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러시아어: Воронежско-Харьковская операция 독일어: Woronesch-Charkiwer Operation 영어: Voronezh–Kharkov offensive | ||
제2차 세계 대전중 동부전선의 일부 | ||
▲ 1943년 초반의 동부전선 | ||
날짜 | ||
1943년 1월 13일 ~ 3월 3일 | ||
장소 | ||
교전국 | [[틀:깃발| | ]][[틀:깃발| ]][[소련| ]]헝가리 왕국 |
지휘관 | [[틀:깃발| (보로네시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파벨 리발코| ]] (제3전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스테판 크라솝스키| ]] (제17항공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니칸드르 치비소프| ]] (제38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키릴 모스칼렌코| ]] (제40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이반 체르냐홉스키| ]] (제60군 사령관) | ]][[틀:깃발| ]][[필리프 골리코프| ]][[틀:깃발| (B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 (제4항공함대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한스 폰 살무트| ]] (제2군 사령관) 구스타프 야니 (헝가리 제2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이탈로 가리볼디| ]] (이탈리아 제8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 (제7군단 사령관) | ]][[틀:깃발|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
결과 | ||
소련군의 승리 소련군이 보로네시,쿠르스크,하리코프 탈환 헝가리군과 이탈리아군 괴멸 | ||
영향 | ||
추축군의 돈 강 전선 붕괴 독일 동맹국들이 동부전선에서 철수 독일군이 청색 상황 개시선보다 서쪽으로 밀려남 오룔에 독일군 돌출부 형성 | ||
전력 | 병력 명 | 병력 명 |
피해 규모 | 전사/실종 55,475명 부상 98,086명 |
[clearfix]
1. 개요
2. 1943년 겨울의 돈강 전선
3. 전투 서열
3.1. 소련군[1]
- 브랸스크 전선군 ( 사령관 : 막스 레이테르 중장[2]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3군
- 제1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8소총사단
- 제15소총사단
- 제74소총사단
- 제132소총사단
- 제143소총사단
- 제148소총사단
- 제307소총사단
- 제2전투기사단
- 제12포병사단
- 제1박격포여단
- 제118전차여단
- 제129전차여단
}}} - 제15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25돌격항공사단
- 제284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86전투항공연대
- 제778폭격항공연대
- 제876혼성항공연대
- 제877혼성항공연대
- 제879혼성항공연대
}}} - 제48군
}}} - 보로네시 전선군 ( 사령관 : 필리프 골리코프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7기병군단
- 제11기병사단
- 제83기병사단
- 제20소총사단
- 제7대전차사단
- 제18소총군단
- 제161소총사단
- 제219소총사단
- 제270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10전투기여단
- 제180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37소총사단
- 제104소총사단
- 제1전투기사단
- 제5대공포사단
- 제10포병사단
- 제129소총여단
- 제15근위박격포여단
- 제96전차여단
- 제150전차여단
- 제173전차여단
- 제201전차여단
- 제4광산여단
- 제60공병여단
}}} - 제2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05전투항공사단
- 제208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375혼성항공연대
- 제376혼성항공연대
- 제878혼성항공연대
}}} - 제3전차군 ( 사령관 : 파벨 리발코 소장[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48근위소총사단
- 제184소총사단
- 제179전차여단
- 제12전차군단
- 제30전차여단
- 제97전차여단
- 제106전차여단
- 제13차량화소총여단
- 제15전차군단
- 제88전차여단
- 제113전차여단
- 제195전차여단
- 제52차량화소총여단
- 제38군 ( 사령관 : 니칸드르 치비소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67소총사단
- 제237소총사단
- 제240소총사단
- 제248소총여단
- 제7전투기여단
}}} - 제40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소장[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5근위소총사단
- 제107소총사단
- 제141소총사단
- 제309소총사단
- 제253소총여단
- 제86전차여단
- 제116전차여단
- 제192전차여단
}}} - 제60군 ( 사령관 : 이반 체르냐홉스키 소장[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00소총사단
- 제121소총사단
- 제206소총사단
- 제232소총사단
- 제303소총사단
- 제8전투기여단
- 제14전투기여단
- 제16전투기여단
- 제14전차여단
- 제180전차여단
}}}
}}} - 남서 전선군 ( 사령관 : 니콜라이 바투틴 상장[6]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근위군
- 제3근위군
- 제5전차군
- 제5충격군
- 제6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27소총사단
- 제160소총사단
- 제8포병사단
- 제106소총여단
- 제115전차여단
- 제42특수공병여단
- 제82전차연대
- 제212전차연대
- 제15소총군단
- 제172소총사단
- 제267소총사단
- 제350소총사단
- 제17항공군 ( 사령관 : 스테판 크라솝스키 항공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21폭격항공사단
- 제262야간폭격항공사단
- 제282전투항공사단
- 제23혼성항공연대
- 제282혼성항공연대
- 제208돌격항공연대
- 제637돌격항공연대
- 제371경폭격기항공연대
- 제1혼성항공군단
- 제267돌격항공사단
- 제288전투항공사단
- 제3혼성항공군단
- 제202폭격항공사단
- 제290돌격항공사단
- 제207전투항공사단
}}}
}}}
}}}
}}}
3.2. 추축군
- B 집단군[7] ( 사령관 : 막시밀리안 폰 바익스 상급대장[8]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2군[9] ( 사령관 : 한스 폰 살무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5군단
- 제299보병사단
- 제45보병사단
- 제383보병사단
- 제88보병사단
- 제13군단
- 제82보병사단
- 제68보병사단
- 제340보병사단
- 제377보병사단
- 제7군단 ( 사령관 : 에른스트에버하르트 헬 포병대장 )
- 제57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제323보병사단
- 헝가리 제2군[10] ( 사령관 : 구스타프 야니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크라머 집단[11]
- 제168보병사단
- 헝가리 제1기갑사단
- 헝가리 제3군단
- 헝가리 제6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7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9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4군단
- 헝가리 제10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13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20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7군단
- 헝가리 제19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12경보병사단
- 헝가리 제23경보병사단
- 이탈리아 제8군[12] ( 사령관 : 이탈로 가리볼디 대장[13]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이탈리아 제2산악군단
- 이탈리아 제2산악사단
- 이탈리아 제3산악사단
- 이탈리아 제4산악사단
- 제24기갑군단
- 제27기갑사단
- 제385보병사단
- 제387보병사단
- 프레터-피코 분견군
}}} - 제4항공함대[14] ( 사령관 : 볼프람 폰 리히트호펜 상급대장[15]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돈 공군사령부[16]
- 코카서스 공군사령부[17]
- 제1항공군단[18]
- 제8항공군단
- 루마니아 항공군단
- 제1대공포군단[19]
- 제5대공포사단
- 흑해 항공여단
- 하리코프 항공관구
- 로스토프 항공관구
}}}
}}}
}}}
}}}
4. 전개
4.1. 오스트로고시스크-로로쉬 작전
4.2. 보로네시-카스토르노예 작전
4.3. 즈베즈다 작전[20]
5. 결과
[1] 1월 1일 기준[2] 1월 30일에 상장으로 진급[3] 1월 18일에 기갑중장으로 진급[4] 1월 19일에 중장으로 진급[5] 2월 14일에 중장으로 진급[6] 2월 13일에 대장으로 진급[7] 2월 9일에 전선에서 철수, 이탈리아 8군과 헝가리 2군은 본국으로 돌아갔고 2군은 중부 집단군, 란츠 분견군은 남부 집단군에 배속됐다.[8] 2월 1일에 원수로 진급[9] 1월 1일 기준[10] 1월 13일 기준[11] B집단군이 돈강 전역에서 보유한 유일한 예비 제대로 후방대기[12] 1월 13일 기준, 1월 31일에 해체[13] 이탈리아 왕국군의 계급 체제가 현재랑 좀 다르긴 한데 타국의 4성 장군과 비슷하다.[14] 1월 13일 기준[15] 2월 16일에 원수로 진급[16] 42년 8월 26일에 1항공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17일에 다시 1항공군단으로 개칭[17] 42년 11월 25일에 1대공포군단으로부터 창설됐고 2월 6일에 다시 1대공포군단으로 개칭[18] 2월 17일부터[19] 2월 6일부터[20] 하리코프 작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