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러시아어: Львовско-Сандомирская операция 독일어: Lwiw-Sandomierz-Operation 영어: Lvov–Sandomierz offensive | ||
제2차 세계 대전 중 동부전선의 일부 | ||
▲ 지도 중앙, 폴란드 서부로 진군하는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 ||
날짜 | ||
1944년 7월 13일 ~ 8월 29일 | ||
장소 | ||
폴란드 동부 | ||
교전국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체코슬로바키아| ]] 폴란드 국내군 | ]][[틀:깃발| ]][[소련| ]]헝가리 왕국 |
지휘관 | [[틀:깃발|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안드레이 그레치코| ]] (제1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키릴 모스칼렌코| ]] (제38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파벨 리발코| ]] (제3근위전차군 사령관) | ]][[틀:깃발| ]][[이반 코네프| ]][[틀:깃발|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에르하르트 라우스| ]] (제1기갑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 발터 네링 (제4기갑군 사령관) | ]][[틀:깃발| ]][[발터 모델| ]]
결과 | ||
소련의 승리 | ||
영향 | ||
소련군이 비스와 강까지 진출 소련군이 독일령 폴란드에 진입 독일 국방군이 우크라이나 SSR 서부에서 완전히 축출됨 | ||
전력 | [[틀:깃발|[1]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포 13,825문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전차/자주포 2,206대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항공기 2,800~3,250기 | ]][[틀:깃발| ]][[틀:깃발| ]] 군인 1,002,200명[[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포 6,300문[2]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전차/자주포 811대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항공기 약 1,000기[3] 군인 196,000명[4] | ]][[틀:깃발| ]][[틀:깃발| ]]군인 430,000명
피해 규모 |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부상 224,295명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포 1,832문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전차 및 자주포 1,269대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항공기 289기 | ]][[틀:깃발| ]][[틀:깃발| ]]전사/실종 65,001명[[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실종/포로 57,500명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부상 69,895명 [[틀:깃발| ]][[틀:깃발| ]][[틀:깃발| ]]전차/자주포 520대 | ]][[틀:깃발| ]][[틀:깃발| ]]전사 16,438명
[clearfix]
1. 개요
바그라티온 작전이 한창 진행되던 상황에서 소련군은 적의 예비 전력이 벨라루스로 빠져나가자 곧장 다음 계획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을 시작했다. 이 결과로 폴란드 남동부가 소련군에게 해방됐으며 소련군은 3년만에 독소 전쟁 개시선을 넘어 폴란드 서부로 진입했다.2. 1944년 여름의 남부 전선
2.1. 소련군
카렐리아 작전으로 레닌그라드 북쪽에서 핀란드를 몰아낸 소련군은 바그라티온 작전으로 벨라루스에서 독일 중부집단군을 괴멸시키고 발트해로 진군 중이었다. 이어서 우크라이나 서부와 폴란드 남동부에서 하계 공세의 3단계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이 시작됐다. 목표는 리보프의 탈환과 비스와강 서쪽, 산도미에시에 강 서안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공세를 담당할 코네프의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은 7개 제병협동군, 3개 전차군, 1개 항공군, 2개 기병-기계화 그룹, 제1체코슬로바키아 군단 휘하 80개 사단, 7개 전차군단, 3개 기계화 군단, 2개 기병군단을 보유 중이었다. 전력은 100만 명의 병력과 14,000문의 포, 2,000대의 전차 및 자주포, 3,000기의 항공기로 개전 이래 단일 전선군으로는 최강의 전력이었으며 공세 전면을 26km에 집중한 결과, 1km당 240문의 포를 투입할 수 있었다. 바그라티온 작전과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의 공세 구역을 비교해 볼 때 전역의 크기 대비 전력의 집중은 비슷한 수준이었다.2.2. 독일군
1944년 4월, 우크라이나에서의 소련군이 드디어 잠잠해지고 하계 공세가 어디로 올지 모르는 상황에서 독일군이 집중한 곳은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이었다. 1944년 6월 시점에서 독일군 완편 기갑사단들[5]은 서부전구(OB West, Heeresgruppe D)와 북우크라이나집단군 휘하 제4기갑군, 제1기갑군에 대부분 배속되어있었다. 모델 원수는 이 전력이면 소련군의 공세를 충분히 막을 수 있다고 장담했으나 소련군은 여기가 아니라 벨라루스에서 중부집단군을 괴멸시켜버렸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서 일단 급한 불을 꺼야 했으므로 기갑 예비를 포함한 6개 사단이 북쪽으로 차출됐고 남은 전력은 적의 공세를 막기에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었다. 공세 직전 독일군은 4개 기갑사단을 포함한 31개 독일 사단과 12개 헝가리 사단급 부대 휘하 430,000명의 병력과 6,300문의 포, 800대의 전차 및 자주포 그리고 4항공함대가 항공기 700기를 보유중이었으며 이후 8항공군단에서 300~400기의 항공기를 지원했다. 추가로 헝가리 제1군이 200,000명의 병력을 보유중이었다. 독일군은 적이 중부 집단군 배후로 진격하는 것을 막아야했으며 이는 동부 전선에서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에게 최우선적으로 전력을 배정한 이유기도 했다.3. 전투 서열
3.1. 소련군[6]
-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 ( 사령관 : 이반 코네프 소연방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체코슬로바키아군단
- 제1 체코슬로바키아 보병여단
- 제2 체코슬로바키아 공수여단
- 제3 체코슬로바키아 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전차여단
- 제3근위박격포군단
- 제29근위중전차연대
- 제2근위박격포사단
- 제3근위박격포사단
}}} - 제38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7소총군단
- 제121소총사단
- 제241소총사단
- 제101소총군단
- 제70근위소총사단
- 제211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1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7소총군단
- 제6근위소총사단
- 제112소총사단
- 제162소총사단
- 제24소총군단
- 제71소총사단
- 제287소총사단
- 제350소총사단
- 제102소총군단
- 제121근위소총사단
- 제117소총사단
- 제172소총사단
- 제18군[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1소총군단
- 제24소총사단
- 제226소총사단
- 제271소총사단
- 제17근위소총군단
- 제2근위공수사단
- 제8소총사단
- 제317소총사단
- 제95소총군단
- 제66근위소총사단
- 제138소총사단
- 제60군 ( 사령관 : 파벨 쿠로치킨 상장[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7돌파포병사단
- 제7돌파포병군단
- 제1근위포병사단
- 제15소총군단
- 제148소총사단
- 제322소총사단
- 제336소총사단
- 제23소총군단
- 제68근위소총사단
- 제99소총사단
- 제359소총사단
- 제28소총군단
- 제107근위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246소총사단
- 제106소총군단[9]
- 제100근위소총사단
- 제302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1근위군[10] ( 사령관 : 안드레이 그레치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근위중전차연대
- 제12근위중전차연대
- 제18근위소총군단
- 제151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237소총사단
- 제395소총사단
- 제30소총군단
- 제129근위소총사단
- 제30소총사단
- 제141소총사단
- 제47소총군단
- 제280소총사단
- 제309소총사단
- 제52소총군단
- 제183소총사단
- 제316소총사단
- 제74소총군단
- 제147소총사단
- 제155소총사단
- 제276소총사단
- 제107소총군단
- 제127소총사단
- 제167소총사단
- 제304소총사단
- 제4근위전차군단
- 제12근위전차여단
- 제13근위전차여단
- 제14근위전차여단
- 제3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3근위군 ( 사령관 : 바실리 고르도프 상장[11]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3돌파포병사단
- 제150전차여단
- 제21소총군단[12]
- 제81소총사단
- 제136소총사단
- 제253소총사단
- 제22소총군단
- 제58소총사단
- 제329소총사단
- 제389소총사단
- 제76소총군단
- 제106소총사단
- 제149소총사단
- 제181소총사단
- 제120소총군단
- 제197소총사단
- 제218소총사단
- 제273소총사단
- 제5근위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2근위소총군단
- 제13근위소총사단
- 제95근위소총사단
- 제97근위소총사단
- 제33근위소총군단
- 제9근위공수사단
- 제14근위소총사단
- 제78근위소총사단
- 제34근위소총군단
- 제15근위소총사단
- 제58근위소총사단
- 제118소총사단
- 제1근위전차군 ( 사령관 : 미하일 카투코프 전차병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64근위전차여단
- 제11근위중전차연대
- 제399근위자주포연대
- 제8근위기계화군단
- 제19근위기계화여단
- 제20근위기계화여단
- 제21근위기계화여단
- 제1근위전차여단
- 제11근위전차군단
- 제40근위전차여단
- 제44근위전차여단
- 제45근위전차여단
- 제27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3근위전차군 ( 사령관 : 파벨 리발코 전차병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91전차여단
- 제71근위중전차연대
- 제6근위전차군단
- 제51근위전차여단
- 제52근위전차여단
- 제53근위전차여단
- 제22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7근위전차군단[13]
- 제54근위전차여단
- 제55근위전차여단
- 제56근위전차여단
- 제23근위차량화소총여단
- 제9기계화군단
- 제69기계화소총여단
- 제70기계화소총여단
- 제71기계화소총여단
- 제4전차군 ( 사령관 : 드미트리 렐류센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93전차여단
- 제72근위중전차연대
- 제374근위중자주포연대
- 제6근위기계화군단
- 제16근위기계화여단
- 제17근위기계화여단
- 제49기계화소총여단
- 제10근위전차군단
- 제61근위전차여단
- 제62근위전차여단
- 제63근위전차여단
- 제29근위차량화소총여단
- 바라노프 기병-기계화 집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기병군단
- 제1근위기병사단
- 제2근위기병사단
- 제7근위기병사단
- 제25전차군단
- 제111전차여단
- 제162전차여단
- 제175전차여단
- 제20차량화소총여단
- 소콜로프 기병-기계화 집단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6근위기병군단
- 제8근위기병사단
- 제13근위기병사단
- 제8기병사단
- 제31전차군단
- 제100전차여단
- 제237전차여단
- 제242전차여단
- 제65차량화소총여단
- 제2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0근위돌격항공사단
- 제331전투항공사단
- 제208야간폭격항공사단
- 제4폭격항공군단
- 제202폭격항공사단
- 제219폭격항공사단
- 제321폭격항공사단
- 제5돌격항공군단
- 제4근위돌격항공사단
- 제264돌격항공사단
- 제8돌격항공군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5전투항공군단
- 제8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56전투항공사단
- 제10전투항공군단
- 제10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35전투항공사단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혼성항공군단
- 제5근위돌격항공사단
- 제6근위돌격항공사단
- 제11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근위폭격항공군단
- 제1근위폭격항공사단
- 제8근위폭격항공사단
- 제244폭격항공사단
- 제5돌격항공군단
- 제4근위돌격항공사단
- 제264돌격항공사단
- 제331전투항공사단
- 제7전투항공군단
- 제9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05전투항공사단
- 제304전투항공사단
}}}
}}}
}}}
}}}
}}}
}}}
}}}
}}}
}}}
}}}
}}}
}}}
}}}
}}}
}}}
3.2. 독일군[14]
- 북우크라이나 집단군 ( 사령관 : 발터 모델 원수[1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집단군 예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8포병사단
}}} - 제4기갑군 ( 사령관 : 발터 네링 기갑대장[16])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213보안사단
- 제253보병사단
- 제46기갑군단
- 제16기갑사단
- 제17기갑사단
- 제291보병사단
- 제340보병사단
- 제42군단
- 제214보병사단
- 제72보병사단
- 제88보병사단
- 제56기갑군단
- 제26보병사단
- 제342보병사단
- 제1스키엽병사단
- 제8군단
- 제5엽병사단
- 제211보병사단
- 헝가리 제12예비사단
- 라우스 군집단 ( 사령관 : 에르하르트 라우스 기갑대장[17]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군집단 예비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기갑척탄병사단
- 제14SS사단 "갈리치아"
}}} - 제1기갑군 ( 사령관 : 에르하르트 라우스 기갑대장[1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357보병사단
- 제13군단
- 제454보안사단
- 제361보안사단
- C 분견군단[19]
- 제183보병사단
- 제217보병사단
- 제339보병사단
- 제48기갑군단 ( 사령관 : 헤르만 발크 기갑대장[20] )
- 제349보병사단
- 제96보병사단
- 제359보병사단
- 제3기갑군단 ( 사령관 : 헤르만 브라이트 기갑대장 )
- 제1기갑사단
- 제8기갑사단
- 제24기갑군단
- 제100엽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제371보병사단
- 제254보병사단
- 제59군단
- 제208보병사단
- 제1보병사단
- 헝가리 제20보병사단
- 헝가리 제1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헝가리 제2기갑사단
- 헝가리 제2산악여단
- 헝가리 제19예비사단
- 제19SS 무장척탄병사단 "라트비아 2사단"
- 헝가리 제7군단
- 헝가리 제16보병사단
- 제68보병사단
- 제168보병사단
- 헝가리 제6군단
- 헝가리 제27경사단
- 헝가리 제1산악여단
- 헝가리 제11군단
- 제101엽병사단
- 헝가리 제24보병사단
- 헝가리 제25보병사단
- 헝가리 제18예비사단
- 제4항공함대 ( 사령관 : 오토 데슬로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항공군단
- 루마니아 제1항공군단
- 제5대공포사단
- 제9대공포사단
- 제15대공포사단
}}} - 제6항공함대[21] ( 사령관 : 로베르트 리터 폰 그라임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항공군단
- 제8항공군단
- 제1항공사단
- 제4항공사단
- 제1대공포군단
- 제2대공포군단
- 제1항공지구사령부[22]
- 제27야전항공지구사령부
}}}
}}}
}}}
}}}
}}}
}}}
4. 전개
소련군은 남북에서 각각의 공세로 작전을 시작했다. 주공은 북쪽의 리보프 공세(Львовское наступление)로 리보프와 폴란드 방면으로 이루어졌고 여기에 대부분의 전력이 집중되었다. 남쪽에서는 카르파티아 방면으로 스타니슬라프 공세(Станислав наступление)를 개시했다. 남쪽 방면의 부대들은 나중에 새로 편성된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에 배속되었다. 독일군은 집단군 사령관인 모델 원수가 6월 28일부터 중부집단군 사령관직을 겸하고 있었기 때문에 부사령관인 요제프 하르페 상급대장이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을 지휘했다. 4기갑군 역시 6월 28일까지는 하르페가 지휘중이었으나 집단군과 야전군을 동시에 지휘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했기에 24기갑군단장이었던 네링 기갑대장이 4기갑군 사령관 대리를 맡게 되었다.
4.1. 제2차 브로디 전투[23]
북쪽에서의 주공은 2군데에서 적을 돌파하여 브로디에서 적을 포위하는 것이 1차적 목표었다. 전선군 우익에서는 3군, 13군, 3근위군, 1근위전차군, 바라노프 기병-기계화 그룹이 루츠크-라바 루츠카야(Рава-Русская)[24] 축선을 따라 남서쪽으로 진격했고 좌익에서는 테르노필-리보프-프셰미실 방면으로 제3근위전차군, 제4전차군, 제38군, 제60군과 소콜로프 기병-기계화 그룹이 진격했다.7월 13일 공세가 시작됐고 우익에서 소련군은 12km의 전선에 적의 방어선을 돌파할 충격그룹인 14개 소총사단과 2개 기동군단, 2개 포병사단을 투입했다. 전선이 돌파되자 코네프는 16일부터 바라노프 기병-기계화그룹과 1근위전차군을 돌파구에 투입했다. 이곳을 담당한 것은 네링의 제4기갑군이었다. 네링은 예비인 16, 17기갑사단을 투입했다. 2개 기갑사단이 보유한 기갑차량은 43대뿐이었고 이들은 완강히 저항했지만 소련군을 막기엔 역부족이었다.
좌익에서도 동시에 공격을 시작했다. 여기서도 14km의 전선에 15개 소총사단, 2개 기동군단, 2개 포병사단으로 구성된 충격그룹을 투입했다. 이곳에서는 라우스의 제1기갑군이 북쪽에 비해 성공적으로 적을 막아섰다. C분견군단의 분전 속에 제38군과 60군 좀처럼 전선에 돌파구를 뚫지 못했다. 그렇지만 소련군의 전력은 너무 막강했다. 제349보병사단과 제357보병사단은 와해되어버렸고 소련군은 14일에 1,000대가 넘는 전차와 자주포로 구성된 기동 그룹을 콜토프 회랑[25]으로 투입했고 제1,8기갑사단이 어떻게든 막으려고 처절하게 저항했으나 밀려나버렸다.[26]
15일에는 제20기갑척탄병사단이 투입됐으나 소용없었고 16일부터 제3근위군과 제4전차군이 아직 위험한 돌파구를 따라 후방으로 진격했으며 17일에는 3근위전차군도 이 통로를 따라 진군하기 시작했다. 17일이 되자 브로디 양 옆에서 독일군의 전선은 완전히 돌파당했으며 18일에 북동쪽에서 진격한 바라노프 기병-기계화 집단과 남동쪽에서 진격해온 3근위전차군이 브러디 서쪽에서 만나면서 브로디에는 13군단과 소련군을 간신히 막고 있던 제14SS척탄병사단 "갈리치아"를 포함한 8개 사단[27] 약 45,000명이 갇혀버렸다. 제24기갑군단과 제48기갑군단은 남쪽에서 소련군의 좁은 돌파구를 막기 위해 노력했으나 소련군을 밀어낼 수가 없었다. 제48기갑군단은 돌파구를 막는데 실패하자 13군단의 포위망을 뚫기 위해 공세를 펼쳤으나 포위망이 너무 단단했고 결국 독일군은 제13군단을 포기할 수 밖에 없었다. 공군의 지원을 받은 제60군과 제38군에 의해 22일까지 포위망 내부의 저항은 분쇄됐다. 17,000명이 포로가 됐고 25,000명이 전사하거나 실종됐다.
포위망 안의 적을 소탕하는 와중에도 소련군은 계속 서쪽으로 진격했다. 7월 23일, 폴란드 국내군은 리보프에서 봉기를 일으켰고 같은날 바다노프 기병-기계화 그룹과 1근위전차군이 프셰미실[28]-리보프 도로를 차단하면서 리보프로 향하는 독일의 보급선을 끊어버렸다. 제60군과 제3근위전차군이 리보프에 접근했고 제1근위전차군과 제13군, 바다노프 기병-기계화 그룹이 북서쪽의 비스와 강에 다다르자 독일군은 리보프를 포기했다. 13군단이 분쇄되면서 제4기갑군과 제1기갑군 사이에는 100km에 이르는 돌파구가 뚫려버렸고 남북으로 분단된 독일군은 이 틈새를 예비로 있던 제17군으로 막게 된다. 7월 27일 소련군은 프셰미실과 리보프를 탈환하고 공세를 마무리지었다. 이제 독일군은 서부 우크라이나에서 완전히 축출됐다.
4.2. 카르파티아 공세
남쪽에서는 13일부터 1근위군과 18군이 8항공군의 지원을 받아 스타니스와프로 공세를 시작했다. 공세는 무난하게 성공했고 1기갑군은 서쪽으로 밀려났다. 27일에 소련군이 스타니스와프를 탈환하면서 마무리되었다. 이제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은 4기갑군이 폴란드로, 라우스 군집단의 1기갑군과 헝가리 1군이 카르파티아와 헝가리로 밀려나면서 또다시 남북으로 분할되었다. 이 빈 공간은 크리미아에서 탈출한 일부 병력을 근간으로 재편된 17군이 채우게 된다.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도 담당 구역이 넓어졌으므로 이 공세에 투입된 2개 제병협동군과 1개 항공군을 차출해 7월 30일에 새로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을 편성했다.4.3. 비스와강을 넘어서
1단계 공세가 생각보다 큰 성과를 거두자 소련군은 2단계 공세를 빠르게 시작했다. 산도미에시 공세(Сандомирское наступление)의 목적은 비스와 강 서안에 교두보를 확보하는 것이었다. 28일부터 소련군은 공세를 재개했다. 소련군은 곧바로 비스와 강에 도달했고 3근위군이 확보한 교두보는 독일군의 반격으로 밀려났지만 1근위전차군의 선도부대들과 13군의 차량화 부대들이 확보한 교두보는 강력했다. 교두보는 길이 30km 깊이 20km정도였다.소련군이 코벨과 루츠크에서 250km 서쪽의 비스와 강에 도달하는데는 2주 밖에 안 걸렸지만 이 작은 교두보를 놓고 한 달 동안 엄청난 격전이 이어졌다. 8월 1일, 남우크라이나 집단군에서 1개 기갑사단과 4개 보병사단을 증원받은 하르페는 교두보의 적을 몰아내기 위해 반격을 가했다. 3일간 치열한 전투가 이어졌지만 4일에 5근위군이 투입되면서 독일군은 격퇴됐다. 5일부터는 소련군이 1근위전차군, 3전차군을 남쪽으로 투입해 독일군을 밀어냈고 10일이 되자 교두보는 2배로 커졌다.
독일군도 5개 독일사단, 3개 헝가리사단, 6개 돌격포여단과 티거 2로 무장한 501중전차대대가 추가로 증원됐다. 하르페는 11일부터 공세를 재개했고 13일에는 티거2를 투입했다. 총 140대의 전차와 자주포, 20대의 티거2 중전차가 투입됐고 격전 속에 소련군의 6근위전차군단은 1개 전차여단규모로 줄어들었다.[29] 그럼에도 소련군은 티거2를 10대나 파괴하며 독일군을 막아냈다.
14일부터 소련군은 또다시 반격을 가했다. 16일부터 독일군의 공세 탄력이 약해지면서 8월 18일, 소련군은 산도미에시를 점령했고 독소전쟁 개전 당시 독소 국경을 넘어 독일령 폴란드 지역에 진입했다. 42군단은 잠시 포위됐지만 21일까지 구출됐고 교두보는 20일이 되자 80km가 됐고 공세 마무리 시점에서는 120km였다. 이후, 소련군의 공세가 마무리 된 뒤에도 연말까지 교두보를 놓고 계속 전투가 이어졌다. 독일군은 교두보의 적을 끝내 몰아내지 못했지만 소련군도 더 밀고 나아가진 못했다. 소련군의 관심은 이제 중부전선이 아니라 남부전선이었고 발칸반도로 눈을 돌렸다.
5. 결과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의 성공으로 7월 18일부터 로코솝스키의 제1벨라루스 전선군 좌익은 루블린-브레스트 작전을 시작했다. 소련군은 비아위스토크 공세와 발트해 공세를 통해 발트해와 동프로이센에 도달했고 이제 모든 전선에서 41년 당시의 국경에 도달했다.독일군은 아무리 타 지역으로 전력이 빠져나갔다지만 동부 전선에서 가장 강력한 기갑 전력을 보유중이던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이 완전히 밀려나면서 소련군의 서부 폴란드 진입을 막을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소련군의 주공은 다시 남쪽으로 내려갔으며 카르파티아 남쪽에서는 8월에 제2,3 우크라이나 전선군은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를 통해 루마니아를 추축국에서 탈퇴시키고 9월에는 부쿠레슈티-아라드 공세[30]를 통해 루마니아 전역에서 추축군을 몰아냈다. 10월부터 제2 우크라이나 전선군은 데브레첸 공세를 통해 헝가리에 진입했고 제3 우크라이나 전선군은 베오그라드 공세를 진행하여 유고슬라비아를 장악했다. 데브레첸 공세가 마무리되자 소련군은 부다페스트 공세를 개시하여 다음해 2월까지 헝가리를 점령했다.
소련군은 카르파티아로도 공격을 시작했다. 독일군은 소련군이 카르파티아를 넘을 수 없을 것이라 판단했으나 소련군은 9월과 10월 두달간 제1,4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를 통해 카르파티아를 넘기 시작했고 이어서 다음해 비스와-오데르 대공세가 진행되는 동시에 제2,4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서부 카르파티아 공세를 진행하여 카르파티아를 완전히 넘는데 성공했다.
[1] 전투병 843,772명[2] 야포 1,100문 및 박격포 5,200문[3] 4항공함대 700기와 6항공함대의 일부 300기[4] 전투에는 거의 휘말리지 않았다.[5] 타 집단군의 기갑사단들은 많아봐야 정수의 절반도 채우지 못한 상태였다.[6] 7월 1일 기준[7] 7월 30일에 신편된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에 배속[8] 데미얀스크 전투에서 북서 전선군 사령관이었으며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에서 제1우크라이나 전선군 부사령관이었다.[9] 7월 20일부터[10] 7월 30일에 신편된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에 배속[11] 칼라치 전투 당시 스탈린그라드 전선군 사령관[12] 7월 30일부터[13] 7월 20일부터[14] 7월 15일 기준[15] 8월 16일부터 요제프 하르페 상급대장[16] 8월 5일부터 헤르만 발크 기갑대장[17] 8월 15일부터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상급대장[18] 8월 15일부터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상급대장[19] 사단급 사령부가 군단을 지휘, 다만 소속 사단들의 전력이 약해진 상태이므로 분견군단의 규모는 강화된 사단 1개 정도이다.[20] 8월 5일부터 발터 네링 기갑대장, 네링은 작전이 끝나고 곧바로 다른 곳으로 이동했다가 종전 직전에 1기갑군 사령관이 된다.[21] 전선 인근 제8항공군단만 참여[22] 8월 8일부터[23] 제1차 브로디 전투는 브로디 전투 참고[24] 리보프에서 북서쪽으로 약 50km 떨어져있다.[25] 너비 4km, 길이 18km정도의 좁은 지역이었다.[26] 이 와중에 8기갑사단은 처음에 이상한 곳으로 가버리는 바람에 제1기갑사단과 제14SS척탄병사단만으로 반격을 가해야 했다.[27] 제13군단의 361보병사단, 454보안사단과 C 분견군단의 183, 217, 339보병사단[28] 리보프에서 서쪽으로 100km정도 떨어져있다.[29] 통상적으로 당시 1개 전차군단은 3개 전차여단과 1개 차량화소총여단으로 구성된다.[30] 루마니아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