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 러시아어: Моравско-Остравская наступательная операция 독일어: Mährisch-Ostrauer Operation 영어: Moravia–Ostrava offensive | ||
제2차 세계 대전중 동부전선의 일부 | ||
▲ 1945년 3월의 동부전선, 지도 중앙 하단에 공세 목적인 오스트라바(ostrava)가 위치해 있다. | ||
날짜 | ||
1945년 3월 10일 ~ 5월 5일 | ||
장소 | ||
나치 독일 주데텐란트 주 동부 보헤미아-모라바 보호령 동남부 슬로바키아 제1공화국 북부 | ||
교전국 | [[틀:깃발| | ]][[틀:깃발| ]][[소련| ]]|
지휘관 | [[틀:깃발|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안드레이 예료멘코|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안드레이 그레치코| ]] (제1근위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키릴 모스칼렌코| ]] (제38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파벨 쿠로치킨| ]] (제60군 사령관) | ]][[틀:깃발| ]][[이반 페트로프| ]][[틀:깃발| (중부 집단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 (제1기갑군 사령관) [[틀:깃발| ]][[틀:깃발| ]][[발터 네링| ]] (제1기갑군 사령관) | ]][[틀:깃발| ]][[페르디난트 쇠르너| ]]
결과 | ||
소련군의 승리 | ||
영향 | ||
소련군이 오스트라바를 해방 독일이 모라비아의 공업지대 상실 소련군이 중부 집단군을 상대로 한 마지막 공세 | ||
전력 | 병력 317,300명 야포 2,900문 전차/자주포 184대 항공기 416기 | 병력 150,000명 야포 1,500문 전차/돌격포 100대 항공기 120기 |
피해 규모 | 전사/실종 23,964명 부상 88.657명 | 전사 9,236명[1] 실종/포로 15,189명 부상 43,128명 |
[clearfix]
1. 개요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는 실질적으로 소련군이 중부 집단군을 상대로 한 최후의 전략적 공세였으며[2] 이 공세를 끝으로 중부 집단군은 한 때 소련을 멸망의 위기로 몰아넣었던 무적의 부대에서 그냥 잔존세력으로 전락하게 된다.[3] 공세 직전 상황을 보면 제1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슐레지엔을 차지하기 위해 진행한 두 공세가 슐레지엔 공업지대를 점령하는데 성공하긴 했어도 전략적으로는 측면 확보에 실패하면서 소련군은 더 남쪽으로 눈을 돌렸다. 이에 따라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이 전술적으로는 오스트라바 해방과 모라비아 공업지대 확보를 위해, 전략적으로는 베를린 공세를 위한 측면 확보를 위해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를 진행하게 된다.2. 전투 서열
2.1. 소련군
2.1.1. 1945년 3월 1일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 사령관 : 이반 페트로프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126경산악소총군단
- 제31산악소총여단
- 제32산악소총여단
- 제72산악소총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2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3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4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전차여단
- 제5근위기계화군단
- 제11근위박격포사단
- 제10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1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12근위기계화소총여단
- 제24전차여단
- 제379근위중자주포연대
- 제104근위중자주포연대
- 제1447자주포연대
- 제24돌파포병사단
- 제3군단포병여단
- 제3대전차포여단
- 제27근위박격포여단
- 제15돌격공병여단
- 제1근위중전차연대
}}} - 제1근위군 ( 사령관 : 안드레이 그레치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0소총사단
- 제25대공포사단
- 제24근위포병여단
- 제6공병여단
- 제6산악공병여단
- 제714자주포연대
- 제1498자주포연대
- 제3산악소총군단
- 제128근위산악소총사단
- 제242산악소총사단
- 제318산악소총사단
- 제11소총군단
- 제226소총사단
- 제237소총사단
- 제276소총사단
- 제107소총군단
- 제129근위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167소총사단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21폭격항공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혼성항공사단
- 제8돌격항공군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10전투항공군단
- 제10근위전투항공사단
- 제15근위전투항공사단
- 제18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소총사단
- 제146포병여단
- 제9공병여단
- 제108근위자주포연대
- 제17근위소총군단
- 제8소총사단
- 제138소총사단
- 제38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76대공포사단
- 제6대전차포여단
- 제135포병여단
- 제5근위전차여단
- 제31근위전차여단
- 제42근위중전차여단
- 제4산악공병여단
- 제39공병여단
- 제12근위중전차연대
- 제875자주포연대
- 제1511자주포연대
- 제1666자주포연대
- 제52소총군단
- 제121소총사단
- 제241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67소총군단
- 제81소총사단
- 제211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95소총군단
- 제2근위공수사단
- 제271소총사단
- 제351소총사단
- 제101소총군단
- 제70근위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183소총사단
- 제127경산악소총군단
- 제3산악소총여단
- 제69산악소총여단
- 제70산악소총여단
}}}
}}}
}}}
}}}
}}}
2.1.2. 1945년 5월 1일
- 제4 우크라이나 전선군 ( 사령관 : 안드레이 예료멘코 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전선군 직할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체코슬로바키아 제1군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2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3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4보병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전차여단
- 제27근위박격포여단
- 제1근위중전차연대
}}} - 제1근위군 ( 사령관 : 안드레이 그레치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37소총사단
- 제25대공포사단
- 제24근위포병여단
- 제6공병여단
- 제6산악공병여단
- 제714자주포연대
- 제1498자주포연대
- 제1666자주포연대
- 제67소총군단
- 제81소총사단
- 제211소총사단
- 제340소총사단
- 제95소총군단
- 제2근위공수사단
- 제351소총사단
- 제107소총군단
- 제129근위소총사단
- 제161소총사단
- 제167소총사단
- 제127경산악소총군단
- 제3산악소총여단
- 제69산악소총여단
- 제70산악소총여단
- 제8항공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21폭격항공사단
- 체코슬로바키아 제1혼성항공사단
- 제8돌격항공군단
- 제224돌격항공사단
- 제227돌격항공사단
- 제10전투항공군단
- 제10근위전투항공사단
- 제15근위전투항공사단
- 제18군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소총사단
- 제146포병여단
- 제9공병여단
- 제108근위자주포연대
- 제17근위소총군단
- 제8소총사단
- 제138소총사단
- 제38군 ( 사령관 : 키릴 모스칼렌코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24돌파포병사단
- 제76대공포사단
- 제3군단포병여단
- 제6대전차포여단
- 제135포병여단
- 제5근위전차여단
- 제42근위중전차여단
- 제4산악공병여단
- 제39공병여단
- 제12근위중전차연대
- 제875자주포연대
- 제1511자주포연대
- 제11소총군단
- 제30소총사단
- 제221소총사단
- 제276소총사단
- 제52소총군단
- 제121소총사단
- 제241소총사단
- 제305소총사단
- 제101소총군단
- 제70근위소총사단
- 제140소총사단
- 제183소총사단
- 제226소총사단
- 제126경산악소총군단
- 제31산악소총여단
- 제32산악소총여단
- 제72산악소총여단
- 제60군 ( 사령관 : 파벨 쿠로치킨 상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직할
- 제302소총사단
- 제13돌파포병사단
- 제43대공포사단
- 제18대전차포여단
- 제33포병여단
- 제48대전차포여단
- 제15돌격공병여단
- 제59공병여단
- 제1448자주포연대
- 제15소총군단
- 제9소총사단
- 제107소총사단
- 제336소총사단
- 제28소총군단
- 제100소총사단
- 제246소총사단
- 제106소총군단
- 제148소총사단
- 제304소총사단
- 제3산악소총군단
- 제128근위산악소총사단
- 제242산악소총사단
- 제318산악소총사단
- 제322소총사단
- 제31전차군단
- 제201근위박격포사단
- 제100전차여단
- 제237전차여단
- 제242전차여단
- 제65차량화소총여단
- 제367근위중자주포연대
- 제722자주포연대
- 제1444자주포연대
}}}
}}}
}}}
}}}
}}}
}}}
2.2. 독일군
2.2.1. 1945년 3월 1일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페르디난트 쇠르너 상급대장[4]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기갑군
- 제17군
- 제1기갑군 ( 사령관 : 고트하르트 하인리치 상급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154보병사단
- 제18SS의용기갑척탄병사단 '호르스트 베셀'
- 슐레지엔 수비대
- 제20SS무장척탄병사단 '에스토니아1'
- 제168보병사단
- 제9군단
- 제344보병사단
- 제371보병사단
- 제97엽병사단
- 제1스키사단
- 제59군단
- 제68보병사단
- 제75보병사단
- 제253보병사단
- 제544국민척탄병사단
- 제49산악군단
- 제78국민돌격사단
- 제4산악사단
- 제320국민척탄병사단
}}}
}}}
2.2.2. 1945년 5월 5일
- 중부 집단군 ( 사령관 : 페르디난트 쇠르너 원수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제4기갑군
- 제17군
- 제1기갑군 ( 사령관 : 발터 네링 기갑대장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야전군 예비
- 제8기갑사단
- 제371보병사단
- 제544국민척탄병사단
- 제320국민척탄병사단
- 제253보병사단
- 슐레지엔 수비대
- 제20SS무장척탄병사단 '에스토니아1'
- 제168보병사단
- 제9군단
- 기갑사단 '펠트헤른할레1'
- 제715보병사단
- 제10기갑척탄병사단
- 제59군단
- 기갑척탄병사단 '브란덴부르크'
- 제72군단
- 제254보병사단
- 제78국민돌격사단
- 제304보병사단
- 제49산악군단
- 제4산악사단
- 제3산악사단
- 제97엽병사단
- 제153척탄병사단
- 제76보병사단
- 제271국민척탄병사단
- 제24기갑군단
- 제15보병사단
- 제19기갑사단
- 제8엽병사단
- 제46국민척탄병사단
- 제711보병사단
- 제10공수사단
- 제6기갑사단
}}}
}}}
3. 전개
4. 결과
결과적으로 압도적인 전력 차이 덕분에 소련군이 승리하기는 했으나 독일군의 강력한 저항으로 전술적 목표 달성에만 2달이 걸렸으며 전략적 목표 달성에는 끝내 실패했다. 중부 집단군은 이 시점에서 본토를 방어중인 3개 집단군[5] 중 가장 약했음에도 가장 성공적인 방어전을 펼쳤으며 4기갑군,17군,1기갑군이 차례로 3개의 공세[6]를 그나마 방어하는데 성공하면서 소련군은 종전시까지 중부 집단군을 상대로 전략적 공세를 중단하게 된다. 또한 소련군은 앞에 말한 3개 공세를 진행했음에도 측면 확보라는 목적 달성에 끝끝내 실패했지만 이 공세를 마지막으로 마침내 카르파티아 산맥을 넘는데 성공했다.[1] 독일군의 기록은 4월 20일까지의 기록으로 이후의 시점에서는 OKH조직이 사실상 와해되어 집계된 기록이 없다.[2] 5월 6일부터 11일까지 진행한 프라하 공세도 있긴 한데 이건 사실상 전쟁이 이미 끝난 상태에서 연합군보다 프라하를 먼저 차지하기 위해 진행한 공세로 전황에는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공세였다.[3] 다만 바르바로사 작전에서의 중부 집단군은 이 시점에서 사령부는 북부 집단군이 되어 동프로이센에 갇혀있었고 휘하 부대들은 대부분 비스툴라 집단군에 소속되어 베를린을 방어하고 있었다.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에서의 중부 집단군은 북우크라이나 집단군이 개칭한 것으로 쿠르스크 전투 당시 남부 집단군의 북쪽 절반정도의 전력에 해당한다.[4] 4월 5일에 원수로 진급[5] 비스툴라,중부,남부[6] 하부 슐레지엔 공세, 상부 슐레지엔 공세, 모라바-오스트라바 공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