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9 03:59:06

무협물/용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무협물|무협물]]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무협 소설에 나오는 무공의 개별 목록}}}에 대한 내용은 [[무공/목록]]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공/목록#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무공/목록#|]]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무협 소설에 나오는 무공의 개별 목록: }}}[[무공/목록]]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공/목록#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무공/목록#|]]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무협 관련 용어 · 클리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fea,#000>무공무공/목록 (내공,심법,기타) · 틀:무공의 경지 · 점혈 (검기점혈 ·혈도) · 논검
세력틀:무림의 세력 · 정파 (구파일방 · 무림맹) · 사파 (사도련) · 마교 (천마신교) · 황실 (동창 · 금군) · 무림세가 · 신비세력 (암중세력)
기물분류:기보 · 분류:약(무협) (독약 · 분류:영약(무협)) · · #기타
상태깨달음 · 내상 · 동귀어진 · 심마 · 절맥증 · 주화입마 · 칠공분혈 · 환골탈태 · 회광반조
칭호분류:경지 · 분류:도사 · 분류:선인 · 분류:승려 · 협객 · 검귀 · 검마 · 검성 · 검선 · 검신 · 검왕 · 검존 · 검후 · 검황 · 도제 · 만병지왕 · 매화검수 · 장문인 · 사부 · 사형제 명칭 · 신투 ·영물 · 점소이 · 천마 (천마/웹소설) · 천하제일인 · 혈마 · 흑의인
기타무틀딱 · 분류:무협 용어 · 무협소설/용어
관련 틀: 무협 용어 · 분류:웹소설 장르 · 웹소설 매체 · 웹소설 용어 (헌터물 용어) · 한국의 장르 판타지 }}}}}}}}}

1. 주의사항2. 무공
2.1. 내가기공2.2. 외문기공
2.2.1. 격투술2.2.2. 무기술2.2.3. 보신경
2.3. 기타
3. 술법4. 기보
4.1. 검4.2. 희귀물질4.3. 영약4.4. 무형지독4.5. 기타 기보
5. 기보가 아닌 일반 물건
5.1. 약물5.2. 음식, 음료. 술5.3. 병장기
6. 세력 (문파)7. 무림 지명8. 종교9. 상상의 동물10. 별호, 호칭11. 질병, 부상, 장애12. 직업, 신분13. 주요 사건14. 기타 잡다한 클리셰15. 기타 참고 문서16. 오현리의 무협 용어 정의

1. 주의사항

이 문서에서는 무협 장르 창작물에서 자주 보이는 용어들을 정리합니다. 이 항목의 하위 항목이나 각종 용어들은 비교적 보편적인 수준에서 작성되었으며 개별적인 작품에서의 설정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2. 무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무공/목록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공/목록#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무공/목록#|]][[무공/목록#|]]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기공: 기운을 다루는 기술.

2.1. 내가기공

기운을 체내에 축적하고 순환시키고 성질을 바꾸고 뿜어내는 기술.

2.1.1. 내공심법

  • 내공심법 = 심법 = 심공 = 심결 = 기결
    • 기결 氣訣: 기운을 다루는 이론적 설명. 즉 심법.


2.1.2. 경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경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경지#|]][[경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3. 강기공

  • 강기공 罡氣功 / 剛氣功

    • 기운 그 자체를 무기로 만들어 다루는 기술.
  • 허공섭물: 기운을 조종해 물체를 움직이는 염동력.

2.2. 외문기공

  • 구결: 초식에 대한 이론적인 설명. 구전이나 글을 통해 전수된다. 초식은 보고 배낄 수 있더라도 그 원리를 설명하는 구결을 모르면 온전한 무공을 구사할 수 없다. 검법의 구결은 검결, 권법의 구결은 권결이라 한다.

2.2.1. 격투술

맨손 격투술만 지칭할 때 적수공권, 권각술 등으로도 부른다.

2.2.2. 무기술

  • 검법 / 검술
    • 검법의 방향, 정체성
      • 쾌검快劍: 빠른 공격으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검법.
        • 첨검尖劍: 펜싱처럼 찌르기 위주의 쾌검.
      • 변검變劍: 변화무쌍한 검로로 빈틈을 노리는 검법.
        • 환검幻劍 : 변화무쌍하며 내공으로 환영과 잔상까지 만들어내 상대를 혼란에 빠트리는 검법.
      • 유검柔劍: 상대의 공격을 흘려내는 부드러운 검법.
      • 강검强劍: 강한 힘으로 무거운 검을 휘두르는 검법.
      • 중검重劍: 무게중심을 이동시켜 파괴력을 늘리는 강검.
      • 패검覇劍: 단순하지만 강하고 빠른 연타로 상대를 몰아붙이는 검법. 강검 + 쾌검.
      • 절검絶劍: 상대의 공격 경로에 비집고 들어가 힘으로 끊어 버리는 강검 + 유검.
      • 둔검: 상대의 공격 경로를 예측하거나 유도해 상대보다 느리게 검을 휘둘러도 상대보다 더 먼저 베어내는 검법.
    • 검기
  • 도법
  • 창법 / 창술
  • 봉법 / 봉술
  • 암기술

2.2.3. 보신경

2.3. 기타

3. 술법

4. 기보


4.1.

4.2. 희귀물질

4.3. 영약

4.4. 무형지독

4.5. 기타 기보

5. 기보가 아닌 일반 물건

5.1. 약물

  • 금창약(金瘡藥): 칼에 찔린 상처에 바르는 약.
  • 산공독(散功毒): 내공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기혈을 막는 약.
  • 춘약(春藥): 미약
  • 몽환약(夢幻藥): 무인의 기감을 마비시키는 약.
  • 천리미향 - 향이 천리까지 이어지는 추적용 약물.
  • 산향수 - 향을 지워주는 약물.
  • 일독환 - 자결용 독단.
  • 화골산(化骨散): 사람의 뼈까지 녹이는 극독.
  • 학정홍(鶴頂紅): 학의 벼슬에서 추츨한 독.
  • 학령초(鶴靈草)

5.2. 음식, 음료. 술

  • 만두 / 딤섬
    • 빵만두, 밀만두, 만터우(饅頭·馒头): 만두 속이 없는 그냥 빵. 아무 객잔에서나 시킬 수 있는 싸구려 음식.
    • 왕만두, 포자만두, 바오쯔(包子): 만두 속을 가득 채운 커다란 만두.
    • 교자만두, 자오쯔(餃子·饺子): 얇은 만두피에 속을 채워서 만든 작은 만두.
    • 춘권
    • 슈마이, 시우마이·사오마이(燒賣·烧卖),

5.3. 병장기

6. 세력 (문파)

<keepall> {{{#!wiki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cdcdc, #fff 20% 80%, #dcdcdc); color: #000"
[[문파|
파일:20210614035618.png
무림의 세력
]]{{{#!wiki style="padding-top: 5px; min-height: calc(1.5em + 10px); border-top: 1px solid #ddd;"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table width=100%><colbgcolor=#010101><colcolor=#fff,#e0e0e0>정파
(무림맹)
<colbgcolor=#808080,#43454d><colcolor=#fff,#e0e0e0>무림세가남궁세가 · 모용세가 · 사천당가 · 제갈세가 · 하북팽가 / 황보세가 · 산동악가 · 진주언가
구파일방개방 · 소림사 · 무당파 · 아미파 · 화산파 · 곤륜파 · 종남파 · 공동파 · 점창파 · 청성파 · 해남파
정교전진교
기타모산파 · 형산파
사파
(사도련)
흑도녹림 · 장강수로채 · 하오문 · 살막
사교마교 (천마신교 · 천마) · 혈교 (혈마) · 배교 · 밀교 · 명교 · 일월신교
기타 세력황실동창 · 금군 (금의위)
새외무림남만 · 광풍사 · 북해빙궁 · 동영 · 해동 · 포달랍궁 · 뢰음사 · 장백파
기타표국 · 신비세력 (암중세력)
문파 · 틀:무협 용어 · 틀:무공의 경지 · 분류:무협 용어 · 무공/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문파#|]][[문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황실: 무협 소설에 등장하는 중화 황실. 주로 내시의 집단인 동창과 군사기관인 금군, 금군 산하 정보기관인 금의위로 나온다. 해당 집단들은 명나라 시대의 집단이다. 때문에 배경을 명나라로 잡거나 혹은 명나라를 모티브로 삼는 경우가 많다. 황실의 힘을 빌어 온갖 영약과 무학을 흡수한 황실 자체가 나오기도 한다.

7. 무림 지명

파일:무림지도.jpg
  • 무림(武林) = 강호(江湖)
    무공을 체득한 자들의 사회를 무림이라 한다.

7.1. 중원

중국 대륙.
  • 황하(黃河)
    과거에는 그냥 하(河)라 불렀다.
  • 하북
    황하의 북쪽에 위치.
  • 하남 / 허난성
    황하의 남쪽에 위치.
  • 숭산
    하남에 위치한 산. 중국 오악 중 중악을 담당한다.
  • 태항 산맥 / 타이항 산맥
    산서(산시성)와 산동(산둥성) 사이에 있는 산맥.
  • 산서 / 산시성
  • 항산
    산서에 있는 산. 중국 오악 중 서악을 담당한다.
  • 산동 / 산둥성
  • 태산 / 타이산
    산동에 있는 산. 중국 오악 중 동악을 담당한다.
  • 섬서 / 산시성
  • 화산
    섬서에 있는 산. 중국 오악 중 북악을 담당한다.
  • 동정호
    호남과 호북 사이에 있는 호수.
  • 호북
  • 형산
    호남에 위치한 산. 중국 오악 중 남악을 담당한다.
  • 회수(회하, 淮水)
    장강과 황하 사이를 잇는 강. 과거에는 그냥 수(水)라고 불렀다.


  • 흑룡강성
  • 길림
  • 녕하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섬서
  • 요녕
  • 사천
  • 중경
  • 안휘
  • 강소
  • 강서
  • 운남
  • 귀주
  • 광서
  • 광동
  • 복건
  • 절강

7.2. 새외무림

8. 종교

9. 상상의 동물

10. 별호, 호칭

  • 집단의 수장
    • 경주 京主: 경京이란 나라의 수도 혹은 수도만큼 중요한 도시를 의미하며 당연히 이곳의 주인은 최소 귀족이다.
    • 성주 城主: 성채의 주인. 왕족이나 장군이다.
    • 궁주 宮主: 궁宮이란 왕실의 영역을 의미한다. 왕족이 아닌데도 궁주를 자칭할 경우 관에 반하는 집단이거나 북해빙궁처럼 외국이다.
    • 전주 殿主: 전殿은 부처가 거주하는 장소를 의미하며 이곳의 주인은 당연히 종교인이다.
    • 맹주 盟主: 무림맹의 수장.
    • 련주 聯主: 연합이나 연맹의 수장. 대표적으로 사도련이 있다.
    • 문주 門主, 장문인 掌門人: 문파의 수장. 비교적 전통이 긴 문파에서 연배가 있는 수장을 장문인으로 칭하고, 신생 문파거나 젊은 수장에게 문주를 사용한다.
    • 방주 幫主, 회주 會主: 중국의 길드 개념인 방회의 수장. ~방 또는 ~회로 불리는 집단으로 개방이 대표적이다.
    • 채주 寨主: 녹림, 장강수로채 등 도적집단의 거주지를 ~채라고 부르는데 이곳의 수장이다. 집단 규모가 작으면 아지트도 1채 밖에 없어서 채주가 최고보스지만, 규모가 클 경우 아지트도 여러 채이기 때문에 채주는 중간보스에 불과하다.
    • 분타주 分陀主 / 지부장 支部長: 문파에서 핵심 지역은 본산, 본교, 본맹, 총타 등으로 부르며 밖에 출장나온 곳을 지부 혹은 분타라 한다. 이곳의 수장이 분타주 혹은 지부장.
    • 향주 香主: 향香은 원래 비밀결사를 의미하며 향주는 그들의 대표다. 보통 천하제일에 준하는 고수로 등장한다.
    • 부주 府主: 거대 세력의 대형 부서의 관리자. 감찰부, 순찰부 등이 있다.
    • 당주 堂主: 당堂을 관리하는 직책. 주로 무림맹처럼 거대 세력 산하의 주요 부서로 등장한다.
    • 당주 黨主: 홍건당, 황건당 등등 도적단이라 부르기엔 조직적이고 군단이라 부르기엔 양아치 같은 악역 집단을 이끄는 수장.
    • 원주 院主 / 원장 院長: 원院이란 한림원처럼 학문을 연구하는 장소다. 즉, 이곳의 수장인 원주 혹은 원장은 급이 높은 학사다.
    • 원주 園主: 원園은 정원, 도원 등을 뜻한다. 일반적인 정원은 잘 등장하지 않고 무릉도원처럼 특별한 정원의 주인으로 등장한다.
    • 장주 莊主: 장莊의 주인. 장은 전장이나 장원, 혹은 군소 문파 등을 의미한다. 장원의 주인은 보통 문주, 장문인, 가주 등 다른 칭호가 있는 경우가 많다.
    • 단주 壇主: 제단 단壇을 쓰기 때문에 마교 같은 종교 집단의 관리직을 의미한다.
    • 단주 團主 / 단장 團將: 사신단, 백호단, 현무단, 주작단 등등 ~단이라 하면 보통 나름 규모가 있는 집단이다. 아래로 부단주(부단장) 등이 있다.
    • 대주 隊主 / 대장 隊長: 단 아래의 부대를 이끄는 수장. 아래로 수석대주 / 부대주(부대장) 등이 있다.
    • 조장 組長: 조의 장. 아래로 부조장 등이 있다.
    • 각주 閣主 : 집단 혹은 하위 조직의 수장. 각閣은 해당 집단의 건축물을 뜻한다. 소림의 장경각주, 장서고의 장서각주처럼 대형 세력의 하위 부서로 등장하거나, 정보를 취급하는 단체처럼 독립적인 세력으로 등장하기도 한다.
    • 루주 樓主 : 누각의 수장. 대개 상업건물인 기루 혹은 다루의 성격이 강하나 살수 등의 세력명으로 등장하는 경우도 있다.
    • N인장: 부대의 대장. 오인장, 십인장, 백인장, 천인장 등이 있다.
  • 고수의 별호
    • 천하제일인: 사용하는 무기에 따라 천하제일검, 천하제일창, 천하제일권 등등 바리에이션이 있다.
    • 매화검수
    • 천외천
    • 후기지수
    • 용봉지회
      뛰어난 성적을 거둔 무림인들을 N용N봉이라 칭한다.
      • 용(龍): 용 용. 보통 남성 무림인에게 붙는 칭호로, 사용하는 무기와 무공, 외모, 복장 등 특징을 따서 무슨무슨 용이라 부른다. 용봉지회의 남성 우승자도 이 칭호를 받는다. 잠룡, 화룡, 청룡
      • 봉(鳳): 봉황 봉. 보통 여성 무림인에게 붙는 칭호로, 사용하는 무기와 무공, 외모, 복장 등 특징을 따서 무슨무슨 봉이라 부른다. 용봉지회의 여성 우승자도 이 칭호를 받는다.

11. 질병, 부상, 장애

12. 직업, 신분

  • 무림인 / 협객
  • 점소이: 점원. 하오문 및 흑점의 구성원으로도 등장한다.
  • 거지: 개방 소속.
  • 낭인: 떠돌이 무인.
  • 표국: 무장 운송업. 운송원들을 표사라고 한다.
  • 전장: 은행. 특정 전장에서 사용하는 신용거래 수표를 전표라고 한다.
  • 살수: 청부살인 집단. 대표적으로 살막이 있다.
  • 도적
  • 집단 내 신분
    • 총관: 총무.
    • 군사: 참모.
    • 총사: 총관 + 군사. 대부분 사파나 마교 계열에서 등장한다.
    • 봉공: 무림맹의 장로.
    • 도장: 도가문파의 수행자, 즉 도사. 나이가 어린 경우 소도장이라고 칭한다.
    • 호법: 대장급 호위무사. 대호법, 좌호법, 우호법 등이 있다.
    • 대사: 승려를 높이 이르는 말. 선사라고도 한다.
    • 방장대사: 소림사의 장문인.
    • 사태: 아미파의 장문인 혹은 지위가 높은 여승.
    • 장교진인: 무당파의 장문인.
    • 구결: 개방의 방주를 달리 이르는 말. 무공의 구결이 아니라 구(九)결이다.

13. 주요 사건

14. 기타 잡다한 클리셰

15. 기타 참고 문서

16. 오현리의 무협 용어 정의

오현리가 쓴 무협영화 해설서 『중국무협영화』(전2권, 한숲출판사, 2001)의 권말에는 대표적인 무협 용어의 해설이 꽤 길고 자세하게 붙어 있다. 그 해설은 오현리가 직접 썼는데, 해설보다는 각 항목당 제목에 붙어 있는 한줄정의가 더 훌륭하다.
  • 강호(江湖): 무인들의 사이버 스페이스
  • 정사(正邪): 무림의 선과 악
  • 방파(幇派): 무림의 구성 집단
  • 구파일방(九派一幇): 무림 대기업
  • 소림사(少林寺): 숲은 작아도 무예는 깊다.
  • 소화운수(燒火運水): 혹독하기 그지없는 무술 수련
  • 목인항(木人巷): 무승 자격시험
  • 남소림(南少林): 복건성에도 소림사가 있었다
  • 개방(丐幇): 거지들만 모여있는 집단, 실력자들이고 정보도 모음.
  • 신비문파(神秘門派): 베일 속의 조직
  • 변방세력(邊方勢力): 불법취업 외국인이라고?
  • 사제지간(師弟之間): 제발 거두어 주십시오!
  • 비인부전(非人不傳): 수양이 부족하면 전하지 않는다.
  • 포권지례(抱拳之禮): 해와 달을 손안에 담아.
  • 관부와 무림: 소 닭 보듯, 닭 소 보듯
  • 어전금의위(御殿錦衣衛): 비단옷의 보디가드
  • 표국(鏢局): 강호의 퀵 서비스.
  • 살수(殺手): 프로페셔널 킬러
  • 별호(別號): 무림 데뷔를 위한 예명
  • 공부(功夫[2]): 땀과 노력의 결실
  • 남권북퇴(南拳北腿): 남파는 주먹, 북파는 발
  • 초식(招式): 권법의 지도
  • 무기(武器): 손발의 연장
  • 십팔반병기(十八班兵器): 무술 콘테스트의 지정곡과 자유곡
  • 특수병기(特殊兵器): VIP가 쓸 만한 칼 있소?
  • 암기(暗器): 주로 암살자들이 사용하는 무기. 표창이나 단검 등을 던져서 공격한다.
  • 외공(外功): 육체의 단련
  • 내공(內功): 단전의 단련
  • 경락(經絡) 혈도(穴道): 기의 정거장
  • 경공(輕功): 이카루스의 꿈.
  • 철사장(鐵砂掌): 무적의 해머 핸드
  • 차력(借力): 신의 힘을 빌린다
  • 역용(易容): 부작용 없는 성형수술.
  • 어검술(御劍術/馭劍術): 리모트 콘트롤 검법
  • 전음입밀(傳音入密): 휴대폰이 필요 없다
  • 기관(機關) 진식(陣式): 무인 경비 시스템
  • 영약(靈藥) 독약(毒藥): 만병통치약
  • 미혼약(迷魂藥): 필로폰비아그라
  • 독고(毒蠱) 삼시(三屍): 작은 에일리언
  • 강시(僵屍): 되살아난 시체
  • 단전: 쌓아온 내기를 모아두는 곳. 배꼽 아래에 위치.
  • 무협지의 역사: 선진시대부터 명대까지
  • 민국(民國) 이후의 무협지: 무협지의 뉴 트렌드
  • 우리나라 무협지: 우리 것은 좋은 것이여


[1] 그런데 독공을 배운 사람에게는 독이 영약이나 다름없다.[2] 밑에 내공/외공을 참고하라. '工'이 아니고 '功'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