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블린-브레스트 작전 러시아어: Люблин-Брестская операция 독일어: Lublin-Brester Operation 영어: Lublin–Brest offensive | ||
제2차 세계 대전중 동부전선의 일부 바그라티온 작전의 일부 | ||
▲ 독소전쟁 개전 당시 국경[1]을 넘어 폴란드 서부로 진격하는 소련군 | ||
날짜 | ||
1944년 7월 18일 ~ 8월 2일 | ||
장소 | ||
소련 벨로루시 SSR 서부 나치 독일 폴란드 총독부[2] 동부 | ||
교전국 | [[틀:깃발| | ]][[틀:깃발| ]][[소련| ]]|
지휘관 | [[틀:깃발| (제1 벨로루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세묜 보그다노프| ]] (제2전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바실리 추이코프| ]] (제8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세르게이 루덴코| ]] (제16항공군 사령관) | ]][[틀:깃발|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틀:깃발| (중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발터 네링| ]] (제4기갑군 사령관) | ]][[틀:깃발| ]][[발터 모델| ]]
결과 | ||
소련군의 승리 | ||
영향 | ||
전력 | 병력 410,162명 야포 8,742문 전차/자주포 1,654대 항공기 1,465기 | 병력 84,175명 야포 1,530문 전차/돌격포 214대 |
피해 규모 |
[clearfix]
1. 개요
2. 전투 서열
2.1. 소련군[3]
- 제1 벨로루시 전선군 ( 사령관 : 콘스탄틴 로코솝스키 연방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후방지원부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돌파포병군단
- 제5근위박격포사단
- 제5돌파포병사단
- 제12돌파포병사단
- 제2근위대공포사단
- 제31대공포사단
- 제65대공포사단
- 제1대전차포여단
- 제4군단포병여단
- 제30근위포병여단
- 제32박격포여단
- 제41대전차포여단
- 제122고력곡사포여단
- 제124고력곡사포여단
- 제1근위차량화공병여단
- 제1돌격공병여단
- 제7교량여단
- 제35공병여단
}}} - 우익 그룹
- 야전군 직할
- 제1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근위돌격항공사단
- 제271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79전투항공사단
- 제283전투항공사단
- 제286전투항공사단
- 제299돌격항공사단
- 제300돌격항공사단
- 제19전투항공연대
- 제3돌격항공군단
- 제241돌격항공사단
- 제301돌격항공사단
- 제4돌격항공군단
- 제196돌격항공사단
- 제199돌격항공사단
- 제6전투항공군단
- 제234전투항공사단
- 제273전투항공사단
- 제6혼성항공군단
- 제132폭격항공사단
- 제221폭격항공사단
- 제282전투항공사단
- 제8전투항공군단
- 제215전투항공사단
- 제323전투항공사단
}}} - 좌익 그룹
- 좌익 예비 기동부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근위기병군단[5]
- 제14근위기병사단
- 제15근위기병사단
- 제16근위기병사단
- 제7근위대전차사단
- 제32전차연대
- 제57전차연대
- 제114전차연대
- 제1816자주포연대
- 제8근위전차군단[6]
- 제58근위전차여단
- 제59근위전차여단
- 제60근위전차여단
- 제28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62근위전차연대
- 제301근위자주포연대
- 제1817자주포연대
}}} - 제70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48포병여단
- 제48공병여단
- 제96소총군단
- 제38근위소총사단
- 제1소총사단
- 제114소총군단
- 제76근위소총사단
- 제160소총사단
}}} - 제47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28소총사단
- 제6돌파포병사단
- 제64대공포사단
- 제20대전차포여단
- 제68전차여단
- 제18공병여단
- 제230전차연대
- 제259전차연대
- 제298근위자주포연대
- 제1204자주포연대
- 제1295자주포연대
- 제1821자주포연대
- 제1892자주포연대
- 제77소총군단
- 제143소총사단
- 제185소총사단
- 제234소총사단
- 제125소총군단
- 제60소총사단
- 제76소총사단
- 제175소총사단
- 제129소총군단
- 제132소총사단
- 제165소총사단
- 제260소총사단
}}} - 크류코프 기병-기계화 그룹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근위기병군단
- 제3근위기병사단
- 제4근위기병사단
- 제17근위기병사단
- 제2근위대전차사단
- 제1459자주포연대
- 제11전차군단
- 제738대전차사단
- 제20전차여단
- 제36전차여단
- 제65전차여단
- 제12차량화소총여단
- 제50근위전차연대
- 제1461자주포연대
- 제1493자주포연대
}}} - 제8근위군 ( 사령관 : 바실리 추이코프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43근위포병여단
- 제64공병여단
- 제1061자주포연대
- 제1087자주포연대
- 제1200자주포연대
- 제4근위소총군단
- 제35근위소총사단
- 제47근위소총사단
- 제57근위소총사단
- 제28근위소총군단
- 제39근위소총사단
- 제79근위소총사단
- 제88근위소총사단
- 제29근위소총군단
- 제27근위소총사단
- 제74근위소총사단
- 제82근위소총사단
}}} - 제2전차군 ( 사령관 : 세묜 보그다노프 기갑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전차군단
- 제728대전차사단
- 제50전차여단
- 제51전차여단
- 제103전차여단
- 제57차량화소총여단
- 제1107자주포연대
- 제1219자주포연대
- 제16전차군단
- 제729대전차사단
- 제107전차여단
- 제109전차여단
- 제164전차여단
- 제15차량화소총여단
- 제6근위전차연대
- 제1239자주포연대
- 제1441자주포연대
- 제11근위전차여단
- 제69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대공포사단
- 제4근위대전차포여단
- 제8대전차포여단
- 제35근위박격포여단
- 제40대전차포여단
- 제62포병여단
- 제12자주포여단
- 제37공병여단
- 제41차량화공병여단
- 제1205자주포연대
- 제1206자주포연대
- 제1221자주포연대
- 제25소총군단
- 제77근위소총사단
- 제4소총사단
- 제41소총사단
- 제61소총군단
- 제134소총사단
- 제247소총사단
- 제274소총사단
- 제91소총군단
- 제117소총사단
- 제312소총사단
- 제370소총사단
}}} - 제6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근위돌격항공사단
- 제336전투항공사단
- 제242야간폭격항공사단
- 폴란드 제1군[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보병사단
- 제2보병사단
- 제3보병사단
- 제4보병사단
- 제1대공포사단
- 제1기병여단
- 제1포병여단
- 제2곡사포여단
- 제3곡사포여단
- 제4대전차포여단
- 제5포병여단
- 제1전차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전투항공연대
- 제2야간폭격항공연대
}}}
}}}
}}}
}}}
2.2. 독일군[8]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발터 모델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기갑군
- 제4군
- 제9군[9]
- 제2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52보안사단
- 헝가리 제5예비사단
- 헝가리 제23예비사단
- 헝가리 제1기병사단
- 제55군단
- Harteneck군단[10]
- 제23군단
- Stephan집단
- 제102보병사단
- 제292보병사단
- 제20군단
- 제203보안사단
- 제35보병사단
- 제7보병사단
- 제3기병여단
- E분견군단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사령관 : 요제프 하르페 상급대장[1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기갑군 ( 사령관 : 발터 네링 기갑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213보안사단
- 제253보병사단
- 제8군단
- 헝가리 제12예비사단
- 제211보병사단
- 제5엽병사단
- 제56기갑군단
- 제26보병사단
- 제342보병사단
- 제1스키사단
- 제42군단
- 제46기갑군단
}}} - 제1기갑군
- 헝가리 제1군
}}} - 제4항공함대[12]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루마니아 주둔 독일공군사령부
- 헝가리 주둔 독일공군사령부
- 제1항공군단
- 루마니아항공군단
- 제102헝가리항공사단
- 제5대공포사단
- 제9대공포사단
- 제15대공포사단
}}} - 제6항공함대[13] ( 사령관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항공군단
- 제8항공군단
- 제1대공포군단
- 제2대공포군단
- 제1항공사단
- 제4항공사단
- 제1항공여단
- 제6전투기여단
- 제25야전항공관구
- 제27야전항공관구
}}}
}}}
}}}
3. 전개
4. 결과
[1] 폴란드 분할선[2] 나치는 폴란드를 지우기 위해 정식 명칭은 그냥 총독부로 지었다.[3] 7월 1일 기준, 야전군의 순서는 북쪽부터[4] 북쪽에서 보브루이스크 작전에 참가한 후 상당수의 부대가 남쪽으로 이동[5] 제69군에 증원[6] 제2전차군에 증원[7] 예비 부대로 후방 대기, 휘하 부대는 전부 폴란드 부대이다.[8] 7월 15일 기준, 야전군과 군단 순서는 북쪽부터[9] 9군은 이 시점에서 괴멸된 상태였기 때문에 집단군 예비로 바르샤바 근방에서 재편중이었다.[10] 1945년 2월에 제1기병군단이 된다.[11] 공식적인 임명은 8월 16일이긴 한데 모델이 6월 28일부터 중부 집단군 사령관도 겸임하느라 4기갑군 사령관인 하르페가 대신 집단군을 지휘했고 4기갑군은 24기갑군단장이던 네링이 지휘하게 된다.[12] 남,북우크라이나 집단군 지원[13] 중부 집단군 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