | 에어로스미스 | 이글스 | R.E.M.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건즈 앤 로지스 | 라몬즈 | 플리트우드 맥 | 본 조비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토킹 헤즈 | 스틸리 댄 | 메탈리카 | 펄 잼 | 스트록스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더 밴드 | 픽시즈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버즈 | 블론디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밴 헤일런 | 도어즈 | 크로스비, 스틸스, 내쉬 앤 영 | 푸 파이터스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
같이 보기: 영국 밴드, 미국 밴드 |
}}}}}} ||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엘비스 프레슬리 | 롤링 스톤스 | 척 베리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지미 헨드릭스 | 제임스 브라운 | 리틀 리처드 | 아레사 프랭클린 | 레이 찰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밥 말리 | 비치 보이스 | 버디 홀리 | 레드 제플린 | 스티비 원더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샘 쿡 | 머디 워터스 | 마빈 게이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보 디들리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오티스 레딩 | U2 | 브루스 스프링스틴 | 제리 리 루이스 | 패츠 도미노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라몬즈 | 프린스 | 더 클래시 | 더 후 | 너바나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조니 캐시 |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 에벌리 브라더스 | 닐 영 | 마이클 잭슨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마돈나 | 로이 오비슨 | 존 레논 | 데이비드 보위 | 사이먼 앤 가펑클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도어즈 | 밴 모리슨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재니스 조플린 | 패티 스미스 | Run-D.M.C. | 엘튼 존 | 더 밴드 | |||||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11년 독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투표로 뽑은 "가장 위대한 펑크 록 밴드" 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그린 데이 | 더 클래시 | 라몬즈 | 섹스 피스톨즈 | 데드 케네디스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이기 앤 더 스투지스 | 블랙 플래그 | 미스피츠 | 소셜 디스토션 | 배드 브레인스 | |||||
같이 보기: 아티스트, 펑크 명반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000000, #1D1D1B, #000000 20%, #000000 83.9%, #000000 83.9%);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 <rowcolor=#000,#fff> ※ 2002년에 미국의 음악지인 스핀 매거진이 발표한 리스트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라몬즈 | 레드 제플린 |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너바나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 더 클래시 | 퍼블릭 에너미 | 롤링 스톤스 | 비스티 보이즈 |
}}} ||
라몬즈 Ramones | |
▲ 왼쪽부터 조이 라몬, 조니 라몬, 디 디 라몬, 토미 라몬 | |
<colbgcolor=#000><colcolor=#fff>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결성 | 1974년 1월 27일 |
미국 뉴욕 퀸스 | |
데뷔 | 1976년 7월 9일 |
싱글 <Blitzkrieg Bop> | |
해체 | 1996년 8월 6일 |
멤버 |
|
장르 | 펑크 록, 팝 펑크 |
레이블 | 사이어 레코드 |
링크 |
[clearfix]
1. 개요
미국의 펑크 록 밴드. 미국 펑크를 상징하는 밴드이자 록 역사상 가장 위대한 밴드 중 하나다.2. 상세
특유의 매력과 단순하면서도 직설적이고 파워풀한 스타일로 많은 인기를 얻었고, 바다 건너 런던 펑크 록의 탄생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빈티지 패션으로 인식되는 가죽 자켓 + 청바지 + 스니커즈 + 장발 패션의 원조이다. 멤버들의 이름의 성(Last Name)을 라몬(Ramone)으로 통일시킨 걸로도 유명하다.[1]한국에선 한때 '레이먼즈', '라모네즈' 등으로 잘못 표기되기도 했지만, 현지 발음을 근거로 외래어 표기법에 맞춰 표기하면 러몬스[2]가 맞다. 다만 이 표기가 쓰이는 곳은 없으므로 그나마 현지발음에 가깝고 쓰이는 곳이 많은 '라몬즈'로 작성한다.[3]
3. 역사
존 커밍스와 타마스 에르델리는 1965년부터 1967년까지 학교 개러지 밴드인 Tangerine Puppets에서 활동했었고, 이 둘은 더글라스 콜빈과 글램 록 밴드 Sniper의 보컬이었던 제프리 하이먼과 친해지게 된다. 라몬즈는 존과 더글라스가 제프리를 밴드에 초대하면서 시작되었다. 더글라스는 기타와 보컬을 맡길 원했고, 존은 기타, 제프리는 드럼을 맡기를 원했다. 리치 스턴을 베이스로 영입하며 라인업이 완성되었지만, 몇 번의 리허설 끝에 리치는 베이스를 못친다는 걸 알아냈고, 결국 더글라스는 보컬과 베이스를 맡게된다.밴드 멤버들의 이름을 모두 Ramone이란 성으로 통일시킨 가명을 쓰고 밴드 이름도 Ramones라고 지었는데, 이는 멤버들이 좋아했던 밴드인 비틀즈의 폴 매카트니가 비틀즈의 초창기인 Silver Beetles[4] 시절에 장난 삼아 Paul Ramon이라는 가명을 사용했던 것에서 영감을 얻은 것이었다.
라몬이라는 가명 성씨를 먼저 쓰기 시작한 사람은 더글라스였다. 더글라스의 제안으로 멤버들 모두가 라몬을 공통 성으로 하는 밴드용 가명을 짓기로 해서 더글라스는 디 디 라몬, 제프리는 조이 라몬, 존은 조니 라몬, 타마스는 토미 라몬이 되었다. 밴드 이름 또한 라몬즈라고 지었다. 그리고 옷차림을 청바지에 가죽 자켓으로 통일시켰다. 이런 과정을 거쳐 1974년 뉴욕시 퀸스 포리스트 힐스에서 라몬즈가 결성되었다.
조니의 이전 밴드 멤버였던 타마스 에르델리는 밴드의 매니저가 되었다. 밴드가 결성되고 얼마 지나지 않아 디 디는 보컬과 베이스 기타를 동시에 맡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는데 타마스의 제안으로 조이가 밴드의 보컬을 맡게 된다. 조이 또한 보컬과 드럼을 동시에 맡을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아 보컬만 담당하게 되었다. 남은 드럼의 자리를 채우기 위해 오디션을 열었지만 오디션을 보았던 그 누구보다 뛰어났던 타마스의 드럼 실력을 보고, 타마스를 드럼으로 영입하게 되었다. 그리고 타마스는 토미 라몬이 되었다.
1974년 8월에 뉴욕 CBGB 클럽에서 공연하기 시작해 인기를 얻어 1975년 사이어 레코드와 계약을 맺고 다음 해 역사적인 데뷔 앨범 Ramones를 내놓았다. 1978년 드러머 토미 라몬이 드러머를 그만두고[5] 마키 라몬(Marky Ramone)[6]이 드러머가 되었다. 70년대 말 펑크 록의 전성기가 짧게 끝난 뒤에는 필 스펙터를 프로듀서로 맞아 더 많은 팝적인 요소들을 가미한 음악을 만들었다.
그러나 팀은 80년대 내내 멤버 변동을 겪었고, 90년대에도 음악 활동을 계속했으나 결국 1996년 롤라팔루자 페스티벌을 끝으로 해산했다. 2002년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7] 조이는 2001년 림프종으로 세상을 떠났고, 디 디는 2002년 헌액 몇 달 뒤에 헤로인 과용으로 사망했다. 조니는 2004년 암으로 세상을 떴다. 토미도 2014년 암으로 세상을 떴다. 2014년 현재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멤버 중 살아 있는 사람은 마키뿐이다.
4. 후대의 영향력과 음악적 평가
군더더기 없고 단순하며 파워풀한 쓰리코드, 질주하는 듯한 직설적인 사운드, 일체의 추상성/관념성을 배제한 쉽고 구체적인 가사, 거물인 척 하는 허세가 없는 자세와 가식적인 행동도 없는 태도 등, 이런 펑크 록의 주요 특징으로 자리 잡게 되는 전형을 가장 대표적으로 제시한 선구자적인 밴드이기에 동시대와 후세대의 록 밴드들에게 엄청난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8]이렇듯 후대 뮤지션들에게 끼친 영향이 상당하기 때문에, 세계적으로 유명한 유수의 밴드들이 라몬즈의 곡을 커버하고 트리뷰트 앨범을 녹음할 정도이다. We're A Happy Family[9]라는 타이틀의 이 앨범에는 메탈리카, U2, 레드 핫 칠리 페퍼스, 키스, 그린데이, 오프스프링, 마릴린 맨슨, 랜시드, 펄 잼 소속으로 유명한 에디 베더, 롭 좀비 등 쟁쟁한 밴드들이 참여했다. 1990년대 슈게이징 및 노이즈 록의 전설 마이 블러디 밸런타인 역시 이 밴드를 비틀즈와 더불어 자신들에게 가장 큰 영향을 준 두 밴드 중 하나로 꼽기도 했다.#
평단에서의 평가도 무척 높아서, 90년대를 중심으로 미국에서 상당한 영향력이 있던 록음악 매거진인 스핀 매거진에서 2002년에 '역사상 가장 위대한 록 밴드 Top 50'을 선정했는데, 라몬즈는 비틀즈에 이어 무려 2위에[10] 랭크되었을 정도로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11]
밴드 전체로서뿐만 아니라 각 멤버들의 개별 실력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기타리스트 조니 라몬 (Johnny Ramone)은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에서 28위에 선정되었을 정도로 그 영향력을 인정받고 있는데[12], 이는 앞서 설명했듯 다운스트로크 주법만을 사용해 단순하면서도 파워풀한 밴드의 사운드를 만들어낸 주축이었기 때문이다.[13]
이들이 데뷔 앨범을 섹스 피스톨즈보다 1년 먼저 발매했고, 많은 런던 펑크 뮤지션들에게 큰 영향을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런던 펑크 뮤지션들에 비해 펑크 록 특유의 사회 저항 정신이 부족해 보인다는 이유로 과거엔 상대적으로 저평가 받는 경향이 있었다. 하지만 그건 옛날 얘기고, 시간이 갈수록 라몬즈의 인기가 높아져서 현재는 라몬즈의 인기, 평가, 위상이 모든 펑크록 밴드들을 통틀어서 최고의 위치를 점하고 있다.
원조 펑크록 밴드이면서도 멜로디 감각도 은근히 뛰어나서, 외국에선 비단 펑크록 계열의 뮤지션과 팬들 뿐 아니라 폭넓은 스펙트럼의 팬층을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펑크록이 한창 만개하던 1970년대 후반경엔 후발주자인 섹스 피스톨즈,[14] 더 클래시가 라몬즈보다 훨씬 더 세간의 주목을 많이 받고 화제를 모았으며, 음악사적으로도 더 중요한 밴드들로 취급받았었다. 그러나 그 후로 시간이 많이 흐르면서 라몬즈는 새로운 세대의 음악팬들에게도 끊임없이 재발견되고 매력이 어필되어서 현재는 라몬즈의 인기와 위상이 섹피를 넘어 더 클래쉬와 엎치락 뒤치락 하는 위치에 올랐다. 또한 라몬즈는 간결한 연주로 뛰어난 멜로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일깨워 주웠다는 점에서 펑크록의 역사에서 중요한 선구자인 동시에 펑크록 밴드들 중 가장 시대를 초월해서 음악팬들의 사랑과 인정을 받고 있다.
심슨 가족에도 등장한다. 시즌 5의 네번째 에피소드 "로즈버드"에 잠시 출연했다. 번즈 사장의 생일 파티에 초청되어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른다. 그러나 공연 시작과 끝에 하는 멘트들이 펑크 정신에 입각한 건지, 죄다 악의적으로 도발하는 시비조다.[15][16] 그러자 번즈 사장은 "당장 저 롤링 스톤즈를 죽여버려라." 라고 지시한다. 네모바지 스폰지밥의 섞어랜드 에피소드에도 출현한다.
프랑스의 애니메이션 오기와 바퀴벌레 악동들의 등장인물 디디, 마키, 조이는 각각 디 디 라몬, 마키 라몬, 조이 라몬에서 따온 이름들이다.
5. 디스코그래피
- Ramones (1976)
- Leave Home (1977)
- Rocket to Russia (1977)
- Road to Ruin (1978)
- End of the Century (1980)
- Pleasant Dreams (1981)
- Subterranean Jungle (1983)
- Too Tough to Die (1984)
- Animal Boy (1986)
- Halfway to Sanity (1987)
- Brain Drain (1989)
- Mondo Bizarro (1992)
- Acid Eaters (1993)
- ¡Adios Amigos! (1995)
6. 멤버들 이야기
- 보컬(vocal) - 조이 라몬(Joey Ramone)[17] : 1974(결성) ~ 1996(해체)
- 기타(guitar) - 조니 라몬(Johnny Ramone)[18] : 1974(결성) ~ 1996(해체)
- 베이스(bass) - 디 디 라몬(Dee Dee Ramone)[19] : 1974(결성) ~ 1989 / C.J.라몬(C. J. Ramone) : 1989 ~ 1996(해체)
- 드럼(drum) - 토미 라몬(Tommy Ramone)[20] : 1974(결성)~1978 / 마키 라몬(Marky Ramone) : 1978~1983 , 1987~1996(해체) / 리치 라몬(Richie Ramone) : 1983~1987[21]
멤버 간 불화가 심각했던 밴드로도 유명하다.
원년 멤버인 조이 (키다리 보컬)와 조니 (기타)는 음악적으론 동지였지만 그 외의 성향은 너무 대조적이라서 서로 끊임없이 갈등을 겪었다. 유대인이었던 조이는 자유분방하고 진보적인 성향이었고 전쟁을 혐오했으나, 조니는 정치적으로 철저한 보수/극우파였고 필요에 따른 독재정치를 옹호하는 듯한 발언도 했을 정도였으며 인종차별주의자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22] 게다가 조이의 정신병 문제와 여자 문제가 얽히면서 사이가 끊임없이 벌어져 해체 이후론 절연했다고 한다. 심지어 조이 사망할때까지 교류가 없었다고.[23] 조니는 이외에도 인성과 폭력성, 품행 문제로 까이는 일이 있다. 밴드 활동 당시에도 조니가 디디나 여자친구를 패고 다녔음에도 무서워서 아무도 못 말렸다는 조이의 증언이 있을 정도로 조니는 거친 싸움꾼이었다고 한다.[24]
여기다 디디가 조울증과 알콜 중독 문제, 마약 중독에 시달려서 활동 내내 밴드 분위기는 엉망진창였다고 한다. 그나마 멀쩡했던 토미 라몬 역시 '조이에게 무시당하고, 조니에게 물리적으로 협박받고, 디디에게 경멸받는' 분위기에 견디지 못하고 밴드를 떠났다. 안좋은 기억이 있지만 그래도 아주 연을 끊진 않아서, 프로듀서로 참여하고 트리뷰트 공연에도 모습을 드러냈다.
리드보컬인 조이 라몬의 키는 무려 198cm이다. 조이 라몬이 워낙 커서 옆에 있는 다른 멤버들의 키가 상대적으로 작아보이지만, 실은 조니 라몬이 183cm고 디디 라몬도 178cm로서 결코 작은 키가 아니다. 라몬즈에선 오직 드러머인 토미 라몬만 166cm의 작은 키였다.
원년 베이시스트 디 디 라몬 (Dee Dee Ramone)은 유명한 라몬즈 곡들 다수를 작곡한 유능한 송라이터인데, 놀랍게도 솔로 프로젝트에서는 힙합을 시도하기도 했다! 록 뮤지션들이 힙합을 좋지 않게 보던 당시로서는 상당히 파격적인 시도라는 평. 이외 호러 소설을 출간하기도 하는 등 상당히 다양한 분야에서 재능을 드러냈다 (하지만 그가 낸 힙합 앨범은 최악의 평가를 받았다. 한 평론가는 "역대 최악의 앨범"이라 칭하기도 했다).
2015년 현재 고인이 된 조이, 조니, 디디, 토미 라몬을 제외한 모든 멤버들 각자 음악활동에 전념하고 있는중이다.
앨범작업은 CJ라몬만 하고 있는 듯 하다. 작년에 나온 CJ라몬 앨범.
마키 라몬은 라몬즈와 마찬가지로 레전설급 펑크록 밴드인 리차드 헬 앤 더 보이도이즈와 미스피츠에 잠시 몸담기도 했고, Marky Ramone's Blitzkrieg라는 본인의 밴드를 만들어 활동하기도 했다.
CJ 라몬과 마키 라몬은 서로 사이가 좋지 않다고 한다. 마키가 해체 직후 CJ 디스를 했을 정도. 마키의 조카딸이 CJ의 전 부인이라서 이와 관련된게 아니냐는 말이 많았는데 CJ는 부정했다. 마키는 조이하고도 사이가 좋지 않았고 말기엔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서로 싸울 지경까지 되었다. 그나마 마키랑 조이는 조이가 투병하고 있었을 당시 조니에게 '친구인데 병문안이라도 가보지 그러냐'라고 하는걸 보면 어느정도 화해한 걸로 보인다. [25]
1970년대 밴드인데도 원년 멤버들이 2000년대 즈음 전원 사망했다.[26] 당장 60년대를 풍미한 밴드인 롤링 스톤즈만 해도 거쳐간 멤버들 중 이안 스튜어트, 브라이언 존스, 찰리 와츠 제외 전원 생존한 상태이다. 라몬즈랑 동세대 뉴욕 펑크 밴드인 텔레비전이나 패티 스미스, Blondie 멤버들은 2020년대 들어서도 건재하며 라이브도 다닌다.
그들에 관한 자세한 이야기는 여기를 통해서 볼 수 있다.
[1] 라몬즈 밖에서 활동할 때는 그닥 제약이 없는 모양. 베이시스트인 디 디 라몬(Dee Dee Ramone)은 힙합 뮤지션으로 활동할 때는 D.D 킹이란 예명을 썼다.[2] 실제 발음에선 a의 모음을 약하게, o를 장음으로 발음하여 르모운즈에 가깝게 들린다. '레이먼즈'는 강세의 위치를 잘못 파악한 표기다.[3] 위키백과에서는 '라몬스'로 작성되어 있다.[4] 이땐 밴드이름이 'Beatles'가 아니라 'Beetles'였다.[5] 앨범 작업에는 계속 참여했다.[6] 본명은 마크 벨(Marc Bell).[7] 헌액된 멤버는 조이, 조니, 디 디, 토미, 마키[8] 크라잉넛, 노브레인 등 한국 펑크밴드들의 음악 스타일과 애티튜드의 프로토타입 역시 이 라몬즈가 사실상 완성했던 것이다.[9] 라몬즈의 동명의 곡에서 착안한 듯하다.[10] 이 링크에서 위쪽에 있는 리스트는 리스너들의 설문투표로 선정한 리스트고, 아래에 있는 리스트가 바로 스핀지 평론가들이 선정한 리스트이다.[11] 다만 이 리스트는 롤링 스톤스가 9위,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어리언스가 15위, 더 후가 39위 핑크 플로이드가 49위에 있는 등 당시 스핀 집필진들의 주관이 강하게 반영된 편이므로 어느 정도는 걸러서 볼 필요가 있다. 라몬즈의 영향력이 대단함을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임은 틀림없다.[12] 펑크 록 기타리스트로서는 가장 높은 순위이다.[13] 현대에 들어 펑크 록과 메탈 팬들은 은근히 서로가 좋아하는 장르를 라이벌시하는 경향이 있는데, 조니 라몬의 기타 플레잉은 제임스 헷필드를 비롯 무수한 메탈 기타리스트들이 영향을 받았다고 언급하고 있다.[14] 시기 상으로 봐서 섹스 피스톨즈가 라몬즈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기 쉽겠지만, 섹피의 보컬리스트인 존 라이든은 라몬즈의 영향을 거듭 부정했다. 그들을 처음 본 것도 섹피 결성 뒤에 라몬즈가 영국 공연을 했을 때였다고. 음악 자체를 들어도 간결하지만 강렬한 연주라는 방법론을 제외하고 의외로 유사점을 느끼기가 쉽지 않은 편이다. 굳이 공통점을 뽑자면 두 밴드 모두 '펑크 록의 대부' 이기 팝의 밴드인 스투지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것 정도.[15] 공연 전에 보컬은 "I'd just like to say, This gig SUCKS!", 이어서 기타는 "Hey, Up yours Springfield…", 공연 후에 베이스는 "Go to hell, You old bastard!" 이라고 말한다. 드럼은 한술 더 떠서 "Hey, I think they liked us!" 이런다.[16] 차례대로 해석을 하자면 "할 말이 있는데 이 공연, 병신같애!", "야... 엿이나 먹어라, 스프링필드...", "나가 뒈져라, 이 노친네야!", "야! 쟤네, 우리가 좋은가봐!" 정도로 볼 수 있겠다.[17] 1951~2001. 본명은 제프리 하이먼(Jeffrey Hyman). 성에서도 눈치챌 수 있듯이 유대인이다. 즉 라몬즈 원조 멤버 4명 중에서 조이와 토미, 이 두 명이 유대인이다.[18] 1948~2004. 본명은 존 커밍스(John Cummings). 아일랜드계 혈통이다.[19] 1951~2002. 본명은 더글러스 콜빈(Douglas Colvin). 독일계 혈통이다.[20] 1949~2014. 본명은 터마시 에르데이(Tamás Erdelyi). 헝가리에서 미국으로 이민 온 유대인 가정 출신이다.[21] 1987년 리치라몬의 갑작스러운 탈퇴로 인해 엘비스 라몬(Elvis Ramone)과 함께 이틀간 공연, 이후 마키라몬이 재합류하였다. 엘비스 라몬은 블론디의 드러머가 라몬즈에 대타로 뛰어 주면서 임시로 사용한 가명.[22] 그래서 조이가 쓴 라몬즈 곡인 "The KKK Took My Baby Away" ("그 KKK가 내 여자친구를 뺏어갔어")에서의 The KKK가 조니 라몬을 지칭한 것이라는 의혹이 있다. 실제로도 조니는 조이의 여자친구를 빼앗아간 적이 있었다.[23] 그러나 조이는 조니를 친구라 생각했는지, 죽을 때 까지 크리스마스 카드를 보냈다고 한다.[24] 참고로 조니는 아이리쉬(아일랜드 혈통)인데, 미국 백인들 중에서 아이리쉬가 제일 거친 다혈질 이미지로 유명하다. 터프하기로 유명한 미국 경찰도 백인 중에서는 아이리쉬 비율이 압도적이다.(근래엔 히스패닉 비율이 늘고 있다.) 오히려 이탈리아계 미국인은 어차피 숫적으로 극소수인 시칠리아계 마피아들 빼면 대부분은 그냥 수더분하고 정감 있는 이미지다.[25] 조니는 '친구가 아니다'라고 말하며 가지 않았다.[26] 후임으로 들어온 CJ 라몬과 마키 라몬은 현재까지도 활발히 활동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