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7-09 23:19:55

브랸스크 공세


제2차 세계 대전의 전투 목록 | 유럽/아프리카
{{{#!wiki style="color: #FFF; 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color: #1D1D1D; margin: -6px -1px -11px; font-size: 0.92em; letter-spacing: -0.8px; word-break: keep-all"
※문서가 생성된 전투만 기재
둘러보기 : 아시아 및 태평양 전선 전투목록
전투 이름 교전 국가 및 세력
<rowcolor=#FFF> 공격 측 방어 측
<nopad> 1939년
<colbgcolor=#b31c31> 폴란드 침공
베스테르플라테 전투
단치히 우체국 방어전
바르샤바 전투
비츠나 전투
브주라 전투
겨울전쟁
수오무살미 전투
콜라 전투
<nopad> 1940년
가짜 전쟁
노르웨이 침공
프랑스 침공
아라스 전차전
됭케르크 철수작전
이탈리아의 프랑스 침공
북아프리카 전역
몰타 항공전
칼라브리아 해전
영국 본토 항공전
독수리의 날
유고슬라비아 침공
그리스 침공
타란토 공습
<nopad> 1941년
마타판곶 해전
라인 연습 작전
크레타 섬 전투 파일:그리스 국기(1822-1978).svg 그리스 왕국
바르바로사 작전
브레스트 요새 방어전
발트해 전역
브로디 전투
비아위스토크-민스크 전투
계속전쟁
은색 여우 작전
뮌헨 작전
제1차 스몰렌스크 전투
우만 전투
모스크바 폭격
제1차 키예프 전투
페르시아 침공
레닌그라드 공방전
뱌지마-브랸스크 포위전
모스크바 공방전
툴라 전투
세바스토폴 공방전
로스토프 전투
알렉산드리아 습격
<nopad> 1942년
류반 공세
르제프 전투
데미얀스크 전투
영불 해협 돌파작전
마다가스카르 전투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
제2차 하리코프 공방전
류반 구원 작전
빌헬름 작전
프리데리쿠스 작전
청색 작전
보로네시 전투
엘 알라메인 전투
PQ-17 호송선단 전투
자이들리츠 작전
칼라치 전투
제1차 르제프-시쵸브카 공세
비르벨빈트 작전
디에프 상륙작전
스탈린그라드 전투
횃불 작전
튀니지 전투
천왕성 작전
벨리키예루키 전투
화성 작전
겨울폭풍 작전
바렌츠 해 해전
<nopad> 1943년
북캅카스 공세
콜초 작전
이스크라 작전
보로네시-하리코프 공세
스카쵸크 작전
제3차 하리코프 공방전
쿠르스크 전투
연합군의 시칠리아 침공
쿠투조프 작전
제1차 돈바스 공세
므가 공세
플로이에슈티 공습
제4차 하리코프 공방전
제2차 스몰렌스크 전투
브랸스크 공세
드네프르 강 전투
도데카니사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무솔리니 구출 작전
슈바인푸르트 공습
제2차 키예프 전투
드네프르-카르파티아 공세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노스케이프 해전
<nopad> 1944년
칼린코비치-모지리 공세
몬테카시노 전투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코르순-체르카시 포위전
안치오 상륙 작전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sv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나르바 전투
비텝스크 공세
논쟁 작전
로가체프-즐로빈 공세
카메네츠-포돌츠크 포위전
노르망디 상륙작전
빌레르보카쥬 전투
바그라티온 작전
레지차-드빈스크 공세
프스코프-오스트로프 공세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
루블린-브레스트 작전
타넨베르크 선 전투
바르샤바 봉기
타르투 공세
팔레즈 포위전
용기병 작전
도펠코프 작전
제2차 야시-키시네프 공세
슬로바키아 민족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슬로바키아 봉기군
동부 카르파티아 공세
발트해 공세
라플란드 전쟁
베오그라드 공세
휘르트겐 숲 전투
마켓 가든 작전
아헨 전투
판처파우스트 작전
굼비넨 작전
벌지 전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부다페스트 공방전 파일:헝가리 왕국 국기(1915-1918, 1919-1946).svg 헝가리 국민단결정부
<nopad> 1945년
보덴플라테 작전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동프로이센 공세
한니발 작전
하부 슐레지엔 공세
드레스덴 공습
남풍 작전
봄의 새싹 작전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연합군의 독일 본토 침공
텍셀 봉기
파일:Georgische_Legion.png 조지아 군단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저항군
삼란드 공세
베를린 공방전
오드자크 전투 파일:유고슬라비아 파르티잔 깃발.svg 유고슬라비아 연방 인민공화국
이터 성 전투 파일:슈츠슈타펠 깃발.svg 항전파 무장친위대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저항군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프랑스 VIP
프라하 봉기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 저항군
※시기 구분은 전투 및 교전 발생 일자 기준, 전투 기간은 개별 문서 확인
}}}}}}}}} ||

브랸스크 공세
영어: Bryansk Offenise
러시아어: Брянская операция[1]
제2차 세계 대전동부전선의 일부
파일:1943년 가을-겨울의 중부 전선.png
▲ 지도 우측 오룔 돌출부에서 하겐 방어선을 거쳐 소즈강의 판터 방어선까지 진격하는 소련군[2]
시기
1943년 8월 17일 ~ 10월 3일
장소
브랸스크 근방 독일군 하겐 방어선 일대
원인
브랸스크 탈환 시도
소련군의 독일 중부집단군과 남부집단군의 단절 시도
교전국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소련|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소련
]]
지휘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마르키안 포포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마르키안 포포프
]]
(브랸스크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
(제3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바그라먄|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바그라먄
]]
(제11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이반 페듀닌스키|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이반 페듀닌스키
]]
(제11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귄터 폰 클루게|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귄터 폰 클루게
]]
(중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발터 모델|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발터 모델
]]
(제9군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
(제12군단 사령관)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요하네스 프리스너|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요하네스 프리스너
]]
(제23군단 사령관)
결과
소련군의 승리
영향
독일 제9군이 판터-보탄 방어선으로 퇴각
독일군이 소즈강 동안지역 상실
전력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틀:깃발|
파일:소련 국기(1936-1955).svg
문서명
]] 브랸스크 전선군
병력 530,000명
[[틀:깃발|
파일:기.svg
기 명칭
]][[틀:깃발|
파일: 깃발.svg
깃발 명칭
]][[틀:깃발|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문서명
]] 9군
피해 규모 전사/실종 13,033명
부상 43,624명
전사 3,394명[3]
실종/포로 1,901명
부상 12,688명

1. 개요2. 전투 서열
2.1. 소련군2.2. 독일군
3. 하겐 방어선4. 브랸스크 탈환
4.1. 판터-보탄 방어선
5. 결과

[clearfix]

1. 개요

브랸스크 공세는 쿠투조프 작전에서 하겐 오룔 돌출부를 제거하고 하겐 방어선에 도달한 소련군이 독일군을 소즈강-드네프르강으로 이어지는 판터-보탄 방어선으로 밀어내는 여러 공세 중 하나[4]였으며 브랸스크 전선이 9군을 상대로 진행했다. 비록 독일군이 자발적으로 후퇴한 영향이 크긴 해도 소련군은 브랸스크를 탈환하고 소즈강(Sozh)[5]까지 광활한 지역을 탈환할 수 있었다.

2. 전투 서열

2.1. 소련군[6]

  • 브랸스크 전선군 ( 사령관 : 마르키안 포포프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전차군단
    • 제89전차여단
    • 제117전차여단
    • 제159전차여단
    • 제44차량화소총여단
    • 제1437자주포연대
  • 제2근위기병군단
    • 제3근위기병사단
    • 제4근위기병사단
    • 제20기병사단
    • 제1812자주포연대
  • 제2돌파포병군단
    • 제15돌파포병사단
    • 제20돌파포병사단
    • 제2근위박격포사단
  • 제8돌파포병군단
    • 제3돌파포병사단
    • 제6돌파포병사단
  • 제31근위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13대공포사단
  • 제14대공포사단
  • 제24대공포사단
  • 제44포병여단
  • 제12대전차포병여단
  • 제8근위박격포여단
  • 제13박격포여단
  • 제2돌격공병여단
  • 제8돌격공병여단
  • 제8특수공병여단
  • 제57공병여단
  • 제26근위전차연대
  • 제1444자주포연대
  • 제1535자주포연대
  • 제1539자주포연대
    }}}
  • 제4전차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545자주포연대
    • 제51오토바이연대
  • 제6근위기계화군단
    • 제16근위기계화여단
    • 제17근위기계화여단
    • 제49기계화여단
    • 제29전차연대
    • 제56전차연대
    • 제1근위자주포연대
  • 제30전차군단
    • 제197전차여단
    • 제243전차여단
    • 제244전차여단
    • 제30차량화소총여단
    • 제1621자주포연대

    }}}
  • 제3군 ( 사령관 : 알렉산드르 고르바토프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3근위전차연대
    • 제1538자주포연대
  • 제41소총군단
    • 제283소총사단
    • 제308소총사단
    • 제380소총사단
  • 제80소총군단
    • 제269소총사단
    • 제342소총사단
    • 제362소총사단

    }}}
  • 제11근위군 ( 사령관 : 이반 바그라먄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83근위소총사단
    • 제17대공포사단
    • 제10근위전차여단
    • 제2근위전차연대
    • 제1453자주포연대
    • 제1536자주포연대
  • 제8근위소총군단
    • 제5근위소총사단
    • 제26근위소총사단
    • 제84근위소총사단
  • 제16근위소총군단
    • 제1근위소총사단
    • 제11근위소총사단
  • 제36근위소총군단
    • 제16근위소총사단
    • 제18근위소총사단
    • 제217소총사단

    }}}
  • 제11군 ( 사령관 : 이반 페듀닌스키 중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69소총사단
    • 제31대공포사단
    • 제42전차연대
    • 제231전차연대
  • 제25소총군단
    • 제197소총사단
    • 제323소총사단
  • 제46소총군단
    • 제4소총사단
    • 제238소총사단
    • 제273소총사단
  • 제53소총군단
    • 제96소총사단
    • 제135소총사단
    • 제186소총사단
    • 제260소총사단

    }}}
  • 제50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7소총사단
  • 제108소총사단
  • 제110소총사단
  • 제324소총사단
  • 제413소총사단
  • 제29근위전차여단
  • 제10돌격공병여단
  • 제8근위전차연대
  • 제36전차연대
  • 제82전차연대
  • 제225전차연대
  • 제233전차연대
  • 제253전차연대
    }}}
  • 제63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5소총사단
  • 제41소총사단
  • 제129소총사단
  • 제250소총사단
  • 제287소총사단
  • 제348소총사단
  • 제397소총사단
  • 제28대공포사단
  • 제1901자주포연대
    }}}
  • 제15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113폭격항공사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25돌격항공사단
    • 제315전투항공사단
    • 제284야간폭격항공사단
    • 제313야간폭격항공사단
  • 제1근위전투항공군단
    • 제3근위전투항공사단
    • 제4근위전투항공사단
  • 제2전투항공사단
    • 제7근위전투항공사단
    • 제322전투항공사단
  • 제3돌격항공군단
    • 제307돌격항공사단
    • 제308돌격항공사단
  • 제11혼성항공군단
    • 제4전투항공연대
    • 제148전투항공연대
    • 제293전투항공연대
    • 제658돌격항공연대
    • 제724돌격항공연대

    }}}
    }}}

2.2. 독일군[7]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귄터 폰 클루게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9군 ( 사령관 : 발터 모델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707보병사단
  • 제12군단 ( 사령관 : 쿠르트 폰 티펠슈키르히 보병대장 )
    • 제20기갑척탄병사단
    • 제26보병사단
    • 제20기갑사단
    • 제5기갑사단
    • 제262보병사단
    • 제56보병사단
    • 제268보병사단
    • 제260보병사단
  • 그라이너 군단
    • 제14기갑척탄병사단
    • 제36보병사단
  • 제55군단
    • 제211보병사단
    • 제321보병사단
    • 제339보병사단
    • 제110보병사단
  • 제23군단 ( 사령관 : 요하네스 프리스너 보병대장 )
    • 제296보병사단
    • 제134보병사단
    • 제85보병사단
  • 제46기갑군단
    • 제129보병사단
    • 제253보병사단
    • 제299보병사단
    • 제383보병사단
  • 제35군단
    • 제216보병사단
    • 제292보병사단
    • 제72보병사단
    • 제45보병사단

    }}}
    }}}
  • 제6항공함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항공사단
  • 제4항공사단
  • 제27야전항공관구
  • 제12대공포사단
  • 제18대공포사단
  • 제10대공포여단
    }}}

3. 하겐 방어선

쿠투조프 작전으로 독일군이 오룔 돌출부를 포기하고 하겐 방어선으로 물러났다. 하겐 방어선은 지즈드라에서 솁스크까지 이어져 있었다. 방어선의 중간지점에 브랸스크가 있었는데 전방 방어선은 브랸스크에서 동쪽으로 불과 20km 떨어져 있었으며 2기갑군이 동부전선에서 철수하여 발칸반도로 이동하면서 2기갑군의 담당 구역은 9군이 담당하게 되었다.[8]

하겐 방어선을 돌파하여 브랸스크를 탈환하고 공세를 이어나갈 임무는 브랸스크 전선군에게 하달됐다. 브랸스크 전선군은 쿠투조프 작전이 끝나기도 전인 8월 17일부터 새로운 공세를 시작했으며 전선군 우익에서는 서부 전선군과 칼리닌 전선군이 8월 7일부터 수보로프 작전을 진행중이었고 전선군 좌익에서는 8월 23일까지 벨고로드-하리코프 공세[9]을 마무리한 보로네시 전선군과 스텝 전선군에 중부 전선군이 가세하여 체르니코프-폴타바 공세를 26일부터 시작했다. 그러나 브랸스크 전선군의 초기 공세는 9군의 강력한 저항에 막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26일에 중단됐다.

4. 브랸스크 탈환

브랸스크 전선군의 2차 공세는 9월 1일부터 다시 시작됐다. 이 시점에서는 남쪽에서의 공세들이 탄력을 받기 시작했기 때문에 포포프는 전선군 제일 좌익의 63군을 선두로 공세를 시작했다. 9군의 강력한 저항에도 불구하고 진격은 순조로운 편이었다. 특히, 9군 우익의 남부집단군은 정말 위태로운 상황이었다. 8월 4일부터 9월 8일까지 중부 집단군에서 남부 집단군으로 11개 사단[10]이 이동했지만 이걸로도 소련군의 진격을 막을 수가 없었다. 두 집단군을 연결하던 2군과 4기갑군의 연결은 이미 끊긴지 오래였고 독일군의 주의가 남쪽에 쏠리자 9월 7일부터 전선군 우익의 50군이 공세를 시작했다. 독일군 방어선은 무너졌고 소련군은 데스나 강에 도달하여 교두보를 확보하기 시작했다. 이어서 전선군 중앙의 3군과 11군도 공세를 이어나갔고 소련군은 9월 17일에 브랸스크를 탈환했다.

4.1. 판터-보탄 방어선

9월 8일부터 14일까지 중부 집단군은 남쪽으로 또다시 5개 사단[11]을 지원했지만 소련군을 막는 것은 불가능했고 4기갑군의 전선은 3개로 분할되어 버렸다. 4기갑군은 이 전선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보고했고 남부 집단군은 4기갑군 지원이 문제가 아니라 중부 집단군과의 연결조차도 유지하는 것이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클루게와 만슈타인은 당장 소즈강-드네프르강으로 이어지는 판터 방어선으로 물러나야한다고 주장했다.

4기갑군 전선이 붕괴되면서 2군 역시 계속 서쪽으로 물러나야했는데 그렇게 남겨진 구역은 9군이 고스란히 담당해야 했으며 북쪽의 4군 역시 소련군의 압박에 밀려나면서 9군의 전선은 또다시 돌출부가 되었고 브랸스크는 그 중에서도 가장 동쪽 지역 중 하나가 되었다. 9군은 비교적 성공적인 방어를 하고 있었으나 데스나 강 곳곳에서 소련군이 방어선을 돌파하기 시작하는 상황이었다. 무엇보다도 동부 전선 독일군 전체의 붕괴를 막기 위해 후퇴는 불가피했고 16일에 히틀러가 마침내 판터 방어선으로의 후퇴를 허가하면서 9군 역시 서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했다. 20일부터 브랸스크 전선군이 추격을 시작했으나 독일군은 10월 2일까지 계획대로 소즈강을 건너 방어선으로 물러났다. 소련군은 고멜 근처에 교두보를 확보한 것이 그나마 거둔 성과였다.

5. 결과

브랸스크 전선군의 공세는 강력한 전력을 보유중이던 9군의 전력이 타 전역으로 이동하기 힘들도록 만들었으며 이러한 영향으로 남쪽에서의 공세가 큰 성공을 거두자 소즈강까지 서쪽으로 약 250km 진격하는데 성공했다. 특히 동 시기 펼쳐지던 타 공세들이 엄청난 피해를 입으면서 진격한 것과 대비해보면 피해 역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었다.[12] 또한 브랸스크를 탈환하는데 성공하면서 브랸스크 전선군은 임무를 완수하고 해체됐다.

전선군 휘하의 3군, 11군, 50군 ,63군은 벨로루시 전선군으로, 4전차군은 스타브카 예비로 이동했으며 브랸스크 전선군 사령부는 발트 전선군으로 개칭됐다가 20일에 다시 제2 발트 전선군으로 바뀌면서 11근위군, 15항공군과 함께 북쪽으로 이동했다. 이후 제2 발트 전선군은 북서 전선군[13]과 제1 발트 전선군[14]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발트 전선군으로부터 3충격군, 남쪽에 있다가 잠시 예비로 빠져있던 6근위군, 북서 전선군으로부터 22군을 배속받게 된다.
[1] 브랸스크 작전[2] 지도 중앙의 1번 화살표를 따라 오룔 돌출부를 제거한 것은 쿠투조프 작전이고 이후 브랸스크 전선군이 2번 화살표를 따라 하겐 방어선을 돌파하여 브랸스크를 탈환하고 3번 화살표를 따라 후퇴한 독일군을 따라 소즈강의 판터 방어선까지 도달하는 과정이 브랸스크 공세다.[3] 독일 측 인명피해는 8월 21일부터 9월 30일까지 9군이 OKH에 보고한 수치[4] 나머지는 수보로프 작전[5] 드네프르 강과 데스나 강 사이에 있으며 드네프르 강에 훨씬 가깝다.[6] 9월 1일 기준[7] 9월 5일 기준[8] 돌출부를 포기하면서 전선이 짧아졌기 때문에 가능했다.[9] 루먄체프 작전[10] 2개 기갑사단, 2개 기갑척탄병사단, 7개 보병사단[11] 1개 기갑사단, 1개 기갑척탄병사단, 3개 보병사단[12] 다만 브랸스크 전선군이 직전에 진행한 쿠투조프 작전은 타 작전들과 마찬가지로 엄청난 손실이 발생했으며 브랸스크 공세는 독일군의 자발적 후퇴로 인해 피해가 적어진 것도 있다.[13] 11월 20일에 해체되고 휘하 부대들은 제2 발트 전선군과 스타브카 예비로 이동했다. 사령부는 후방에 잠시 빠져있다가 44년 2월에 제2 벨로루시 전선군 사령부가 되어 다시 남쪽으로 이동한다.[14] 10월 20일에 칼리닌 전선군에서 개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