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9f51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582d2d, #663334, #663334, #582d2d)"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25%; min-height:2em" {{{#!folding [ 20세기 ] {{{#!wiki style="margin:-5px -1px -5px; word-break:normal" {{{#555,#aaa | <rowcolor=#cd9f51> 1969 | 1970 | 1971 | |
랑나르 프리슈 | 얀 틴베르헌 | 폴 새뮤얼슨 | 사이먼 쿠즈네츠 | |
<rowcolor=#cd9f51> 1972 | 1973 | 1974 | ||
존 힉스 | 케네스 애로우 | 바실리 레온티예프 | 군나르 뮈르달 | |
<rowcolor=#cd9f51> 1974 | 1975 | 1976 |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 찰링 코프만스 | 레오니트 칸토로비치 | 밀턴 프리드먼 | |
<rowcolor=#cd9f51> 1977 | 1978 | 1979 | ||
베르틸 올린 | 제임스 미드 | 허버트 사이먼 | 시어도어 슐츠 | |
<rowcolor=#cd9f51> 1979 | 1980 | 1981 | 1982 | |
아서 루이스 | 로런스 클라인 | 제임스 토빈 | 조지 스티글러 | |
<rowcolor=#cd9f51> 1983 | 1984 | 1985 | 1986 | |
제라르 드브뢰 | 리처드 스톤 | 프랑코 모딜리아니 | 제임스 뷰캐넌 | |
<rowcolor=#cd9f51> 1987 | 1988 | 1989 | 1990 | |
로버트 솔로우 | 모리스 알레 | 트뤼그베 호벨모 | 해리 마코위츠 | |
<rowcolor=#cd9f51> 1990 | 1991 | 1992 | ||
머턴 밀러 | 윌리엄 샤프 | 로널드 코즈 | 게리 베커 | |
<rowcolor=#cd9f51> 1993 | 1994 | |||
로버트 포겔 | 더글러스 노스 | 존 하사니 | 존 내시 | |
<rowcolor=#cd9f51> 1994 | 1995 | 1996 | ||
라인하르트 젤텐 | 로버트 루카스 주니어 | 제임스 멀리스 | 윌리엄 비크리 | |
<rowcolor=#cd9f51> 1997 | 1998 | 1999 | ||
로버트 머튼 | 마이런 숄즈 | 아마르티야 센 | 로버트 먼델 | |
<rowcolor=#cd9f51> 2000 | ||||
제임스 헤크먼 | 대니얼 맥패든 | |||
}}}}}}}}}
- [ 21세기 ]
- ##
||<rowbgcolor=#663334><rowcolor=#cd9f51><-3> 2001 || 2002 ||
}}}}}} ||
컴패니언 오브 아너 수훈자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 – (CH)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black,#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CH | |||||
윌리엄 서머싯 몸 (1954) | 아놀드 토인비 (1956) | 패트릭 블래킷 (1965) | 막스 페루츠 (1975) | |||
존 길구드 (1977) | 프레더릭 생어 (1981) | 칼 포퍼 (1982) | 프리드리히 하이에크 (1984) | |||
스티븐 호킹 (1989) | 조지프 니덤 (1992) | 알렉 기네스 (1994) | 데이비드 애튼버러 (1995) | |||
리처드 돌 (1996) | 데이비드 호크니 (1997) | 크리스 패튼 (1997) | 에릭 홉스봄 (1998) | |||
존 메이저 (1999) | 도리스 레싱 (2000) | 외국인 아마르티야 센 (2000) | 해럴드 핀터 (2002) | |||
주디 덴치 (2005) | 이안 맥켈런 (2008) | 마이클 하워드 (2011) | 피터 힉스 (2012) | |||
매기 스미스 (2014) | 외국인 데즈먼드 투투 (2015) | 조지 오스번 (2016) | 폴 매카트니 (2017) | |||
J. K. 롤링 (2017) | 델리아 스미스 (2017) | 마거릿 애트우드 (2018) | 엘튼 존 (2019) | |||
폴 스미스 (2020) | 데이비드 치퍼필드 (2020) | 폴 너스 (2022) | 메리 퀀트 (2023) | |||
이언 매큐언 (2023) | 안나 윈투어 (2023) | 웨일스 공비 캐서린 (2024) | 셜리 배시 (2024) | |||
고든 브라운 (2024) | ||||||
※ 참고: 전체 영어 명칭은 Order of the Companions of Honour이지만 영연방의 정부(내각), 관보(런던 가제트), 왕실 등 공공기관 웹사이트에서 약칭 Companion of Honour로 표기, 안내하고 있다. | ||||||
{{{#black,#white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013a; font-size: .8em" |
서양 철학사 현대 철학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16px -11px;" | <tablewidth=100%> 고대 철학 | 중세 철학 | 근대 철학 | 현대 철학 | }}} | |||
<colbgcolor=#545454><colcolor=#fff> 현대철학 | |||||||||
현상학 | 후설 · 슈타인 · 코제브 · 레비나스 · 앙리 | ||||||||
철학적 인간학 | 셸러 · 부버 · 겔렌 · 슬로터다이크 | ||||||||
하이데거 | |||||||||
실존주의 | 무신론적 실존주의: 우나무노 · 사르트르 · 보부아르 · 메를로퐁티 · 시오랑 · 카뮈 / 유신론적 실존주의: 베르댜예프 · 야스퍼스 · 라벨 · 틸리히 · 마르셀 · 코피치 / 기타: 오르테가 · 볼노브 | ||||||||
해석학 | 가다머 · 리쾨르 · 블루멘베르크 | ||||||||
소비에트 마르크스주의: 레닌 · 루카치 · 그람시 · 마오 · 일리옌코프 · 캘리니코스 / 서구 마르크스주의: 블로흐 · 코르쉬 · 르페브르 · 가로디 · 골드만 · 드보르 / 구조 마르크스주의: 알튀세르 · 비데 · 발리바르 · 랑시에르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제임슨 · 라클라우 · 무페 / 기타: 진 · 네그리 · 울프 · 바디우 · 가라타니 · 이글턴 · 지젝 · 피셔 | |||||||||
비판 이론 | 호르크하이머 · 아도르노 · 벤야민 · 마르쿠제 · 프롬 · 하버마스 · 벨머 · 네크트 · 프레이저 · 호네트 | ||||||||
구조주의 | 소쉬르 · 야콥슨 · 레비스트로스 · 바르트 · 라캉 · 푸코 · 부르디외 | ||||||||
리오타르 · 들뢰즈 · 가타리 · 보드리야르 · 데리다 · 에코 · 바티모 · 아감벤 · 버틀러 · 마수미 · 아즈마 | |||||||||
21세기 실재론 | 신유물론: 해러웨이 · 라투르 · 데란다 · 브라이도티 · 바라드 · 베넷 / 사변적 실재론: 브라시에 · 메이야수 · 하먼 / 신실재론: 페라리스 · 가브리엘 / 기타: 바스카 · 랜드 | ||||||||
실용주의 | 퍼스 · 제임스 · 듀이 · 미드 · 산타야나 · 굿맨 · 로티 · 웨스트 | ||||||||
수학철학 | 프레게 · 페아노 · 힐베르트 · 브라우어 · 타르스키 · 처치 · 괴델 · 튜링 · 힌티카 | ||||||||
무어 · 화이트헤드 · 러셀 · 램지 | |||||||||
비트겐슈타인 | |||||||||
슐리크 · 노이라트 · 카르납 · 에이어 | |||||||||
옥스퍼드 학파 | 라일 · 오스틴 · 스트로슨 · 그라이스 | ||||||||
언어철학 | 오그던 · 콰인 · 데이비드슨 · 더밋 · 촘스키 · 스톨네이커 · 크립키 · 레이코프 · 루이스 · 파인 / 피츠버그 학파: 셀라스 · 맥도웰 · 브랜덤 | ||||||||
심리철학 | 퍼트넘 · 설 · 김재권 · 포더 · 데닛 · 처칠랜드 · 윌버 · 클라크 · 차머스 | ||||||||
과학철학 | 푸앵카레 · 라이헨바흐 · 포퍼 · 헴펠 · 쿤 · 라카토슈 · 파이어아벤트 · 핸슨 · 해킹 · 반프라센 · 라우든 · 카트라이트 · 장하석 {{{#!folding ▼ 비분석적 과학철학(대륙전통) | ||||||||
기술철학 | 카프 · 위너 · 엘륄 · 카진스키 · 스티글레르 · 플로리디 · 보스트롬 | ||||||||
미디어 철학 | 이니스 · 매클루언 · 옹 · 플루서 · 비릴리오 | ||||||||
자유주의 | 자유지상주의: 하이에크 · 랜드 · 호스퍼스 · 소웰 · 노직 · 호페 · 샤르티에 / 사회자유주의: 로젤리 · 롤스 · 슈클라 · 센 · 누스바움 · 킴리카 / 자유사회주의: 카스토리아디스 · 레비 · 옹프레 / 기타: 벌린 · 프랑켈 · 라즈 | ||||||||
공화주의 | 아렌트 · 스키너 · 페팃 / 공동체주의: 매킨타이어 · 헬러 · 테일러 · 왈저 · 샌델 | ||||||||
보수주의 | 보수혁명: 슈미트 · 슈펭글러 / 반동주의: 루도비치 · 게농 · 에볼라 · 두긴 · 야빈 / 전통주의: 오크숏 · 푀겔린 · 커크 / 신보수주의: 스트라우스 · 크리스톨 · 버클리 · 맨스필드 · 후쿠야마 / 기타: 아롱 · 블룸 | ||||||||
윤리학 | 규범윤리학: 앤스콤 · 풋 · 톰슨 · 네이글 · 레건 · 스캔런 · 파핏 · 스크러턴 · 싱어 · 우치다 · 나이먼 · 케이건 / 메타윤리학: 맥키 · 헤어 · 프랭크퍼트 · 윌리엄스 · 블랙번 · 코스가드 | ||||||||
인식론 | 카시러 · 피아제 · 치좀 · 게티어 · 암스트롱 · 플란팅가 · 골드만 · 아우디 | ||||||||
법철학 | 라드브루흐 · 켈젠 · 풀러 · 하트 · 드워킨 · 월드론 | ||||||||
종교철학 | 드샤르댕 · 마리탱 · 니부어 · 하츠혼 · 엘리아데 · 베유 · 힉 · 지라르 · 닐슨 · 큉 · 월터스토프 · 워드 · 크레이그 | ||||||||
탈식민주의 | 프레이리 · 파농 · 사이드 · 스피박 | ||||||||
페미니즘 | 이리가레 · 데일리 · 나딩스 · 길리건 · 크리스테바 · 데이비스 · 바댕테르 · 파이어스톤 · 오킨 · 드워킨 · 맥키넌 · 영 · 소머스 · 크렌쇼 | ||||||||
환경철학 | 슈바이처 · 레오폴드 · 요나스 · 네스 · 패스모어 · 북친 · 캅 · 롤스톤 · 캘리콧 · 포스터 · 사이토 | ||||||||
역사철학 | 크로체 · 듀런트 · 토인비 · 앤더슨 | ||||||||
관련문서 | 대륙철학 · 분석철학 | }}}}}}}}} |
<colbgcolor=#8c561e><colcolor=#fff> 아마르티야 센 অমর্ত্য সেন | Amartya Sen | |
본명 | 아마르티아 쿠마 센 অমর্ত্য কুমার সেন Amartya Kumar Sen |
출생 | 1933년 11월 3일 ([age(1933-11-03)]세) |
인도 제국 벵골 주 산티니케탄 | |
국적 | [[인도| ]][[틀:국기| ]][[틀:국기| ]] |
직업 | 경제학자, 철학자 |
학력 | 캘커타 프레지던시 컬리지 (경제학 / 학사)[1] (1953년)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경제학 / B.A. · Ph.D.) (1955년 · 1959년) |
현직 | 하버드 대학교 (석좌교수[a] / 2004년~)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 철학과 / 정교수) (2004년~) |
경력 | 케임브리지 대학교 트리니티 컬리지 (학장 / 1998~2003년) 하버드 대학교 (석좌교수[a] / 1987~1998년) 하버드 대학교 (경제학과 · 철학과 / 정교수) (1987~1998년) 옥스퍼드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4] (1980~1988년) 코넬 대학교 (객원교수 / 1978~1984년) 옥스퍼드 대학교 (경제학과 / 정교수)[5] (1977~1980년) LSE (경제학과 / 정교수) (1971~1977년) 하버드 대학교 (객원교수 / 1968~1969년) UC 버클리 (객원교수 / 1964~1965년) 델리 경제학교 (경제학과 / 교수) (1963~1971년) 스탠퍼드 대학교 (방문부교수 / 1961년) MIT (객원조교수 / 1960~1961년) 자다푸르 대학교 (경제학과 / 교수) (1956~1958년) |
종교 | 무종교(무신론) |
링크 |
[clearfix]
1. 개요
인도 출신의 경제학자. 아시아 최초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이기도 하다.2. 생애
1933년 지금의 인도 서벵골 주 산티니케탄에서 태어났다. 학부를 졸업한 이후 케임브리지 대학교에 입학해서 학사를 하나 더 따고 박사를 취득했다. 여기서 약간 특이하게도 성적 우수 장학금을 받아 4년의 여유가 생기자 철학을 공부하는 결정을 내리기도 한다. 이후 인도 대학들의 교수와 미국 대학에서 방문 교수등을 하다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교수를 하기도 했고 현재는 하버드 대학교에 재직하고 있다.3. 학문적 업적
후생경제학과 관련하여 많은 업적을 쌓았고 이를 통해 1998년 아시아 최초의 노벨경제학상 수상자가 되었다. 2018년 기준 아시아권에서는 유일한 수상자였다가 2019년 경제학상을 공동수상한 아브히지트 바네르지가 인도 출신으로 합류했다. 다만, 바네르지는 미국으로 이민가서 이중국적을 가지고 있어 단일 국적으로는 2023년까지 유일하다.센의 연구 주제는 매우 다양하나 주로 그가 주력한 부분은 빈곤과 불평등이었다. 그의 저서 Poverty and Famines: 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vation (1981) 에 따르면, 1943년 벵골 대기근은[6] 단순히 절대적인 식량 생산의 부족으로 일어난게 아니라, 낮은 임금과 도시 지역의 곡물 가격 상승으로 인해 벌어졌다고 한다. 그가 연구한 이론들은 이후 케네스 애로우가 등장시킨 사회선택 이론의 발전에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초창기 그의 기근에 대한 연구는 이 분야에서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또 센의 이론은 이후 국제기구에서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 많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그가 만든 센 지수는 빈곤의 정도를 측정하는데 상당히 많은 기여를 했다. 센은 이러한 자신의 연구 분야에 대해 직업적 양심이라 표현했는데 당시 벵골 대기근을 직접 목격한 인도 출신이라는 것이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인도, 중국과 관련해서 남녀평등 문제에 대해서 지적했는데 여기서도 센은 단순히 여아의 낙태율이 높아서일 뿐만이 아니라 여아가 더 적은 기회를 받는 점을 지적했다. 어릴때부터 여성이 교육을 덜 받고, 좋은 의료 혜택을 덜 받다보니 다른 서구사회와 다르게 인도의 남성 비율이 높다는 것이다. 자유주의자 역설 역시 센이 주창한 이론이며 자유시장경제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던져 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인도 출신에 인도 대학에서도 재직을 해서 그런지 인도의 경제와 관련한 논문들을 적지 않게 볼 수 있다.
위에 철학을 공부했다는 점에서 알수 있듯이 경제학에 있어서도 철학의 역할을 중요시 했다. 해서 후생경제학 뿐만 아니라 경제철학에 있어서도 상당히 권위자인데 2009년 출판된 그의 책 <The Idea of Justice>는 사회 빈곤과 정의에 대한 그의 시각을 잘 정리해주는 책이다. 국내에 번역 된 저서로는 <정의의 아이디어>, <자유로서의 발전> , <윤리학과 경제학> , <불평등의 재검토> 등이 있다. 공저로는 조지프 스티글리츠 등과 함께 저술한 <GDP는 틀렸다>가 많이 알려져 있다.
성장과 복지를 동시에 추구한 인도 케랄라 주의 사례를 저개발국의 이상적인 발전모델로 평가하였다. 오직 GDP로만 경제발전의 성과를 줄세우는 풍토를 비판하면서 파키스탄의 마흐붑 울하크 교수와 함께 케랄라 모델에서 아이디어를 얻은 인간개발지수를 개발하였다. 인간개발지수는 평균수명과 교육기회, 1인당 소득 등을 종합해서 보여주는 통계지표로 GDP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현재는 UN 산하 전문기구인 유엔개발계획(UNDP)이 매년 국가별, 지역별로 집계해서 발표하고 있다.
경제학자임에도 불구하고 철학적인 사고를 바탕으로 한 The idea of Justice란 책을 2009년도에 발간해 반향을 일으켰다[7]
3.1. 벵골 대기근 연구의 영향력
벵골대기근 원인에 대해 학계에선 경쟁되던 두 이론은 식량 가용성 감소Food Availability Decline (FAD) 와 Failure of Exchange Entitlements (FEE)이다. FAD 설명은 가뭄, 홍수 또는 전쟁으로 인한 황폐화와 같은 위기로 인해 주로 발생한 작물 실패을 기근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한다. FEE 설명은 이러한 외부 요인이 어떤 경우에는 중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기근은 주로 기존의 "구조적 취약성"(빈곤 등)과 식량에 대한 경제 시장을 혼란시키는 충격적 사건(전쟁 또는 시장의 정치적 간섭 등) 간의 상호 작용이라고 주장한다. 학계에서 다수설은 아마르티야 센의 FEE 모델이다.1942년 후반의 작물 부족 정도와 1943년의 영향은 기근에 대한 역사학을 지배했다. 이 문제는 두 가지 관점 간의 더 큰 논쟁을 반영합니다. 하나는 기근의 원인으로서 식량 가용성 감소(FAD)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른 하나는 교환 자격 실패(FEE)에 초점을 맞춘다. FAD 설명은 가뭄, 홍수 또는 전쟁으로 인한 황폐화와 같은 위기로 인해 주로 발생한 작물 실패로 기근을 비난한다. FEE 설명은 이러한 외부 요인이 어떤 경우에는 중요하다는 데 동의하지만 기근은 주로 기존의 "구조적 취약성"(빈곤 등)과 식량에 대한 경제 시장을 혼란시키는 충격적 사건(전쟁 또는 시장의 정치적 간섭 등) 간의 상호 작용이라고 주장한다. 이러한 요인이 상호 작용할 때 사회 내의 일부 집단은 충분한 공급이 가능하더라도 식량을 구매하거나 획득할 수 없게 될 수 있다. FAD와 FEE 관점 모두 벵골이 1943년에 버마에서 수입이 감소하고, 사이클론으로 피해를 입었으며, 해충 공격으로 인한 작물 질병으로 인해 최소한 일부 곡물이 부족했다는 데 동의할 것이다(Padmanabhan, 1973). 그러나 FEE 분석은 식량 부족을 주요 요인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학계는 일반적으로 아마르티아 센이 공식화한 FEE 설명을 따르며 1943년 벵골 기근을 "권리 기근"으로 개념화했다. 이 관점에서 기근의 서곡은 일반화된 전시 인플레이션이었다. 이 문제는 우선 순위가 높은 분배와 실패한 가격 통제 시도로 인해 악화되었다. 높은 인플레이션율로 인해 토지가 없는 농업 노동자의 실질 임금이 치명적으로 감소했다. 센(1981)은 기근 조사 위원회가 제시한 설명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벵골 기근은 식량 가용성의 감소가 아니라 식량에 대한 권리의 실패로 인해 발생했다고 확언했다. 그는 벵골 기근을 "인위적인 기근"이라고 부르고 기근 취약성의 주요 결정 요인 중 하나로 계층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쌀 공급이 이전 5년 평균보다 약 5% 낮았고, 1941년에는 기근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1941년보다 13% 더 많았다고 지적했다(Sen, 1982).
Mallik, S. Colonial Biopolitics and the Great Bengal Famine of 1943. GeoJournal 88, 3212~3213
위의 학계 설명이 사실이란 증거는 피인용수로 논문에 벵골대기근이 주제라는 것이 명시된 논문만 해도 피인용수가 압도적이다.학계는 일반적으로 아마르티아 센이 공식화한 FEE 설명을 따르며 1943년 벵골 기근을 "권리 기근"으로 개념화했다. 이 관점에서 기근의 서곡은 일반화된 전시 인플레이션이었다. 이 문제는 우선 순위가 높은 분배와 실패한 가격 통제 시도로 인해 악화되었다. 높은 인플레이션율로 인해 토지가 없는 농업 노동자의 실질 임금이 치명적으로 감소했다. 센(1981)은 기근 조사 위원회가 제시한 설명에 동의하지 않았으며 벵골 기근은 식량 가용성의 감소가 아니라 식량에 대한 권리의 실패로 인해 발생했다고 확언했다. 그는 벵골 기근을 "인위적인 기근"이라고 부르고 기근 취약성의 주요 결정 요인 중 하나로 계층을 강조했다. 그는 또한 쌀 공급이 이전 5년 평균보다 약 5% 낮았고, 1941년에는 기근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1941년보다 13% 더 많았다고 지적했다(Sen, 1982).
Mallik, S. Colonial Biopolitics and the Great Bengal Famine of 1943. GeoJournal 88, 3212~3213
Sen, Amartya. "Starvation and exchange entitlements: a general approach and its application to the Great Bengal Famine." Cambridge Journal of Economics 1.1 (1977): 33-59.
피인용수 399회
피인용수 399회
그 유명한 Sen, Amartya. Poverty and famines: 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2.(피인용수 18421회)의 피인용 목록에서 인용 문서 내에서 검색을 'Bengal Famine"으로 검색하면 아마르티야 센의 영향력이 압도적임을 알 수 있다.Sen, Amartya. Poverty and famines: an essay on entitlement and deprivation. Oxford university press, 1982의 피인용 서적중 "Bengal Famine" 검색 반드시 큰따옴표를 삽입할 것.2025년 1월 3일 기준으로 벵골 대기근 주제에 한정된 피인용수는 1000개다.
물론 다수설이라고 무조건 진실인 것은 아니며 이에 대한 학계의 도전은 지속적으로 발생했지만 학계에서 그 지지도가 약한 편이다. 예를 들어 아마르티야 센의 대표적인 반대자인 경제학자 피터 보브릭Peter Bowbrick과 역사학자 마크 B. 토거Mark B Tauger는은 학계에서 그 지지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이는 구글 학술검색의 피인용수를 통해 알 수 있으며, 2025년 기준으로 아마르티야 센의 논문의 피인용수가 압도적이다. 피터 보브릭의 벵골 대기근 논문 중 피인용수가 제일높은 Bowbrick, Peter. "The causes of famine: a refutation of Professor Sen's theory." Food Policy 11.2 (1986): 105-124. 피인용수 136회, 마크 B 토거는 Tauger, Mark B. "Entitlement, shortage and the 1943 Bengal famine: another look." Journal of Peasant Studies 31.1 (2003): 45-72. 피인용수 75회로 토거의 논문은 역사학에 한정하면 피인용수가 높은편에 속하지만 SSCI 저널에 게재하며 "아마르티야 센의 기근에 대한 권리 접근 방식에 대한 수정안"이 목적이라고 밝힌 것에 비해 대부분의 학자는 그 수정안을 받아들이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센은 윈스턴 처칠이 벵골 대기근의 대량사망에 결정적인 원인을 끼쳤다고 논문에 게제했다.
1943년 벵골 기근은 그곳 사람들이 토끼처럼 번식하는 경향 때문에 발생했다는 윈스턴 처칠의 유명한 발언은 식민지 피해자를 비난하는 이러한 일반적인 전통에 속한다. 이는 쉽게 예방할 수 있었던 비참한 기근에서 기근 구호를 결정적으로 지연시키는 데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문화적 민족주의의 요구는 힘의 비대칭성과 잘 결합되어 매우 파괴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Winston Churchill’s famous remark that the Bengal famine of 1943 was caused by the tendency of people there to breed like rabbits belongs to this general tradition of blaming the colonial victim. This had a profound effect in crucially delaying famine relief in that disastrous and easily preventable famine. The demands of cultural nationalism merge well with the asymmetry of power and can have quite devastating effects
Sen, Amartya. "Is Nationalism a Boon or a Curse?."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2008)#
Winston Churchill’s famous remark that the Bengal famine of 1943 was caused by the tendency of people there to breed like rabbits belongs to this general tradition of blaming the colonial victim. This had a profound effect in crucially delaying famine relief in that disastrous and easily preventable famine. The demands of cultural nationalism merge well with the asymmetry of power and can have quite devastating effects
Sen, Amartya. "Is Nationalism a Boon or a Curse?." Economic and Political Weekly (2008)#
4. 관련 영상
5. 여담
- 무신론자이며 또한 유물론자이기도 하다.
- 사회자유주의자로 알려져있다.
- 관련 어록으로는 "한 사회의 발전은 개인의 선택 자유가 넓어짐을 의미한다. 풍요로움은 그 다음 문제.", "개발이란, 곧 자유의 확산이다." 등이 있다. 기타 어록은 여기를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