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의 섬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 <colbgcolor=#e8e8e8,#2d2f34> 중구 | 노랑섬 · 대무의도 · 매도 · 매도랑 · 사렴도 · 소무의도 · 소운염도 · 수수떼기 · 실미도 · 영종용유도(영종도 · 용유도) · 운염도 · 잠진도 · 장고도 · 조름섬 · 팔미도 · 해녀도 |
동구 | 물치도 | |
남동구 | 저어새섬 | |
서구 | 세어도 · 소다물도 · 소세어도 · 아라빛섬 · 켬섬 · 호도 | |
강화군 | 강화도 · 괴리섬 · 교동도 · 기장섬 · 남황산도 · 납도 · 대송도 · 돌섬 · 동검도 · 동그랑섬 · 말도 · 미법도 · 볼음도 · 부념도 · 분지도 · 상여바위섬 · 서검도 · 석도 · 석모도 · 섬돌모루도 · 소송도 · 수섬 · 아차도 · 용란도 · 우도 · 은염도 · 응봉도 · 주문도 · 함박도[주] · 황산도 | |
옹진군 | 가도 · 가덕도 · 각흘도 · 갑죽도 · 거도 · 고석도 · 곰바위섬 · 관도 · 구지도 · 굴업도 · 금도 · 길마염 · 날가지도 · 남서도 · 납섬 · 낭각흘도 · 닭섬 · 당도 · 대가덕도 · 대갑죽도 · 대령도 · 대말도 · 대연평도 · 대이작도 · 대청도 · 대초지도 · 덕적도 · 도량도 · 동글섬 · 동만도 · 동백도 · 동초지도 · 먹염 · 멍애섬 · 모도 · 모이도 · 목덕도 · 목섬 · 문갑도 · 뭉퉁도 · 백령도 · 백아도 · 벌섬 · 벌안섬 · 복창지도 · 부도 · 사승봉도 · 사염 · 상고도 · 상공경도 · 상광대도 · 상벌섬 · 상석섬 · 서각흘도 · 서만도 · 석초섬 · 선갑도 · 선미도 · 선재도 · 소가덕도 · 소가도 · 소갑죽도 · 소낭각흘도 · 소령도 · 소야도 · 소어평도 · 소연평도 · 소이작도 · 소자암도 · 소지도 · 소청도 · 소초지도 · 소통각흘도 · 승봉도 · 시도 · 시도먹염 · 신도 · 신도 · 신도먹염 · 암서도 · 어평도 · 영흥도 · 오도 · 와염 · 외향도 · 울도 · 자암도 · 자월도 · 장구도 · 장봉도 · 주도 · 중고도 · 중광대도 · 중석섬 · 중울도 · 중통각흘도 · 지도 · 창서도 · 책도 · 측도 · 토끼섬 · 통각흘도 · 피도 · 하고도 · 하공경도 · 하광대도 · 하벌섬 · 하산도 · 하석섬 · 할미염 · 할미지 · 항도 · 황서도 | |
[주]: 정전협정에 의해 북한의 영역으로 규정됐으나, 국토등기에는 남한 영역으로 등록되어 있다.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641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64100>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군청은 미추홀구 용현동에 있음. |
덕적도 德積島 Deokjeokdo | |
[clearfix]
1. 개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위치한 섬으로, 덕적군도(德積群島)의 주섬이다. 면적 22.97㎢.덕적도에는 덕적면의 8개리(법정리) 중 진리(鎭里)·서포리(西浦里)·북리(北里)의 3개리가 있다.[1] 면의 중심지인 진리에는 면사무소를 비롯해 덕적초등학교·덕적중학교·덕적고등학교 등의 관공서가 있다.
1.1. 덕적면
덕적면은 면적 36.62㎢에 인구 1,887명(2022년 2월)이다. 본섬인 덕적도 외에 굴업도, 문갑도, 백아도 등의 섬을 관할하고 있다.2. 역사
고려 시대 남양부(南陽府)가 설치된 이후 남양부에 소속되었고, 조선 초기까지 남양도호부에 속하였다. 조선 성종 때에 인천도호부로 이속되었고 숙종 때 덕적진(德積鎭)이 설치되었다. 일제강점기 시기 행정구역 개편으로 경기도 부천군에 편입되었고, 1973년 경기도 옹진군에 편입되었다. 1995년에 옹진군이 인천광역시에 편입되면서 인천광역시 옹진군 덕적면이 되었다.3. 교통
고려고속훼리대부해운
- 연안부두에서 덕적행 여객선이 하루 3편(쾌속선 평일 코리아나호 2편, 주말에는 코리아스타 2편, 차도선 코리아익스프레스호 1편)[2] 운행한다. 이 배들은 소야도에 기항하지 않고[3], 덕적도로 직항 운행한다.
- 섬 내부에서는 옹진군 공영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4. 시설
도우 선착장에서 내린 뒤, 관광안내소를 지나 공영 주차장 쪽으로 가면 하나로마트 덕적점이 있다.옛날 중식당[하림]이 있었던 곳이 GS25로 바뀌었다.
서포리 해수욕장 쪽으로 가면 CU가 있다.
선착장에서 진1리로 가는 길에는 현대오일뱅크 주유소가 있다.
덕적중앙감리교회로 가는 길에는 덕적철물이라는 철물점이 있다.
5. 숙박 시설
덕적도에는 민박과 펜션이 무수히 많다. 특히 서포리에 밀집되어 있다.6. 출신 인물
7. 여담
- 관내 유일 고등학교인 덕적고등학교가 야구부를 창단하였으며 인천 출신 야구인인 장광호가 감독을 맡았다. 2022년 황금사자기 전국고교야구대회에서 16강전에 진출하는 등 파란을 일으키고 있다. 관련 기사 1 관련 기사 2 다큐멘터리
- 인천 연안부두에서 출발한 쾌속선은 본래 덕적도 도착 전 소야도에 기항했으나, 덕적-소야 연도교 개통으로 인해 기항 필요성이 사라지고[5] 승하선 시 추락 위험이 있어[6] 미기항하게 되었으나, 소야도 주민들은 이에 반발하고 있다.
- 1997년 방영된 신세대 보고 - 어른들은 몰라요 제111회 '조약돌의 노래' 편의 배경이 되었다.
- KBO 리그 소속의 야구 선수들이 가장 많이 추천하는 국내 여행지이다.
- 도민들이 무척 살갑고 친절하다는 후기가 많다.
- 2024년 1월 지하수저류댐 설치사업이 추진되었다.
[1] 나머지 5개리는 덕적면내 주변 도서인 굴업리(掘業里)·문갑리(文甲里)·백아리(白牙里)·소야리(蘇爺里)·울도리(蔚島里)[2] 소요 시간은 쾌속선이 1시간 10분, 차도선이 1시간 50분 가량이다.[3] 2020년 이전까지는 기항하였으나, 덕적도와 소야도를 잇는 연도교가 개통된 이후로는 양쪽 모두 기항할 필요성이 사라져 덕적도에만 기항하고 있다.[4] 어떤 날은 이작도, 승봉도를 경유하는 때도 있다.[5] 덕적도 선착장에서 하선 뒤 버스를 타면 다리를 건너 소야도로 들어갈 수 있게 되었다.[6] 소야도의 선착장은 덕적도와 달리 규모가 작고 시설이 열약하여 위험성이 지적되어 왔다.[7] 한국인들 보다는 외국인들에게 더 유명한 여행지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