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14 11:34:12

땡땡의 모험/시리즈 일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땡땡의 모험
이 문서는 땡땡의 모험 시리즈 일람으로 내용누설보다는 주목할 만한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이 사이트에서 볼 수 있다.(원제, 출판사, 발행한 시, 발행연월 순)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소비에트에 간 땡땡2. 콩고에 간 땡땡3. 미국에 간 땡땡4. 파라오의 시가5. 푸른 연꽃6. 부러진 귀7. 검은 섬8. 오토카 왕국의 지휘봉9. 황금 집게발 달린 게10. 신기한 별똥별11. 유니콘 호의 비밀12. 라캄의 보물13. 일곱 개의 수정구슬14. 태양의 신전15. 검은 황금의 나라16. 달 탐험 계획17. 달나라에 간 땡땡18. 해바라기 사건19. 노예선20. 티베트에 간 땡땡21. 카스타피오레의 보석22. 시드니행 714편23. 땡땡과 카니발 작전24. 땡땡과 알파아트25. 땡땡과 상어 호수

1. 소비에트에 간 땡땡

Tintin au pays des soviets, Petit Vingtième, Bruxelles, 1930년 9월
배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소련|]]

출간본 제목이 꽤 긴데, 정확한 이름은 Les aventures de Tintin reporter du 'Petit vingtieme' au pays des soviets(소비에트에서 소년 20세기' 기자 땡땡의 모험)다.

땡땡의 모험 첫 번째 이야기로, '소년 20세기' 잡지 기자 땡땡이 소련을 취재하며 공산당 프락치NKVD 등의 비밀경찰들과 싸우는 내용이다. 당시 에르제가 참고한 서적들이 전부 당대에 유행했던 반공 서적들인데다가 연재처가 우파 논조의 신문이었던 '소년 20세기'여서 내용은 이오시프 스탈린 집권 치하의 소련 공산당을 까는 내용이 사실상 대부분이다. 그런데 만화가 인기가 많아 잡지 자체는 잘 팔렸고, '소년 20세기'에 의해 책으로 출간되었다.

연재 당시 흑백이었고, 에르제가 후에 개작하지 않고 원판을 그대로 출간하기로 결정하여 지금도 연재 당시 그대로의 모습으로 출간되고 있다. 연재분이 끝날 때마다 표시한 서명이 그대로 실려 있다. 이후, 2017년에 컬러 채색판 버전이 출판되었다.

전 시리즈를 통틀어 제일 작화가 엉망이기도 하고[1] 또 땡땡의 먼치킨적 면모를 제일 많이 보여 준다. 열차 폭탄 테러에 휘말려도 약간 그을렸을 뿐이며, 과 결투를 해서 이기고, 냉동인간이 된 뒤에도 멀쩡히 뛰어다니질 않나, 그리고 맥가이버를 뺨치는 손기술 또한 이 만화 주인공이 사람이 맞는지 의심하게 한다. 거기다 심리 묘사도 거의 없어서 더더욱 무기질적인 느낌이 난다.

여담으로 땡땡 시리즈는 모두 단행본 기준으로 분량이 62페이지라는 암묵의 룰이 있는데[2] 이 책은 예외로 137페이지 정도로 되어있다. 참고로 콩코편은 113페이지. 또 땡땡의 모험은 컷을 나눌 때 보통 열은 4개로 나누는데, 이 책과 콩코편은 3개로 나눴다.

2. 콩고에 간 땡땡

Tintin au Congo, Petit Vingtième, Bruxelles, 1931년 7월
배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벨기에령 콩고|]]

원작자 공인 흑역사로 꼽히는 작품으로 우익논조 신문에서 연재해서 그런지 벨기에령 콩고(오늘날의 콩고민주공화국) 식민지 수탈 정책을 합리화하고 백인우월주의 시각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이후로 에르제의 성향이 바뀌고 작품을 수정했지만 원판 자체의 인종차별제국주의 옹호 성향이 너무 강하다보니 개정판도 논란거리가 많으며, 그 덕택에 벨기에에 살던 콩고인이 이 만화를 보고 이런 비교육적인 만화는 출간이 금지되어야 한다며 법원에 고소한 것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3] 실제로 미국을 비롯한 몇몇 국가에서는 전집을 내며 개정판을 실은 것이 아니라 시리즈 전체를 들어냈고, 애니메이션판은 아예 제작되지도 않았다. 현재 나오고 있는 개정 컬러판본은 에르제가 젊은 시절의 철없이 분위기에 휩쓸려서 이런 만화를 그린 것에 반성하며[4] 원판을 흑역사로 취급하고 제국주의 옹호부분을 수정한 것인데도 논란이 되었는데, 당시 연재되었던 원판은 실로 흑역사였다. 개정판도 읽다보면 흔적이 묘하게 남아있는 부분이 있다. [5]

아래는 문제점의 목록이다.
  1. 일일 교사를 맡았던 땡땡이 콩고민주공화국 아이들에게 벨기에를 조국이라며 전형적인 식민지 세뇌 교육을 했다.
    파일:external/en.tintin.com/74_en.jpg
2. 코뿔소를 사냥한답시고 코뿔소를 다이너마이트폭사시켰다.[6]
파일:1673352831408.jpg
3. 원숭이를 그 자리에서 총으로 쏴 죽이고 가죽을 벗겨 원숭이로 변장했다.
파일:1673353129700.jpg
4. 수업 중 난입한 표범에게 청소용 스펀지를 먹이고 물을 마시게 만들어 스펀지가 물을 머금어 무거워지게 만든 후 몽둥이로 걷어차 학대하고 표범의 주인인 지미 맥 듀프라는 사람이 왔는데 초창기에는 흑인으로 나왔다. 나중에 지미 맥 듀프에게 사과하며 표범이 다시 건강해지는 처방을 알려준다는 설정이 개정에 나온다.

이 중 개정판에서 1번 항목은 산수를 가르치는 내용으로 바뀌었고(2+2), 2번과 3번은 그대로 실렸다. 한국 번역판 또한 마찬가지다.

벨기에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콩고는 벨기에의 유일한 식민지이자 '악마' 레오폴드 2세사유지로 등록되어 같은 열강조차 비난할 정도로 가혹한 수탈을 당한 곳이다. 그러니 콩고민주공화국 사람들이 욕을 할 수밖에 없다.

3. 미국에 간 땡땡

Tintin en Amérique, Petit Vingtième, Bruxelles, 1932년 11월
배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미국|]]

땡땡이 취재 차에 미국을 방문하다가 알 카포네마피아 조직과 맞짱을 뜬다는 내용이다.

미국을 당시 유럽인들이 가졌던 편견 중 하나인 속 없는 장사꾼의 나라라는 식으로 깐다. 인디언 거주 지역에서 석유가 뿜어져 나오자 곧바로 냄새를 맡고 미친듯이 사람들이 달려들더니 1시간 뒤 인디언들을 쫓아내고[7] 하루 뒤에 도시가 세워져 있는 장면이 보인다.

에르제의 상사이자 보수파의 거두로 불리는 발레즈 신부의 기호에 따라 묘사한 것이라고 하는데, 당시 벨기에의 보수주의자들이 미국에 우호적이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 주는 방증이라고 한다.[8] 후에 에르제는 미국에 우호적인 사람이 된다.[9]

다른 시리즈에 비해 유난히 주인공 땡땡에게 엄청나게 행운이 따라줘서 억지스럽게 보이기도 한다. 다만 이러한 어이없는 행운이 발생하는 배경에는 미국의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풍자와 서부극 패러디가 들어있다. 땡땡이 콘비프를 만드는 기계에 갈리려는 순간 노동자들이 파업을 해서 기계가 멈춘다거나 미국의 과도한 공권력을 까기 위함인지 처음 땡땡이 자신이 마피아 조직원을 잡았다고 경찰에 이야기하나 경찰은 땡땡을 믿지 않고 오히려 곤봉으로 머리를 때린 후 무전기로 "정신병자를 제압했으니 호송차를 보내달라"라면서 지원요청을 하는 장면이 있다. 그리고 왜 안 믿어 주냐고 따지자 곤봉으로 한 대 더 때리려 한다.

개그 포인트이긴 하지만 땡땡이 가장 큰 위기에 처한 작품인데, 은행 강도로 몰려 개척지 정의에 의해 즉석 교수형을 당할 뻔한다. 목이 졸리는 상황에서 집행인의 얼굴을 세게 걷어차는 초인적인 힘을 발휘해 살아난다. 그리고 자기네끼리 싸움이 난 주민들 틈새를 빠져나와 탈출하며 멍청한 양키들이라고 까며 유유히 제 갈 길을 간다.

이 편에도 논란이 되는 장면이 있었는데 원래 중국인 마피아 조직원이 있었으나 아시아인 혐오라는 느낌을 받아서 개정판에는 삭제되었다.

4. 파라오의 시가

Les Cigares du pharaon, Casterman, Bruxelles, 1934년 10월
배경
[[이집트 왕국|]][[틀:국기|]][[틀:국기|]]

[[인도 제국|]][[틀:국기|]][[틀:국기|]]

휴양을 나온 땡땡이 괴짜 이집트 고고학자 필레몬 시클론을 만나 이집트 탐방을 하다 마약 조직과 맞선다는 이야기다. 서아시아를 거쳐 인도까지 이어지는 여정이다.

스토리는 만화 연재가 되기 몇 년 전에 세간을 떠들썩하게 했던 투탕카멘의 저주에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여기서는 피라미드를 발굴하던 학자들이 마약조직에 의해 죽고 미라화되어 피라미드 안에 숨겨졌다고 한다. 그런데 땡땡과 밀루의 관도 있었다(…).[10]

라스타포풀로스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작품으로, 캐릭터들의 기믹과 스토리 구성 등 전반적인 작품의 컨셉이 잡혀 미숙했던 앞의 세 권과 비교해 여러모로 시리즈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작품이다. <푸른 연꽃>에 비해 원판과 개정판의 그림체가 매우 다르며, 형식[11]을 맞추느라 삭제된 이야기도 있다.[12]

이 마약 조직 소탕 이야기는 <푸른 연꽃>으로 이어진다.

5. 푸른 연꽃

Le Lotus bleu, Casterman, 푸른 연꽃 Bruxelles, 1936년 9월
배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중화민국|]]

전편 <파라오의 시가>에서 이어지며, 땡땡이 전편의 최종 목적지인 인도의 라하즈푸탈라 왕국[13] 으로부터 호사스러운 대접을 받으며 마약 조직에 대해 조사하다 실마리를 얻기 위해 중국으로 떠나고 중일전쟁 시기 중국 사회 뒤에서 암약하던 마약 조직과 맞선다는 이야기다.

여기서 중국인 친구 창(張充仁)[14]을 만나 친구가 된다. 창은 실제로 에르제와 친분이 있었던 중국인 유학생 창총젠[15]을 모델로 하여 만든 인물이다. 이 일을 계기로 에르제는 창과 친분을 쌓고 만화의 스토리를 같이 구성하며[16] 당시 시대적 분위기에서 진일보하여 과감하게 오리엔탈리즘에서 벗어나 역사적 재현이 한층 업그레이드된 만화를 그려내는 데 성공하였다. 작중에서는 아예 땡땡이 창에게 유럽인들의 망상을 설명하며 같이 비웃는 장면도 나온다. 이 망상은 에르제가 창과 만나기 전에 지녔던 중국에 대한 선입견을 그대로 묘사한 것이라고 한다.
(창총젠이 강에 떠내려갈 뻔 하자 땡땡이 구해 준다. 그 직후의 대화)

창: 난 창총젠이야. 그런데 왜 날 구해 준 거야?...왜 날 구했냐고?
사실 난 모든 백인들은 나쁜 놈이라고 생각했었어. 아버지는 우리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의화단 운동 때 백인들 손에 돌아가셨다고 하셨어.

땡땡: 아, 그래... 안됐구나... 창, 백인이 다 나쁜 건 아니야. 우린 서로를 잘 모르고 있을 뿐이지.
많은 유럽인들은... 모든 중국인들이 교활하고 잔인하다고 생각해. 그리고 무시무시한 고문을 만들어내고, 썩은 계란을 먹는 데 미쳐 있다고 믿고 있지.
또한 중국 여자들은 발을 아주 작게 만들기 위해 어렸을 때부터 수없이 많은 고문을 당하고 있다고 철석같이 믿어. 발이 정상적으로 자라지 못하게하는 고문 말야.[17]
그리고 유럽인들은 중국의 모든 강이 태어나자마자 버린 아기들로 가득하다고 확신하고 있어. 바로 이게 많은 유럽인들이 중국에 대해 가진 생각이야.

창: (빵 터지며) 너네 나라 사람들은 참 웃긴다.
개정판에서 컬러를 입히게 되었는데, 그림체가 연재분과 거의 비슷하다는 점이 특징이다. 다만 연재분에서는 일본군욱일기를 달고 나왔는데, 개정판에서는 일장기로 바뀌었다.

<티베트에 간 땡땡>과 더불어 수작으로 평가받는 만화다. 중국에 자행한 일본인들의 중국인과 조계지의 서양 민간인들에 대한 만행을 적나라하게 드러내어 현재도 모두가 수작으로 칭찬하는 스토리이다. 다만 일본측은 이에 대해 몹시 불쾌했는지 일본 대사관측에서 항의했다.

후반부에 일본이 국제 연맹을 탈퇴하는데, 실제로 일본은 1933년에 국제 연맹을 탈퇴했다.

6. 부러진 귀

L'Oreille cassée, Casterman, Bruxelles, 1937년 11월
배경 산 테오도로스 공화국(가공의 국가)

민속 박물관에서 도난당한 남미 마야 문명의 부러진 귀 조각상이 돌아오는 사건이 발생해서 땡땡은 이를 조사하다가 사건의 배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는 남아메리카 지역으로 떠난다. 1937년의 정치적 혼란상황에 있던 남미에서 땡땡은 혁명 영웅이 되기도 하고 반역자가 되기도 하는 등 파란만장한 모험을 하고, 아마존 밀림에서 인디오 원주민을 만나기도 한다.

이 만화의 특징은 현실을 반영하면서도 국가로는 가상의 국가를 내세우기 시작했다는 것인데, 그 이유는 <푸른 연꽃> 연재 당시에 정치적 민감 사항을 건드려 벨기에 주재 일본 대사관 측에서 항의가 들어왔기 때문이었다.(...)[18]

남미의 혼란스러운 정국과 이를 부추겨 돈벌기에 열을 올리는 무기상들이 나온다. 산 테오도로스 공화국의 알카자르 장군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7. 검은 섬

L'Île Noire, Casterman, Bruxelles, 1938년 11월
배경
[[영국|]][[틀:국기|]][[틀:국기|]]

땡땡이 영국에 기반을 둔 위조지폐 조직과 맞선다는 내용이다.

당시 화제가 되었던 위조지폐범 사건과 영화 킹콩에서 영감을 얻은 흔적이 보이며, 그래서인지 작중 후반에 악당 두목이 부려먹는 고릴라가 등장한다. 뮐러 박사가 처음 등장한다.

당시 에르제는 재현을 명확하게 한다고 근성으로 영국까지 건너갔고, 특히 영국 경찰복 재현 때문에 복식전시장으로 간 적이 있었다. 이러한 근성에 감탄한 관리가 옷을 그냥 가져가라고 했다는 일화가 있다. 참고로 땡땡이 옷이 없어서 후반부에 공짜로 얻는 복장이 바로 스코틀랜드킬트다. 덕분에 땡땡은 작중 악당이 사용한 관절기에 당하자 시원하게 발차기를 날린다.

참고로 전후 발간된 개정판에는 1960~70년대의 사회적 배경을 바탕에 맞추어 맨 끝 장면에 BEA(영국유럽항공)의 호커 트라이던트 제트 여객기가 나왔다.

8. 오토카 왕국의 지휘봉

Le Sceptre d'Ottokar, Casterman, Bruxelles, 1940년 1월
배경 실다비아 왕국(가공의 국가)

땡땡은 우연히 왕실인장을 연구하는 학자인 알랑빅을 만나 동유럽에 있는 가상의 왕정 국가인 실다비아[19]에 가게 되고, 실다비아 황실인 오토카 왕조에 대대로 내려온 지휘봉이 대관식 며칠 전 도난당하는 사건이 발생하자 이를 조사하게 된다. 이젠 왕실 음모에까지 휘말린다.

군부쪽 인사인 무소틀러라는 인물이 언급되는데, 이는 무솔리니와 히틀러의 이름에서 따와 지은 것이다.[20] 당시 제2차 세계대전 때 폴란드합병한 아돌프 히틀러의 행보를 깐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실다비아판 매국노 보리스 요르겐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해당 표지가 주유소 습격사건에서 작중 주유소 2층의 직원 휴게실의 포스터로 등장한다. 여담이지만 작중 서류에 의하면 지휘봉과 관련된 일화에서 지휘봉이 무기로 등장한다.(...)

실제 오스만 제국은 14세기에 유럽에 들어왔는데 여기서 실다비아는 10세기(900년대)부터 투르크에게 지배를 받았다고 한다. 알다시피 이때는 동로마 제국파티마 왕조가 근동을 장악하고 있었다.

9. 황금 집게발 달린 게

Le Crabe aux pinces d'or, Casterman, Bruxelles, 1941년 11월
배경 [[틀:깃발|
기 명칭
]][[틀:깃발|
깃발 명칭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
프랑스 보호령 모로코
]]

북아프리카 지역에 기반을 둔 국제 마약 조직을 소탕한다는 이야기다.

아독 선장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 만화의 특징이라면 이전에 비해 유난히 정치색이 줄어들어들었다는 점이다. 이는 에르제가 독일이 벨기에를 점령한 민감한 시국에서 친독신문인 저녁(Le soir)지에 만화를 연재했기 때문으로 보인다.[21]

2011년 12월에 개봉된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에 일부 내용이 반영되었다.

10. 신기한 별똥별

L'Étoile mystérieuse, Casterman, Bruxelles, 1942년 12월
배경
[[아이슬란드 왕국|]][[틀:국기|]][[틀:국기|]], 북극

북극해 쪽에 떨어진 새로운 광물질을 포함하며, 이 때문에 각종 생명체가 모종의 이유로 거대해지는 특성[22]이 있는 운석 섬에 먼저 깃발을 꽂기 위해 유력 재벌 후원의 탐사선 피어리 호와 경쟁하는 내용이다.

운석이 지구와 정면충돌하여 지구종말이 올 것이라는 초반부 가정과 지진이 나는 장면은 말세론적 성향이 강한데, 이는 당시 제2차 세계대전이 막바지를 달리는 상황이 반영되어 있다고 한다.

시리즈 중 최초로 컬러로 출간된 책이다. 신기한 별똥별 이전에는 죄다 흑백으로 출간되었으나, 개정판 작업 때 컬러로 출간되었다. 유력 재벌 은행가가 유대인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이[23] 당시 독일군의 눈치를 본 것이 아니냐는 비판도 있다. 오로라 호 출항식 부분에서 뒤퐁과 뒤뽕 형사, 퀵과 플륍크가 등장한다. 오로라 호는 에르제가 재현을 거치지 않고 가상으로 그린 배다. 탐험대 일원으로 등장한 폴 캉토노 교수는 <일곱 개의 수정구슬>에서도 등장한다.

11. 유니콘 호의 비밀

Le Secret de la Licorne, Casterman, Bruxelles, 1943년 10월

장식용 배 모형을 우연히 벼룩시장에서 발견하고 이를 구매한 땡땡은 서로 배를 구하려는 사람들의 행동에 당황한다. 알고 보니 배 모형에 든 종이는 아독 기사의 조상인 프랑수아 아독 해적 라캄에게서 가져와 숨겨놓은 보물의 단서였던 것이다. 보물 단서를 둘러싼 추리와 추격전이 이어진다.

에르제가 시나리오 부분에서 스스로 가장 뿌듯한 작품으로 여기는 만화라고 한다. 독특한 점은 마지막 부분에 땡땡이 직접 독자에게 말을 하는 형식이 있다는 것이다.[24] <라캄의 보물>로 이야기가 이어진다.

영화 틴틴: 유니콘호의 비밀의 메인 이야기다.

12. 라캄의 보물

Le Trésor de Rackham le Rouge, Casterman, Bruxelles, 1944년 11월

<유니콘호의 비밀>에서 발견한 3쪽의 종이에 표기된 곳을 향해 보물 탐사에 나서는 내용이다.

해바라기 박사가 처음으로 등장한다.

13. 일곱 개의 수정구슬

Les 7 boules de cristal, Casterman, Bruxelles, 1948년 9월

잉카 유적 탐사를 다녀온 샌더스 하드무트 조사단이 의문의 사고로 혼수상태에 빠지고 일정 시간대에 발작을 일으키는 기이한 일이 벌어진다. 사고 현장에서는 깨진 수정구슬 조각이 발견되었고, 땡땡 일행은 범인을 추적하기 위해 페루로 떠난다.

<태양의 신전>으로 이야기가 이어진다.

14. 태양의 신전

Le Temple du Soleil, Casterman, Bruxelles, 1949년 9월
배경
[[페루|]][[틀:국기|]][[틀:국기|]]

수정구슬 미스터리의 원인을 찾으러 페루로 떠난 땡땡 일행은 개기일식이용신전의 사제들을 낚아 사형 집행을 피한다. 다만 이건 말도 안 되는 것이 잉카인들은 이미 고대부터 일식월식의 주기 따위는 진즉에 계산해 낸 고도의 천문학을 소유하고 있었던 데다, 작중 등장하는 현재까지 살아남은 비밀 잉카 문명은 이미 사제들을 외부로 비밀리에 파견하여 정보를 수집하고 있었기 때문에 외부 지식도 어느 정도 갖고 있는 상태였다.잉카인: 야 쟤 뭐하냐 그냥 데우스 엑스 마키나가 필요했던 작가의 사정 때문으로 보는 게 좋을 듯하다.(...)

15. 검은 황금의 나라

Tintin au pays de l'or noir, Casterman, Bruxelles, 1950년 12월
배경 케메드 왕국(가공의 국가)

정체 불명의 연쇄 차량 폭발 사건[25]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그 이유를 밝혀내기 위해 땡땡은 스피돌 스타 호의 통신사로 잠입하고, 아랍인 부족장인 밥 엘 에르에게 포로로 잡힌다.

남을 골탕먹이기 위해 태어난 말썽쟁이 왕자님 압달라가 처음으로 등장하는 작품이다. 이후 <노예선>에서 다시 등장힌다.

<검은 섬>에서 나온 뮐러 박사가 '스미스 교수'라는 이름으로 다시 등장한다. 또한 <파라오의 시가>에 나온 포르투갈 상인 올리베라 다 피게라도 등장한다.

차량 폭발 때문에 고충을 겪는데다 사막에서 신기루에 연속으로 낚이는 뒤퐁과 뒤뽕 형사의 모습도 하나의 개그 포인트다. 졸음운전까지 해서 모스크를 파괴하는 것도 압권이다. 그리고 알약을 잘못 먹고 머리카락과 수염이 계속 자라고 피부색이 변색되고 거품이 나오는 등의 모습을 보이며 개그 캐릭터의 완성을 찍는다.

여담으로 아독 선장의 분량이 유독 적은 편인데 초반에 아독 선장이 땡땡한테 전화를 해서 해군 본부에서 소집 통지서가 날아왔다고 했지만 땡땡은 볼 시간이 없다고 말하고 전화를 끊는 장면이 끝(...).

16. 달 탐험 계획

Objectif Lune, Casterman, Bruxelles, 1953년 9월
배경 실다비아 왕국(가공의 국가)

이 작품부터 시리즈 후반기로 분류되며, 이후 <달나라에 간 땡땡>, <해바라기 사건>, <노예선>, <티베트에 간 땡땡>에 이르는 작품들은 에르제의 정점으로 평가된다. 여담으로 파라오의 시가 컬러판 15페이지에 이 책 단행본이 등장한다.

17. 달나라에 간 땡땡

On a marché sur la Lune, Casterman, Bruxelles, 1954년 8월

아폴로 11호가 달에 착륙한 것이 1969년인데 이보다 15년이나 먼저 나온 책이다. 당연히 엄청난 과학적 재현이 필요했는데 에르제는 이것을 해냈다. 1950년대에 쓴 책이라고는 믿어지지 않는 놀라운 과학 지식으로 찬사를 받았다.

<오토카 왕국의 지휘봉>에서 나오는 국왕의 부관이자 첩자이며 보르두리아 측으로 전향한 악당인 보리스 요르겐 대령이 우주선에 몰래 탑승한다.

해바라기 박사, 아독 선장, 뒤퐁과 뒤뽕 경관[26]토션 바 현가장치가 적용된 미국에서 지원한 월면 전차를 타고 달 탐사를 나서고 우주선에는 땡땡과 슈우욱 연구소의 직원인 울프가 있었다. 이 때 울프가 땡땡을 창고로 내려보내게 한뒤 창고에 숨어있던 요르겐에게 곤봉으로 한 방 맞고 쓰러져 묶인다. 탐사하러 떠난 사람들을 달에 남겨두고 우주선을 탈취하려는 범행을 하려던 찰나, 땡땡이 우주선의 엔진을 강제적으로 꺼버려 실패한다.

18. 해바라기 사건

L'Affaire Tournesol, Casterman, Bruxelles, 1956년 10월
배경
[[스위스|]][[틀:국기|]][[틀:국기|]]

해바라기 박사가 발명한 초음파 공격기가 유명세를 타면서 실다비아와 보르두리아의 요원이 그를 납치하려고 한다. 초반부터 이유없이 유리란 유리는 죄다 깨지는 것이 바로 이 기계 때문이다. 땡땡과 아독 선장이 그를 구출하기 위해 겪는깽판이야기이다. 보험 외판원인 '세라팽 랑피옹'이 처음으로 등장한다. 그리고 아독 선장에게 발암을 선사한다.

19. 노예선[27]

Coke en stock, Casterman, Bruxelles, 1958년 7월

프랑스어 제목에 있는 Coke는 이 작품에서 노예들을 가리키는 암호로 쓰인다. 노예 제도가 폐지된 지 수십여 년이 지났음에도 여전히 노예 거래가 성행하고 있던 당시 상황을 그려낸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무려 독일제 돌격소총으로 영국제 전폭기인 드 해빌랜드 모스키토에게 대공사격을 가해 격추하는 땡땡의 기염을 볼 수 있다!

아독 선장은 흑인들의 처우에 빡칠 대로 빡쳐서 노예를 구매하려던 아랍인 부족장에게 땡땡의 모험 시리즈 역사상 최장시간의 거친 쌍욕을 날린다.(...)[28] 아프리카에서 메카순례 여행을 떠나는 흑인들을 알란 톰슨이 속한 라스타포풀로스의 조직이 아랍인 부족장 등에게 팔아넘기고 있던 것을 땡땡과 아독 선장이 우여곡절 끝에 저지하는 내용이다. 노예로 팔려갈 뻔한 배에 실린 흑인들을 땡땡 일행이 구해주고, 그 과정에서 땡땡일행과 이들 흑인들을 수장시켜 증거를 인멸하려는 라스타포풀로스로부터 도망치며 구조 신호를 보내던 중 이를 수신한 미 해군의 도움으로 기사회생한다.[29][30]

이번 이야기의 큰 특징을 보자면, 이야기 중간중간에 여태까지 등장한 인물들이 카메오처럼 지나다니며 나온다는 것이다.

<부러진 귀>의 알카자르 장군,[31] <검은 황금의 나라>의 압달라, <푸른 연꽃>의 도슨, <검은 섬>과 <검은 황금의 나라>에 나온 뮐러 박사가 '물 파샤'라는 가명을 달고 나온다. 또한 <파라오의 시가> 및 <검은 황금의 나라>에 등장한 수완 좋은 장사꾼인 올리베이라[32], 비앙카 카스타피오레, 알란 톰슨, 라스타포풀로스 등도 등장하며, 신캐릭터로 뮐러 박사에게 고용된 모스키토 폭격기 용병 파일럿이자 에스토니아 출신 항공기 파일럿 피오르트 슈트가 첫 출연한다.[33]

20. 티베트에 간 땡땡

Tintin au Tibet, Casterman, Bruxelles, 1960년 1월
배경 파일:네팔 왕국 국기(1743-1962).svg.png 네팔 왕국

땡땡의 친구인 창총젠이 탄 비행기가 추락했다는 소식을 듣고[34] 땡땡이 창총젠을 찾기 위해 티베트로 가서 벌어지는 이야기다. 제목은 티베트지만 사실 후반부에 티베트 불교 승려들이 나오는 정도이고 초반 배경은 네팔이다.

앞서 <푸른 연꽃>과 함께 명작이라는 언급을 했었는데, 그 덕분인지 DOS로 게임이 나온 바 있다. 이후 슈퍼 패미컴으로 이식되었다.

21. 카스타피오레의 보석

Les Bijoux de la Castafiore, Casterman, Bruxelles, 1963년 1월
배경
[[벨기에|]][[틀:국기|]][[틀:국기|]] 물랭사르 성

카스타피오레가 물랭사르 성에 머물다가 그녀의 보석이 사라지는 사건이 터진다.[35] 메인 내용은 '보석을 누가 가져갔는가'[스포일러]지만 에르제는 이것만 가지고 62페이지를 채우면 내용이 한없이 지루해질 것이라는 것을 알았는지 앵무새나 부서진 계단 등의 소재를 넣어 이야기가 보석에만 치우치는 것을 막았다.

땡땡의 모험 시리즈 중 가장 일상적인 면이 강한 에피소드다. 악당이라 할만한 캐릭터도 나오지 않으며,[37] 싸움도 전혀 없다. 그에 걸맞게 스케일도 역대 스토리 중 가장 작은 편이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카스타피오레의 물랭사르 성 방문으로 일어난 왁자지껄한 일상물이라 해도 되기에 일상적인 요소가 취향이라면 볼 만한 에피소드이다.

22. 시드니행 714편

Vol 714 pour Sydney, 시드니행 714편 Casterman, Bruxelles, 1968년 1월
배경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달 탐험을 최초로 성공한 땡땡과 아독 선장, 해바라기 박사는 호주 시드니에서 열리는 세계우주비행학회에 초청되어 '칸타 항공'[38] 편으로 시드니로 가던 중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공항[39]에 기착하게 되었는데, 거기서 만난 항공기 메이커 사장이자 대부호인 라즐로 카레다스와 만나게 된다.

땡땡 일행과 마찬가지로 시드니 세계우주비행학회에 가던 카레다스의 제안으로 그의 개인 제트기 편으로 시드니로 향하게 되는데, 그의 비서인 스털링과 자가용 비행기의 조종사들이 작당하여 비행기를 하이재킹해서 풀로 풀로 봄파라는 섬으로 납치되는 내용을 다뤘다.

<노예선>에서 등장했던 에스토니아인 캐릭터이자 항공기 파일럿 피오트르 슈트가 카레다스의 자가용 비행기의 기장으로 등장한다. '외계인'이나 '텔레파시' 등의 비현실적인 요소가 후반부의 주를 이룬다.

작중 나온 콴타스 여객기는 실존하는 모델로 보잉 707이지만, 카레다스의 전용기는 에르제가 창작해 낸 가상의 모델이다. 여러모로 축소한 콩코드를 닮았다.

23. 땡땡과 카니발 작전

Tintin et les Picaros, Casterman, Bruxelles, janvier, 1976년
배경 산 테오도로스 공화국(가공의 국가)

땡땡의 모험 마지막 완성판이다. 1970년대가 배경이며, 남미의 가상 국가 산 테오도로스 공화국의 군사독재 정권인 타피오카 정권은 자국을 방문해 여행 중이었던 카스타피오레와 뒤퐁과 뒤뽕 형사에게 반체제 혐의를 뒤집어씌우고 그들을 감금한다. 며칠 뒤, 땡땡 일행이 반체제 모의의 배후(?!)라는 기사가 나돌고 산 테오도로스 측에서 땡땡 일행을 초대한다.

땡땡 일행은 산 테오도로스 공화국으로 떠나고, 타피오카 장군의 음모를 알아차린 땡땡 일행은 밀림 지역에서 반정부 부대를 이끌고 있는 알카자르 장군을 만나 이들과 쿠데타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모의한다.

8년간의 공백 끝에 만화가 나와 독자들은 큰 기대를 했으나, 정작 만화가 나오자 독자들은 에르제의 필력이 떨어졌다고 비판했다. 사실 기존 시리즈에 비해 스토리 구성도와 깔끔한 맛이 떨어지는 편이라 익숙해진 독자들에게 다소 불편한 내용이었다고 한다.[40]

땡땡이 니커보커 바지에서 1970년대에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던 롱바텀 바지로 패션교체를 했다. 니커보커 바지는 제2차 세계대전 이전에 에르제가 젊던 시절의 패션이라 시대적 배경에 맞춘 것으로 보인다.

24. 땡땡과 알파아트

Tintin et l'Alph-Art,[41] Casterman, Bruxelles, 1986년 10월

에르제 사후로 미완성으로 남은 계획들을 책으로 엮어 출간한 것이다. 팬들과 만화가들 사이에 이것을 토대로 완성본을 만들자는 시도가 비공식적으로 존재해 왔다.[42] 여러 아마추어 만화가들이 후속작 만들기를 했는데, 이 때문에 스토리 전개와 결말이 상이한 버전이 여럿 존재한다.

그 중에서도 로디에(Rodier)의 만화가 에르제의 구성과 가까운 편이라고 인정을 받았고, 인터넷에서 쉽게 열람할 수 있다. 저작권 회사 물랭사르에서도 출판을 통해 영리를 추구하는 것이 아니니 눈을 감아 주는 듯하다. 영문판 내용을 영상으로 정리한 것이다. 원작들에 비해서 다소 충격과 공포스러운 묘사들이 있다.[43]

<땡땡과 알파아트>의 식지 않는 떡밥이 하나 있는데, 바로 악역으로 등장하는 주술사 앤다딘 아카스(Endaddine Akass)의 정체가 누구냐는 것이다. "땡땡과 만난 적이 있는 듯한" 악당이라는 조건이 에르제 계획에 포함되어 있었는데, 코의 모양으로 보아 고정 악역이었던 라스타포풀로스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실제로 로디에판에서는 라스타포풀로스로 나온다.

<노예선>과 더불어 여태까지 등장했던 인물들이 많이 나온다.

카스타피오레 일행과 세라팽 랑피옹, 알란 톰슨, 앙리 산초를 비롯해 <미국에 간 땡땡>의 부지 키드냅과 톰 호워크, <푸른 연꽃>의 도슨과 기본스, <부러진 귀>의 알카자르 장군과 치클렛, <유니콘 호의 비밀>의 이반 이바노비치 사하린과 르와조 형제, <일곱 개의 수정구슬>의 락달람 추장과 야밀라 부인, <검은 황금의 나라>의 모하메드 벤 칼리시 에잡과 압둘라, <달 탐험 계획>의 밀러, <시드니행 714편>의 라즐로 카레다스와 미크 에즈다니토프와 크롤스펠 박사가 등장한다.

25. 땡땡과 상어 호수

Tintin et le lac aux requins, Casterman, Bruxelles, 1992

에르제의 원작을 기초로 벨비지옹 사에서 제작한 레이몽 르블랑의 애니메이션 극장판을 책으로 옮긴 것이다.

링크에서 감상 가능하다.(네덜란드어 더빙)
[1] 읽다보면 작화가 갈수록 나아지는 게 눈에 보이긴 한다.[2] 이 때문에 <푸른 연꽃>과 <땡땡과 카니발 작전> 등 몇몇 편은 내용 일부가 잘리기도 했다.[3] 이 때문에 <콩고에 간 땡땡> 출판 중단설이 돌았고, 아마존에서 이 만화책은 순식간에 다 팔렸다.[4] 연재 당시 23살이었다.[5] 예를 들자면 자동차를 받고 전도된 증기기관차(...)를 흑인들한테 같이 일으켜 세우자 해놓고 본인은 조용히 빠져나온다거나. 이와중에 흑인 한명은 옷이 더러워질까봐 적극적으로 임하지 않았고 땡땡이 이를 보고 화를 내는 장면도 있다.[6] 땡땡 曰: "이런, 폭약이 너무 과했어!" 어떤 버전에서는 순화해 코뿔소가 눈치채고 얼른 도망가서 허탕치는 장면이 나오는데, 정식 판본에 실리지는 않았다.[7] 그 땅의 주인이 백인인 땡땡이라고 생각했을 때는 사람들이 수만 달러짜리 수표를 건네면서 나한테 팔라고 아우성을 치나 이 땅이 원주민 땅이라고 이야기하자 땡땡한테 짜증을 내고 인디언 부족장에게 수십 달러밖에 안 되는 수표 한 장만 던져주면서 "빨랑 떠나라"라면서 군인들을 이용해 쫓아낸다.[8] 다만 이 부분은 위의 <콩고에 간 땡땡>과 비교하면 동족혐오라고 할 수 있다. 미국도 트러스트로 대표되는 독과점과 노동자 착취, 이른바 서부개척과정에서 원주민 학살 및 토지강탈, 미국 남부에서 민정전환 이후로 흑인에 대한 투표권을 사실상 박탈하는 조치가 취해지거나 스포츠계에서도 흑인들이 메이저리그 야구선수가 되지 못하는 부당한 규칙이 존재하는 등 각종 문제점이 많았지만 이러한 문제점은 벨기에도 마찬가지로 식민지에 대해서 부당한 대우를 했기 때문에 벨기에가 남 말할 처지는 결코 아니었다.[9] 예컨대 <노예선>에서 라스타포풀로스 일당의 잠수함에 공격받고 있던 땡땡 일행을 미국 순양함이 구해주는 장면이 나온다.[10] 이후에 땡땡과 밀루가 피라미드로 위장한 마약조직 기지에서 가스에 질식사할 뻔할 때 땡땡이 나도 그런 꼴이 되는 건가 하고 환각을 보다가 가까스로 탈출한다.[11] 단행본은 반드시 62페이지로 끝나야 한다.[12] 그 예로, 땡땡이 코브라의 공격을 받는 부분은 뭉텅이로 잘렸다.[13] 가상의 인도 번왕국으로 모티브는 무굴 제국으로 보인다.[14] 한어병음 표기는 Zhāng Chōngrén, 웨이드-자일스 표기는 Chang¹ Chʻung¹-jên²이다. 한국 외래어 표기법에 의하면 '장충런'. 작중에서는 Tchang Tchong-Jen으로 나온다. 한자 발음은 '장충인'이다.[15] 1904~1998, 루뱅 대학(왕실 대학) 미대 유학생으로, 의화단 운동 이후 중국에서 국책차원으로 벨기에에 보낸 국비유학생 중 한 명이었다. 사실 에르제에게 접근하게 된 계기는, 에르제가 땡땡의 모험 다음 편인 <극동지방에 간 땡땡>(만화책 출간시 <푸른 연꽃>으로 개명되었다.)을 소개하며 "흉악한 중국인들과 맞서는 땡땡을 보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는데, 당시 유학생이던 창이 이를 두고 볼 수 없어 에르제에게 적극적으로 연락했다고 한다, 덕분에 땡땡 시리즈는 인종차별 컨텐츠에서 끝나지 않고 역사적인 면을 담아내며 세계구급 만화로 발전할 수 있었다.[16] 만화 속의 한자는 창이 직접 그려 준 것들도 많다. <소비에트에 간 땡땡>에 엉터리 한자가 나오는 데 비하면 이 편의 한자들은 엉터리가 매우 적다. 다만 한글판에서는 한자 문화권이어서 그런지 말풍선 속의 한자는 한글로 갈아끼워놓았다.[17] 만화 연재 시기는 1930년대로, 5.4 운동 이후 전족에 대한 인식이 지식인 중심으로 바뀌고 있었다. 하지만 전족은 당시 꽤 광범위하게 퍼져 있었고, 1949년에 중화인민공화국이 들어서고 폐지법령이 반포되고 나서야 사라졌다.[18] 공교롭게도 중일전쟁이 <푸른 연꽃>이 연재된 지 약 1년 뒤에 일어났다.[19] 모티브는 루마니아로 추측된다. 이 작품부터 실다비아가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된다.[20] 원판에서는 '무스틀러'로 되어있다.[21] 적극적으로 나치를 홍보한다거나 유대인을 폄하한다거나 하는 행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친독신문에 연재했다는 것만으로도 두고두고 까임의 대상이 되었다. 지금도 심심할 때마다 까이고 있다. 사실 에르제는 이 경력 때문에 레지스탕스 청년들에게 붙잡혀 재판을 받고 한동안 감옥에서 지내기도 했다. 그리고 한동안 만화계에서 얼씬도 못했던, 그야말로 백수였다. 그나마 레지스탕스 계열이었던 예술가인 레이몽 르블랑이 그의 재능을 알아보고 합작(만화잡지 <땡땡>을 출간하는 것)을 권유한 덕분에 재기할 수 있었다.[22] 상륙 직후 초반에 등장하는 광대버섯 비슷한 무언가 역시 이와 비슷한 방식으로 거대해진 진짜 버섯일 가능성이 높다.[23] 그것도 원판에서는 '블루멘슈타인'이라는 유대인식 이름까지 가지고 있었다. 거기다 유력 재벌 은행가가 후원하는 피어리 호에서 펄럭였던 깃발은 성조기였다. 개정과정에서 이름은 볼빈켈로 바뀌고, 성조기는 에르제가 만든 가상 국가인 상 리코의 깃발로 바뀌었다.[24] 보물의 위치를 알아내고 다 같이 흥겨워하다가 땡땡이 별안간 정면을 보고 "다음 권 <라캄의 보물>에서 모험들 얘기를 할게요. 친구들. 그럼 안녕!"이라고 말한다.[25] 차가 터지는 건 아니고 그냥 엔진이 퍼져버리는 정도다.[26] 우주선 발사 시간이 1시 34분인데 13시 34분이라 오해해서 잘못 탑승했다.[27] 미국판 및 중국판 등에서는 '홍해의 상어들'(The Red Sea Sharks)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다.[28] 무려 9컷 동안 온갖 창의적인 독설을 날린다. 배가 멀어지니까 확성기까지 가져와서 목이 쉴 때까지 한다.[29] 라스타포풀로스의 조직 산하로 무려 유보트 급 잠수함과 매수된 크릭스마리네 승조원들이 등장하며, 유보트에게 어뢰공격을 당하던 땡땡 일행이 탄 화물선을 태평양 전쟁에서 일제에게 승전 후 미국 동해안으로(아마도 보스턴 해군기지로) 귀향하고 있었던 미 해군의 볼티모어급 중순양함인 CA-135 USS 로스엔젤레스 함이 OS2U 킹피셔 2기를 발진시켜 폭뢰로 이 잠수함을 견제하면서 땡땡 일행과 흑인들을 구출한다.[30] 이 때 라스타포풀로스는 크릭스마리네 유보트 승조원들이 일방적인 공격을 땡땡 일행에게 퍼붓는 것을 즐거워하다 미 해군 순양함이 온다는 소식에 대번에 당황하며 “뭐...뭐야? 군함이라고??“ 라며 크게 당황하며 허둥대는 모습이 일품이다. 결국 매수된 크릭스마리네 승조원들은 폭뢰공격을 견디다 못해 미 해군측에 항복하게 되고, 사건의 전말을 알게 된 미 해군은 국제범죄자인 라스타포풀로스와 그의 범죄조직에게 24시간 이내로 체포에 응하고 모든 무장을 해제하라고 엄포를 놓으나, 라스타포풀로스는 개인 요트에 숨겨져 있던 소형 잠수정을 이용해 비열하게 도망친다.[31] 초반부 도슨으로부터 모스키토 폭격기를 구매하려고 협상 차 등장한다. 그리고 설정오류라고 해야될 지, 작품 후반부의 노예선의 폭로 기사가 뜰 때 알카자르가 타피오카를 축출한단 기사가 같이 등장하는데 알다시피 타피오카가 쿠데타로 축출되는 건 카니발 작전 편이다. 그 사이에 타피오카가 또 알카자르를 축출한 것 같다.[32] 작품 중반부에서 땡땡 일행을 숨겨주고 여정을 도와준다.[33] 노예선 사건 이후 땡땡과 함께 생고생을 겪고 목숨이 위협받았던 일 때문인지 용병일을 그만두고, 시드니행 714편에 등장하는 라즐로 카레다스의 휘하로 들어가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여객기 파일럿이 된다.[34] 땡땡의 꿈에서 창총젠이 위험에 처했다는 복선이 나온다. 꿈을 꾸다가 큰 소리를 외치는 바람에 땡땡은 주변 사람들의 따가운 눈총을 받았다.(...)[35] 두 번 없어지는데 첫 번째는 카스타피오레가 다른 곳에다가 놓고 깜빡 잊은 것이었다.[스포일러] 사건이 터지기 전, 집시 일행이 물랭사르 성에 잠시 머물렀다 간 탓에 이들이 도둑으로 누명을 쓰지만 실제 범인은 반짝이는 보석에 끌린 까치였다. 사실 <검은 섬>에서도 소방관들이 땅바닥에 떨어진 차고 열쇠를 찾고 있을 때 까치가 그것을 가지고 간 적이 있었다.[37] 보석을 훔치려는 듯한 수상해 보이는 두 남자가 나오긴 하는데 알고 보니 카스타피오레에게 인터뷰 퇴짜를 맞은 뒤 그녀를 몰래 도촬하려고 잠입한 신문기자들에 불과했다. 아독 선장이 거둔 집시족도 집시 소녀 미야르카가 카스타피오레의 하녀, 이르마의 바느질용 가위를 얼떨결에 훔쳤단 걸 빼면 별다른 민폐는 거의 끼치지 않았다.[38] 국내 솔 출판사 편은 칸타 항공이라고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콴타스다.# 참고로 진짜 콴타스의 1960년대 보잉 707 V-Jet는 이렇게 생겼다.## 연재 당시인 1966년 경 콴타스의 보잉 707 V-Jet로 운항하면서 자카르타를 거친 항공편은 QF734으로,# 다만 이 항공편은 밤에 자카르타에 도착하는 항공편이라 사실상 가상의 항공편일 듯 싶다. 실제 QF714편은 현재는 보잉 737-800으로 운용하는 브리즈번케언즈행 국내선 항공편으로 남아있다.[39] 수카르노 하타 국제공항(1986년 개항)이 아닌 그 이전에 자카르타의 관문공항을 하던 케마요란(Kemayoran) 공항이다. 케마요란은 1940년부터 85년까지 영업하고 문을 닫았고, 작품이 출간된 1968년 시점에선 한창 운영중이었다. 다만 작중에는 네덜란드식 철자인 케마조란(Kemajoran)이라고 등장.[40] 물론 어디까지나 취향 차이다. 한국 독자들 사이에는 오히려 이런 신선한 시도가 더 어필하기도 했다.[41] 출판사에서 계약하지 않아 출간되지 않았으므로 출판사 공식 제목은 없지만, 땡땡과 알파 예술, 혹은 땡땡과 알파아트라고 번역할 수 있다.[42] 에르제는 자신이 만들지 않은 땡땡은 땡땡이 아니라며 후속작 만들기를 거부했고, 때문에 공식적인 후속작이 나올 수 없게 되었다.[43] 악당들이 아무렇지 않게 입막음 살인을 하는건 기본이고, 심지어 희생자들을 폴리에스테르로 공구리쳐서 미술작품으로 위장해 팔아먹는다. 땡땡도 산 채로 폴리에스테르에 파묻히기 직전에 구출된다. 최후반부엔 땡땡과 아독 선장이 앤다딘 아카스로 변장했던 라스타포풀로스에게 절벽에서 교살당할 위기에 직면하는데 라스타포풀로스가 라모 나쉬의 역습을 받아 절벽 아래로 추락사한다. 이미 등장인물의 사망을 직접 묘사한 장면이 부러진 귀 결말부에 있는데 이제와서 새삼스럽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