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
르망 24시 엔트리 | ||||
9번 | | 11번 | [PRO/AM] | |
16번 | [PRO/AM] | 18번 | | |
22번 | | 23번 | [PRO/AM] | |
24번 | [PRO/AM] | 25번 | [PRO/AM] | |
28번 | | 29번 | [PRO/AM] | |
34번 | [PRO/AM] | 37번 | | |
43번 | | 45번 | [PRO/AM] | |
48번 | | 155번 | [PRO/AM] | |
199번 | [PRO/AM]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 <colbgcolor=#fff> 제조사/번호 | <colbgcolor=#fff> 차량 & 팀 / 드라이버 |
2025 시즌 엔트리 | ||||
10번 | | 21번 | | |
27번 | | 31번 | | |
33번 | | 46번 | | |
54번 | | 59번 | | |
60번 | | 61번 | | |
77번 | | 78번 | | |
81번 | | 85번 | | |
87번 | | 88번 | | |
92번 | | 95번 | | |
일부경기 엔트리 (르망 24시 포함) | ||||
13번 | | 57번 | | |
63번 | | 90번 | | |
150번 | | 193번 | | |
* 제조사, 차량 칸 모두가 회색인 차량은 르망 24시 한정 참가 차량이며 어떤 챔피언십 포인트도 획득할 수 없다. | ||||
| }}}}}}}}} |
2025 ELMS 참가 팀 및 드라이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LMP2 | ||||||
No. | 소속 | 섀시 | 클래스 | 성명 | |||
3 | | 오레카 07 | LMP2 Pro-Am | | |||
| |||||||
| |||||||
9 | | 오레카 07 | LMP2 | | |||
| |||||||
| |||||||
77 | | LMP2 Pro-Am | | ||||
| |||||||
| |||||||
10 | | 오레카 07 | LMP2 | | |||
| |||||||
| |||||||
18 | | 오레카 07 | LMP2 | | |||
| |||||||
| |||||||
28 | | LMP2 | | ||||
| |||||||
| |||||||
20 | | 오레카 07 | LMP2 Pro-Am | | |||
| |||||||
| |||||||
25 | | LMP2 | | ||||
| |||||||
| |||||||
21 | | 오레카 07 | LMP2 Pro-Am | | |||
| |||||||
| |||||||
22 | | LMP2 | | ||||
| |||||||
| |||||||
24 | | 오레카 07 | LMP2 | | |||
| |||||||
| |||||||
27 | | LMP2 Pro-Am | | ||||
| |||||||
| |||||||
29 | | 오레카 07 | LMP2 Pro-Am | | |||
| |||||||
| |||||||
48 | | LMP2 | | ||||
| |||||||
| |||||||
30 | 파일:2025 ELMS 오레카 30번.png | 오레카 07 | LMP2 | | |||
| |||||||
| |||||||
34 | | 오레카 07 | LMP2 | | |||
| |||||||
| |||||||
43 | | LMP2 | | ||||
| |||||||
| |||||||
37 | 파일:2025 ELMS 오레카 37번.png | 오레카 07 | LMP2 | | |||
| |||||||
| |||||||
47 | | LMP2 | | ||||
| |||||||
| |||||||
83 | | 오레카 07 | LMP2 Pro-Am | | |||
| |||||||
| |||||||
99 | | 오레카 07 | LMP2 Pro-Am | | |||
| |||||||
|
LMP3 | |||||||
No. | 소속 | 섀시 | 클래스 | 성명 | |||
4 | | 지네타 G61-LT-P3 EVO | LMP3 | | |||
| |||||||
| |||||||
8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
11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
12 | | 듀퀸 D09 | LMP3 | | |||
| |||||||
| |||||||
15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
17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
31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
35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
68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88 | | 리지에 JS P325 | LMP3 | | |||
| |||||||
|
LMGT3 | ||||||
No. | 소속 | 섀시 | 클래스 | 성명 | ||
23 | | 맥라렌 720S GT3 EVO | LMGT3 | | ||
| ||||||
| ||||||
50 |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51 |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55 |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57 |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59 | | 애스턴 마틴 밴티지 AMR GT3 EVO | LMGT3 | | ||
| ||||||
| ||||||
60 | | 포르쉐 911 GT3 R (992) | LMGT3 | | ||
| ||||||
| ||||||
63 | | 메르세데스-AMG GT3 EVO | LMGT3 | | ||
| ||||||
| ||||||
66 |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74 | 파일:2025 ELMS 케셀 레이싱 74번.png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82 | | 쉐보레 콜벳 Z06 GT3.R | LMGT3 | | ||
| ||||||
| ||||||
85 | | 포르쉐 911 GT3 R (992) | LMGT3 | | ||
| ||||||
| ||||||
86 | | 페라리 296 GT3 | LMGT3 | | ||
| ||||||
|
}}}}}}}}} ||
<nopad> | ||
WEC - TF 스포트 No.33 | ||
IMSA - 콜벳 레이싱 by PMM No.3 | ||
WEC - IDEC 스포트 No.18 | ||
ELMS - IDEC 스포트 No.18 | ||
다니엘 훈카데야 페레스살라 Daniel Juncadella Pérez-Sala | ||
국적 |
| |
생년월일 | 1991년 5월 7일 ([age(1991-05-07)]세) | |
출생지 | 스페인 바르셀로나 | |
챔피언십 타이틀 | 마카오 그랑프리 (2011) 마스터즈 오브 F3 (2012) F3 (2012) 포뮬러 3 유로 시리즈 (2012)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 (2022) GTWC 유럽 인듀어런스 컵 (2022) 미쉐린 인듀어런스 컵 (2023)GTD/Pro | |
소속팀 | WEC | TF 스포트 (2024~ )LMGT3 IDEC 스포트 (2025)LMP2[1] |
ELMS | IDEC 스포트 (2025~ )LMP2 | |
F1 | 윌리엄스 F1 팀 (2013)테스트 사하라 포스 인디아 F1 팀 (2014)리저브 애스턴 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 (2025~)시뮬레이터 |
1. 개요
스페인의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현재 WEC에 TF 스포트 소속으로 출전하고 있다.본명은 다니엘 훈카데야 페레스살라이며, 다니 훈카데야라는 이름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
2. 커리어
2.1. 카트
2004년부터 카트로 모터스포츠 커리어를 시작하여 코파 캄페오네스 트로피 주니어에서 21위를 차지했다. 또한 안드레아 마구티 트로피 ICA 주니어 클래스에서 32위를 차지했다.2.2. 마스터 주니어 포뮬러
2007년 마스터 주니어 포뮬러 시즌에 참가하며 포뮬러 레이싱 커리어를 시작했다. 그는 7승 359포인트로 아이작 로페스에게 9포인트 차로 패하며 챔피언십 준우승을 차지했다.2.3. 포뮬러 BMW
다음 시즌인 2007 포뮬러 BMW ADAC 시즌을 끝으로 6번의 레이스를 치른 훈카데야는 유로 인터내셔널의 2008년 포뮬러 BMW 유럽 시리즈에 출전했다. 그는 헝가로링에서 2번의 우승을 포함해 16번의 레이스에서 13점을 기록하며 순위 4위를 차지했다. 2009년에도 훈카데야는 유로 인터내셔널에 남아 시리즈에 참가했다. 그는 몬차 서킷에서 1승을 거두며 브라질 팀메이트인 펠리페 나스르에 이어 챔피언십 준우승을 차지했다. 훈카데야는 모든 레이스를 포인트로 완주했지만 레드불 주니어 팀의 지원을 유치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2.4. F3
훈카데야는 프로 로드 자전거 레이싱 팀 아스타나의 지원을 받아 프레마 파워팀의 니콜라스 마록과 함께 2010시즌 포뮬러 3 유로 시리즈에 진출했다. 서킷 폴 리카르에서 열린 첫 번째 대회에서 훈카데야는 첫 폴 포지션을 차지한 후 첫 레이스에서 4위를 차지했다.2.5. F1
그는 실버스톤에서 열린 영 드라이버 테스트에서 윌리엄스 F1과 함께 테스트를 진행하여 첫날 다섯 번째로 좋은 기록을 세웠다.2014년 1월 24일, 포스 인디아에 리저브 드라이버로 합류했다. 그는 금요일 연습 세션에 참가했다.
2.6. DTM
2013 시즌에 메르세데스와 함께 DTM에서 레이스를 펼쳤다. 뮈케 모터스포츠에서 세 시즌을 보낸 후 1년 동안 시리즈를 떠나 블랑팡 GT 시리즈 인듀어런스 컵과 스프린트 컵 챔피언십에서 AKA ASP 소속으로 출전했다. 훈카데야는 2018년 DTM에 복귀하여 브랜드 해치 우승을 포함해 폴 포지션 3개와 포디움 2개를 획득하며 순위 15위로 올라섰다. 이듬해 R-모터스포츠와 함께 애스턴 마틴 밴티지 DTM 프로젝트에 합류했으며, 전체 클래스에서 팀메이트 폴 디 레스타, 제이크 데니스, 페르디난트 합스부르크를 제치고 14위에 올랐다.2021년, GT3 규정에 따라 시리즈 첫 시즌 동안 GruppeM 레이싱의 메르세데스를 운전하기 위해 1년간 결장한 후 복귀했다.
2.7. GT 월드 챌린지 유럽
2022년 GT 월드 챌린지 유럽 인듀어런스 컵의 풀 시즌에 참가하여 팀메이트인 팩토리 드라이버 라파엘레 마르치엘로, 쥘 구농과 함께 아코디스 ASP 소속으로 출전했다. 이 세 선수는 스파 24시간에서 우승하며 한 해 내내 빛을 발했고, 바르셀로나 시즌 피날레에서 또 한 번 우승한 덕분에 인듀어런스 컵 우승을 차지했다.2022년에도 인터컨티넨탈 GT 챌린지의 레이스에 모두 출전하여 앞서 언급한 스파에서 우승한 우승에 인디애나폴리스에서 우승을 추가하고 배서스트 12시간에서 준우승을 차지하며 IGTC 드라이버 챔피언십에서 우승했다.
2.8. IMSA
2023 시즌 IMSA의 GTD/Pro 부문에서 웨더텍 레이싱 소속으로 출전하여 쥘 구농과 팀을 이뤘다. 마로 엥겔과 함께 내구 레이스에서 빛을 발하며 데이토나 24시간과 시즌 최종전인 쁘띠 르망 레이스에서 우승하며 미쉐린 인듀어런스 컵 우승에 기여했다.2.9. WEC
2.9.1. 2024 시즌
2024년부터 TF 스포트 소속으로 코이즈미 히로시, 세바스티앙 보와 함께 LMGT3 카테고리에 풀타임 출전을 하였다.2.9.2. 2025 시즌
2025 시즌에도 TF 스포트 소속으로 출전한다.2025년 3월 7일, 로건 사전트가 떠나 공석이 된 IDEC 스포트의 빈자리에 합류하여 르망 24시와 ELMS에 출전할 예정이다.#
2.9.3. 2026 시즌
2026시즌부터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 소속으로 출전할 예정이다. 콜벳 팩토리 드라이버로서의 직책은 어찌될지는 아직 미지수이다.2.10. 포뮬러 원
2024년 12월 9일, 2025년부터 애스턴 마틴 아람코 포뮬러 원 팀의 시뮬레이터 드라이버로 활동할 예정이다.#3. 여담
- 크로스 컨트리 스키, 파델 테니스, 골프, 음악, 외출 등의 취미를 즐기며, 가장 좋아하는 서킷은 2009년 포뮬러 BMW 유럽 시즌에 우승한 몬차 서킷이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드라이버는 미카 하키넨과 미하엘 슈마허이다.
- 1988년과 1989년 미나르디 F1 팀, 그리고 2012년 스페인 HRT F1의 팀 프린시펄을 지낸 루이스 페레스-살라의 조카이다.
- IDEC 스포트와 제네시스 마그마 레이싱에 로건 사전트의 빈자리를 대체하기 위해 합류하였다.#
[1] 르망 24시 한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