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auto" | <tablebordercolor=#00aa7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의정부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00aa7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철도 | 무궁화호 | 의정부 |
망월사 · 회룡 · 의정부 · 가능 · 녹양 | |||
발곡 · 회룡 · 범골 · 경전철의정부 · 의정부시청 · 흥선 · 의정부중앙· 동오 · 새말 · 경기도청북부청사 · 효자 · 곤제 · 어룡 · 송산 · 탑석 · 임시승강장 | |||
장암 · | |||
| |||
교외선 | 의정부 | ||
도로 | 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선 의정부IC · 호원IC 세종포천선 동의정부IC · 민락IC | |
국도 | 3(신평화로) · 39(호국로) · 43 | ||
버스 | 의정부버스터미널 · | ||
의정부시 시내버스 · 의정부시 마을버스 | |||
경기도의 교통 |
1. 개요
경기도 의정부시의 교통에 대해 설명하는 문서.2. 철도
의정부시의 철도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원선) | 서울 지하철 7호선 |
녹양역, 가능역, 의정부역, 회룡역, 망월사역 | 장암역, | |
의정부 경전철 | 교외선 | |
의정부역 | ||
※ 취소선: 미개통 |
2.1. 도시철도 및 광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원선 구간의 망월사역, 회룡역, 의정부역, 가능역, 녹양역이 의정부시에 위치해 있으며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장암역이 관내 장암동에 위치하여 있어 서울시 도심과 강남을 이어주고 있다.[1]그러나 평시에는 급행 운영이 전무하다는 게 문제점이다. 이는 의정부시가 분리독립되기 이전부터 양주군의 중심지가 의정부읍이었던데다, 경기 남부 도시 규모에 밀려서 독자생활권을 크게 갖지 못했고 경기 북부 지역 자체가 교통 인프라 투자가 매우 적었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한, 용산부터 의정부까지의 경원선 구간은 이미 시가지가 과밀화된 상태이기 때문에 급행열차의 본격 가동을 위한 복복선화 확장을 할 여유조차 없는 상황이다. 이로 인해 1호선 경원선 구간의 급행열차 운행은 출근 시간대에 위주로 9호선과 비슷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이런 이유로 서울 북부와 의정부시의 영원한 떡밥이 바로 경원선 구간의 지하화지만 지하화 자체가 의도는 좋을 지 몰라도 비용부터 시작해서 선형의 문제가 많기 때문에 실행 여부는 불투명하다. 결국 녹천역-월계역 구간 선로 이설과 월계역 북부역사 신축을 하게 되면서 사실상 지하화는 물건너간 것이나 마찬가지가 되었다. 그래도 의정부역 기준으로 전철을 타고 환승 포함 50분 정도면 종로나 강남으로 갈 수 있긴 하다.
의정부시 구도심 지역은 철도 이용이 편하지만, 민락2지구나 고산지구와 같은 의정부시 동부 지역은 철도 환경이 열악하여 버스 의존도가 매우 높다.
의정부역은 1986년 9월 2일 수도권 전철이 창동역 - 의정부역으로 연장되면서 선상역사를 크게 지어놨으나[2] 2009년에 구역사를 허물고 민자역사를 건설, 2012년 4월 20일에 개장했다. 민자역사의 구조를 놓고 시공주체인 신세계 측과 지하상가를 비롯해 갈등이 좀 있었으나 시 당국의 승리로 돌아갔다.
에버라인의 표류 덕에 수도권 최초의 경전철 타이틀을 획득한 의정부 경전철은 2012년 7월에 개통했다. 그런데 의정부와는 관련이 없을 듯한 인천교통공사가 경전철 위탁운영을 2019년 4월 30일까지 맡았다. 2019년 5월 1일부터 의정부경량전철과 우진메트로가 운영 중이다.
GTX-C가 2028년 말 개통 예정이다. 현 계획대로라면 삼성역까지 20분 내로 도달 가능하다.
8호선 연장 역시 오래된 숙원사업이다. 최근에는 GTX-E, GTX-F가 추진되어 함께 선로공용도 검토되고 있다.
2013년에는 수인선/4호선의 일부인 안산선을 본떠, 교외선 구간을 연계 및 활용한 서울 지하철 6호선을 응암순환구간-은평뉴타운-양주시 장흥면-의정부역으로 연장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지금까지 뚜렷한 움직임은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2.2. 고속철도 및 일반철도
ITX-새마을 등의 일반열차와 KTX, SRT 고속철도 이용이 불가능하다. 이를 이용하려면 청량리역이나 서울역까지 가야 한다. 의정부역과 가능역에서는 양주시를 지나 고양시, 능곡역까지 가는 교외선도 분기하나 운행 중단됐다가[3] 2025년 1월 11일 무궁화호로 재개통했다.[4] 교외선 재개통으로 고양시(고양동, 벽제, 대곡, 능곡)와 양주시(장흥, 송추), 서해선을 경유해 김포공항으로 가는 수요가 어느 정도는 있을 걸로 보인다. 다만 교외선은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적용되지 않아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 시내버스들과 수도권 전철들과의 환승이 되지 않아 교외선과 일반 시내버스, 수도권 전철로 환승해야 할 경우에는 요금을 따로따로 지불해야 한다.GTX C선과 연계하여 수서에서 의정부까지 연장하는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3. 버스
시내버스는 2008년 5월 이래로 사실상 KD 운송그룹에서 독점한다. 서울로 통하는 상당수의 시내버스 노선들이 시내 곳곳을 운행하기 때문에 서울에 대한 접근성이 상당히 좋고, 고양시, 파주시, 구리시, 남양주시, 동두천시, 부천시, 수원시, 의왕시, 양주시, 연천군, 포천시 등으로 통하는 직행좌석버스 및 일반시내버스 노선들도 매우 많아 경기북부 교통의 요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3.1. 직행좌석버스
1960년대부터 의정부에서 서울로 이동하려면 직행좌석버스보다는 일반시내버스(의정부 - 서울을 오가는 대표적인 버스들로 서울특별시 면허 회사였던 승원여객 12번 버스, 대원여객 13번 버스)와 성북역(현 광운대역) - 의정부역을 오가던 경원선 비둘기호 열차를 이용하여 성북역에서 수도권 전철로 환승을 하여 서울로 나갔다. 이후 성북역까지 운행하던 수도권 전철이 1985년 창동역으로 연장되면서 경원선 비둘기호는 의정부역 - 창동역까지 단축되었고 창동역에서 수도권 전철이나 서울 지하철 4호선을 이용하였다. 1986년 9월 2일 수도권 전철이 창동역 - 의정부역으로 연장되고 경원선 비둘기호는 의정부 - 연천 신탄리까지만 운행되었고 의정부역까지 수도권 전철이 연장되면서 의정부 - 서울을 오가는 시내버스와 수도권 전철에 의존하는 경향이 큰 동네였다. 하지만 의정부시 인근 지역인 포천시, 양주시, 연천군에서 2010년대 이후 포천 버스 3100, 포천 버스 3200, 포천 버스 3500, 포천 버스 3600이 개통되었고 의정부시 민락동, 금오동, 신곡동, 장암동을 경유하여 운행중이고, 2017년 하반기에는 양주시 덕정동에서 도봉산역환승센터로 가다가 2022년 10월 31일 서울 노원역9번출구 회차로 노선이 변경되어 운행중인 양주 버스 1100과 2021년 하반기 양주 덕정동에서 출발하여 서울역환승센터까지 운행하는 양주 버스 1101, 2022년 4월 18일부터 포천시 영북면 산정호수에서 서울 도봉산역광역센터까지 운행하는 포천 버스 1386이 의정부민락BRT정류장을 정차하고 서울로 나간다. 민락2지구(반도유보라, 금강펜테디움, 송양중,고등학교 지역 한정)에서 도봉산역, 노원역, 종로2가, 을지로입구, 남대문시장, 서울역으로 가기가 그나마 편해졌다고 볼 수 있다. 2018년 4월경 양주 덕정동에서 출발하여 민락BRT, 민락IC 정류장을 경유하여 잠실광역환승센터로 가는 양주 버스 G1300, 2020년 3월경 연천군 신탄리역에서 출발하여 동두천시, 의정부시 금오동, 녹양동을 경유하여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로 가는 연천 버스 G2001 등이 신설 및 형간전환되어 의정부시도 간접적 이득을 보게 되면서 서울특별시로 가기 위해 중장거리를 이동하는 승객들이 많아졌으며, 특히 의정부 - 강남, 의정부(신곡동, 송산동, 민락지구, 고산지구 한정) - 잠실로의 이동이 편해졌다.또한, 2020년 3월 19일에는 의정부시 면허 최초의 직행버스 잠실행 G6000번이 개통되었다. G6000번이 개통되기 이전까지 의정부시내를 경유하는 직행좌석버스는 포천시 면허인 선진시내버스(3100, 3200, 3500, 3600), 양주시 면허인 진명여객(1100, G1300, G1200)으로 타 지역 면허로 지금도 운행하고 있다. 현재, G6000번이 의정부 신곡동, 민락동에서 준수한 이용률을 보이는 중. 또한, 잠실행 G6100번도 2020년 10월에 신설되어 의정부시에 앞으로 직행좌석 운행이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
2021년 12월, 의정부시 소속 노선 최초로 2층 전기버스가 투입되었다. G6000번과 G6100번 각각 1대씩 투입.[5]
2022년 5월 26일,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2차 신설노선으로 금오지구에서 서울역으로 가는 1102번 버스가 개통되었다.
2024년 3월 4일부터 낙양동과 고산동을 거쳐 상봉역까지 운행하는 1205번이 개통했다.
2024년 6월 1일부터 고양시 시내버스 향토업체인 명성(명성운수)에서 고양공영차고지 - 대화역 - 일산동구청 - 원흥,삼송지구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의정부시 장암동,신곡동 - 경기도청북부청사까지 운행하는 고양 버스 3800이 개통되어 의정부시에서 고양시까지 버스로 한 번에 이동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의정부 버스 8401, 의정부 버스 8409가 의정부시 - 구리시(인창동, 돌다리) - 의왕TG - 수원역까지 운행하고 있고, 양주 덕정에서 출발하여 의정부시내(의정부역 동부광장) - 동명빌라 - 송추 - 부천터미널까지 운행하는 양주 버스 8906이 의정부시를 경유하여 버스를 이용하여 수원시와 부천시로 가기가 편해졌다.
3.2. 시내버스
{{{#!wiki style="margin:-10px auto" | <tablebordercolor=#00aa7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의정부시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colcolor=#fff> 프리미엄 | ||
경기순환 | |||
직행좌석 | |||
일반 | 통학 | ||
마을 | [[의정부 버스 206-5| 206-5A/B ]][[의정부 버스 의정부01| 의정부01 ]] | ||
명진여객과 평안운수에 의존하고 있다. 시내버스 회사 2개(평안운수, 명진여객)가 죄다 KD운송그룹에 인수된 상태고, 의정부 - 종로5가를 오가던 13번(구 서울 버스 106) 버스로 유명했던 대원여객 본거지도 1971년 12월부터 2024년 8월 3일까지 53년간 영업했던 의정부시 가능동 의정부영업소였다. 2025년 현재 대원여객은 민락동영업소만 운영하고 있다. 자세한 사항은 의정부시 버스 목록을 참조 바람. 문제는 명진여객이 KD운송그룹으로 인수된 2008년부터 완전히 독점구도로 이어지면서 대량 감차와 독과점, 타 지역 버스 회사들(특히 양주시 양주교통의 의정부 진출 불가 등)의 의정부시 진출 방해 등의 옆동네인 남양주시 못지 않게 KD운송그룹의 내로남불식 만행으로 인해 민락, 고산지구를 제외한 지역(특히 의정부시 서부지역 호원동, 가능동, 녹양동 등)의 시민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6] 물론 이건 2006년 12월, 수도권 전철 1호선이 동두천으로 연장되고 2012년 8월, 의정부 경전철이 개통하면서 버스의 의정부시내 이동 수요를 전철이 잠식한데다가 코로나 19가 덮치면서 전체적으로 이동수요가 줄어든 것과 KD운송그룹 민락동영업소와 의정부시 낙양동공영차고지가 죄다 민락동, 송산동에 있는 것도 원인이다. 하지만 지난 10년 가까이 민락 2지구와 고산지구가 들어서면서 여기 노선이 과공급일 정도로 이 지역 퍼주기에만 올인하고 의정부시가 KD운송그룹한테 끌려다니는 것처럼 보이는 의정부시의 행정 운영 잘못이 제일 크다.
그러나 2024년 8월 3일부터 1972년부터 52년 동안 서울로 출퇴근하는 의정부시민들의 발이자 친구였던 서울 버스 106번이 폐선됨에 따라 106번 버스를 대체할 노선을 의정부시에서 개통해야 되었는데 일단 2024년 8월 3일부터 의정부 버스 106-1번이 평안운수에서 4대로 운행하게 되었다. 그러나 106-1번도 의정부영업소에서 출발하는 막차가 21시로 일찍 끊기고 동사 7번, 39번 버스와 함께 의정부시내 구간이 완전 100% 중복인데다가 최소 수유역까지는 가야 승객들의 수요가 늘어날텐데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까지만 운행해서 새벽에 서울로 출근하는 의정부시민들만 고생이다. 그나마 106-1번을 타고 기점인 도봉산역광역환승센터에서 출발하는 서울특별시 시내버스인 140, 150, 160번 버스로 환승하면 바로 앉아갈 수 있다는 장점만 있다.
서울특별시 면허로는 KD운송그룹 민락동영업소 대원여객이 운행하는 서울 버스 107와 서울 버스 111이 민락동, 용현동, 신곡동, 장암동에서 운행중이고, 신곡동에서는 서울 노원구 하계동 - 신곡동을 오가는 한성여객 소속 서울 버스 1154가 운행하고 있다. 과거에는 2002년 후반부터 2012년까지 민락동 - 용현동 - 청학리 - 석계역을 오가던 태릉교통 소속 서울 버스 1155가 의정부시 민락동, 용현동을 경유하기도 했다.
3.3. 고속버스 및 시외버스
의정부버스터미널은 비교적 허름한 외양과는 달리[7] 부산, 광주 등 먼 도시까지 운행하는 고속버스 노선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운행횟수가 매우 적기 때문에 1호선을 타고 청량리역 또는 서울역, 용산역으로 이동하여 KTX를 타는 것이 낫다.4. 도로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00aa7b><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00aa7b> | }}} | |
{{{#!wiki styl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 ㄱ | <colbgcolor=#fff,#191919> 가금로 · 가능로 · 거북로 · 경의로 · 고산로 · 금신로 · 금오로 · 길마로 | |
ㄴ | 녹양로 · 누원로 · 능곡로 · 능안로 | ||
ㄷ | 동부간선로 · 동일로 · 둔야로 | ||
ㅁ | 망월로 · 문충로 · 문화로 · 민락로 | ||
ㅂ | 발곡로 · 배미로 · 백석로 · 버들로 · 범골로 · 본원로 · 부용로 · 비우로 | ||
ㅅ | 산곡로 · 산단로 · 산성로 · 상금로 · 새말로 · 서계로 · 서광로 · 서부로 · 세석로 · 송산로 · 송양로 · 송현로 · 승지로 · 시민로 · 신곡로 · 신촌로 · 신평화로 · 신흥로 | ||
ㅇ | 안말로 · 여흥로 · 예술로 · 오목로 · 옹암로 · 외미로 · 용민로 · 용현로 · 운수대통로 · 월유로 · 의정로 · 입석로 · 입암로 | ||
ㅈ | 장곡로 · 장금로 · 전좌로 · 정음로 · 중금로 · 직곡로 · 진등로 | ||
ㅊ | 창포원로 · 천보로 · 청사로 · 체육로 · 추동로 · 충의로 | ||
ㅌ | 태평로 | ||
ㅍ | 평화로 | ||
ㅎ | 하금로 · 행복로 · 호국로 · 호동로 · 호암로 · 회룡로 · 효자로 · 훈민로 · 흥선로 | ||
경기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 |
4.1. 고속도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호원IC, 의정부IC), 세종포천고속도로(동의정부IC, 민락IC)를 통해 고속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둘 다 민자구간이라 일반 고속도로보다 요금이 비싸다.4.2. 국도 등 일반도로
서울로 들어가는 길목이 딱 4개이다. 동일로, 창포원로, 평화로, 장암동 상촌IC로 연장된 동부간선도로. 사실 남양주시, 고양시, 포천시로 가는 길목도 모두 2~3개씩 뿐이다.국도는 다음과 같다.
- 3번 국도(신평화로): 서울특별시에서 넘어와 신곡동, 송산동, 자금동을 거쳐 양주시로 넘어간다.
- 39번 국도(신호국로): 양주시 장흥면에서 넘어와 가능동을 훑고 3번 국도를 만나서 끝난다.
- 43번 국도: 남양주시에서 넘어와 송산동, 신곡동, 금오동을 거쳐 포천시로 넘어간다. 송산로와 호국로가 이 국도에 해당되며, 포천으로 넘어가는 길은 축석고개라고 불린다.
국도들을 보면 알겠지만 고양, 양주, 포천, 남양주, 서울로 가는 길이 사방으로 뚫려 있으며, 북쪽에서 내려올 때 의정부에서 합류하여 서울로 들어가는 형태라 교통의 요지이다.
[1] 다만 장암역은 장암동 한복판이 아닌 남쪽 끝 수락산 초입에 있기 때문에 장암동 주민이 이용하기는 불편하다.[2] 이 역사가 지어질 당시 의정부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시종착역이자, 교외선, 경원선 비둘기호 열차의 시종착역이었다. 그래서 양주, 포천, 동두천 등지에서 버스를 타고 의정부역까지 와서 전철로 갈아타는 수요가 폭발적이었다.[3] 2004년 4월 1일부로 수익성 저하에 따라 여객열차의 운행이 전면 중지되었다. 여객열차는 물론 화물열차도 부정기적으로 다니고 있지만 사실상 운행 중단 상태였다.[4] 2024년 12월 30일에 개통예정이었으나 2024년 12월초 한국철도공사의 파업으로 밀렸다.[5] 기존에 의정부시를 지나는 2층버스 노선인 3100번, G1300번은 각각 포천시, 양주시 소속 노선이다.[6] 이런 이유 때문에 양주교통이 의정부 진출을 못하고 있다.[7] 의정부에는 '구 터미널'이라는 장소와 '신 터미널'이라는 장소가 공존한다. '구 터미널'은 현재 터미널의 기능을 하지 않고, 시내버스 종점 용도로 쓰이다가 KD 운송그룹이 의정부시 시내버스를 장악하자 완전히 철수하여 버스 종점 역할마저 없어진 상태. 현재 터미널의 역할을 하는 곳은 신 터미널이라고 불린다. 어느 정도로 허름하냐고 물어본다면 응답하라 1994를 보시라. 1994년 고속버스터미널 촬영지가 의정부버스터미널이다. 참고로 신 터미널은 1990년에 생겼다. 생긴 것보단 늦게 개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