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5-11 16:38:21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bgcolor=#e87f8d,#634>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일반
메인 페이지 | 출시 과정 | 등장인물 | 우마무스메 목록 (분류) | 트레센 학원 관계자 | 설정 (트레센 학원)
인게임 정보
캐릭터 인게임 정보 | 시스템 (트레이닝) | 육성 시나리오 (목록) | 능력치 | 미션 및 칭호 | 별명
스토리 이벤트 | 레전드 레이스 | 챔피언스 미팅 (1회차2회차3회차4회차5회차) | 리그 오브 히어로스
트레이너 기능 시험 | 레이싱 카니발 | 마스터즈 챌린지 | 먼슬리 매치 | 한정 미션 및 이벤트 | 상시 이벤트
애니메이션 (1기우마욘2기우마유루RTTT3기극장판신데렐라 그레이)
만화 (신데렐라 그레이 | 스타 블로섬) | 음반 (STARTING GATE애니메이션WINNING LIVE)
| 열혈 우당탕탕 대감사제!
기타
공식 홈페이지 | 관련 한국어 커뮤니티 (공식 카페일섭갤한섭갤트레센갤채널)
평가 | 경마계 영향 | 2차 창작 (괴문서) | 축전 | 라이브 | 중문 표기
사건 사고 (원화가 트위터 논란2022년 한섭 운영 미숙 파동이병진 의원 망언)
}}}}}}}}} ||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e87f8d,#010101><tablebgcolor=#fff,#1c1d1f>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파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png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 인게임 정보 목록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 color=#212529,#e0e0e0> 파일:스페셜 위크 1차 아이콘.png 파일:사일런스 스즈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카이 테이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루젠스키 1차 아이콘.png 파일:후지 키세키 1차 아이콘.png 파일:오구리 캡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쉽 1차 아이콘.png
[[스페셜 위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일런스 스즈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토카이 테이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루젠스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후지 키세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구리 캡(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골드 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보드카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와 스칼렛 1차 아이콘.png 파일:타이키 셔틀 1차 아이콘.png 파일:그래스 원더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마존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맥퀸 1차 아이콘.png 파일:엘 콘도르 파사 1차 아이콘.png
[[보드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와 스칼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이키 셔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그래스 원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마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맥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엘 콘도르 파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티엠 오페라 오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브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루돌프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그루브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디지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이운 스카이 1차 아이콘.png 파일:타마모 크로스 1차 아이콘.png
[[티엠 오페라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브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심볼리 루돌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그루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디지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세이운 스카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타마모 크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파인 모션 1차 아이콘.png 파일:비와 하야히데 1차 아이콘.png 파일:마야노 탑건 1차 아이콘.png 파일:맨하탄 카페 1차 아이콘.png 파일:미호노 부르봉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이언 1차 아이콘.png 파일:히시 아케보노 1차 아이콘.png
[[파인 모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와 하야히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야노 탑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맨하탄 카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미호노 부르봉(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이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히시 아케보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유키노 비진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이스 샤워 1차 아이콘.png 파일:아이네스 후진 1차 아이콘.png 파일:아그네스 타키온 1차 아이콘.png 파일:어드마이어 베가 1차 아이콘.png 파일:이나리 원 1차 아이콘.png 파일:위닝 티켓 1차 아이콘.png
[[유키노 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스 샤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이네스 후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그네스 타키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어드마이어 베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나리 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위닝 티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에어 샤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이신 플래시 1차 아이콘.png 파일:카렌짱 1차 아이콘.png 파일:카와카미 프린세스 1차 아이콘.png 파일:골드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바쿠신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킹 더 펄 1차 아이콘.png
[[에어 샤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이신 플래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렌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와카미 프린세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골드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바쿠신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킹 더 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신코 윈디 1차 아이콘.png 파일:스윕 토쇼 1차 아이콘.png 파일:슈퍼 크릭 1차 아이콘.png 파일:스마트 팔콘 1차 아이콘.png 파일:젠노 롭 로이 1차 아이콘.png 파일:토센 조던 1차 아이콘.png 파일:나카야마 페스타 1차 아이콘.png
[[신코 윈디(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윕 토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퍼 크릭(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마트 팔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젠노 롭 로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토센 조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카야마 페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나리타 타이신 1차 아이콘.png 파일:니시노 플라워 1차 아이콘.png 파일:하루 우라라 1차 아이콘.png 파일:뱀부 메모리 1차 아이콘.png 파일:비코 페가수스 1차 아이콘.png 파일:마블러스 선데이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후쿠키타루 1차 아이콘.png
[[나리타 타이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니시노 플라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하루 우라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뱀부 메모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코 페가수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블러스 선데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마치카네 후쿠키타루(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미스터 시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이쇼 도토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도베르 1차 아이콘.png 파일:나이스 네이처 1차 아이콘.png 파일:킹 헤일로 1차 아이콘.png 파일:마치카네 탄호이저 1차 아이콘.png 파일:이쿠노 딕터스 1차 아이콘.png
[[미스터 시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이쇼 도토(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도베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이스 네이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킹 헤일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마치카네 탄호이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이쿠노 딕터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메지로 파머 1차 아이콘.png 파일:다이타쿠 헬리오스 1차 아이콘.png 파일:트윈 터보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다이아몬드 1차 아이콘.png 파일:키타산 블랙 1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치요노 오 1차 아이콘.png 파일:시리우스 심볼리 1차 아이콘.png
[[메지로 파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다이타쿠 헬리오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트윈 터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다이아몬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타산 블랙(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치요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시리우스 심볼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메지로 아르당 1차 아이콘.png 파일:야에노 무테키 1차 아이콘.png 파일:츠루마루 츠요시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데어링 택트 0차 아이콘.png 파일:사쿠라 로렐 1차 아이콘.png 파일:나리타 탑 로드 1차 아이콘.png
[[메지로 아르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야에노 무테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마루 츠요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메지로 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데어링 택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쿠라 로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나리타 탑 로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야마닌 제퍼 1차 아이콘.png 파일:푸리오소 1차 아이콘.png 파일:트랜센드 1차 아이콘.png 파일:에스포와르 시티 0차 아이콘.png 파일:노스 플라이트 1차 아이콘.png 파일:심볼리 크리스 에스 1차 아이콘.png 파일:타니노 김렛 1차 아이콘.png
[[야마닌 제퍼(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푸리오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트랜센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스포와르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노스 플라이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심볼리 크리스 에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타니노 김렛(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다이이치 루비 1차 아이콘.png 파일:메지로 라모누 1차 아이콘.png 파일:애스턴 마짱 1차 아이콘.png 파일:사토노 크라운 1차 아이콘.png 파일:슈발 그랑 1차 아이콘.png 파일:베르시나 1차 아이콘.png 파일:비블로스 1차 아이콘.png
[[다이이치 루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메지로 라모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애스턴 마짱(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토노 크라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슈발 그랑(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베르시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비블로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단츠 플레임 0차 아이콘.png 파일:케이에스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정글 포켓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노 리즌 1차 아이콘.png 파일:스틸 인 러브 0차 아이콘.png 파일:코파노 리키 1차 아이콘.png
[[단츠 플레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케이에스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정글 포켓(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노 리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스틸 인 러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코파노 리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홋코 타루마에 1차 아이콘.png 파일:원더 어큐트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사운즈 오브 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로이스 앤 로이스 0차 아이콘.png 파일:카츠라기 에이스 1차 아이콘.png 파일:네오 유니버스 1차 아이콘.png
[[홋코 타루마에(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원더 어큐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운즈 오브 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로이스 앤 로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츠라기 에이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네오 유니버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히시 미라클 1차 아이콘.png 파일:탭 댄스 시티 1차 아이콘.png 파일:두라멘테 1차 아이콘.png 파일:라인 크라프트 1차 아이콘.png 파일:세자리오 1차 아이콘.png 파일:에어 메사이어 1차 아이콘.png 파일:데어링 하트 0차 아이콘.png
[[히시 미라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탭 댄스 시티(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두라멘테(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인 크라프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세자리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에어 메사이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데어링 하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부에나 비스타 0차 아이콘.png 파일:오르페브르 1차 아이콘.png 파일:젠틸돈나 1차 아이콘.png 파일:윈 바리아시옹 1차 아이콘.png 파일:드림 저니 1차 아이콘.png 파일:칼스톤 라이트 오 1차 아이콘.png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부에나 비스타(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오르페브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젠틸돈나(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윈 바리아시옹(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드림 저니(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칼스톤 라이트 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파일:듀랜달 1차 아이콘.png 파일:버블검 펠로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페노메노 1차 아이콘.png 파일:블래스트 원피스 0차 아이콘.png 파일:아몬드 아이 0차 아이콘.png 파일:럭키 라일락 0차 아이콘.png
[[듀랜달(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버블검 펠로(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페노메노(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블래스트 원피스(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아몬드 아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럭키 라일락(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그란 알레그리아 1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빈 우마무스메 0차 아이콘.png 파일:카렌 부케도르 0차 아이콘.png
[[그란 알레그리아(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1px"]]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카렌 부케도르(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 친구 카드 ]
파일:하야카와 타즈나 서포트 R.jpg 파일:키류인 아오이 서포트 R.jpg 파일:안심자와 사사미 서포트 R.jpg 파일:카시모토 리코 서포트 R.jpg 파일:라이트 헬로 서포트 R.jpg 파일:사타케 메이 서포트 R.jpg 파일:츠루기 료카 서포트 R.jpg
[[하야카와 타즈나/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키류인 아오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안심자와 사사미/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카시모토 리코/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라이트 헬로/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사타케 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츠루기 료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8px; color: #fff"]]
파일:아키카와 야요이 서포트 R.jpg
[[아키카와 야요이/인게임 정보|{{{#!wiki style="margin:0 -10px; color: #fff; letter-spacing: -.5px"]]
[ 그룹 카드 ]
파일:우마무스메 그룹.png 파일:팀 시리우스 서포트 SSR.jpg
}}}}}}}}}


1. 개요2. 육성 우마무스메
2.1. ★★★ - [슈팅 스타・레뷔]
2.1.1. 육성 시 특이사항2.1.2. PvP2.1.3. 기타
2.2. ★★★ - [쉭세・에투알]
2.2.1. PvP2.2.2. 기타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3.2. SR - [나 참, 어서 와]3.3. SSR - [고민 있니? 포니짱]
4. 밸런타인 초콜릿

1. 개요

우마무스메 프리티 더비》에 등장하는 우마무스메 후지 키세키의 인게임 정보를 정리한 문서.

2. 육성 우마무스메

트레센 학원 학생 소개 Vol.35 「후지 키세키」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육성 목표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주니어급 데뷔전에 출전

시기
주니어급 6월 후반

출전 조건
없음

비고
니이가타 / 잔디 / 1600m(마일) / 좌, 외측
아사히배 FS에서 5착 이내

시기
주니어급 12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1000명 이상

비고
한신 / 잔디 / 1600m(마일) / 우, 외측
야요이상에서 5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3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175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사츠키상에서 5착 이내

시기
클래식급 4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45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000m(중거리) / 우, 내측
이벤트 내에서 목표 레이스가 결정됩니다

시기
???

출전 조건
???

비고
???
이벤트 내에서 목표 레이스가 결정됩니다

시기
???

출전 조건
???

비고
???
타카마츠노미야 기념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3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15000명 이상

비고
츄쿄 / 잔디 / 1200m(단거리) / 좌
야스다 기념에서 3착 이내

시기
시니어급 6월 전반

출전 조건
팬 수 15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1600m(마일) / 좌
텐노상(가을)에서 1착

시기
시니어급 10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0000명 이상

비고
도쿄 / 잔디 / 2000m(중거리) / 좌
아리마 기념에 출전

시기
시니어급 12월 후반

출전 조건
팬 수 25000명 이상

비고
나카야마 / 잔디 / 2500m(장거리) / 우, 내측
}}}}}}}}} ||
  • 고유 칭호는 아름다운 3관 우마무스메(麗しの三冠ウマ娘). 칭호 획득 조건은 "데뷔전을 8마신 이상의 차이로 우승하고, 1번 인기로 아사히배 FS, 사츠키상, 일본 더비, 국화상에서 우승한다."
    원본마가 데뷔전에서 8마신 차이로 우승한 것을 고증하여 칭호 조건에도 포함돼있는데, 이 첫 조건부터가 상당히 까다롭다. 가뜩이나 거리가 짧은 마일 레이스에선 마신 차이를 벌리기 힘든데, 어느 정도 육성이 된 상태에서도 어려운 8마신 이상의 차이를 데뷔전에서 달성하기는 훨씬 어렵기 때문. 그래서 '초기 능력치 증가' 효과가 높은 서포트 카드들 위주로 편성하고, 다리 힘을 남겨뒀다 종반에 폭발시킬 수 있는 선행 각질로 출전하는 등, 치밀한 준비가 필요하다.
    데뷔전에서의 고비만 넘기면 나머지 조건은 상대적으로 쉬운 편으로, E인 장거리 적성만 A~B 수준으로 보완해놨다면 문제없이 진행할 수 있다. 아사히배 FS(목표2)와 사츠키상(목표4)은 육성 목표에 포함되어 있고, 육성 이벤트에서 다음 목표를 클래식 3관 노선으로 정하면 일본 더비(목표5)와 국화상(목표6)도 육성 목표에 포함되므로, 별도의 추가 레이스를 뛸 필요도 없다.[1] 다만 국화상은 출전만 하면 돼서 레이스를 완전히 말아먹어도 알람 시계를 쓸 수 없다는 점에 주의할 것. 참고로 아사히배 FS의 경우엔 그 전신인 아사히배 3세마 S에서 1번 인기로 출전하여 채찍을 한 번도 쓰지 않고도 우승한 원본마의 커리어를 반영한 것이지만, 나머지 클래식 3관 레이스들은 원본마가 출전조차 하지 못했던 레이스들이다. 갑작스런 은퇴로 출전조차 못해 '환상의 삼관마'라는 별명을 얻은 원본마와는 달리, 진정한 삼관마로 등극해보라는 IF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 고유 아나운스는 야요이상의 최종 직선에서 선두이고 추격당하는 상황에서 들을 수 있는데, # 95년도 야요이상에서의 원본 아나운스를 거의 그대로 가져왔다. # 원본마의 별명인 '2단 로켓'의 유래가 야요이상에서의 2단 스퍼트 역전이었을 정도로 비중있는 레이스였던 덕택에, 고유 아나운스 조건이 비교적 일찍 확인된 사례이기도 하다.[2]
フジキセキ並ばれたか! しかし譲らない! しかし負けない! これが強さ!}}}
후지 키세키 따라잡히나요! 하지만 내어 주지 않습니다! 하지만 지지 않습니다! 이것이 강자입니다!
||
  • 클라이맥스 시나리오에서의 고유 해설은, 이름인 '키세키'의 뜻풀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본래 '휘석(輝石)'과 '기적(奇跡)'의 발음이 '키세키'로 동일한 것을 이용해 지은 중의적인 이름인데, 발음이 비슷한 '보석(宝石, 호세키)'이란 단어를 활용해 이를 표현한 것.
フジキセキ! 宝石のように光り輝く走りで 私たちを魅了してくれました!}}}
후지 키세키! 보석처럼 눈부시게 빛나는 달리기로 우리를 매료시켰습니다!
||

2.1. ★★★ - [슈팅 스타・레뷔]

파일:후지 키세키 1차 아이콘.png ★★★★★
[슈팅 스타・레뷔]
후지 키세키
みんなを楽しませる
“キセキ”を届けよう!
모두를 즐겁게 만들
'기적'을 전하자!
<nopad> 파일:후지 키세키 스킬 모션.gif [슈팅 스타・레뷔]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기적의 순간!, ruby=キセキの瞬間!)] [ruby(감동의 반짝임!, ruby=感動の煌めき!)] [ruby(…자\,, ruby=…さあ、)] [ruby(꿈의 무대의 개막이다!, ruby=夢の舞台の開幕だ!)]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자\,, ruby=さあ、)] [ruby(무대의 개막이다!, ruby=舞台の開幕だ!)]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7월 12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10월 31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96 파일:우마무스메 Gp.png88 파일:우마무스메 Gp.png97 파일:우마무스메 Gp.png82 파일:우마무스메 Gp.png87

+ 0%

+ 0%

+ 20%

+ 0%

+ 1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F.png117 파일:우마무스메 F.png107 파일:우마무스메 F.png118 파일:우마무스메 F.png100 파일:우마무스메 F.png108 }}}}}}}}}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B.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C.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반짝이는 별의 보드빌 (煌星のヴォードヴィル)
종반에 전방에서 다소 앞서 있으면 남은 거리가 300m 이하일 때 반짝임이 더해지며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노멀.png ||[노멀] 좋은 위치 뒤따르기 (好位追走)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약간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노멀.png ||[노멀] 트릭(앞) (トリック(前))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뒤의 흥분한 우마무스메가 약간 피로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오기 (負けん気)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 각성 스킬
  • 각성 Lv.2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기어 시프트 (ギアシフト)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 각성 Lv.3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여장부 기질 (姉御肌)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상승한다 <마일>||

  • 각성 Lv.4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마일 코너◯ (マイル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 각성 Lv.5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레어.png ||[레어] 레이스 플래너 (レースプランナー)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힘이 덜 들게 된다 <작전・선행>||

||
✦ 진화 스킬
  • '여장부 기질' 스킬 (각성 Lv.3)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빛나는 톱스타 (輝くトップスタァ)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마일>||

  • '레이스 플래너' 스킬 (각성 Lv.5)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엔터테이너 (エンターテイナー)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지구력을 회복하고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지구력 진화.png ||[진화] 반짝이는 '기적'을 (煌めく“キセキ”を)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지구력을 약간 회복하고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행>||

||

태생 3성의 마일 선행마.

고유 스킬은 레이스 종반에 전방(상위 40% 이내)에서 후방의 우마무스메와 1초 이상 인접했으면, 남은 거리가 300m 이하일 때 속도가 많이 상승(0.45)하는 스킬이다.[패치이전] 발동 위치를 '남은 거리 300m 이하'로 특정하고 있다는 점이 특징인데, 보통 해당 위치는 최종 직선 구간에서도 라스트 스퍼트(최종반)와 인접한 지점에 해당하기 때문에 다른 최종 직선 속도 스킬들보다 좀 더 유효한 위치에서 발동한다. 여기에 비교적 널널한 순위 조건으로 발동률도 준수하고, 속도 상승량도 '많이(すごく)' 수준으로 높게 설정되어 있어 효과 역시 강력한 편. 덕분에 최종 직선 속도 스킬들 중에서는 최상급 스킬로 평가되며, 전방 각질 주자의 범용 계승기로도 많이 활용된다.
다만 발동 조건으로 순위 조건 이외에 '후방의 우마무스메와 1초 인접'을 요구하고 있어, 순위 조건만으로 발동하는 스킬들에 비해서는 사용하기 다소 까다롭다는 단점이 있다. 일단 해당 조건 자체는 종반 어느 구간에서든 1초 이상 인접했기만 하면 만족되지만, 후방 주자의 스퍼트가 너무 빨라 1초 이상 인접하지 못하고 추월당하거나, 후속 마군과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인접 자체가 안될 수도 있는 등 레이스 전개에 따라서는 불발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또한 '남은 거리 300m'라는 발동 위치상 코스 자체가 짧은 단거리에서는 종반 가속력 스킬이 부족하면 무효 판정이 나올 가능성이 높고,[4] 반대로 코스 거리가 긴 중장거리에서는 인접 조건과 늦은 발동 타이밍 문제로 인해 효율이 떨어진다. 이 때문에 대체적으로는 마일/중거리에서 많이 활용되며, 단거리/장거리에서는 각각 200m/400m 계열의 스킬들 쪽이 좀 더 우선시된다.

2.1.1. 육성 시 특이사항

  • 본래 원본마의 데뷔전은 1200m의 단거리 경주였지만, 인게임 상에서는 1600m의 마일 경주로 변경되었다. 거리 적성을 고려해서 데뷔전이 원본마와 달라진 우마무스메는 제법 많지만, 후지 키세키의 경우 단거리 적성(B)이 딱히 낮은 게 아님에도 마일로 변경된 케이스라서 나름 특이한 부분.
  • 사츠키상(목표4) 직후의 육성 이벤트에서 다음 목표가 될 레이스를 직접 고를 수 있다. 선택지로는 클래식 3관 노선과 마일 노선이 주어지는데, 각 선택지에 따라 결정되는 목표 레이스(목표5, 6)는 아래와 같다.
    • 클래식 3관 노선
      • 일본 더비에서 5착 이내 (클래식급 5월 후반 / G1, 중거리)
      • 국화상에 출전 (클래식급 10월 후반 / G1, 장거리)
    • 마일 노선
      • NHK 마일컵에서 5착 이내 (클래식급 5월 전반 / G1, 마일)
      • 마일 CS에서 5착 이내 (클래식급 11월 후반 / G1, 마일)
  • 육성 목표가 마루젠스키킹 헤일로처럼 단거리~장거리까지 모든 거리를 총망라(!)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초보 유저에게는 육성 난이도가 제법 있는 편. 다만 장거리 목표 중 하나인 국화상(목표6)은 마일 노선을 타는 것으로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장거리 목표는 모두 출전만 하면 클리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육성 클리어만을 목적으로 한다면 단거리~중거리 목표에만 신경써주면 된다. 오히려 출전만으로 클리어 가능한 장거리보다 단거리 목표인 타카마츠노미야 기념(목표7)이 더 성가실 수 있는데, 기본 단거리 적성이 B로 살짝 불안정한 데다가, 단거리 레이스의 특성상 스피드가 아무리 높더라도 간발의 차이로 착순에서 밀려날 가능성이 존재하기 때문.
  • 원본마환상의 삼관마로 불렸다는 점을 반영해서인지, 위의 사츠키상 선택지를 시작으로 3관과 관련된 히든 이벤트가 제법 많이 존재한다.
    • '말은 보잘 것 없는 것(言葉は取るに足らないもの)' : 사츠키상 선택지에서 클래식 3관을 선택하고 이를 달성 시 발생하는 이벤트로, "스피드 +20 / 스태미나 +20 / 파워 +20 / '빠져나갈 준비'의 힌트 Lv +2"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보상도 나쁘지 않고, 고유 칭호 조건에도 클래식 3관이 포함되므로 함께 노려보기 좋은 이벤트. 다만 후지 키세키의 기본 장거리 적성은 E로 책정되어 있기 때문에 인자를 통한 장거리 적성 보완이 필수이다.
    • '하지만 비트는 멈출 수 없어(だってビートは止められない)' : 시니어 시즌 동안 타카츠노미야 기념을 포함하여 단거리/마일 G1에서 3승을 달성하면 발생하는 이벤트로, "컨디션 상승 / 파워 +20 / 지능 +20 / '오기'의 힌트 Lv +1"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육성 목표에 타카츠노미야 기념(목표7)과 야스다 기념(목표8)이 포함돼있으므로, 추가로 하나만 더 우승해주면 무난하게 볼 수 있는 이벤트이다. 다만 카타츠노미야 기념과 야스다 기념을 제외하면 시니어 시즌에 남은 잔디 단거리/마일 G1 대회는 빅토리아 마일(5월 전반), 스프린터스 S(9월 후반), 마일 CS(11월 후반)로 끝이므로 남은 선택지가 많지는 않다. 특히 마일 CS는 아래의 재팬컵 이벤트를 함께 노린다면 출전이 불가능하니 주의.
    • '내 행운의 별(私の幸運の星)' : 시니어급 타카라즈카 기념에서 우승하고 가을 시니어 3관(텐노상(가을), 재팬컵, 아리마 기념)을 달성하면 발생하는 이벤트로, "컨디션 상승 / 스피드 + 25 / 스태미나 +25 / 근성 +25 / '좋은 위치 뒤따르기'의 힌트 Lv +2"의 보상을 얻을 수 있다. 타카라즈카 기념과 재팬컵은 육성 목표에 포함돼있지 않으니 따로 챙겨서 출천해줘야 하고, 아리마 기념(목표10)의 경우엔 목표에 포함돼있긴 하지만 장거리 적성을 보완해줘야 제대로 뛸 수 있다. 보상이 나쁜 건 아니지만, 위의 클래식 3관 이벤트처럼 고유 칭호를 노리는 게 아니라면 달성하기 어려운 이벤트.

2.1.2. PvP

원본마의 4전 4승 커리어 중에서 유일한 G1 대회가 마일 레이스라는 점을 반영해서인지, 우마무스메 후지 키세키도 전반적으로 마일 주자에 적합한 성능을 갖고 있다. 상기했듯 고유 스킬부터가 마일 레이스에서 가장 유효하게 발동하며, 성장률(파워 +20%)과 소지 스킬('기어 시프트', '마일 코너◯', '오기/여장부 기질')도 마일 주자 육성에 유리한 구성이다. 일단 마일 이외의 나머지 거리 적성도 비교적 우수한 편이고,[5] 레어 회복 스킬인 '레이스 플래너'를 소지하고 있다는 점에서 중장거리 주자로도 육성을 고려할 수는 있겠지만, 안그래도 경쟁자가 많은 중장거리 라인에 소지 스킬 대다수를 포기해야 한다는 점에서 실효성은 낮은 편. 그나마 단거리 쪽은 워낙 적성 주자가 적은지라, 다른 단거리 주자가 없다면 개조를 고려해볼 수 있다.

과감한 디자인의 승부복으로 출시 초기에는 제법 주목을 받은 캐릭터로, 공개 당시에는 높은 효과량의 고유 스킬과 넓은 거리 적성을 바탕으로 범용성 좋은 고성능 캐릭터일 것이라는 기대가 있었다. 그러나 정작 캐릭터 출시 이후의 평가는 그다지 좋지 못했는데, 1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까지는 고유 스킬의 순위 조건이 '상위 30% 이내'로 지금보다 좁았고, '인접' 판정이 요구하는 거리 차도 너무 빡빡해서 고유 스킬 발동률이 최악이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코스 길이가 짧아 마군이 뭉치는 경향이 강한 단거리/마일에서는 그럭저럭 고유 스킬의 발동이 가능했지만, 2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까지는 고유 스킬의 발동 위치가 '최종 직선'이었던지라 단거리/마일에서 그다지 유효한 스킬이 아니었다.[6] 소지 레어 스킬이 마일 조건+회복 스킬이라는 전혀 시너지 없는 구성이라는 점은 덤. 이 때문에 준수한 승부복 디자인과 범용성 높은 거리 적성을 갖고 있음에도 실전 채용률이 매우 낮았으며, 인자작 쪽으로도 선호도가 낮은 편이었다.

그래서인지 후지 키세키는 1~2주년 밸런스 패치에서 많은 상향을 받았다. 일단 1주년 밸런스 패치에서는 '인접' 조건의 판정 범위가 넓어지면서 고유 스킬의 발동률이 훨씬 좋아졌다. 또한 2주년 밸런스 패치에서는 발동 지점이 '최종 직선 → 레이스 종반의 남은 거리 300m 이내'로 변경되고, 순위 범위도 '상위 30% 이내 → 상위 40% 이내'로 넓어지면서 발동 위치와 발동률 모두 상향을 받았다. 덕분에 고유 스킬의 실전 활용도가 대폭 높아졌으며, 단거리~중거리에서 범용성 있게 사용할 수 있는 범용 계승기로 선호도가 매우 높아졌다. 비록 실전 주자로 채용하기에는 이미 고성능 주자들이 너무 많이 출시된 상황이라 경쟁력이 떨어지지만, 인자작 쪽으로는 우선도 높은 캐릭터 중 하나로 꼽힌다.

2.1.3. 기타

  • 승부복 명칭의 '레뷔(Revue)'는 프랑스어로 '희극', '커다란 쇼' 등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고유 스킬명인 '보드빌(vaudeville)'도 가볍고 풍자적인 통속 희극을 뜻하는 단어이다. 또한, '슈팅 스타(Shooting Star)'는 유성(별)을 의미하는 단어이므로, 승부복 명칭인 '슈팅 스타 레뷔'와 고유 스킬명인 '별의 보드빌'은 사실상 같은 말인 셈이다.
  • 캐릭터의 비율 좋은 체형과 흑색을 강조하는 스포티한 슈트 차림의 승부복은, 원본마의 특징인 흑갈색 털과 잘 빠진 마체를 반영해서 디자인한 것이다. 덕분에 지나치게 보이시한 디자인으로 호불호가 큰 메지로 라이언과 달리, 후지 키세키는 미소년 컨셉이면서도 과감한 디자인의 승부복으로 많은 호평을 받았다.
  • 야요이상(목표3) 이후의 육성 목표는 전부 이른바 'IF 루트'에 해당한다. 본래 원본마는 압도적인 실력으로 사츠키상의 트라이얼 레이스인 야요이상까지 전승을 달성했지만, 3월 막바지에 굴건염이 발견되면서 사츠키상에 출전하지 못하고 빠르게 은퇴했다. 이 때문에 육성 목표 레이스들은 대부분 후지 키세키 본인이 출전했던 레이스가 아닌, 후지 키세키의 자마들이 우승한 레이스들로 구성되어 있다.[7]
  • 클래식 3관과 관련된 육성 목표와 이벤트가 있는 우마무스메 치고는 중장거리 적성이 각각 B/E로 묘하게 낮은 편인데, 이는 원본마가 장거리 레이스에 출전한 기록이 없고, 후지 키세키의 자마들도 중장거리에서 그다지 두드러지는 성적을 남기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러한 거리 적성과 클래식 3관+아리마 기념을 노리는 육성 목표의 조합은, 하루 우라라의 아리마 기념 런과 비슷하게 원본마가 이루지 못한 클래식 삼관+아리마 기념 우승을 네 노력으로 이루어봐라라는 제작진의 의도인 셈이다.
  • 반면 더트 적성은 의외로 G가 아닌 F로 책정되었는데, 이는 원본마의 아비인 선데이 사일런스 자체가 더트 레이스에서 활약했던 경주마였고, 후지 키세키의 자마들도 더트 대회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는 점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혈통을 고려하면 더트 적성 F는 너무 낮게 책정되었다는 느낌도 없지 않아 있는 편. 비슷한 이유에서 단거리 적성 역시, 원본마의 단거리 커리어가 데뷔전 밖에 없음에도 자마들이 단거리에서 우수한 성적을 보였다는 점을 반영해서인지 B로 높게 책정되었다.

2.2. ★★★ - [쉭세・에투알]

파일:후지 키세키 2차 아이콘.png ★★★★★
[쉭세・에투알]
후지 키세키
キセキの舞台で――
シャル・ウィ・ダンス?
기적의 무대에서…
Shall We Dance?
<nopad> 파일:후지 키세키 스킬 모션2.gif [쉭세・에투알] 스킬 모션
'''{{{#!html <span style="text-shadow: 0px 1px 2px #7a4117">'''

스킬 발동 보이스 (롱 버전)
[ruby(자\ ruby=さあ、)] [ruby(꿈보다 달콤한\ ruby=夢より甘い、)] [ruby(기적의 댄스 플로어로…, ruby=キセキのダンスフロアへ…)] [ruby(어서 와., ruby=おいで。)]

스킬 발동 보이스 (단축 버전)
[ruby(자\,, ruby=さあ、)] [ruby(매혹해주겠어., ruby=魅せてあげよう。)]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3월 29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3년 7월 18일
<rowcolor=#ffffff,#e0e0e0> 파일:우마무스메 스피드.png스피드 파일:우마무스메 스태미나.png스태미나 파일:우마무스메 파워.png파워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근성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지능
파일:우마무스메 Gp.png98 파일:우마무스메 Gp.png77 파일:우마무스메 F.png102 파일:우마무스메 Gp.png78 파일:우마무스메 Gp.png95

+ 8%

+ 0%

+ 14%

+ 0%

+ 8%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재능개화 능력치 열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파일:우마무스메 F.png120 파일:우마무스메 Gp.png94 파일:우마무스메 F.png124 파일:우마무스메 Gp.png96 파일:우마무스메 F.png116 }}}}}}}}}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경기장 적성
잔디 파일:우마무스메 A.png
거리 적성
단거리 파일:우마무스메 B.png
각질 적성
도주 파일:우마무스메 C.png
✦ 고유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고유.png ||[고유] Ravissant
최종 코너 이후에 선두 그룹에서 추월하면 번쩍이듯 화려한 움직임을 선보이며 잠시 동안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 초기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빠져나갈 준비 (抜け出し準備)
최종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노멀.png ||[노멀] 트릭(앞) (トリック(前))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뒤의 흥분한 우마무스메가 약간 피로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마일 코너◯ (マイル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 각성 스킬
  • 각성 Lv.2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교묘한 스텝 (巧みなステップ)
좌우로 이동할 때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각성 Lv.3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레어.png ||[레어] 넋이 나가는 트릭 (見惚れるトリック)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뒤의 흥분한 우마무스메가 피로해진다||

  • 각성 Lv.4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정면 승부 (真っ向勝負)
[패치 후(日)]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패치 전(韓)] 레이스 종반에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각성 Lv.5에 해방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스피드스터 (スピードスター)
최종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행>||

||
✦ 진화 스킬
  • '넋이 나가는 트릭' 스킬 (각성 Lv.3) 진화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진화.png ||[진화] 압권의 트릭 (圧巻のトリック)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을 때 뒤의 우마무스메가 흥분하면 그 우마무스메의 지구력을 감소시키고, 자신의 속도가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진화.png ||[진화] 마음을 사로잡는 코너링 (見惚れるコーナリング)
최종 코너에서 속도가 많이 상승한다||

  • '스피드스터' 스킬 (각성 Lv.5) 진화
||
파일:우마무스메_후지키세키(승부복)2.png

스토리 이벤트인 오늘 밤, 리뉴・드로와트에서에 맞춰 업데이트 된 무도회 승부복으로, [수아레・드・샤통] 세이운 스카이와 함께 추가되었다. 미소년 스타일의 복장이었던 오리지널 승부복과는 반대로, 여성스러움을 강조하는 이브닝 드레스를 입은 모습으로 등장해 화제가 되었다.

고유 스킬은 최종 코너 이후에 추월한 직후의 순위가 선두 그룹(상위 40% 이내)이면 속도가 많이 상승(0.45)하는 스킬이다. 일반적인 고유 스킬보다 지속 시간이 짧다는 점(5초 → 4초)이 특징. 그 대신에 발동 가능한 구간과 순위 조건도 모두 널널한 편이라서 매우 준수한 발동률을 자랑하며, 속도 상승량도 '많이(すごく)' 수준으로 높게 설정되어 있다. 특히 최종 코너가 종반 직전에 위치하는 코스가 많은 단거리/마일 레이스에서는, 높은 속도 상승 효과를 바탕으로 좋은 위치를 잡고 종반에 진입하거나 접속 효과를 노려볼 수도 있기 때문에 제법 성능 좋은 고유 스킬로 평가된다.
다만 스킬의 발동 트리거가 '최종 코너'와 '추월' 조건인만큼, 최종 코너의 위치나 추월 타이밍에 따라서는 종반 가속 구간과 겹치는 위치에서 발동하면서 스킬이 무용지물이 될 가능성도 있다. 특히 챔피언스 미팅 같은 PvP 대회에서는 상대 체급이 높으면 그만큼 추월도 어려워지기 때문에 좋은 타이밍에 스킬을 발동하기가 쉽지 않다. 그나마 스킬 발동 구간은 최종 코너 이후까지 모두 포함이라서, 가속 구간에만 겹치지 않는다면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게 다행스러운 부분. 또한, 아무래도 기본 지속 시간이 약간 짧다는 약점이 있는지라 다른 고성능의 고유 스킬들과 비교해서는 본체 성능이든 계승기로든 밸류가 살짝 밀리는 편이다.

2.2.1. PvP

기본 적성은 오리지널 승부복과 동일한 마일 선행마로, 기존의 오리지널 승부복과 비교하면 성장률과 소지 스킬 등이 좀 더 실전성 있게 변경되었다. 우선 스피드/파워/지능에 고루 성장률이 분배되면서 육성 편의성이 높아졌으며, 소지 스킬도 '정면 승부', '빠저나갈 준비/스피드스터' 같은 선행 각질 범용 스킬들로 구성되면서 마일 이외의 거리에서도 소지 스킬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다만 나머지 레어 스킬인 '넋이 나가는 트릭'은 실효성이 애매한 편인데, 스태미나 디버프 효과가 나쁜 건 아니지만 발동 조건이 '후방 우마무스메의 흥분 상태'로 지나치게 까다롭다. 그나마 모브마가 다수 출전하는 팀 레이스에서는 비교적 준수한 확률로 발동한다는 게 다행스러운 부분.

드레스 후지의 가장 큰 특징은 고유 스킬과 레어/진화 스킬의 효과가 '최종 코너에서 속도 상승' 쪽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인데, 고유 스킬과 '스피드스터' 스킬 모두 최종 코너에서 발동하는 속도 스킬이다. 심지어 진화 스킬까지 고려하면 '스피드스터' 스킬은 속도 상승량이 증가하고 '넋이 나가는 트릭'도 '최종 코너에서 속도가 많이 상승'하는 효과로 변경되니, 고유/진화 스킬을 모두 합치면 최종 코너에서 발동하는 0.45 속도 스킬이 3개나 되는 셈이다. 덕분에 종반 직전에 최종 코너가 인접한 코스가 많은 단거리/마일 레이스에서는, 발동 타이밍만 적절하다면 높은 속도 상승량을 받은 상태로 종반 접속 효과까지 노려볼 수 있기 때문에 제법 밸류가 괜찮은 캐릭터로 평가된다.

다만 해당 스킬들은 모두 지속 시간이 짧다는 약점이 있는데, 이 때문에 챔피언스 미팅에서 주자로 채용하기에는 살짝 하자가 있다. 상기한대로 스킬들이 적절하게만 발동해주면 대회에서도 성능이 약한 건 아니지만, 스킬 발동 타이밍은 유저가 임의로 조정할 수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다른 고성능 주자들과 비교하면 여러모로 안정성이 크게 떨어지는 편. 실제로 드레스 후지는 단거리/마일 대회에서 나름 꾸준하게 성능픽으로 언급되는 캐릭터임에도, 주요 티어픽으로 꼽혔던 적은 한 번도 없었다. 그나마 출시 초기에는 고유/소지 스킬의 준수한 발동률과 높은 단거리 적성(B)을 활용해 팀 레이스에서 단거리 티어픽으로 활약하기도 했지만, 곧바로 단거리 전문 주자인 니시노 플라워가 출시되면서 빠르게 티어가 밀려버렸다.

2주년 밸런스 패치에서 진화 스킬이 추가된 이후에도 평가는 비슷한 편으로, 오히려 고성능 단거리/마일 주자들이 늘어나면서 경쟁력이 더 낮아졌다. 일단 진화 스킬 자체는 비교적 준수하게 받았지만, 스킬 지속 시간이 짧다는 약점은 그대로인 상태로 효과량만 증가한지라 '성능이 나쁜 건 아닌데 더 좋은 주자가 많다'는 평가가 대다수이다. 그래도 캐릭터 성능 자체가 많이 안좋다거나 실전 주자로 심각한 하자가 있는 건 아니기 때문에, 성능 좋은 단거리/마일 주자가 없다면 충분히 채용 여지가 있다.

2.2.2. 기타

  • 승부복 명칭인 '쉭세 에투알(Succès étoile)은 프랑스어로 '성공의 별'이라는 의미다. 또한 고유 스킬명인 'Ravissant'은 역시 프랑스어로 '매력적이고 황홀한', '매우 아름다운'이라는 의미의 단어이다. 그래서인지 고유 스킬의 애니메이션도 별빛이 반짝이는 이펙트가 강조된다.
  • 고유 스킬 모션에서 오리지널 승부복 → 드레스로 일종의 변신(?)을 하는데, 보통 같은 캐릭터라도 고유 스킬 모션에서 다른 승부복이 나오는 경우가 거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꽤나 특이한 부분이다.
  • 기존 오리지널 승부복과는 반대되는 컨셉의 드레스 복장으로 주목을 끌었지만, 색상 배합과 드레스 디자인이 너무 올드하다는 평가가 나오기도 했다.

3. 서포트 카드

3.1. R - [트레센 학원]

<nopad> 파일:후지 키세키 서포트 R.jpg [트레센 학원]
후지 키세키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

레어도

MAX Lv
20 (✦0) ~ 40 (✦4)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2월 24일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6월 20일
고유 보너스
없음
✦ 에피소드
모두에게 즐거움을 주는 칠흑의 엔터테이너 후지 키세키다! 최고의 '기적'으로 반드시 너에게서 웃음꽃을 피워 보일게!
✦ 우정 보너스 5~15%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35%
기 본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지능 우정 회복량 증가 1~3
기 본
지능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회복량이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0
Lv.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힌트 Lv 증가 Lv.1~2
Lv.5 해방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30%
Lv.5 해방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5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지능 보너스 1
Lv.40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지능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여름 우마무스메◯ (夏ウマ娘◯)
여름철 레이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근성 노멀.png ||[노멀] 흐린 날◯ (曇りの日◯)
흐린 날 레이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노멀.png ||[노멀] 트릭(앞) (トリック(前))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뒤의 흥분한 우마무스메가 약간 피로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마일 코너◯ (マイル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오기 (負けん気)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빠져나갈 준비 (抜け出し準備)
최종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슬라이트 오브 핸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아까 살짝 넣…
    • 지능 +5 / 스킬 Pt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굉장한 매직 파워야…!
    • 파워 +5 / 스킬 Pt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미스디렉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마지막 코너링 요령
    • '빠져나갈 준비'의 힌트 Lv +1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달리기 테크닉
    • 스킬 Pt +30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3.2. SR - [나 참, 어서 와]

<nopad> 파일:후지 키세키 서포트 SR.jpg [나 참, 어서 와]
후지 키세키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지능.png

레어도

MAX Lv
25 (✦0) ~ 45 (✦4)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1년 2월 24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2년 6월 20일
고유 보너스
✦ 나 참, 어서 와
Lv.25 해방

스킬 Pt 보너스 1, 초기 지능 증가 20
✦ 에피소드
해를 쫓듯이 달리고, 해가 질 때까지 뛴다. 그것이 이곳, 트레센 학원 학생의 청춘.
✦ 우정 보너스 10~20%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50%
기 본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지능 우정 회복량 증가 1~4
기 본
지능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회복량이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0~25
Lv.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힌트 Lv 증가 Lv.1~2
Lv.5 해방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40%
Lv.5 해방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특기율 증가 5~35
Lv.10 해방
특기 트레이닝에 배치될 확률이 증가
✦ 레이스 보너스 1~5%
Lv.3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5~10%
Lv.3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지능 보너스 1
Lv.4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지능 상승량이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스피드 노멀.png ||[노멀] 여름 우마무스메◯ (夏ウマ娘◯)
여름철 레이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패시브 근성 노멀.png ||[노멀] 흐린 날◯ (曇りの日◯)
흐린 날 레이스에 다소 강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노멀.png ||[노멀] 트릭(앞) (トリック(前))
레이스 중반에 전방에 있으면 뒤의 흥분한 우마무스메가 약간 피로해진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마일 코너◯ (マイル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오기 (負けん気)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마일>||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빠져나갈 준비 (抜け出し準備)
최종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디버프 지구력 노멀.png ||[노멀] 추입 긴장 (追込焦り)
레이스 중반에 작전・추입인 우마무스메를 긴장하게 해서 약간 지치기 쉽게 만든다||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슬라이트 오브 핸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아까 살짝 넣…
    • 지능 +5 / 스킬 Pt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굉장한 매직 파워야…!
    • 파워 +5 / 스킬 Pt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미스디렉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마지막 코너링 요령
    • '빠져나갈 준비'의 힌트 Lv +1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달리기 테크닉
    • 스킬 Pt +30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아브라카다브라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지능 +1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아웃 오브 디스 월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지능 +10 / 스킬 Pt +15 / '추입 긴장'의 힌트 Lv +1
}}}}}}}}}

3.3. SSR - [고민 있니? 포니짱]

<nopad> 파일:후지 키세키 서포트 SSR.jpg [고민 있니? 포니짱]
후지 키세키

특기 연습
파일:우마무스메 근성.png

레어도

MAX Lv
30 (✦0) ~ 50 (✦4)
<colbgcolor=#454846,#010101><colcolor=#ffffff,#e0e0e0> 출시 일자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4년 8월 30일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2025년 12월 19일 (예상)
고유 보너스
✦ 고민 있니? 포니짱
Lv.30 해방

우정도가 80 이상일 때, 스피드 보너스 1, 근성 보너스 1
✦ 에피소드
꿈의 그늘에는 무엇이 있지?
✦ 우정 보너스 10~35%
기 본
우정 트레이닝 발생에 따른 효과 증가
✦ 특기율 증가 5~65
기 본
효과 설명
✦ 레이스 보너스 1~5%
Lv.1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스테이터스 상승량이 증가
✦ 팬 수 보너스 1~15%
Lv.10 해방
레이스 출전 결과에 따라 얻는 팬 상승량이 증가
✦ 힌트 Lv 증가 Lv.1~2
Lv.10 해방
힌트 이벤트에서 얻을 수 있는 힌트 Lv이 증가
✦ 힌트 발생률 증가 5~40%
Lv.10 해방
힌트 이벤트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
✦ 컨디션 효과 증가 10~30%
Lv.1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했을 때 컨디션에 따른 효과 증가
✦ 스피드 보너스 1
Lv.1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피드 상승량이 증가
✦ 파워 보너스 1
Lv.1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파워 상승량이 증가
✦ 트레이닝 효과 증가 1~5%
Lv.15 해방
함께 트레이닝했을 때 효과 증가
✦ 스킬 Pt 보너스 1
Lv.35 해방
함께 트레이닝을 하면 스킬 Pt의 상승량이 증가
✦ 초기 우정도 증가 15~30
Lv.45 해방
육성 개시 시 초기 우정도가 증가
✦ 소지 스킬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선행 코너◯ (先行コーナー◯)
코너에서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장난은 끝이야! (遊びはおしまいっ!)
우마무스메가 바로 뒤쪽에 오래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가속력 노멀.png ||[노멀] 정면 승부 (真っ向勝負)
[패치 후(日)]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패치 전(韓)] 레이스 종반에 전방에 있으면 가속력이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공세 (攻めの姿勢)
레이스 중반에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달려들기 (食らいつき)
레이스 후반에 추월하려고 하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선행/선입>||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비약의 예감 (飛躍の予感)
레이스 종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가슴이 두근거리는 소리 (胸の高鳴り)
레이스 종반이 시작될 때 약간 앞으로 나간다 <단거리/마일>||

✦ 육성 이벤트로 획득 가능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빠져나갈 준비 (抜け出し準備)
최종 코너에서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노멀.png ||[노멀] 비약의 예감 (飛躍の予感)
레이스 종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약간 상승한다 <작전・선행>||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fff,#1f2023><table color=#7a4117,#dddddd><width=70> 파일:말딸스킬 속도 레어.png ||[레어] 유성광저 (流星光底)
레이스 종반이 다가올 때 전방에 있으면 속도가 상승한다 <작전・선행>||

✦ 육성 이벤트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슬라이트 오브 핸드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아까 살짝 넣…
    • 지능 +5 / 스킬 Pt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굉장한 매직 파워야…!
    • 파워 +5 / 스킬 Pt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미스디렉션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마지막 코너링 요령
    • '빠져나갈 준비'의 힌트 Lv +1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달리기 테크닉
    • 스킬 Pt +30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① [  Etude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선택지 없음
    • 근성 +1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10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② [  Premiere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그렇다면 공주님이 나오는 동화는 어때?
    • 체력 +10 / 스피드 +5 / 파워 +5 / 근성 +5 / '비약의 예감'의 힌트 Lv +2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용사가 나오는 모험 이야기라면 적당할지도! (고를 경우 이벤트 중단)
    • 스피드 +5 / 파워 +5 / 근성 +5 / '유성광저'의 힌트 Lv +1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③ [  Remake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화려한 마법으로 매료하는 마법사
    • 스피드 +10 / 파워 +10 / 근성 +10 / '유성광저'의 힌트 Lv +2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극의 흥을 돋우는 이야기 해설
    • 체력 +10 / 근성 +10 / 스킬 Pt +25 / 후지 키세키의 우정도 +5
}}}}}}}}}

스토리 이벤트인 당신과 우러러보는 하베스트 문에 맞춰 업데이트 된 서포트 카드로, 기존 카드들이 지능 특기였던 것과는 달리 근성 카드로 나왔다. 후지는 게임 서비스 초기부터 SR 카드가 있었던 캐릭터였음에도 오랫동안 SSR 카드가 나오지 않았으나, 무려 3년 8개월이 지나서야 첫 SSR 카드를 받게 되었다.

카드의 전반적인 구성은 선행 각질과 스피드 트레이닝에 특화된 근성 카드로, 조건부 고유 보너스까지 포함하면 1돌(Lv.35) 상태에서도 다양한 능력치 보너스(스피드 보너스 2, 파워 보너스 1, 근성 보너스 1, 스킬 Pt 보너스 1)를 받을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극장판 타키온의 각성 스킬로만 얻을 수 있었던 '유성광저' 스킬을 이 카드를 통해 확정 습득할 수 있다는 것 또한 특징. 전반적인 성능이 괜찮기에, 거리에 무관하게 선행마 육성이라면 투입을 고려해 봐도 좋을 카드라는 것이 주된 평가다.[8] 굳이 이 카드를 얻자고 가챠를 들어갈만큼 엄청난 성능은 아니긴 하지만, 적절히 잘 빌려 쓴다면 생각보다 괜찮은 성능을 보여주는 카드.

4. 밸런타인 초콜릿

후지 키세키의 밸런타인 초콜릿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밸런타인 초콜릿 상세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후지 키세키의
'For my Valentine' 초콜릿 케이크

(フジキセキの
“For my Valentine”チョコケーキ)
파일:chocolate_1000501.jpg

슈팅 스타・레뷔
파일:chocolate_1000502.jpg

쉭세・에투알
『私にはリズムが、音楽が、大切な人がいる。
これ以上何が必要だというんだい?』

今日という特別な日に、この想いを
一層噛みしめることといたしましょう。
『내게는 리듬이, 음악이, 소중한 이가 있다.
이 이상 뭐가 더 필요하다는 거지?』

오늘이라는 특별한 날에,
이 마음을 한층 더 곱씹어 보도록 하자.
}}}}}}}}} ||


[1] 목표를 마일 노선으로 정하면 NHK 마일컵(목표5)과 마일 CS(목표6)가 육성 목표에 포함되지만, 이 둘의 시기가 일본 더비 및 국화상과 겹치지 않으니 별도로 출전해주면 된다.[2] 고유 아나운스 조건은 고유 칭호처럼 인게임에 명시되어 있는게 아닌지라 확인하기까지 시간이 꽤 걸리는 경우가 많은데, 후지 키세키의 경우엔 야요이상이 워낙 유명했던 레이스였던데다 마침 육성 목표(목표3)에도 들어있어 비교적 일찍 확인되었다. 유명한 레이스인데 고유 칭호 조건에선 빠져있어, 혹여나 이게 고유 아나운스 조건에 들어간건가 쉽게 예상해볼 수 있었던 것은 덤.[패치이전] 출시 초기에는 발동 지점이 최종 직선으로 고정이었으며, 후방 우마무스메와의 인접 조건과 순위 조건도 지금보다 좁았다. 1, 2주년 밸런스 패치 이전의 고유 스킬에 대해 확인하고 싶다면 본 문서의 이전 버전인 r144, r156을 각각 참조할 것.[4] 단거리 코스(1000~1400m)들은 보통 남은 거리 400m 쯤에서 종반이 시작되기 때문에, 300m 지점까지는 가속 구간과 겹칠 가능성이 제법 높다.[5] 단거리/중거리 적성(B)은 인자 하나만 있으면 바로 A로 만들 수 있고, 장거리 적성(E)도 인자를 최대한 투입하면 A로 만들어서 육성이 가능하다.[6] 보통 단거리/마일 레이스는 종반과 최종 직선이 가깝게 인접한 코스가 많기 때문에, 최종 직선에서 발동하는 속도 스킬은 가속 구간과 겹치면서 무효 판정이 나올 가능성이 높다.[7] 사츠키상, NHK 마일 컵, 마일 CS, 타카마츠노미야 기념, 스프린터스 S는 모두 후지 키세키의 자마들이 우승한 적이 있는 대회이다.[8] 높은 '스피드 보너스' 덕분에, 오르페브르 SSR 카드 같은 다른 근성 카드와 잘 조합해서 사용하면 스피드 카드 1장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평가도 있을 정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