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직행좌석 | | | |||||||||
시내일반 | 1 | 1-1 | 1-5 | 1-6 | 1-7 | |||||||
3 | 5 | 7 | 8 | 10 | ||||||||
10-1 | 11 | 12-5 | 23 | | ||||||||
25-1 | 34 | 35 | 36 | 39 | ||||||||
39-4 | 72-1 | 111 | 133 | 360 | ||||||||
출퇴근형 | 10-3 | 1-1출근형 | 23-1통학 | 25-2 | ||||||||
마을 | 201 | 201-1 | 202 | 202-1 | 203 | |||||||
203-1 | 203-2 | 205 | 205-1 | 206 | ||||||||
206귀락 | 206-1 | 207 | 207-1 | 208 | ||||||||
208-1 | 208-2 | |||||||||||
의정부시 진입 관외버스 목록 | 경기도의 시내버스 목록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11px;margin-top:-6px;margin-bottom:-15px" | 직행좌석 | | | ||
일반시내 | 1-1 | 5 | 7 | 10 | |
10-1 | 10-2 | 10-3 | 12-5 | ||
34 | 36 | 39 | 39-4 | ||
72-1 | 111 | 133 | 360 | ||
타 지역 서울 경유 시내버스 목록 |
| |||||
{{{#!wiki style="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6px" | 경기순환 | 8109[B] | |||
간선 | 108 | 704 | |||
시내일반 | 5 | 7 | 8 | 23 | |
25 | 25-1 | 25-2 | 34 | ||
35 | 36 | 37-1 | 38 | ||
39 | 39-4 | 51 | 51-1 | ||
52 | 52-1 | 52-2 | 52-3 | ||
53-1 | 53-4 | 53-5 | 53-6 | ||
53-7 | 53-8 | 53-10 | 53-12 | ||
53-13 | 54 | 62 | 133 | ||
360 | |||||
맞춤형 | 15 | 90-2[A] | 90-3[A] | ||
마을 | 052 | 067 | |||
양주시 면허 버스 목록 | |||||
[A] 양주시를 경유하나, 관내 정류장이 없음 / [B] 양주영업소만 정차 |
| |
BS106 차량 (가업리에서 출발하던 시절(2009년 9월)의 모습.)[1] | NEW BS106 차량 |
| |
BS106L F/L 경기고속 면허 차량. 7번 출신차량이다. |
1. 노선 정보
| |||||
기점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홍죽리차고지) | 종점 |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1동(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 | ||
종점행 | 첫차 | 04:40 | 기점행 | 첫차 | 05:45 |
막차 | 22:10 | 막차 | 23:20 | ||
평일배차 | 10~13분 | 주말배차 | 15~20분 | ||
운수사명 | 평안운수 | 인가대수 | 15대 | ||
노선 | 홍죽리차고지 - 가업리 - 세아청솔아파트 - 가야써니빌아파트 - 산성마을 입구 - 한마음청소년수련원입구 - 남방2동 - 녹양역서부광장 - 녹양힐스테이트 - 의정부고 - 경민대학교 - 가능3동주민센터 - (→ 의정부서중 →/← 흥선역 ←) - 의정부병원 - 의정부역동부광장 - 한화생명 - 가구거리 - 회룡역 - 망월사역 - 도봉산역 - 도봉구청.방학북부역 → 거성학마을아파트 → 신우빌라 → 신한은행방학동지점 → 도봉소방서.방학남부역 → 도봉구청.방학북부역 → 이후 역순 |
2. 개요
평안운수에서 운행하는 시내버스 노선으로 홍죽/가업리와 의정부, 서울을 잇는다. 전체 정류장 목록왕복 운행거리는 약 49.4km이다.
3. 역사
- 의정부에서도 역사가 꽤 긴 노선으로 백석-의정부-방학동을 운행하던 시외완행 노선이 시초이다.
- 1985년에 일반시내버스로 전환되었으며 이 당시에는 가능동 곧은골 차고지가 기점이었으나 8번처럼 노선이 길어지기 시작하면서 2000년대 초반에 시종점이 가업리로 이동, 이후 지금의 홍죽리 차고지로 이전했다.[2]
- 2005년에 의정부 시내구간에서 차이가 있었던 6번이 분리신설되었으나, 2006년 중반기에 3-1번과 같이 폐선되었다. 비슷하게 지선으로 5-2번(경민대 - 의료원 - 의정부역 - 중앙로 - 터미널 - 신곡중 - 장암지구 - 회룡역 - 도봉산역 - 노원구청)이 있었으나 2005년에 양주자이, TS아파트까지 올라가는 7번으로 바뀌면서 자연스레 폐선되었다.
- 과거 전철이 의정부북부역까지만 다니던 시절에는 8번과 가업리-녹양동 구간이 겹치다가 2006년 12월 15일 전철 1호선 구간이 소요산역까지 연장되면서 녹양사거리(녹양역 2번 출구)에서 39번 국도(당시 서부순환로, 현재 도로명은 서부로)를 잠시 경유하다가 녹양동성당으로 빠지는 걸로 변경되었다.
- 2009년에 녹양휴먼시아 입주가 시작되고, 녹양동 신시가지 조성이 완료되면서 녹양역 서부광장(1번 출구) 경유로 바뀌었다.
- 2011년 쯤에 홍죽리차고지가 신설되었고, 같은 시기에 홍죽일반산업단지가 완공되어 입주가 시작되면서 기존 가업리차고지와 석우리차고지를 홍죽리차고지로 통합했고, 기존 노선들도 이에 맞춰 연장, 변경되었다.
- 의정부경전철 연계를 위해 2015년 9월 1일부터 경민대 방향만 의정부서중 대신 흥선역 경유로 바뀌었다.
- 2018년 5월 (일자 아시는 분 추가 바람.) 여객운수사업법 개정에 따른 후속조치로 막차 시간이 기존 22:40/23:50에서 22:10/23:20 으로 단축되었다.
4. 특징
- 가업리, 복지리, 어둔동, 남방동 주민과 서울 방학동 주민들의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 가능동을 투어하는 지라 133번과 함께 경민대학교와 의정부고등학교 통학수요를 동시에 담당하고 있다.
- 서울시내에 단독구간이 있는 몇 안되는 경기도 버스 노선이다. 이 노선 외에도 70번 등이 있다.
- 거리비례제 적용노선이므로 현금으로 승차시 목적지를 말해야 한다.
4.1. 차량
- 신설 당시에는 1994~1997년식 하이파워로 운행했다. 이후 2006년에 기존 하이파워 차량과 슈퍼 에어로시티 차량이 1번, 3번, 23번 출신 1998~2002년식 로얄시티 차량으로 교체되었다. 심지어 2009년에 GBUS 출범 이전 도색인 파란색 물방울 도색을 한 차량이 다닐 정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