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공업고등학교 관련 틀 | |||||||||||||||||||||||||||||
|
서울공업고등학교 서울工業高等學校 Seoul Technical High School | ||
| ||
<colbgcolor=#d0b879><colcolor=#b2121a> 교훈 | [ruby(開拓, ruby=개척)]ㆍ[ruby(協同, ruby=협동)]ㆍ[ruby(奉仕, ruby=봉사)] | |
상징 | <colbgcolor=#d0b879><colcolor=#b2121a> 교화 | 개나리 |
교목 | 은행나무 | |
유형 | 특성화고등학교 | |
개교 | 1899년 | |
국가 |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 |
성별 | 남녀공학 | |
운영형태 | 공립 | |
교장 | 이조복 | |
교감 | 이기우, 박수진 | |
재학생 | 826명 (2023.03.01) | |
교직원 | 151명 (2023.03.01) | |
관할 교육청 | 서울특별시동작관악교육지원청 | |
소재 |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1길 46 (대방동 390-5) | |
홈페이지 |
1. 개요2. 역사3. 교정
3.1. 본관동3.2. 후관동3.3. 체육관3.4. 식당3.5. 성림관3.6. 재황관3.7. 창의관3.8. 명부관3.9. 신소재금형동3.10. 도서관3.11. 기계동3.12. 중기동3.13. 생활관, 체력단련실3.14. 역사관
4. 학과4.1. 스마트기계과(前,정밀기계과)4.2. 스마트용접설비과(前,산업설비과)4.3. 자동차과4.4. 스마트자동화과(前,시스템자동화과)4.5. 친환경전기과(前,전기전자과)4.6. 전자과(前,전기전자과)4.7. 신재생에너지과4.8. 토목건축과4.9. 바이오화공과4.10. 섬유디자인과4.11. 그래픽아트과4.12. 신소재세라믹과(前,세라믹아트과)4.13. 3D프린팅금형과(前,신소재금형과)
5. 교가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7. 출신 인물8. 사건사고8.1. 직원 추락 사망 사고
9. 여담[clearfix]
1. 개요
서울공업고등학교 본관 전경 |
서울특별시 동작구 대방동에 위치한 공업계열 특성화고등학교.
120여 년의 역사를 가진 학교로 1899년에 개교하였으며,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선린인터넷고등학교와 전신을 공유한다.
2. 역사
학교연혁 | |
1899년 | 5월 고종의 칙령에 의해 서울 명동에서 공과위주의 관립상공학교로 개교 |
1904년 | 종로구 수송동으로 이전, 관립농상공학교로 개편 |
1906년 | 관립농상공학교의 공과는 동숭동 관립공업전습소(경성공업전문학교→경성고등공업학교→경성공업전문학교→서울공대, 경성공업학교→경성공립공업학교→서울공고)로, 상과는 1907년 4월 선린상업학교로, 농과는 수원농림학교(수원고등농림→서울대 농대→서울대 농생명과학대)로 독립] |
1916년 | 공업전습소 실과를 경성공업전문학교로 승격, 부속공업전습소를 설치 |
1922년 | 관립경성공업학교(3년제)로 교명 변경 |
3월 조가과(造家科)[1], 기계과(機械科), 판금용접과(板金溶接科)[2], 기직과(機織科)[3]· 화학제품과(化学製品科), 제도과(製陶科)[4] 6개 과 설치 | |
1939년 | 서울시 동작구 대방동 현재의 위치로 교사 이전 |
1940년 | 경기중학교 구내 가교사에서 설립되었던 경성공립공업학교(5년제)가 동숭동 관립경성공업학교를 통합 |
건축과·기계과·판금용접과·기직과·응용화학과·요업과·광산과·토목과·전기과 9개과를 설치 | |
1944년 | 항공과를 신설 |
1946년 | 9월 서울공립공업중학교(6년제)로 개편 |
현 교가 제정 | |
1951년 | 8월 학제개정에 따라 서울공업고등학교와 영등포중학교로 분리 |
1958년 | 강남중학교 병설 |
1962년 | 4월 단기직업보도소, 같은 해 10월 공업기술연수원 부설 |
1965년 | 3월 판금용접과→배관용접과 과명 변경 |
1966년 | 11월 6일 박정희 대통령 방문 |
12월 현 교훈으로 개정 | |
1970년 | 3월 현직 기능인 육성을 위한 특별과정으로 야간부에 기계과와 전기과를 설치 |
1974년 | 3월 정규 과정의 야간부를 설치 방직과·화공과·금속과·전자과·자동차과의 5개 과로 편성 |
같은 해 7월 서울특별시 교육위원회가 운영하던 영등포청소년직업학교를 인수하여 부설 | |
1976년 | 3월 「산업교육법」에 의하여 기계제도과·기계조립과·토목공학과로 편성된 실업기술원양성소를 부설 |
3학년 재학생 150명으로 구성된 중점기능공 양성 시범반을 중동에 산업인력으로 파견 | |
1978년 | 3월 정부의 공업고등학교 특성화 정책에 따라 정밀가공 기술인력을 중점적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서울기계공업고등학교로 개편 |
1979년 | 2월 주간부 확충, 주 · 야간부 개편 |
한국실업교육의 발상지 기념비 건립 | |
1983년 | 3월 부설영등포청소년직업학교가 서울직업학교로 분리, 독립 |
7월 자원과, 섬유과로 과명 개칭 | |
1990년 | 부설 기계공동실습소 설치 |
1991년 | 3월 배관용접과→설비공업과 과명 변경 |
1994년 | 1월 서울공업고등학교로 교명 환원 |
1998년 | 5월 15일 김대중 대통령 방문[5] |
1999년 | 개교 100주년 기념식 거행 |
2001년 | 남녀공학 시행 |
소재응용과, 자원정보과, 섬유디자인과, 중기자동차, 세라믹디자인과로 과명 변경 | |
2002년 | 본관을 등록문화재 제13호로 지정 |
2003년 | 대통령 기관 표창 |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 우수학교 지정 | |
2004년 | 서울특별시 기관 표창 |
서울시교육청 실업교육 우수학교 지정 | |
2005년 | 교육인적자원부 최우수학교 |
서울시교육청 학교경영 우수학교 지정 | |
그래픽아트과, 시스템자동화과 과명 변경 | |
교육인적자원부 교육과정 최우수학교 | |
서울시교육청 학교경영 우수학교 선정 | |
2006년 | 제41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우수선수 육성기관 금탑 수상 |
2007년 | 학교평가 우수학교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표창 |
제 42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우수선수 육성기관 은탑수상 | |
금연우수학교 선정(보건복지부 장관상 수상) | |
2008년 | 서울특별시 기관 표창 |
제 43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우수기능인력양성 | |
2009년 | 제44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우수선수 육성기관 동탑 수상 |
2010년 | 학교경영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제45회 서울시 기능경기대회 종합 우승 | |
제45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우수선수 육성기관 은탑 수상 | |
2011년 | 교육청 지원형 특성화고 지정, 11개 학과로 개편 |
1월 설비공업과→산업설비과 과명 변경 | |
2014년 | 학교평가 우수학교 교육감 표창 |
최우수 아름다운 학교 교육감 표창 | |
제11회 사장되기 창업대회 교육부장관 표창 | |
2015년 | 제50회 서울시기능경기대회 금탑수상 |
2월 기준 졸업생 509명, 전체 졸업생 58,926명 | |
학부모 학교참여 우수기관 교육감상 수상 | |
대강당 준공(창의관 개축) | |
2016년 | 제 107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54명, 전체 59,380명) |
제37대 양한석 교장 부임 | |
2017년 | 제 108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66명, 전체 59,846명) |
교육환경관리 우수학교 지정 | |
2018년 | 제 109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92명, 전체 60,338명) |
서울지방기능경기대회 6년 연속 금탑수상 | |
산학일체형 도제학교 A등급 표창(한국산업인력관리공단) | |
2019년 | 제 110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85명, 전체 60,824명) |
제38대 이재근 교장 부임 | |
제45회 러시아 카잔 국제기능올림픽대회 철골구조물 직종 금메달 | |
2022년 | 제 113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76명, 전체 62,248명) |
제39대 이조복 교장 부임 | |
2023년 | 제114회 졸업식 거행(졸업생 437명, 전체 62,685명) |
제20회 특성화고교생 사장되기 창업대회 우수학교 표창(서울특별시) | |
제58회 전국기능경기대회 최우수학교 표창(서울특별시) |
[clearfix]
120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어서 이것저것 많다.
3. 교정
서울공업고등학교 조감도 |
14개의 건물과 주연(珠淵)이라는 이름의 연못, 그리고 공원, 인조잔디 운동장, 테니스장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잘한 시설물을 제외하고 주로 사용하는 건물만 해도 13개나 되며 교내에 연못과 공원도 있다. 연못에는 거북이, 비단잉어 등이 서식한다. 부지, 실습장, 강당, 기타건물, 운동장, 기타공지를 도합한 면적은 57,934.4㎡, 17,525.156평이나 된다.하지만 정작 교실이 있는 본관동 혹은 후관동에서 매점과 식당 그리고 학과 건물만 오가기 때문에 3년 내내 다니는 길은 뻔하다.[6]
본관동과 후관동, 체육관[7]을 제외한 건물들은 각자 이름을 가지고 있으나, 현실은 학과명+동 혹은 몇 번 건물이라 불린다.[예][9]
3.1. 본관동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f2023> |
01번 건물. 교장실과 행정실 제 1·2교무실, 대회의실, 방송실, 1학년 교실과 2학년 교실로 구성되어있다.
본관 건물이 2002년 5월 31일 국가등록문화재 제13호로 지정되었다.
3.2. 후관동
02번 건물. 본관동 뒤에 있어 후관동이라 불리며 본관동과 연결되어 있다. 제3교무실, 보건실, 1학년 교실로 구성되어 있다.3.3. 체육관
03번 건물. 강당과 예체능부(체육실)로 구성되어있으며 여기서 실내 체육이 주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지어진 지 오래돼서 그런지 냉·난방이 잘 안되는 편이고,[10] 여름엔 덥고 겨울엔 춥다. 원래 강당에서는 입학식 및 졸업식과 같은 학교 행사를 했었으나 지금은 대부분 관악제[11], 체육대회 정도만 진행된다. 2016년 어린이날 연휴 때 체육관 공사가 진행 진행된 이후로 현재는 농구대와 바닥의 상태가 좋은 편이다.3.4. 식당
04번 건물. 1층은 매점과 교직원 식당, 2층은 학생 식당으로 구성되어있다.3.5. 성림관
05번 건물(구 토목동). 토목건축과, 바이오화공과, 신소재세라믹과로 구성되어있다. 1층은 토목 부문, 2층은 건축 부문, 3층은 화공 부문, 4층은 세라믹 부문이다.3.6. 재황관
06번 건물(구 요업동). 1, 2층은 전기전자과, 3층은 섬유디자인과, 4층은 그래픽아트과가 사용한다.단, 재황관 2층은 주로 전기전자과의 실습실이 있으나, 정문(정문 계단)을 기준으로 맨 안쪽 실습실은 그래픽아트과의 출판 관련 실습실이 자리잡고 있다.
3.7. 창의관
07번 건물(구 금속동). 2016년에 새로 지어진 건물이다. 한 학년이 들어갈 정도의 강당이 존재하며 입학식 및 졸업식 등의 행사를 진행한다. 1층에는 전문교육부, 2층에는 방과후교육부가 존재한다.3.8. 명부관
08번 건물(구 자원동). 1층에는 다른 과의 실습장과 신재생에너지과(구 자원정보과[12])의 실습장이 있는데 주로 환경관련실습과 신입생 자기소개 때 사용된다.1층 신재생에너지과의 실습장에는 착암기 라던가 광산 관련 장비들이 있으나, 광산과가 신재생에너지과로 이름과 교육과정이 바뀐지[13]10년 가까운 시간이 흘러 현재는 기름때와 먼지만 쌓이는 신세이다.
2층에는 컴퓨터 실과 실습실, 그리고 교실이 있는데 실습실은 2개 있으며 모두 신재생에너지과가 사용 한다. 컴퓨터실은 어도비 플래시나 일러스트레이터 같은 그래픽 디자인 수업 할 때 쓰지만 방학이 가까울때는 수업을 적게 나가 많이 쓰지는 않는다. 교실은 이론 수업 할 때 사용하고 실습실 두개는 각각 용도가 있는데 하나는 등고선 수업이나 이론 수업 할때 사용하고 나머지 하나는 본격적인 실습을 할 때 사용하는데 다이너마이트, 도폭선 등이 유리 찬장에 전시 되어 있다. 당연하지만 실제로 작동 하지 않는다.[14]
3.9. 신소재금형동
09번 건물. 1층~2층은 3D프린팅금형과가 사용하고, 2층~4층은 3학년 교실로 이루어져 있다.3.10. 도서관
10번 건물. 음악실, 위클래스, 자율학습실, 도서관으로 이루어져있다.3.11. 기계동
11번 건물. 1층은 스마트기계과, 2층은 스마트자동화과, 3층은 스마트용접설비과가 사용한다.3.12. 중기동
12번 건물. 1층은 자동차과, 2층~3층은 스마트용접설비과가 사용한다.3.13. 생활관, 체력단련실
13번 건물. 체육시간 때 남은 자유시간에 학생들이 헬스를 하거나 축구부 학생들이 체력단련을 하는 곳이다.3.14. 역사관
120여년이 넘는 서울공고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곳이다. 서울공고의 연혁부터 전국기능경기대회 수상경력 및 취업률, 대학 진학 실적 등을 볼 수 있는 곳이다.4. 학과
2024년 기준 13개의 학과가 설치되어있다.4.1. 스마트기계과(前,정밀기계과)
01번 학과. 각종 도면에 대한 지식과 기능을 바탕으로 절삭가공 분야(CAD/CAM 및 CNC 가공)에 관한 이론과 기술을 습득함으로써 정밀하고 복합적인 기계 부품을 가공할 수 있는 전문 기술인을 양성한다.4.2. 스마트용접설비과(前,산업설비과)
02번 학과. 특수용접/ 로봇용접 분야/공조냉동, 배관 설비 분야의 실무 능력을 갖춘 전문 기술인을 양성한다.4.3. 자동차과
03번 학과. 자동차 및 건설기계의 기초 지식, 자동차 정비 및 자동차 보수 도장 전문 기술 등을 습득하고, 통합적 사고 및 창조적 교육을 통해 자동차 산업을 이끌어 갈 자동차 분야 전문 기술인을 양성한다.4.4. 스마트자동화과(前,시스템자동화과)
04번 학과. 반도체 장비 기술에 필요한 기계, 전기 · 전자 및 제어 기술을 학습하고 시스템 자동화의 설계 응용을 위한 전문 지식 및 현장 실무능력을 갖춘 창의적인 인재를 양성한다.4.5. 친환경전기과(前,전기전자과)
05번 학과. 전기 · 에너지 분야를 기반으로 전기회로 및 에너지에 관련된 교육과정을 통해 전공과 관련된 기초지식 및 실무지식을 배우고 실생활에 다양하게 적용되는 기술을 학습하여 전기 · 에너지 분야 전문가를 양성한다.2024년 전기전자과에서 나뉘어져 새로 개편되었다.
4.6. 전자과(前,전기전자과)
06번 학과. 다양한 교육 및 하드웨어 설계 수업을 통해 인공지능 융합시대를 이끌어갈 전자 분야의 핵심 엔지니어를 양성한다.2024년 전까지 전기전자과로 전기과와 합쳐져 있었지만 나뉘어져 새로 개편되었다.
4.7. 신재생에너지과
07번 학과. 친환경 에너지 시대에 핵심역할을 하는 태양광, 풍력, 수소, 연료전지 등의 신재생에너지 관련 전기 · 전자 설비를 생산, 설치, 운영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는 기술인을 양성한다.4.8. 토목건축과
08번 학과. 산업현장 직무 중심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기술적 사고력과 문제 해결능력을 신장하여 건축설계, 건축목공, 토목설계, 측량, 건설시공, 건설재료 시험 등 건설 분야의 전문 기술인을 양성하고 건축 및 토목직 공무원과 공기업, 시설관리 전문가를 양성한다.4.9. 바이오화공과
09번 학과. 전통 기술 영역인 화학공업과 새로운 기술 영역인 생명공업이 융합된 교육을 통하여, 전공 지식과 직무능력을 겸비하고, 올바른 직업윤리를 갖춘 창의적인 전문 기술인을 양성한다.4.10. 섬유디자인과
10번 학과. 섬유 패션 분야를 이해하고 급변하는 트렌드를 분석하여 패션 소재의 기초부터 국가직무능력표준(NCS)까지 다양한 프로세스를 익혀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패션 소재의 전문성을 지닌 패션 디자이너와 스타일리스트를 양성한다.4.11. 그래픽아트과
11번 학과. 미래사회의 중요한 가치인 '정보'를 효과적이고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사진과 그래픽 프로그램을 배우고 이를 활용하여 책을 편집 디자인하여 출판, 인쇄하는 학과로서 책 제작의 전 과정에 유능한 인쇄, 출판 전문가를 양성한다.4.12. 신소재세라믹과(前,세라믹아트과)
12번 학과. 세라믹 재료를 바탕으로 반도체, 디스플레이, 바이오 분야 등 21세기를 이끌어갈 신소재 분야의 전문 기술인을 양성한다.4.13. 3D프린팅금형과(前,신소재금형과)
13번 학과. 금형 분야의 현장실무능력을 갖추기 위해 직업기초능력과 금형관련 실무능력을 향상시켜 산업현장에서 성장할 창의적인 뿌리 기술인을 양성한다.5. 교가
서울공업고등학교 교가 |
(1절) 관악은 내려와 글터를 열고
한강은 흘러서 영원을 비네
큰 공로 빛나는 오랜 학원에
모여든 젊은이 희망도 크다
(후렴) 겨례의 부강은 우리 땀으로
힘차게 걸어라 서울공고
(..나머지 절 생략)
한강은 흘러서 영원을 비네
큰 공로 빛나는 오랜 학원에
모여든 젊은이 희망도 크다
(후렴) 겨례의 부강은 우리 땀으로
힘차게 걸어라 서울공고
(..나머지 절 생략)
6.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6.1. 버스
학교 앞에 서울공업고등학교 정류장이 있어 근처 사는 학생들이라면 버스를 자주 이용한다. 하지만 출퇴근 시간에 정체가 꽤나 심한 보라매역사거리와 신대방삼거리 사이에 있기 때문에, 이 구간에서 좌회전을 하려는 버스들이 많아 교통이 자주 지체되는 편이다.근래에는 길이 너무 막혀 대방역에서 동작 05번, 동작 05-1번, 마을버스를 타고오는 학생들도 보이기 시작했다. 내리는 정류장은 범한택시 정류장. 단, 신대방역에서 탑승하여 올 경우에는 동작세무서에 내려서 걸어올라와야 한다.
02-144 서울공업고등학교 (보라매역사거리 방향) | |
{{{#!folding [ 버스 노선 보기 ] | 간선 461 |
간선 654 | |
간선 753 | |
지선 6514 | |
지선 6516 | |
공항 6019 | }}} |
02-143 서울공업고등학교 (신대방삼거리역 방향) | |
{{{#!folding [ 버스 노선 보기 ] | 간선 461 |
간선 654 | |
간선 753 | |
지선 5536 | |
지선 6514 | |
지선 6516 | |
공항 6019 | }}} |
이 말고도 근처에 동작세무서 정류장[15]을 이용하여 안산, 수원, 금천, 구로디지털단지, 용산, 도봉산 쪽으로도 갈 수 있다.[16]
6.2. 도시철도
서울 지하철 7호선, 서울 경전철 신림선 보라매역과 약 200m 떨어져 있으며 같은 7호선 신대방삼거리역과는 400m정도 떨어져 있다. 그런데 워낙 다양한 지역에서 사는 학생들이 등교하므로 7호선만 이용하는 학생은 극히 드물다. 버스를 타고가서 5분 근처에있는 여의도역이나, 대방역, 구로디지털단지역을 이용하기도 한다. 장거리로 통학하는 학생은 경의선 금촌역에서 부터 경의선 탄현역, 과천선 인덕원역, 수도권 전철 5호선 강동역 등 여러 동네에서 통학 중이다.보라매역 | ||
장암 방면신대방삼거리 ← 0.8 ㎞ | 7호선 (742) | 부평구청 방면신 풍 0.9 ㎞ → |
보라매역 | ||
샛강 방면서울지방병무청 ← 0.6 ㎞ | 신림선 (S404) | 관악산 방면보라매공원 0.6 ㎞ → |
신대방삼거리역 | ||
장암 방면장승배기 ← 1.2 km | 7호선 (741) | 부평구청 방면보라매 0.8 km → |
7. 출신 인물
- 곽상훈: 독립운동가, 前 민의원의장 겸 대통령 권한대행
- 권준: 독립운동가, 군인
- 김명섭: 前 대한약사회장, 국회의원, 기업인
- 김약수: 초대 국회부의장
- 김용수: 前 울진군수
- 김종성: KBS 성우
- 김지안: 축구선수
- 김재봉: 독립운동가
- 김효정: 前 정치인
- 노병구: 前 정치인
- 박성환: 前 울산광역시 행정부시장
- 박지원: 前 국회의원
- 박찬익: 상해임시정부 국무위원
- 박필수: 前 관료, 교육인
- 방일수: 코미디언
- 빽가: 코요태의 멤버
- 류택형: 법조인, 정치인
- 리영희: 언론인
- 박필수: 前 상공부장관, 한국외국어대학교 총장
- 서수남: 가수
- 서종표: 前 국회의원, 육군3군 사령관
- 신태악:前 대한변호사협회장, 정치인
- 신하철: 前 국회의원
- 안정환: 前 축구 선수, 現 방송인.
- 이강래: 독립운동가
- 이병래 : 정치인
- 이석: 前 축구 선수, 現 축구 감독
- 이석주 : 정치인
- 이안(LUN8): I-LAND 참가자 출신, LUN8 멤버
- 이양우: 군인, 정치인, 법제처장
- 이정일: 前 조선내화 사장, 국회의원
- 이홍렬: 개그맨, 방송인, MC
- 유재하: 독립운동가
- 유천형: 前 정치인
- 용태영: 군인, 변호사
- 이재호: 프로게이머
- 임경호: 제8대 국립공주대학교 총장
- 장기범: 언론인
- 장기오: 前 총무처 장관
- 장만석: 前 울산광역시 경제부시장
- 장윤순: 前 정치인
- 장의수: 배우
- 전년성: 정치인
- 전영민: 트로트 가수
- 정광민: 축구 선수, 축구 감독
- 정유석: 배우
- 정의갑: 배우
- 정석종: 교수, 역사학자
- 정재환: 개그맨, 방송인, MC
- 조정구: 삼부토건 창업주, 前 국회의원
- 최선영: 정치인
- 최종성: 前 군인, 관료, 국회의원
- 추재엽: 정치인
- 황신중: 축구선수
8. 사건사고
8.1. 직원 추락 사망 사고
2022년 5월 23일 오후 1시경 서울공고 시설관리실 소속 공무원이 도서관동 3층 제2자율학습실 외벽에 설치된 CCTV를 점검하던 중 8.6m 아래 지면으로 추락해 사망한 사건이다. #9. 여담
2012년도 9급 공개경쟁채용시험에서 서울시교육청 9급공무원에 최연소로 합격자를 배출한 쾌거를 이루었다. #전국의 직업계 고등학교 중 3년 연속 공무원 합격자 수가 전국 1위를 달성한 적이 있다. 2016년 서울시 고졸 9급 기술직 공무원 시험에 학생 25명, 서울교육청 9급 공무원 시험에 2명 도합해서 전국 특성화고 중에서 가장 많은 27명이 공무원 시험에 합격해 큰 화제를 모았다. # 2017년 서울시 9급 공무원 25명을 배출하였으며, 2018년에는 공무원 25명, 공사 10명 도합 35명의 합격자로 전국 특성화고 및 마이스터고 510교 중 1위를 달성하였다. # 또한 공무원을 많이 배출하는 학교로서 공무원 사관학교 라는 별명이 있다.
국내의 국가기술자격시험 · 국가전문자격시험, 공무원 시험, 검정고시에 대학수학능력시험,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기말고사 등의 대한민국에서 주최되는 거의 모든 시험이 이 학교에서도 많이 시행되고 있으며 교통이 편리하고 공립 고등학교 라는 점에서 대관이 상대적으로 쉬운 면을 고려해 각종 시험들이 많이 개최된다. 특히 정기 기능사 및 산업기사 시험은 큐넷에 10시 땡 하고 시작하는 순간 엄청난 대기열을 지니며 시작한다. 서울공고에서 시험을 보게 되면 편리한 교통과 지하철역과 가까운 위치 탓에 많은 사람들이 시험을 쾌적하게 볼 수 있기 때문. 아예 한국광해광업공단처럼 전국에서 딱 이 곳에서만 시험을 치르는 경우도 있다.[17]
2017년 11월 13일 자로 김형태가 특별채용되었다.
학교 연못에 다양한 어류가 살고 있고 그 중 황금잉어도 많이 보인다.
매점 뒤로 보이는 강남중학교는 본래 서울공업고등학교의 5년제에서 분리 개교하였다.
전국에 있는 특성화고등학교 중에서 학과가 제일 많다.
경기기계공고와 라이벌 의식이 있다.[18]
서울공업고등학교의 줄임말로 서공, 서공고 라는 말로 많이 불린다.
디시인사이드에 서울공업고등학교 마이너 갤러리와 미니 갤러리가 있다.
2018년 직업계고 고교학점제 연구 선도학교로 지정되었다.
2017년 전국 소재 산학일체형 도제학교로 지정되었다.
종소리가 특이하게도 국악 종소리이다.
학교 2021 촬영 장소로 늘지과학기술고등학교의 배경이 되는 학교이다.
2002년 도전 골든벨에 출연하였다. #
[1] 건축과의 일본식 표현[2] 現 스마트용접설비과[3] 現 섬유디자인과[4] 現 신소재세라믹과[5] 방문 기념 비석과 등나무가 아직까지 남아있다.[6] 다들 본인이 속한 학과 건물 위치와 교실 위치만 아는 편이라 다른 학과에 대해선 잘 모르고 고교학점제 수업을 타과에서 듣지 않는 이상 다른 학과에 갈 일이 재학 기간 동안 별로 없다.[7] 흔히 강당으로 불린다[예] 토목동은 05번 건물과 같이, 본래는 성림관이다.[9] 건물마다 파란색 배경에 흰색 숫자가 적힌 현판을 달고 있다[10] 냉·난방 시설이 있긴 있다.[11] 학교축제의 이름[12] 광산과[13] 자원정보과(구 광산과)보다는 전기과에 가깝다. 자원정보과의 교육과정은 화약·발파, 시추·지하수, 석재가공 등 광공업과 자원채굴을 배웠고, 현재 신재생에너지과는 화공/환경 과목 몇가지를 배우는 전기과에 가깝다.[14] 만져보면 습기를 먹어서 딱딱하게 된데다가 부러져 있는데 그게 작동 될리가 없다.[15] 150, 505, 5531, 5536, 5609, 5623, 5633, 5634(여의도 방향, 역방향은 대방천사거리/병무청 정류장), M6751, 동작05, 동작05-1이 정차한다.[16] 이 쯤 되면 못가는 곳이 없을 정도...[17] 광산보안기능사, 광산보안산업기사, 광산보안기사 자격시험 응시 장소[18] 2000년대 초반까지 경기기계공업고등학교, 수도전기공업고등학교와 더불어 서울 3대 명문 공업계고로 명성이 자자했다. 이 때 당시에 3대 공업계고에 해당하는 학교면 공기업 및 대기업의 고졸특채전형에서 우선적으로 선발채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각 기업의 인사팀에서도 선호하는 학교들 중 하나였다. 그 중 경기기계공고와 업무협약 및 기능경기대회 등에서 많은 교류가 있었는데 학교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면서 자연스럽게 선의의 경쟁을 하게 되었고, 라이벌 의식을 띄게 되었다. 현재는 코로나 19 이후로 교류가 뜸해지면서 라이벌 의식은 희미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