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1-10 23:29:37

코리아게이트(드라마)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정치 사건사고에 대한 내용은 코리아게이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990년대 이후
한국 TV 드라마 시청률 TOP 100
{{{#!wiki style="margin: 0 -10px; color: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margin: 0 -1px"
<rowcolor=#fff>
1위
2위
3위
4위
첫사랑 사랑이 뭐길래 모래시계 허준
<rowcolor=#fff>
5위
6위
7위
8위
젊은이의 양지 그대 그리고 나 아들과 딸 태조 왕건
<rowcolor=#fff>
9위
10위
11위
12위
여명의 눈동자 대장금 파리의 연인 보고 또 보고
<rowcolor=#fff>
13위
14위
15위
16위
진실 질투 바람은 불어도 목욕탕집 남자들
<rowcolor=#fff>
17위
19위
20위
21위
국희
청춘의 덫
토마토 M 폭풍의 계절
<rowcolor=#fff>
22위
23위
24위
25위
주몽 야인시대 엄마의 바다 제빵왕 김탁구
<rowcolor=#fff>
26위
27위
28위
29위
내 이름은 김삼순 야망의 전설 여인천하 아들의 여자
<rowcolor=#fff>
30위
31위
32위
33위
용의 눈물 하나뿐인 내편[통합시청률] 별은 내 가슴에 넝쿨째 굴러온 당신
<rowcolor=#fff>
34위
35위
37위
39위
야망 서울의 달
정 때문에
마지막 승부
솔약국집 아들들
내 딸 서영이
<rowcolor=#fff>
40위
42위
43위
44위
왕가네 식구들
이브의 모든 것
댁의 남편은 어떠십니까 신데렐라 인어 아가씨
<rowcolor=#fff>
45위
46위
47위
49위
올인 황금빛 내 인생 사랑할 때까지
찬란한 유산
소문난 칠공주
장밋빛 인생
<rowcolor=#fff>
51위
52위
53위
54위
파일럿 딸부잣집 마지막 전쟁 애정의 조건
<rowcolor=#fff>
55위
56위
57위
59위
미스터Q 사랑을 그대 품안에 선덕여왕
하늘이시여
웃어라 동해야
<rowcolor=#fff>
60위
61위
62위
63위
겨울새 미우나 고우나 왕과 비 장미와 콩나물
<rowcolor=#fff>
64위
65위
66위
67위
수상한 삼형제 너는 내 운명 천국의 계단 신고합니다
<rowcolor=#fff>
68위
70위
71위
72위
가족끼리 왜 이래
사랑과 성공
이 여자가 사는 법 장희빈 엄마가 뿔났다
<rowcolor=#fff>
73위
74위
77위
79위
코리아게이트 가을동화
예감
해를 품은 달
그 여자네 집
전원일기
가을 여자
<rowcolor=#fff>
80위
81위
83위
84위
엄마야 누나야 약속
좋은걸 어떡해
명랑소녀 성공기 꿈의 궁전
<rowcolor=#fff>
85위
86위
87위
89위
사랑해 당신을 산다는 것은 발리에서 생긴 일
해피투게더
풀하우스
<rowcolor=#fff>
90위
93위
94위
95위
굳세어라 금순아
억새 바람
자이언트
모래 위의 욕망 종합병원 제3공화국
전설의 고향 1996
<rowcolor=#fff>
97위
98위
99위
100위
날마다 행복해 우리들의 천국 일출봉
{{{-2 {{{#!folding
[통합시청률] 기준 50위
}}}}}}}}}

{{{#!wiki style="color:#fff;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D1D1D,#e2e2e2
1995~1998
파일:코리아게이트 로고.png
(1995)
파일:임꺽정 로고.png
(1996~1997)
파일:아름다운 그녀 로고.png
(1997)
파일:모래시계 로고.png '''[[재방송|
]]'''
(1998)
파일:삼김시대 SBS 로고.png
(1998)
}}}}}}}}}}}} ||
<colbgcolor=#010101><colcolor=#ffffff> SBS 주말 특별기획 드라마
코리아게이트 (1995)
Koreagate
파일:코리아게이트 OST.jpg
장르 시대극, 정치
방송 시간 토 / 오후 8:50
방송 기간 1995. 10. 21. ~ 1995. 12. 23.
방송 횟수 20부작
제작 SBS 자체제작
채널 SBS TV


<colbgcolor=#010101><colcolor=#ffffff> 제작, 연출 고석만
조연출 김영, 배태석
극본 이영신, 김영섭(각색)[1]
촬영 김명균, 김대권
조명 고민호 外 다수
미술감독 박영기
편집 신현무
종합편집 양승원 → 이찬근
음악 고병준
출연 독고영재, 고두심, 유인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등장인물3. 음악4. 탐구5. 방영 목록 및 시청률6.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SBS에서 1995년 10월 21일부터 동년 12월 23일까지 방영된 창사 5주년 특별기획 드라마. 토요일 오후에 8시 50분부터 2회 연속 방송됐다. 제목은 1976년에 일어난 코리아게이트 사건에서 따 왔으며 박동선이 비중 있게 등장한다.

1993년 MBC <제3공화국>을 맡았던 이영신 작가-고석만 PD 콤비의 컴백작이며 MBC 소속 PD였던 고석만의 프리랜서 전향 이후 첫 작품이다.

2. 등장인물

공화국 시리즈에서 출연했던 배우들이 다수 출연했다.

이 중 윤보선(이순재), 김재춘(송기윤), 김계원(오승명), 김종필(이정길), 이철승(김태훈), 박영옥(이경진) → 6 사람이 제3공화국에서 맡았던 역할을 이어서 했다.

3. 음악

코리아게이트
파일:코리아게이트 OST.jpg
<rowcolor=#ffffff> 발매일: 1995. 12.
<rowcolor=#ffffff> 트랙 곡명 작사 작곡 편곡 가수 길이 링크
1 Main Theme
MAIN TITLE
신윤철 1: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 언젠가 조동희 류금덕 4:0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3 언젠가 PART I 2:3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4 평화의 테마 1:4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5 절망의 테마 1:3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6 출동명령 1:20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7 조국의 위기 2:2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8 12월 12일 3:07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장태완 테마 4:3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0 언젠가 (INS) PART II 2:5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1 코리아게이트 (Variation) 3:26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2 언젠가 PART III 3:03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스트리밍 사이트
파일:유튜브 뮤직 아이콘.svg
이 작품의 음악감독은 고병준이 맡았다. 신윤철이 작곡과 편곡, 아버지 신중현과 형 신대철이 도와주면서 3부자가 제작에 참여했다. OST 음반1995년 12월에 서울음반이 냈다. 다만 음악 사이트에는 정보가 올라와 있지 않다.

타이틀 영상 퀄리티가 꽤 뛰어나다. 총성 효과음과 전화 거는 소리가 백미. 보러가기

4. 탐구

1995년 당시에는 이 드라마가 현실을 잘 반영하면서 세세하게 사건을 재현하고, 제4공화국은 연출로 승부를 본다는 을 받았다. 다만 10.26 사건 관련[18]해서는 제4공화국이 그 사건의 증인 중 하나인 심수봉에게 감수를 받았기 때문에 코리아게이트보다는 제4공화국이 묘사가 나은 편이다.[19]

다만 어디까지나 제4공화국과 비교해서 그런 것이지, 그렇다고 해서 아예 재현하는 데에 관심이 없는 정도는 아니다. 선술했듯이 1995년 당시 재현이 잘 되었다고 평가를 받을 정도로 묘사에 신경을 썼고 이 때문인지 초반에는 시청률 45%로 제4공화국을 압도했다. 박정희 대통령의 삽교천 방문 장면에서 삽교천 완공 기념 담수비를 제막할 때 강한 바람에 천이 비석을 휘감아 버려 박정희가 아무리 줄을 당겨도 벗겨지지 않는 통에 결국 경호원들이 올라가 직접 천을 벗겨내야 하는 장면을 묘사했고, 특히 코리아게이트 사건을 다룰 때에는 미국에서 현지촬영을 했으며 특히 미 의회 본회의장을 비롯해 프레이저 청문회장, 미 연방법원 재판정에서 실제로 찍었다.[20]
  • 김재규 역을 연기한 김흥기는 10.26 사건을 다룬 1회와 2회에서는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다.[21]
  • 차지철 역을 연기한 정한헌은 10.26 사건을 다룬 1, 2회에서 안가 내부임에도 정장 저고리를 벗고 있지 않았다.
  • 김종필 역을 연기한 이정길은 1970년대의 김종필을 연기할 때도 안경을 착용하지 않았다.
  • 문홍구 역을 연기한 성우 겸 배우 장광은 회의 장면에서 모자를 벗지 않았다. 다만, 이는 고석만 PD의 연출이다. 원래 고 PD는 장광을 전두환에 캐스팅할 생각이었지만 사정상 문홍구를 맡겼는데, 회의 장면에서 전두환이 전두환을 몰아내려는 장면이 나와서 의도적으로 모자를 계속 쓰게 한 것이다.[22] 이 배역은 연출 미스도 있는데 반란군이 국방부 점령할 때 문홍구 중장이 반항하다 무장 해제 당하는데 이후 수경사 지휘부에도 문홍구 중장이 권총 휴대한 채로 다시 나온다.
  • 전두환 역을 연기한 정종준은 실제 전두환과 달리 상당히 비대한 몸매였고[23] 분장으로 만든 대머리 외에는 공통점을 찾기가 힘든 수준이다.
  • 육영수 역을 연기한 고두심은 실제로는 육영수가 아니라 노태우의 아내인 김옥숙을 쏙빼닮아서 마치 박정희가 노태우의 아내를 빼앗은 것 같은 기분이 든다.
  • 극중 신민당 당기 우측 하단에 신한민주당 이라고 적혀 있는데, 실제로는 신민당이다. 신한민주당제12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전두환 정권에서 치졸하게 제약을 거는 바람에 신민당을 당명으로 쓸 수 없게 되어 대안으로 채용한 이름이었으며, 박정희 정권 당시의 신민당은 당명 자체가 그대로 신민당이었다.
  • 이종찬 역의 캐스팅도 연령차로 인한 오류로 지적할 만한 부분인데, 이 문제는 고석만 피디가 이전부터 연출했던 공화국 시리즈부터 이어져 온 고질적인 문제이기도 하다. 드라마 방영 당시엔 이종찬에 관해선 친일반민족행위자라는 면모는 잘 알려지지 않았고, 고 피디는 이승만 정권 시절 군의 정치적 중립을 고수한 이종찬의 긍정적인 행적을 강조하는 연출[24]을 했기 때문에, 이종찬 역에 노회하면서도 긍정적인 웃어른의 풍모를 보이는 이미지의 배우를 캐스팅[25]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경향이 이어진 당 드라마에서 캐스팅한 이낙훈의 경우도, 이낙훈은 박정희 역을 맡은 독고영재보다 17살이 많은 윤보선을 맡은 이순재와 비슷한 연배인데, 실제로 박정희와 이종찬은 이종찬이 나이가 더 많기는 하지만 1년 차이 밖에 나지 않은 동년배[26]였기 때문에, 이러한 캐스팅이 한눈에 보기에도 군 원로와 젊은 후배처럼 현격한 차이가 도드라져 보이는 사실과는 다른 괴리감를 드러낸다는게 문제였다. 참고로 이런 긍정적 연출을 할 필요가 없었던 전두환 역의 정종준과 노태우 역의 김성원도 육사 동기인 실제 인물들[27]과 달리 김성원이 정종준보다 20살 가량 높은 연배이다.

5. 방영 목록 및 시청률


보면 알겠지만 10회까지의 분량은 1979년, 1980년을 다루다가 11회부터 박정희 정권 때인 1968년으로 돌아가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마지막의 두 회에서 김재규를 중심으로 다루면서 다시 김재규가 사형당하는 1980년으로 돌아온다. 제4공화국에서 거의 다루지 않던 내용 중 몇 가지를 다루었다. 박정희 정권의 자주국방을 위한 무기 국산화, 1970년대 한국 정부의 대 미국 로비, 김재규의 일생, 1.21 사태 등을 다루었다.

비슷한 시기 MBC에서 제4공화국이 방영되어 제4공화국과 치열한 시청률 경쟁을 벌였다.[30] 시기 뿐만 아니라 고석만-이영신 콤비라는 프리미엄이 제4공화국과의 경쟁이 치열하게 되는 이유가 되었다.

방송 초반에는 30%가 넘는 시청률을 보이며[31] 동시간대의 제4공화국 시청률을 앞섰으나, 코리아게이트 사건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중반부터는 시청률이 하락하며 당시 시청률 15위권 바깥으로 밀려나기도 했다. 결국 시청률 저조를 이유로 SBS에서 32부작에서 20부작으로 조기종영했으며, 이 때문에 1970년대 중후반 부분의 내용이 생략되었다. 이후 고석만은 1996년부터 독립제작사인 드림서치 공동 대표이사로서 옛 파트너인 김기팔 작가의 소설 <제이슨 리>를 영상화하는 데 심혈을 더 기울이다 여러 사정으로 무산됐고, 1998년에 이영신 작가와 다시 호흡을 맞춰 삼김시대를 연출했으나 역시 시청률 저조와 각종 구설수 등으로 역시 조기종영당하는 수모를 겪는다.

한편 1995년 10월 17일 SBS 8 뉴스 시간에 해당 드라마의 시사회 광경과 주요장면을 보여주는가 하면 첫 방송 날인 21일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6차전 중계방송 시간에까지도 캐스터의 멘트로 여러 차례 "오늘 밤 「코리아 게이트」가 방송된다"는 사실을 강조해 시청자들을 의아하게 만들었으며 방송위원회로부터 시청률을 의식한 지나친 흥미위주의 제작으로 시청자들의 역사인식을 그릇되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어 방송위원회로부터 'TV드라마에 대한 일반권고' 조치를 받아야 했다.[32] 어쨌든 그만큼 SBS가 홍보에도 엄청나게 신경쓴 듯하다.

종영 후 2000년대 중반부터 SBS 홈페이지를 통해 다시보기 서비스를 실시했고, 2023년 2월 24일부터 <삼김시대>와 함께 유튜브 '빽드' 채널을 통해 스트리밍할 예정이었으나 27일 <쩐의전쟁> 및 <파리의 연인> 스트리밍으로 일정이 변경되면서 무산되는 듯 보였지만 5월 22일 부터 편집본이 아닌 완편이 업로드되기 시작해, 6월 17일에 마지막 20부를 업로드 하여 유튜브 빽드 - SBS 옛날 드라마 채널에서 전편을 감상할 수 있게 됐다. 보러가기

6. 관련 문서



[1] SBS 드라마본부장을 역임한 그 김영섭 PD가 맞다. 이영신 작가-고석만 PD 콤비의 <제3공화국>서는 조연출자였다.[2] 웬만해선 그들을 막을 수 없다에서 노구의 베프인 이개똥 영감으로 나온 배우.[3] 이용희 전 의원의 장남으로 삼김시대에서도 이용희 역을 맡았다. 2007년 위암으로 소천.[4] 김재규의 부친[5] 야인시대에 심영 역할로 유명해진 김영인과 동명이인이며, 1940년생 띠동갑이다. 드라마 무풍지대에서는 김두한으로 출연했다.[6] 1인 2역. 2017년 11월 18일 방영된 JTBC 아는 형님에 출연한 성동일연기 인생 중 가장 황당했던 경험으로 이 배역을 꼽은 적이 있다. 1회에 안재송으로 출연하여 궁정동에서 박선호(천호진)에게 사살당하는 것으로 리타이어한 줄 알았는데, 얼마 후 감독이 김신조 역할로 출연하라고 하자 "저 죽었잖아요" 라고 했지만 감독은 "(시청자는) 아무도 몰라 임마" 라면서 결국 11회에 성동일을 재출연시켰다(...). 여담으로 이 때는 그나마 전성기 외모의 편린이나마 남아있던 시기였다.[7] 코리아게이트에서는 궁정동 안가 요리사로 나오나 제4공화국에서는 궁정동 안가 경비원으로 묘사된다.[8] 신재순심수봉은 실제로는 2살 차이이나, 여기서는 10살 차이가 나는 염정아권은아가 캐스팅되었다. 여담으로 권은아와 염정아는 중앙대학교 연극영화과 선후배간이기도 하다.[9] 출연 당시에는 본명(남지헌)으로 활동했다.[10] 성동일 김영인과 함께 1인 2역을 맡았다. 이분 외모는 몰라도 목소리는 그 당시 시청자들이 모를 리가 없는데...[11] 당시 손현주나이는 31세였는데, 나이가 50세의 장군 연기를 해 외적으로 어색하다는 평가를 받았다.그러나 제4공화국에서 당시 만 33세의 최민식이 56세의 김대중을 맡은 것에 묻혔다[12] 1981년에 로버트 레겟 전 하원의원과 결혼해 현재는 수지박 레겟으로 개명.[13] 코리아게이트 이전에 주연인 유인촌야망의 세월에 연인 역할로 함께 출연한 적이 있다.[14] 김영삼 전 대통령 전문배우로 제2공화국과 제3공화국에서 김영삼 배역을 맡은 적이 있는데, 어찌된 일인지 이 드라마에서는 김영삼 역을 고사했다.[15] 국무총리 공관 경비대장. 계급은 중령[16] 4회에 잠시 출연. 무명 시절의 보기 드문 모습.[17] 당시 김재규의 소속 제2연대 연대장. 계급은 중령[18] 예를 들어 심수봉은 당시 옅은 고동색 옷을 입고 있었는데 이 드라마에선 다른 옷을 입으며, 신재순이 노래부를 때 김재규가 고성을 내며 차지철에게 발포를 하면서 사건이 시작되는데 이 드라마에서는 신재순이 노래부르는 장면이 나오지 않는다.[19] 비슷하게도 제4공화국제5공화국과의 비교에서는 반대로 제4공화국이 사건을 잘 묘사하고 제5공화국이 연출로 승부를 본다는 평을 받는다.[20] 같은 장면을 다루었으며 미국 현지촬영분이 있는 영화 남산의 부장들도 프레이저 청문회장은 미국에서 찍지 않았다.[21] 제4공화국에서 김재규 역은 안경을 썼고, 촬영 당시 처음에 금테 안경을 쓰던 박근형(김재규 역)은 심수봉의 조언을 들은 뒤 검은 안경으로 바꿔 썼을 정도다.[22] 이후 장광은 후속작 삼김시대에서 전두환을 맡게 되고, 그 이후 전두환 전담 배우가 된다.[23] 실제로 전두환은 운동을 좋아해 현역 군인일 때는 물론 대통령 시절이나 퇴임 후 말년까지 군살이 없는 편이었다.[24] 이종찬은 생전 친일행적을 순순히 인정하고 공개적으로 반성하는 자세를 보였기 때문에 긍정적 이미지가 더 돋보이게 되었을 수도 있다.[25] 참고로 고 피디가 연출한 제2공화국에선 이종찬 역에 박근형이 캐스팅 되었는데, 이때는 박근형이 흰머리로 염색을 하고 출연했다. 박근형은 제3공화국에선 박종규, 코리아게이트와 경쟁관계였던 제4공화국에선 김재규로 캐스팅되었다. 제3공화국의 이종찬 역은 권성덕이 맡았다. 재미있는 것은 제2, 제3공화국의 박정희 역을 맡았던 이진수5.16 군사정변 당시 40대였던 박정희 보다는 나이가 들어보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젊게 보이도록 연출했어야 했다는 것도 특이점.[26] 이종찬이 1916년생, 박정희가 1917년생. 이종찬은 군복무 이후에도 정부의 여러 요직을 거쳐 유신정우회 회원을 역임했고, 10.26 사건 한참 뒤인 1983년에 사망했다.[27] 이쪽도 전두환이 1931년생 노태우가 1932년생으로 이종찬박정희처럼 1년 차이가 난다.[28] 6회의 마지막에는 약 10분 정도에 걸쳐 1993년 9월 국회 국방부 국정조사 장면을 보여준다. 여기서는 12.12 사태에 관련하여 실제 인물인 허삼수, 유학성, 황영시, 노재현, 장태완의 증언을 들어볼 수 있다. 쿠테타의 주요 인물들은 14년이 지난 그 때에도 정승화 총장의 연행을 합법이라고 우기며 주변을 분노하게 만들고, 장태완 장군은 여전히 전차반란군 놈들을 운운하는 포스를 보여주신다...[29] 이 때의 대 미국 로비가 바로 코리아게이트 사건이다. 더불어, 이때부터 MBC 제4공화국과 내용이 차별성을 띄게 된다.[30] 초반부는 아예 스토리가 똑같았다. 둘 다 10.26 사건 ~ 12.12 군사반란을 다루었기 때문이지만...[31] 특히 장태완역을 맡았던 김동현호연이 장안의 화제가 되어 두 사람이 만남을 가지기도 했다. 제4공화국의 장태완 역을 맡았던 이영후의 평은 좀 밀렸던 편.[32] 이 작품과 1996년 SBS 구정 특집 2부작 드라마 곰탕이 제 9회(1997년 3월 개최/1995년 후반기 ~ 1996년 내용)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 최종 후보에 거론되었으나 작가(박정란)가 심사위원으로 임명되었다는 이유 탓인지 탈락했고 결국 제 9회 한국방송작가상 드라마 부문은 수상작이 없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