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0-29 11:45:17

장헌충

西
서 황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rowcolor=#FFFFFF> 초대 추존
장헌충 태조 고황제
<colbgcolor=#000> 명말청초 주요 세력
삼황오제 · · · · 춘추시대 · 전국시대 · 진(秦) ·
삼국시대 · 진(晉) · 오호십육국 · 북조 · 남조 · ·
오대십국 · · 서하 · · · · ·
중화민국 국가원수 · 중화민국 총통 · 중화인민공화국
}}}}}}}}}}}}}}}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fff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C420, #F0C420,#F0C420,#F0C420, #00386A, #00386A, #00386A, #00386A)"
{{{#!folding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 0.95em; letter-spacing: -0.35px"
명(明)
제13대
만력제
제14대
태창제
제15대
천계제
제16대
숭정제
틈왕 정권
초대
고영상
제2대
이자성
순(順) 서(西)
초대
이자성
제2대
이자경
임시
이과
초대
장헌충
명나라 부흥군
초대
홍광제
제2대
융무제
제3대
영력제
비정통 주이해 · 주형가 · 소무제 · 동무제 · 정무제
동녕국(東寧國)
초대
조무왕
제2대
조문왕
제3대
조왕
삼번(三藩)
오주(吳周) 평남왕(平南王) 정남왕(靖南王)
초대
태조 고황제
제2대
오세번
초대
상지신
제2대
경정충
후금(後金) → 청(淸)
초대
천명제
제2대
숭덕제
제3대
순치제
제4대
강희제
}}}}}}}}}}}}}}}

대서의 진왕(秦王)
건국 초대 장헌충 칭제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81818,#e5e5e5
반란 지도자 | 할거정권 군주
팽옥림 전구성 진감호 황소양 주고후
등무칠 등백손 왕빈 이진 유통
이첨보 조탁 승성오 전빈 채백관
이진 만사 이원 남연서 언본서
요혜 조보 단창 전빈 장련
채백관 양응룡 보바이 이신 이문
사숭명 만사덕 서홍유 유영명 장유원
탁선령 장응금 무자강 장일천 장반자
구정문 형홍랑 대천왕 왕가륜 고영상
장보미 이자성 장헌충 유수분 진상행
궁문채 마상
명 황제 }}}}}}}}}}}}


}}} ||
대서 초대 황제
張獻忠 | 장헌충
후대에 만들어진 장헌충의 상.
<colbgcolor=#000000> 묘호 없음
시호 없음
성씨 장(張)
헌충(獻忠)
자 / 호 병충(秉忠) / 경헌(敬軒)
부친 장씨(張氏)
모친 불명
정실 진씨(陳氏)
출생 1606년 9월 18일
섬서성 연안부 정변현 유수간보
(現 산시성 위린시 딩볜현 하오탄진 류취촌)
사망 1647년 1월 2일 (향년 40세)
사천성 순경부 서충현 봉황산
(現 쓰촨성 난충시 시충현 둬푸진 펑황산)
재위 1644년 2월 9일 ~ 1646년 12월 20일
별칭 황호(黃虎)

1. 개요2. 생애3. 사천 대학살
3.1. 학살에 대한 의문 제기3.2. 영향
4. 사천지방 장헌충 전설
4.1. 장헌충의 출생과 어린시절 전설4.2. 은혜를 갚은 장헌충 전설4.3. 주민보호와 권선징악 전설
4.3.1. 마장각 처단4.3.2. 부자 처단
4.4. 가짜 장헌충을 죽이다4.5. 가짜 내강왕 전설4.6. 장헌충의 전쟁 전설4.7. 부군채 함락과 삼이패왕(三李覇王)과의 대결4.8. 신사 계층을 포섭하려 한 장헌충4.9. 재동현의 장헌충 숭배4.10. 타파된 장헌충 신앙4.11. 정리4.12. 기타
5. 유물의 발굴6. 대중매체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중국 명나라 말기의 민란 지도자이자 대서(大西)의 유일한 황제로 이자성의 세력과 쌍벽을 이뤘다. 한자로는 張獻忠, 표준중국어 발음으로는 장셴중 (Zhang Xianzhong[1], Chang Hsien-chung[2])

도교의 신이자 원나라 황실에게도 숭배받은 문창제군의 후예를 자처했으며 그를 태조(太祖)로 추존하기도 했다.

2. 생애

1606년 9월 18일 섬서성 연안부(延安府) 정변현(定邊縣) 유수간보(柳樹澗堡)[3]의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일찍이 아버지와 함께 대추를 판매하는 작은 장사를 했다. 어려서 독학하다가 입대해 연안부의 포졸이 되었으나 모종의 일에 연루되어 파면당했다. 이후 연수진(延綏鎭)[4]에 들어가 국경을 지키는 병졸이 되었다가 범죄를 저질러 참수형에 처해질 뻔 했으나, 당시 주장(主將)이었던 진홍범(陳洪範)이 장헌충의 용모를 보고는 기이하게 생각하고는 당시 총병으로 있던 왕위(王威)에게 호소해 죽음만은 면하고 곤장 100대를 맞은 뒤 군대에서 쫓겨났다.

1630년에는 고향 유수간보에서 18개 마을의 농민들을 끌어 모아서 반란군을 일으키고, 왕가윤(王嘉胤) 등이 일으킨 반란에 호응하기로 했다. 그리고 스스로를 팔대왕(八大王)이라고 칭했다. 1631년 왕가윤이 부하 장립위(張立位)·왕국충(王國忠) 등에게 살해당한 뒤에는 왕자용(王自用)의 휘하에 들어가 그의 36영(營) 중 한 영을 이뤘다. 이후 섬서성·산서성·하남성·안휘성·호북성·사천성 등지를 전전하며 전공을 세웠다. 1633년 겨울에는 황하를 건너 남하하여 고영상(高迎祥)에 휘하에 들어갔고, 고영상이 이끄는 13가 중 하나가 되었다.

1634년에는 사천성으로 들어가 기주부(夔州府)[5]를 공격해 함락하고, 태평현(太平縣)[6]으로 진군해 포위하는데 성공했다. 그러나 곧 진양옥 총병이 이끄는 백간병(白杆兵)을 만나 접전했으나 패배하고 호광(湖廣)으로 도주했다. 1635년에는 하남성에서 관군을 맞아 고전하다가 가까스로 포위망을 뚫었고, 여령부(汝寧府) 고시현(固始縣)[7]봉양부(鳳陽府) 태주(泰州) 곽구현(霍丘縣)[8] 등을 연이어 격파했다.

이후 화북지방의 봉양부를 포위해 반나절만에 봉양부를 지키던 관군 2만명을 모조리 섬멸했고, 주국정(朱國正) 등의 장수들을 사살하는가 하면, 지부(知府) 안용훤(顔容暄)을 포로로 잡은 뒤 백성들의 앞에서 그의 죄상을 낱낱이 알린 뒤 처형했다. 그리고 전리품과 창고에 있던 식량들을 모두 봉양부에 살던 가난한 농민들에게 나눠 주었고, 봉양부와 근처 네 개 향(鄕)의 백성들을 소집해 황릉 주변에 심어 놓은 소나무·잣나무 수십만 그루를 모두 베어 버리게 했고, 또한 주변의 건축물들과 주원장이 출가해 승려로 생활하던 용흥사(龍興寺) 등을 철거하도록 했다. 이어 명나라 황제들의 선조 무덤들을 파헤치고 봉양부에 살던 부자들을 모조리 끌어내 살해했다.

이후 계속 남하하여 여주부(廬州府)[9]안경부(安慶府)[10], 화주(和州)[11], 저주(滁州)[12]를 격파해 함락하고 장강을 따라 인근 고을들을 모두 조리돌린 뒤 의진현(儀眞縣)[13]에 도착했다. 이후 군대를 돌려 서쪽을 향해 영산현(英山縣)[14]과 여주부 곽산현(霍山縣)[15]을 거쳐 호광 마성현(麻城縣)[16]를 점령하고 장순주(長順州)로 개칭했다. 이어 호북성에서 하남성을 거쳐 다시 관중 지방으로 복귀했다. 이때 병부상서 홍승주가 이끄는 관군을 만나 몇 차례 전투를 벌였고, 애만년(艾萬年)·조문조(曹文詔) 등 홍승주 휘하 장수들을 사로잡아 참살하는 등 전과를 올렸다.

1636년 초에 이르러 장헌충의 휘하 장병들은 수십만 명에 이르렀다. 그해 9월 고영상이 관군에 포로로 붙잡힌 뒤 능지처사당했다. 이후 이자성이 동관현(潼關縣)[17] 서부 지역에서 전투를 벌이자 장헌충은 동관현 동쪽 지역의 관군들을 주요 공격 목표로 삼고, 섬서성, 하남성, 안휘성을 전전하며 수 차례 관군에 맞서 승리를 거뒀다. 하남을 공격할 때 개봉부(開封府) 허주(許州)[18]를 점령하고 좌량옥(左良玉)의 형을 죽였다. 이듬해인 1637년 3월에는 안경부에서 관군과 격전 중에 반가대(潘可大) 등 명나라 장수를 쏘아 죽였다.

1640년에는 포위망을 피해서 사천으로 후퇴하고, 1644년 쓰촨(사천)을 근거지로 대서(大西)국을 세워 황제가 되었지만 1647년 1월 2일 사천성 순경부(順慶府) 서충현(西充縣) 봉황산(鳳凰山)[19]에서 청나라 화석숙친왕(和碩肅親王) 아이신기오로 호오거의 화살에 맞아 전사하였다.

장헌충은 아들이 없었기 때문에 4명의 부하들인 손가망(孫可望 ?~1660년), 이정국(李定國 1621~1665년), 유문수(劉文秀 ?~1658년), 애능기(艾能奇 ?~1647년)을 양자로 들여 자신의 성씨도 주었다. 이 넷은 장헌충 사후 손가망을 필두로 운남과 귀주로 근거지를 옮겼고 애능기가 일찍 죽은 이후 남명 정권에 투항하여 청나라에 맞서 싸우다 죽었다.[20]

3. 사천 대학살

도촉()이라고도 한다. 청군이 이자성을 격파하고 근거지인 사천을 압박해오자 사천 지방에서 그야말로 중국 역사상 유례를 찾아볼 수 없는 대 살인극을 벌여 중국 역사상 가장 엽기적인 살인마로 기록된다.[21]

이때의 학살이 워낙 심하여 많은 수의 사람들이 죽었고 이 줄어든 인구를 벌충하기 위해 청나라 때 후베이성, 광둥성 등 다른 성에 거주하던 사람들을 이주시켰다. 그 결과 기존에 파촉 지역에서 쓰이던 언어(일명 파촉어)가 절멸하였고 사천성은 분지로 둘러싸인 고립된 지형임에도 불구하고 관화(만다린)를 쓰는 지역이 되었다는 주장이 있다.

장헌충을 섬겼으며 대서 정권의 붕괴까지 모두 목격했던 포르투갈 출신의 예수회 선교사 가브리엘 드 마갈량이스(Gabriel de Magalhāes, 중국명 안문사安文思)가 로마 교황청에 보낸 1647년 5월 18일자 『사천 성과 그리스도 교회의 파괴와 손실에 대하여, 그리고 그 땅에서 루이스 브리오와 가브리엘 데 마갈량이스가 연금의 신세가 된 것에 대한 보고서』에 따르면[22] 증거도 존재하므로 아직 장헌충이 누명을 썼다는 주장을 완전히 정설로 받아들이기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물론 이 사료를 그대로 받아들인다고 해도 장헌충이 사천의 성도인 성도에서 대량학살을 저지른건 맞지만 다른 지역에서도 이 정도의 대량학살을 저질렀는지는 조사가 더 필요할 것이다.

다음은 번역된 사료다.
폭군(장헌충)은 곧바로 그 크고 인구도 많은 도시(성도)를 원주민이 없는 무인지경의 고립 상태로 바꿔버렸다. 주변을 감싸고 돌던 강은 붉게 물들어 마치 물이 아니라 피 같았다. 게다가 시체로 가득 차서 바다까지 흘러들어, 아주 수량이 많은 강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며칠 동안 항해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강에 인접한 도시와 마을은 이런 잔학함에 겁을 먹었고 그 이유를 이해하지 못했다.
(...)
주목할 것은 이 폭군이 관리 및 이들에 관한 다양한 사항과, 생원 칭호에 관한 모든 사항에 대해 갖고 있던 증오이다. 이 계모와 같은 사악한 마음을 채우기 위해 그는 공적인 포고에 따라 다음과 같이 명령했다. "대대적으로 과거를 열어 그의 궁궐과 왕국을 맡을 사람들을 뽑고 싶으니, 과거를 준비하는 자이거나 이미 관직을 맡고 있는 자이거나 관계없이 모든 거인(擧人)과 모든 생원은 수도의 궁정으로 와야 한다." 이 사람들은 이에 매혹되었고, 관리의 명예에 대한 탐욕 때문에 이 폭군이 지식인을 대상으로 저지른 처형과 잔학한 행위를 알고 있었음에도, 모두 그에게 복종하기에 여념이 없었다. 그러나 그는 붓이 아닌 칼을, 먹이 아닌 그들의 피를 주었다. 그들에 대한 불신으로 그들을 '그릇된 사상의 소유자'라 불렀으며, 한 사람도 용서하지 않고 총 1만 3천 명을 참수하였다.
(...)
폭군은 자신의 모든 군대를 이끌고 떠났고 어른도 아이도, 소년도 노인도 죽였다. 그는 도시와 거리와 마을을 모두 태워버렸고 그 결과 모든 것이 잿더미로 변했고 단 한 채도 남지 않았다.
(...)
1년 후 우리가 타타르인(청 왕조의 관리)과 함께 돌아왔을 때 사천 성의 여러 땅을 다녀보니, 그곳은 한때 사람이 거주하던 땅이 아니라 이미 야생 숲으로 변하여, 사람이라기보다는 호랑이나 다른 맹수의 우리라고 부르는 것이 더 적합해 보였다.
한국어 위키백과 번역

다만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선교사는 연금되어 있었고 기행담이 으레 그렇듯이 과장이 섞여있었다는 비판도 존재하는 것을 염두에 두자.

이 외에도 장헌충이 사람을 죽이고 글을 지어 새겼다는 비석, 일명 '칠살비'에 대한 설화도 있는데 글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ruby(天生萬物以養人, ruby=천 생 만 물 이 양 인)] 하늘은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만물을 창조하는데
[ruby(人無一德以報天, ruby=인 무 일 덕 이 보 천)] 사람은 하늘에 보답하기 위해 조금의 선행도 쌓지를 않는구나.
[ruby(殺殺殺殺殺殺殺, ruby=살 살 살 살 살 살 살)]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죽여라
장헌충, 칠살비문(七殺碑文)

3.1. 학살에 대한 의문 제기

20세기에 청나라가 망하면서, 한족 민족주의자들에 의해 사천의 대학살은 장헌충의 짓이 아니고 청나라 군대가 한 일이며 이 학살이 정치적 부담이 될 것을 염려한 청나라 조정이 모든 책임을 장헌충에게 돌렸을 뿐, 장헌충은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죽이지 않았다고 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이야기 중국사를 쓴 역사 소설가 진순신 등의 인물이 있다. 이러한 주장은 한국에선 리그베다 위키를 위주로 이러한 반박이 퍼져나갔다.[23]

우선 역사서에 기록된 글들이 너무나 황당하고 수치도 당시 실정과 맞지 않다, 오늘날 장헌충이 가진 '피에 미친 마왕, 악마' 이미지 형성엔 명사 장헌충전이 큰 역할을 담당했는데 이 기록은 농민 반란세력을 폄훼하기 위한 청 조정, 농민 반란군에 가족을 잃은 명나라의 학자, 관리들의 기록이 거의 전부를 자치하고 있다. 그리고 주요한 악행묘사의 근거가 촉벽이라는 개인이 편찬한 근거가 빈약한 책이라는 것이 주요한 이유이다.

장헌충의 학살자 이미지에 반박하는 측에 따르면, 장헌충의 모토는 바로 '탐관은 죽일 뿐, 순민(順民)은 건드리지 않는다' 였다고 한다. 확실히 장헌충은 농민봉기 세력이였고, 농민을 위한다는 기치를 내세우면서 황족, 귀족, 호족 세력들은 결코 용서하지 않았던 것은 역사적인 사실이다. 실제로 그는 중경, 상양, 성도를 함락하면서 양왕 주익명, 촉왕 주지주를 비롯한 황족들은 모두 죽였다. 그리고 성도를 점령한 후에는 사천의 호족들을 학살했다고 한다. 이 부분은 서양 선교사의 기록에도 교차 검증되는 부분이라 사실이 맞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반대로 백성들에게는 매우 관대했다. 대서국을 세운 뒤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조세와 부역을 면제했고, 특히 3년 동안 군대가 쓸 전량을 거두지 않았다. 그가 사천에 진입하고 죽은 년도를 고려하면 거의 대부분의 시간동안 장헌충은 파촉지방을 약탈하거나 징발하지 않았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사천을 근거로 힘을 키우기 위해 주력했고, 그 일환으로써 농민들의 지지를 얻기 위해서 관청이나 지방호족들이 빼앗은 땅은 모두 농민들에게 돌려주었다. 그래서 장헌충이 죽자 사천의 주민들은 장헌충을 기리면서 장헌충의 소상을 세웠고, 청나라 조정이 이를 무너뜨리자 주민들은 계속해서 다시 세웠다고한다. 그 뿐만 아니라 파촉의 21개 주현이 스스로 장헌충에게 귀순했다고 하는데, 이는 장헌충의 기존의 이미지를 고려하면 절대로 있을 수 없는 일이다. 파촉의 백성들이 자신들을 학살한 장헌충을 기릴 이유가 전혀 없을 뿐더러, 파촉 지역이 완전히 황폐화되어서 남은 사람이 거의 없었다는 말과도 부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심지어 사천의 사족들이 다 죽은 것도 아니었다. 단적으로 재동은 장헌충 지지가 컸던 지역이라 후대에도 장헌충의 제사를 지냈는데 장헌충에게 해를 입은 사천 사족들의 후손들이 화를 내면서 재동의 장헌충 제사를 막았다는 기록이 있기 때문이다. 애초에 이들이 정말로 다 죽었으면 이들이 장헌충에 대해 분노하면서 비난한 기록이 남아 있었을리가 없을 것이다.

장헌충이 사천인들을 모조리 죽여서 사천어가 바뀌었다는 말도 논란의 여지가 있다. 당대에 사천성에 쓰이던 언어가 어떠한 언어였을지는 자료가 부족하여 구체적으로는 알 수 없다. 관화 계열에 속했는지, 여느 중국어의 방언들처럼 한장어족에 속하지만 관화와 의사소통이 되지 않는 별개의 언어였을 지는 현재로서는 상상의 영역이다. 또한 현재의 사천 관화도 말만 만다린 계열에 속할 뿐이지 베이징 방언을 기반으로 한 표준 중국어와는 꽤 이질적이다. 중국 중앙정부가 표준 중국어만을 쓸 것을 강요하자 쓰촨어를 없애고 있다는 비판이 올라오고 있을 정도다.

게다가 전근대의 군대는 군기를 엄정히 잡고 백성들에게 갈 피해를 막으려고 들지 않으면 약탈이나 살인 등이 비일비재했고, 따라서 백성들이 군대가 오는 걸 극도로 꺼렸다는 사실을 고려해보면, 장헌충이 민심을 살 수 있었던 것은 장헌충의 군대가 백성들의 호감을 살 정도로 민폐를 적게 끼쳤고, 이는 장헌충이 군기를 엄정히 유지하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볼 수 있다.

또한 장헌충은 인재를 중시했다고 한다. 그 증거로 2년간의 짧은 시간 동안 과거를 계속해서 실시했고, 학당을 건립해 자주 시찰했다. 과거 합격자들은 주현의 책임자나 보좌진으로 썼다. 명나라 관리라 해도 탐관은 죽이되 순관이나 학식과 재능이 뛰어난 인물은 중용했다. 위의 민심을 사기 위한 행보들과 결합해서 보면, 장헌충은 진지하게 자신의 나라를 세우고 그를 유지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음을 시사하는데, 이 또한 기존의 장헌충의 학살마 이미지와는 걸맞지 않는다. 나라를 세우고 유지하고자 하는 행동과 그 기반이 될 백성들을 마구잡이로 학살하는 것은 모순되는 행동이기 때문이다.[24]

이러한 노력 덕분인지 장헌충이 죽자 그의 군대는 사천 주민들의 비호를 받으며 청나라와 싸웠고, 청나라는 장헌충이 죽은지 13년이 지나서야 사천지역을 온전히 점령할 수 있었다. 이는 역사책대로 장헌충이 거의 백만 가까운 군대를 죽였다거나, 사천 주민들을 도륙했다면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다. 상식적으로 자기 고향 사람들을 마구잡이로 죽인 대학살마의 무리를 따르면서 장헌충군보다 더 강하고 자신들에게 학살을 저지르지는 않은 청나라군과 맞서 싸울 이유가 전혀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장헌충의 사인이 수도 중경이 아닌 곳에서 청군과 맞서다 전사한 것임에서 알 수 있듯이, 장헌충은 청나라 군대와 격렬한 전투를 벌이고 있었다. 또한 이전부터 농민봉기군으로써 명나라군에 맞서서 명군을 여러번 무찌르기도 했고, 사천으로 도망가서도 여러번 명군과 싸우기도 했다. 그런 그가 한가로이 옥좌에 앉아서 사람들을 대량으로 죽일 시간이 있었고, 당장 한 사람이 급한 판국에 사람들을, 그것도 자신의 지지기반이 되어줄 일반백성들을 마구잡이로 재미삼아 죽였다고 판단하기에는 무리가 크다. 만약 장헌충이 이런 위태로운 상황에서도 학살을 일삼는 광인이였다면, 상식적으로 이런 난세에 제대로된 세력을 만들고, 근거지인 산서성에서 패배해서 쫓기면서도 사천지방이라는 큰 지방을 차지하고 나름 나라꼴을 갖추고, 명을 멸망시킨 이자성과 쌍벽을 이루는 군벌로 성장하기란 불가능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오랫동안 자신들에게 저항한 명나라 사람들을 학살한 전적이 있는 청나라군에게 학살을 할 동기가 있었으면 있었지, 거사 초기 촉에서 관료층 등의 사람을 많이 죽인 것은 사실이지만, 이후의 행적을 볼 때 자신의 나라를 만들고 유지하기를 원했고, 그렇기에 청군에 격렬하게 대항하다 전사한 장헌충에게는 사람들을 학살할 동기가 부족했다는 것이다. 또한 장헌충이 입촉한 시기에서 알 수 있듯이 장헌충은 대략 5-6년을 파촉에서 보냈는데, 청나라와 싸우면서 5-6년만에 파촉에서 그러한 대학살을 하는 것은 전근대의 기술력 등을 생각하면 무리라고 볼 수 밖에 없다.

그뿐만 아니라 현대에도 쓰촨 고유의 문화나 언어는 아주 멀쩡하게 존재하고, 사천 지방은 지방색이 강한 지역으로 꼽힌다. 장헌충이 사람을 마구 죽여서 사천 문화가 없어졌다는 주장은 근거가 없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여담으로 위의 '칠살비'의 원형으로 추정되는 비석이 실제로 사천지방에서 출토되었는데 문제의 세번째 줄은 전혀 다른 내용이었다고 한다.
[ruby(天生萬物以養人, ruby=천 생 만 물 이 양 인)] 하늘은 사람을 먹여살리기 위해 만물을 창조하는데
[ruby(人無一德以報天, ruby=인 무 일 덕 이 보 천)] 사람은 하늘에 보답하기 위해 조금의 선행도 쌓지를 않는구나.
[ruby(鬼神明明自思自量, ruby=귀 신 명 명 자 사 자 양)] 신령은 다 알고 있으니, 스스로 생각해보고 반성하라.

하지만 당시 청나라 정권에 의해 진실이 전부 가려지고 사실이 조작되었다고 보기에는 무리라는 의견도 엄연히 존재한다. 당시 청나라가 학살을 벌였던 양주(揚州)나 가정(嘉定) 같은 곳에서도 살아남은 생존자에 의해 당시의 일을 기록한 양주십일기(揚州十日記)나 가정도성기략(嘉定屠城紀略) 같은 책이 은밀히 나돌기도 했고, 이 책들은 청나라 정권에 의해 금서로 지정되어 상당히 지독했던 청나라의 문자의 옥을 거치면서도 아직도 남아 있는데 비해서, 당시 사천의 대학살을 청군의 행위라고 적은 기록은 잘 보이지 않는다. 다만 유물 출토 결과 청나라군이 쓴, 청군이 학살을 했다는 내용의 고시가 출토되는 등 청나라에 의한 학살이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라고 보인다.

또한 당시에는 반청 지식인들이 많이 남아있어서 청에 대한 가짜 정보나 루머까지도 양산하던 시절인데, 사천의 생존자들로부터 실제 학살자가 청나라였다는 이야기를 들었다면 마땅히 남아있을 청군이 사천인들을 학살했다는 기록들도 잘 보이지 않는다. 다만 이 반청 지식인층들은 주로 명나라의 관료층이거나 호족과 관계가 있는데, 그들의 입장에서 반란군이고 관료층이나 호족을 상당히 죽인 전적이 있는 장헌충을 좋게 봐줄 이유가 없다는 반박도 존재한다.

또 장헌충 학살 관련 사료에서 과장된 부분(6억 학살 등)이 있다는 것은 엄연히 사실일지라도, 장헌충이 저지른 학살이 전부 거짓인 것이라는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또한 설령 청나라에 의한 학살이 있었다고 해도, 그것이 장헌충이 사천에서 학살을 하지 않았다는 결론으로 직결되지는 않는다는 점은 염두에 두자. 위에서 언급했듯이, 장헌충의 학살을 반박하는 측에서도 청나라가 자신의 학살을 장헌충에게 뒤집어씌우고 과장한 부분은 있지만 장헌충 역시 촉에서 학살을 저지르긴 했다는 사실을 부정하지는 않는다.

사천의 도촉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기록도 있다.
今统以十分而论之,其死于献贼之屠戮者三,其死于摇黄之掳掠者二,因乱而相残杀者又二,饥而死者及二,其一则死于病也。
지금 10으로 나누어 그(도촉)를 논해보자면, 헌적(장헌충)의 도륙으로 인한 죽음이 3할이고, 요황(십삼가)의 겁략으로 인한 죽음이 2할이고, 난으로 인해 서로 잔륙하고 죽인 것(장헌충 사후 손가망 등 사천성의 명나라 계열 군벌들의 혼전)이 또 2할이고, 기아로 인해 죽은 것이 2할에 미치고, 그 (나머지) 1할은 즉 병으로 죽은 것이다.
장랑, 《신여록》

결국 장헌충이나 청나라 둘 모두가 사천에서 학살을 자행했다는 것은 아마도 사실이라고 추정된다. 또한 명말청초 이후 사천의 인구가 학살, 기근, 타지역으로의 유출 등으로 크게 줄었다는 것 또한 사실일 것이다. 하지만 그 학살의 정도가 어느 정도였고, (인구의 대부분이 호구에 잡히지 않는 상황이었음을 고려해도) 명말청초 이후 사천의 인구가 대폭 감소한 것에 대한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에 대한 판단은 내리기가 어렵다.

3.2. 영향

만력 6년(1578)
사천 인구 318만 2073명(26만 2694호)
《명회요(明會要)》
강희 24년(1685)
사천 인구 1만 8090명
《사천도지(四川道志)》

장헌충이 사천성에서 시행한 학살의 진위 여부와는 상관 없이, 명청교체기의 혼란에서 사천성이 입은 인적 피해는 막심했다. 난세가 이어진데다가 16년이나 청나라에 맞서 싸우고, 다시 청나라의 학살이 겹쳐서 당시 기록에는 이전에는 사람들로 바글거리던 비옥한 사천 지방에서 수백 리를 가도 인적을 찾을 수 없고 밥짓는 연기를 볼 수 없으며 사람살던 고을이 텅비어 개 짖는 소리나 닭 울음 소리도 들리지 않는 경우가 흔했다는 이야기도 남아있다. 심한 경우 사천의 인구가 1~2% 밖에 남지 않았다는 추산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것은 실제로 이렇게 인구가 줄었다기보다는 오랜 전쟁으로 호구에 잡히는 인구 수가 급감했다고 보는 것이 적절할 것이다.

물론 사천의 사람들이 장헌충에게 많이 죽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문헌자료들만이라도 꼼꼼히 대조하고 분석해 보면 명말청초 사천사회가 입은 피해의 정도가 상당히 과장되었다는 사실을 간파할 수 있다. 피해 정도가 과장된 것은 청조의 고의적인 왜곡 때문이 아니다. 청조는 정복 사업이 막바지에 이른 순치 18년(1661)에 전국의 토지와 인구를 파악했다. 당시 청조는 서남부에 치우친 사천 지방을 자신의 영역 안에 거의 편입하지 못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자신들이 장악한 극히 일부 지방의 수치를 사천의 수치로 기록했다. 이를 사천 전체의 수치로 오해한 청대의 지배층이나 현재의 일부 역사학자들은 이를 주요한 근거의 하나로 삼아 도촉(屠蜀)의 심각한 피해상황을 강조했고 도살자 장헌충의 상을 만들어 내었다.[25]

청나라는 황무지가 된 사천에 사천과 가까운 호북성이나 광둥성, 북경의 백성들을 대량으로 이주시켰다.[26] 이를 호광전사천(湖廣塡四川)이라고 한다. 이때 이주한 사람들은 역사상의 다른 강제 이주와 달리 상당히 상황이 괜찮은 편이었는데 장헌충 집단이나 청나라가 사람만 죽였을 뿐, 파괴적인 행위를 하지는 않아서 집이나 가재도구, 조금 황폐해지긴 했지만 잘 정비된 농지 등이 그대로 남아 있어서 다른 강제 이주 같은 초기 고생이 굉장히 적었다고 한다. 그냥 그해 먹을 식량과 종자만 가져가서 주인이 죽고 없는 빈집에 들어가 남아있는 농기구로 공짜로 분배된 농지에 농사만 지으면 된다고 할 수준이었다고 한다.[27]

일설에는 이 무렵의 학살로 고대 사천인(파촉인)은 멸족했다는 주장까지 있다...만 장헌충이 사천에 머문 기간이나 사천문화가 지방색이 상당히 강한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고, 쓰촨어 등의 존재를 고려하면 이는 불가능했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한 가지 확실한 것은 사천 지방에 화북의 문물이 유입되었고, 이로 인해서 사천 지방의 문물이 상당한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점이다.

4. 사천지방 장헌충 전설

어쨌든 이렇게 사천에서 흉명을 떨친 장헌충은 이후 이 시기를 겪고 살아남은 사천 주민들에게 역설적으로 깊은 인상을 주었다. 장헌충을 증오하는 사족들이나 그를 추앙했던 평민들이나, 사천인들이 장원충에 대해서, 학살자라던지 정의를 구현한 심판자라던지 인상 깊은 전설들을 남겼다는 것은 역설적으로 장헌충이 활동하던 그 시기를 기억하는 사천인들이 그만큼 많았으며 장헌충이 수많은 곳에서 모종의 이유로 대량 학살을 하긴 했으되 사천문화와 사천인들을 진정으로 절멸시킬 정도는 아니었다는 증거가 된다.

명사(明史)에 따르면, 장헌충은 사천지역에서 도촉(屠蜀)을 벌인, 피에 굶주린 도살자로 묘사된다. 살육자라는 장헌충의 이미지는 완전히 날조된 것은 아니고, 당시의 문헌 기록에서도 상당히 발견할 수 있다. 다만, 1차 사료에서 2차, 3차 사료, 그리고 최종단계인 명사로 가면서, 점차 장헌충의 살육 묘사가 무자비해지는 경향은 발견되고 있다. 그리고 1990년대에서 현대에 이르는 중국의 장헌충 연구에서는 도촉(屠蜀)을 소극적으로 부정하거나, 민간전설을 연구하면서 문헌 사료에서 보이지 않는 방향의 자료를 탐색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다.

4.1. 장헌충의 출생과 어린시절 전설

사천의 민간구전전설에서 장헌충은 여러가지 면모를 보이는데, 지역적으로 주로 사천성 북부 서충현(西充縣)이나, 서북부 재동현(梓潼縣)에서 생애 전설이 집중적으로 유포되는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장헌충 생애 전설의 내용으로는 하늘의 연자성(燕子星)이 하범한 인물이라는 신이로운 내용의 출생 전설이 있다. 옥황대제(玉皇大帝)가 권선징악을 하고, 부자를 치고 가난한 사람을 도우라고 세상에 연자성을 내려보낸 것이다.

그런데 사천 사람의 고통을 덜어줄 인물이 왜 섬서성에 태어났는가 하면, 남해관음성모가 토지신이 올린 보고를 보고, 섬서성 연안부 연자암의 가난한 백성인 장문흥의 아내가 곧 해산하려 하니, 그곳으로 보내서 천명을 완수케 하는게 좋겠다고 상주하였다는 것이다. 이렇게 옥황대제, 남해관음성모, 토지신 등의 신격을 동원하여 해명하고 있다.

이렇게 하여, 장헌충이 태어나자 하늘에서 뇌성이 울리고 벼락이 치면서, 장헌충이라는 이름을 적은 쪽지가 집 앞을 지나던 화상에게 떨어졌다. 화상은 종이를 부친에게 건네주면서, 이 아이는 하늘의 별자리가 하범한 것이므로, 가난한 사람을 보호하고 탐관오리를 죽일 것이라고 말하고 사라졌다고 한다.

부모를 잃은 장헌충이 서충현의 부자집에서 목동으로 일할 때, 관상가가 얼굴을 보고서 천자가 될 상이라고 절했다는 전설, 어렸을 때 친구들과 황제에게 절하기 놀이를 할 때, 장헌충 혼자만이 보좌에 앉아서 절을 받을 수 있었다는 전설도 있다.

4.2. 은혜를 갚은 장헌충 전설

이렇게 비범한 출생 전설이 있지만, 성장 전설에서는 상대적으로 평범하였다. 공부보다는 글을 배우면서 스승의 말은 귀담이 듣지 않았다거나, 무술을 익히고 싸움하는걸 좋아했다거나, 지주의 아이를 때려서 서당에서 쫓겨났다거나, 아버지와 사천에서 대추장사를 했거나, 장사치를 따라서 사천을 떠돌았다는 전설이 있다. 사천에서 장사를 할 때는 모욕을 받아서, 훗날 복수하겠다고 결심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사천성의 서부 성도, 동부의 충칭 지역에서는 장헌충과 관련이 있는 절기·지명 유례가 전설도 있다. 단오절에 관련된 내용으로는, 장헌충이 사천성에서 죽은 오빠와 올케가 남긴 조카를 업어주고, 자기가 낳은 아이는 걷게 하면서 피난을 가는 착한 여인을 만나자, 자신의 군대가 악인들을 죽일 때, 쑥(혹은 창포)를 집 밖에 걸어서 죽음을 피하라고 말한다.

그리고, 착한 여자는 이웃 사람들에게도 사실을 알려줘서, 이웃들도 모두 참화를 벗어날 수 있었다. 이 날이 마침 단오절이라, 이것이 단오절에 대문이나 벽에다가 쑥을 내걸게 된 유래라고 전설은 언급한다. 단오절에 쑥을 문 밖에 내거는 풍습은 질병을 막는 쑥의 기운으로 액막이를 하는 주술적 행위로서, 이미 위진남북조시대에도 언급될 정도로 연원이 오래됐고 중국 전역에 퍼져 있기 때문에, 이미 있었던 풍속에다가 장헌충 설화를 결합시킨 것이다.

충칭 지역에는 쑥이나 창포를 내거는 것 이외에도 장헌충이 버드나무 가지를 꽂으면 죽이지 않는다고 알려줘서, 주민들이 살아날 수 있었고, 그래서 마을이 버드나무 거리(楊柳街)라고 불리게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이 역시도 쑥으로 하는 액막이와 비슷한 풍속이 장헌충 설화와 결합된 것이다.

이런 기록들에선 장헌충이 닥치는대로 도살했다는 문헌 기록과는 달리, 선악(善惡)을 골라서 죽인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악인들조차 주술적 행위로 피해갈 수 있었다는 이유로, 기존 문헌과는 상반된 묘사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한편으로는 구비 전설에서조차도 거의 '죽음의 천사' 수준으로 장헌충이 도살을 하고 다녔다는 전설들도 있기에 장헌충 전설에 대해선 여러가지로 애매한 구석이 있다.

대표적인 예가 장헌충이 어린 시절에 신세를 졌다가 나중에 은혜를 갚은 전설도 있다. 어린 장헌충에게 젖을 준 유모, 어린 장헌충이 말똥을 치우고 있을 때 흰 두건을 빌려준 자, 농민군 포로에게 떡을 준 노파 등등에게 은혜를 갚았다는 내용이다.

은혜갚기 전설의 사례는, 어린시절 장헌충이 섬서에서 사천 수녕현으로 장사를 하러 왔는데, 말이 부자집 문 앞에서 똥을 누자 그 집 주인이 장헌충에게 똥을 치우라고 명령했다. 장헌충은 혹한에 언 손으로 말똥을 치우는데, 어느 청년이 흰 두건을 벗어 사용하라고 주었다. 장헌충은 훗날에 봉기하여 군대를 이끌고 사천의 수녕현에 도달하자, 흰 두건을 쓰고 있는 사람은 죽이지 못하게 했는데, 그 소식을 전해들은 사람들은 흰 두건을 써서 살아났다는 것이다.

흰 두건은 상복으로, 은인이 흰 두건을 아직도 쓰고 있을 가능성은 없는데, 그럼에도 은인을 죽이고자 하지 않는 장헌충의 투박하지만 우직한 마음씨를 묘사하고 있긴 하지만 이것도 장헌충이 '흰 두건'으로 대표되는 자신의 지지세력 외엔 학살을 하긴 했다는 식의 얘기라 '장헌충'이라는 이름에 실린 피비린내를 완전히 가려주지는 못하는 일화다.

4.3. 주민보호와 권선징악 전설

주민 보호 전설도 존재하는데, 문창제군묘, 관제묘를 보수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것은 상당히 중요한데, 나중에 장헌충에 우호적이었던 사천 서부, 북부 지방에서 장헌충이 이들과 함께 제사를 받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명군이 시장을 불태우자, 장헌충이 새로 시장을 건설하고 군량을 풀어서 빈민을 구제했다는 전설, 임산부의 해산을 도와주고, 병든 여인을 치료하고, 금은, 의복, 양식을 풀어 빈민구제에 나섰다는 전설 등이 있다. 그런데 의미심장한 것은 이 같은 주민들 보호에 관련된 호의적인 전설은 지역 편차가 있는데, 사홍현, 서충현, 남충현과 재동현 등의 사천 서북부에 이런 전설이 집중되어 있으며, 마갈량이스가 증언한 대량 학살이 있었던 성도 지역에서는 이러한 전설이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이다.

어쨌거나 장헌충이 권선징악을 했다는 전설도, 상당히 비율이 많고, 이러한 전설의 범위는 사천성 전역에 도달한다. 주로 악덕 지방관, 지주, 부자, 무뢰한들을 제거하는 전설들이 있으며, 동란기에 나타나는 비적을 제거한 전설도 있다.

4.3.1. 마장각 처단

권선징악을 했다는 전설로는, 장헌충이 악지현(岳池縣)에서 마장각(馬長脚)을 제거하고, 왕사(王四)를 도와주었다는 전설이다. 왕사는 부자 왕원외(王員外)의 아들이었는데, 왕사가 열 살 되던 해 왕원외는 마장각이라는 외지인을 잡부로 거둬들인다.

마장가는 무예가 뛰어나서 마웡뇌에게 신임을 얻어 비서가 된다. 그렇지만 마장각은 왕원외와 빚을 받으러 나갔다가, 절벽에서 왕원외를 밀어서 죽이고, 미끄러져 죽었다고 속인다. 그리고, 왕원외의 아내에게 억지로 장가들고, 독넣은 배를 먹여서 죽이고는 관부에 뇌물을 주고 배장수에게 살인누명을 씌운다. 그리고 왕사의 계부 노릇을 하면서, 호시탐탐 재산을 노리게 된다.

왕사는 일부러 소를 죽이지 말라는 금령을 어기고, 장헌충에게 잡혀가는데, 장헌충은 마장각을 잡아와서, 왕사와 모든걸 '절반'으로 나누기로 했는지 물어본다. 마장각이 그렇다고 대답하자, 장헌충은 왕사가 논밭을 가는 소를 죽인 죄도 절반씩 나눈다면서, 각각 태형 50대와 노역 10년의 형벌을 내린다. 그리고 계부라는 이유로 마장각을 먼저 처벌하여, 마장각은 50대를 맞고 감옥에 갇혀 죽고 만다. 왕사는 장헌충에게 간청하여, 대서군에 들어가게 된다.

4.3.2. 부자 처단

또 대파산(大巴山)에는 학(郝)씨 성을 가진 부자가 살았는데, 명나라 병부상서 웅문찬(熊文燦)의 심복이었다. 학 부자는 넓은 토지를 가지고, 고액의 소작료를 받았으며, 가족들의 생일이 되면 선물을 바치라고 강요하였다.

또 생일이 되면, 산해진미를 먹는 모습을 자신의 저택에 달아놓은 거울에 비치게 하고, 선물을 바치러 온 가난한 농민에게 거울에 비치는 대로 음식을 먹는 시늉을 내라면서 괴롭혔다. 소금 장사로 변장하여 이 모습을 지켜본 장헌충은, 달(月)을 판다면서 학 부자와 만나서 물통을 보여주며 그 안에 든 달을 사라고 요구했다.

학 부자가 미친 놈이라고 욕하자, 장헌충은 정체를 드러내고 학부자를 감옥에 가두고, 토지와 재물을 모두 백성들에게 나눠주었다.

4.4. 가짜 장헌충을 죽이다

또, 특이한 사례로서 '가짜 장헌충'을 제거한 일화가 있다. '가짜 장헌충' 전설은, 명나라 관부에서 가짜 장헌충을 내세워서, 가짜 장헌충이 사천성 주민들을 도륙했다는 전설이다.

전설의 내용은 사천성에 군대를 이끌고 나타난 장헌충이, 자칭 장헌충이라는 자가 백성들을 하나씩 목베면서 "나는 장헌충이다. 오로지 사천 사람들을 죽인다. 너희들을 모조리 죽이고 하나도 남기지 않을 것이다."하면서 몰살시키는 것을 보고, 분노하여 가짜를 사로잡고 자초지종을 캐묻는다. 이에 가짜 장헌충은 자신은 관부의 사람인데 장헌충에게 민심이 쏠릴 것을 우려한 상관이, 장헌충을 가장하여 백성을 죽이라고 실토했다는 것이다. 장헌충은 가짜를 죽이고, 주민들에게 자신은 부자를 치고 가난한 자를 도우며, 탐관오리만 죽인다고 해명했다는 전설이다.

전설에서 가짜 장헌충이 살육을 했다는 지역은 간주(簡州)인데, 문헌에서도 간주에서 장헌충군이 살육을 했다는 기록이 있어, 전설의 배경이 되었을 것이다.

4.5. 가짜 내강왕 전설

장헌충 측도 가짜를 썼다는 전설이 있다. 내강왕 주지기(內江王 朱至沂)는 촉왕(蜀王)의 후예인데, 장헌충이 가짜 내강왕 주지기를 이용해서 10만에 달하는 명의 패잔병들을 제거했다는 이야기이다.

촉왕(蜀王)은 성품이 인색하고 탐욕스러워, 명군의 토벌에 협조하지 않고 재물을 내놓기를 거부하였는데, 1645년 장헌충의 군대가 성도를 점령하자 촉왕 본인을 비롯한 촉왕부(蜀王府)의 비빈과 성도왕(成都王), 태평왕(太平王) 등의 종실은 우물에 투신하여 자살한다. 내강왕은 투신했다는 소문도 있고, 장헌충 전설에서는 성도가 함락될 때 붙잡혀서 죽었다고도 한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장헌충이 성도를 함락시키자, 파현 출신의 진사 왕응웅(王應熊)은 남명 정권에서 총독 벼슬을 받고, 사천에서 패전한 명나라군의 패잔병을 수습하여 신사들의 토착 향군과 제휴하려 하였다. 하지만 이 때, 홀연이 용모가 준수하고 영웅적인 기상이 넘쳐흐르는 내강왕이 나타나자, 군인들은 총독 왕응웅의 통솔을 거부하고 내강왕을 따르게 되었다. 내강왕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농민군과 싸워서 군공을 거두고, 포로들을 자신의 친위부대에 편입하였다. 그런데, 장헌충 군대가 공격해오자, 내강왕의 친위부대도 안에서 호응하여 10만 명군은 전멸하고 말았다. 내강왕은 장헌충이 보낸 가짜였던 것이다. 이는 장헌충의 악명을 기록한 유명한 사료인 촉벽(蜀碧)이라는 사료에 기록된 내용이다.

한편 구비전설에서는 10만 명군이 원래 사천순무 용문광(龍文光)의 수하 구문진(苟文進)이 이끄는 '철벽군(鐵壁軍)'으로, 중경부에서 장헌충에게 패배한 철벽군이 후퇴하여 토착 향병의 지원을 받게 되었다고 한다. 장헌충은 철벽군을 정면으로 상대하기 여의치 않아, 계략을 써서 자신의 부하장수 마원리(馬元利)를 내강왕으로 변장시키고 명군 복장을 한 부하 300명을 딸려 보낸 것이었다. 가짜 내강왕은, 구문진이 왕응웅에게 보낸 사신 둘을 붙잡아 자신을 알현하게 하였다. 마침, 왕응웅은 구문진의 벼슬이 높아지면 자신을 따르지 않을 것이라 의심하여서, 부총병이라는 낮은 직함을 내렸다. 구문진은 격분하였고, 그 때 두 사신이 자신이 만났던 내강왕의 이야기를 꺼내면서, 내강왕을 모셔 소조정(小朝廷)을 열면, 강산을 얻지는 못해도 개국원훈은 될 수 있다고 설득했다.

구문진은 가짜 내강왕을 만나서, 왕관, 왕복, 그리고 숭정제가 내린 금책과 봉국장군의 은인을 보게 되었다. 의심이 풀리자 구문진은 가짜 내강왕을 모시고, 태사 병마대원수를 자칭하게 됐다. 장헌충의 양자 장능기(張能奇, 본래 성은 애艾)가 공격해오자, 철벽군은 패전하고 군심이 동요했다. 이 때 내강왕이 군대를 거느리고 전투에 나서서, 산채와 성을 빼앗았다. 내강왕은 성으로 행궁을 옮기고, 철벽군을 입성시켜서 잔치를 벌였다. 하지만, 이 때 장능기의 군대가 성밖에서 공격해오고, 가짜 내강왕 마원리와 부하들도 내응하여 철벽군을 전멸시켰다는 것이다.

4.6. 장헌충의 전쟁 전설

장헌충 전설 가운데 가장 많이 채록되는 것은 전투 전설로서, 정부군인 명군, 이민족인 청나라군, 이자성이 이끄는 대순군, 그리고 당시 신사와 지주들이 이끄는 향촌 자경단과의 전투가 주로 묘사되고 있으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이같은 잦은 전쟁 전설은 장헌충의 대서 정권이 사천성을 완전히 장악하지 못하고, 완전한 지배체계를 완성하지 못했음을 보여준다.

향촌 자경단과의 전투 전설은, 주로 험준한 지형에 건설된 채(寨)를 무대로 펼쳐진다. 예를 들어, 쌍채자(雙寨子)라는 요새 전설에서, 쌍채자는 채문 두 곳이 모두 돌다리로만 외부와 연결되어 있는데, 처음에는 화약으로 화공을 시도했지만 효과가 없었다. 그러자 장헌충은 밤중에 양의 목에 등불을 걸고, 쌍채자의 정문으로 몰아갔다.

채의 정문을 지키던 병사들이 양 목에 걸린 등불 불빛만 보고 장헌충 군대가 공격해오는 줄 알고, 후문의 병력도 불러모으자, 장헌충은 후문을 돌파하여 쌍채자를 점령하였다.

4.7. 부군채 함락과 삼이패왕(三李覇王)과의 대결

부군채(扶君寨)는 명나라에서 관직을 지낸 서충현 출신의 이씨 신사들, 이건덕(李乾德), 이완(李完), 이조(李兆)의 삼이(三李)가 주축이 되어 지키고 있었다.(이들은 '서충현지'에 문헌으로도 기록이 있다.) 병사 2천명을 확보하여, 훈련시키고 있었기 때문에, 장한충도 쉽게 공격하기 어려울 것이라 생각해서 세작을 사용했다.

서충현의 관리 선우홍(鮮于紅)이 장헌충에게 항복해오자, 장헌충은 자신의 부하들을 선우홍의 부하로 변장시키고, 술과 닭, 오리, 물고기 등의 음식을 가지고 부군채에 위장귀순을 시켰다. 채주 이건덕이 선우홍과 부하들을 받아들이자, 선우홍은 거짓 정보를 알려주면서 잔치를 벌이게 했다. 그 틈을 타서 장헌충이 공격해오고, 잠입시킨 부하들이 내응하여 부군채는 무너지고 만다. 그리하여, 이완, 이조는 살해되고, 이건덕은 도주하였다.

다만, 서충현지 같은 문헌 기록에서는 이와는 조금 다른 정황이 드러나는데, 이조는 가족이 몰살되고 2년 뒤 병사하였고, 이완은 장헌충이 사천을 공격할 때, 사람을 모아 군사를 훈련시키다가 대서정권의 지현 고능운(高凌雲)에게 체포되었고, 의로움을 지키며 굴하지 않다가 죽었다. 이건덕은 장헌충이 쳐들어오자 2만 군사를 모아 장헌충과 싸웠는데, 장헌충이 성도를 점령하자, 이건덕의 친족 100여명을 몰살시켰다. 이건덕은 나중에 남명의 영력제 정권에서 활동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러므로, 이건덕은 이 지역에서 이조, 이완과는 별도로 활동했는데, 전설에서는 이들의 활동을 한데로 엮은 것이다.

전설에서는 이건덕의 친족들은 장헌충에게 계속 대항하였다고 전해지는데, 고루채(鼓樓寨) 전설에서는 대서정권의 예부상서 강정진(江鼎鎭)이 고루채에서 군량과 마초를 비축하는 임무를 맡았는데, 왕교운(王巧云)이라는 주민이 강정진이 자신을 강간하고 아버지도 죽였다면서 고소하였고, 왕씨 주민들이 나서서 고루채의 문에 써있는 대서정권의 연호를 말똥으로 칠해버렸다.

장헌충이 당사자들을 심문해보니, 왕교진은 이건덕의 먼 친족 조카딸로, 왕씨로 성을 바꿔서 숨어 있었던 것이며, 이건덕의 아들 이룡(李龍)도 성과 이름을 바꿔서 왕교진의 집에 숨어 있었다. 이들과 왕교운의 부친은 강정진이 장헌충에게 투항한 것을 복수하려고 모략을 꾸몄지만 들켜서 죽게 되었다.

전설에 따르면, 이씨 가문은 집요하게 장헌충을 공격했는데, 이조의 아들 이영경(李映庚)은 대학사 여문숙(呂文肅)의 딸에게 장가들어, 이소치(李昭治)를 낳았고, 이소치는 강희연간에 서충현지를 편찬할 때, 장헌충이 선악을 불문하고 닥치는 대로 사람을 죽이고 닭이나 개조차 살려두지 않았다고 기록하도록 압력을 가했다고 한다.

반면, 이소치의 외가인 여씨 가문의 후손 한 사람은, 장헌충이 가난한 사람을 죽이지는 않았다며 맞서다가 조정에 반항한다는 죄목으로 투옥되기도 했다. 집안의 도움으로 풀려난 여씨는, 극단을 조직하며 시골로 다니면서, 장헌충은 악당만 죽이고 다니는 좋은 사람이라는 내용의 연극을 공연했다고 한다.

4.8. 신사 계층을 포섭하려 한 장헌충

장헌충은 초기에는 신사와 지주 계층을 포섭하려고 노력했는데, 1차적인 문헌 사료들에서 보면, 1644년 대서정권을 수립한 장헌충은 과거로 신사들을 선발하고 관료를 뽑으려 했다. 팔고문을 변경하여서 책론(策論)으로 시험을 치르거나, 과거를 시행하여 향시 합격자 80명과 회시 합격자 50명을 선발했으나, 인재를 구하지 못하여서 한 해에 두 번 과거를 치렀다는 것 등의 구체적인 사례 언급이 있다.
"처음에 성도(成都)의 명나라 관원들은 장헌충이 오자 급히 도망갔다. 그후 장헌충이 왕을 칭하고 관직을 나눠주며 임무를 맡기자 마치 폭우가 쏟아진 후에 구름이 걷히고 안개가 흩어지는 것처럼 태평스러워졌다. 또 장헌충이 용감하고 능력도 있어 능히 나라 일을 감당할 수 있다는 소문을 들었다. 그래서 일반 관료들 이 모두 나와서 임무를 감당했다"

비교적 제3자라고 할 수 있는 서양인 선교사 Gourdon 역시 장헌충이 초창기에 신사 계층을 포섭하려 했음을 증언하고 있다.

하지만, 1645년 겨울 장헌충은 돌변하는데, 성도에서 과거를 시행하겠다며 모인 과객들을 모조리 살해해 버렸다는 것이다. 장헌충 군대의 살육에 신사층이 대서 정권에 적대적으로 바뀌자, 극단적인 살육으로 보복을 했던 것으로 보인다. 성도 일대에서 벌어진 살육은 신사층의 반감을 불러온 것으로 보이는데, 성도 지역에서는 장헌충에게 관련된 민간 전설이 극단적으로 적은 편이다.

4.9. 재동현의 장헌충 숭배

장헌충 사후 주민들이 소상을 만들어서 무덤에 경의를 표했다는 사후 전설이 있다.

명말 재동현 칠곡산에는 장아자(張亞子)를 모시는 문창묘(文昌廟)가 있었다. 문창묘는 동진 시기에 부견에 맞서 싸웠던 장육(張育)을 기원으로 하는데, 장육 신앙은 민속신인 장아자와 융합하였고, 이후 장아자는 문창성(文昌星)의 환생으로 여겨진다. 문창제군(文昌帝君)은 글(文)이 훌륭해지다(昌)는 의미 답게, 주로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문생들의 참배를 받으며 매우 유명한 신이 되었다.

1644년 겨울, 장헌충은 재동현에서 문창제군을 모시는 태묘(太廟)에 들렸으며, 정전인 문창전과 누각을 수리하고, 관성묘를 추가로 창건하라고 하며 거액의 수리비용을 기부하고 다수의 일꾼을 징발해 주었다. 이렇게 장헌충은 문창묘를 매우 중시하였다.

전설에 따르면 장헌충은, 이 때 문창묘에 모셔진 장아자의 상에 분향하면서, "당신의 성도 장씨이고, 나의 성도 장씨이니, 우리 한 가족처럼 지냅시다."라고 외치고, 태모를 장씨의 가묘(家廟)로 삼는다고 선언했다. 또 태묘에 토지를 기부하였고, 기존에 태묘를 지키던 사향호(司 香戶)도 그대로 인정해주었다. 이는 재동현의 혈연의식을 자극하면서, 재동현 장씨들에게 지지를 받으려는 행동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재동현의 장씨는 재동현지예 따르면, 청대에 공생(貢生)을 네명이나 배출한 유력한 성씨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재동현은 사천성에서 장헌충 지지가 상당한 지역이 되었다.

장헌충이 전사하자, 재동현민들은 풍동루에 장헌충의 소상을 세우고 분향하는 행사를 가지게 됐다. 매년 2월과 8월에는, 대서의 군대가 재동현에 온 날을 기념하여,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태묘에 가서 장헌충에게 제사를 지냈다는 전설이 있다. 다만, 2월과 8월 제사는 원래 장헌충에게만 모시는게 아니고, 명대의 세시 풍속에서 문창제군에게 분향하는 행사였는데, 태묘를 구경하거 연극, 곡예, 잡기 등의 오락을 즐기고 여러가지 잡화를 구매하는 민간 축제였다. 아무튼 이렇게 재동현에서 모셔지게 되면서, 장헌충은 관성제군(관우), 문창제군(장육)과 함께, 문창묘의 신(神)으로서 섬겨지게 되었던 것이다.

4.10. 타파된 장헌충 신앙

그런데, 재동현의 장헌충 신앙은 100여년이 지난 뒤, 격분한 사천성의 지방관과 신사들에게 파괴되고 만다. 당시 정황은 『장헌충의 상을 헐어버린 기록(毁張獻忠遺像記)』이라는 글에서 묘사되고 있다.

명말에 재동현(梓潼縣) 사람들은 역적 장헌충(逆賊 張獻忠)의 협박을 두려워하여 풍동루(風洞樓)에 상(像)을 세우고 제사를 그치지 않았다. 면죽현(綿竹縣)의 현명한 지현 공안(安公)[28]이 재동현(梓潼縣)으로 가던 도중에 역적의 상을 보고 욕을 퍼부었다.
"이것은 개돼지조차 먹지 않는 것이다. 그런데도 오히려 사람들이 두려워하고 신(神)으로 모시고 있다. 역적이 어찌 이처럼 (대접) 받을 수 있는가?"

좌우에 명하여 (소상(塑像)을) 찢어서(磔) 길에 널어놓게 했다. 오호라! 역적이 법망을 벗어난 지가 거의 백년이나 되었다. (역적의) 神位를 몰래 세우고 멋대로 제사지냈는데 어리석은 남녀(愚夫愚婦)들이 빌고 제사 지내면서 놀라 식은땀을 흘리고 희생과 술을 깨끗하게 하여 제수를 바치는 것이 우리 공안(安公)의 호기(浩氣)에 거슬려 그가 (소상(塑像)의 피부(皮膚)를 부수고 뇌를 꺼내었으니 곧 지난날에 대해서는 흉악한 자를 끊어서 없앤 것이요 장래에 대해서는 경계함을 보인 것이다

공안덕은 『제훼적상비기(除毁賊像碑記)』를 지어서, 풍동루에 비석으로 세워서 장헌충의 소상을 파괴한 자신의 업적을 자랑하였다.
재동(梓潼)의 문창제군은 충효(를 관장하는) 신령이므로 춘추(千秋)에 제사가 끊이지 않았다. 나 홍덕(洪德)은 산동(山東) 사람으로 면죽 지현(綿竹 知縣)을 지냈다. 이전에 나강현 지현 이덕한(羅江縣 知縣 李德瀚)이 (이렇게) 말하는 것을 들었다. “신사(神祠)에는 녹포금검(綠袍金臉)이 있는데 잔적 장헌충(殘賊 張憲忠)의 상(像)이다. 매번 일찍이 없애지 못한 것을 분하게 여긴다. (중략) 신당(神堂)의 대련(對聯)을 보면 적(賊)의 성명(姓名)과 일치하는 글자가 있다. (어떤 이들은) 속여서 말하기를 이것은 문창(文昌)의 화신(化身)이라하니 어찌 이처럼 신령을 극히 모멸할 수 있는가!

내가 상관(上官)[29]의 위임과 협력을 얻어 재동현(梓潼縣)의 길을 살피면서 수색(搜索)하여 풍동루(風洞樓)에 이르러 면포금검(綠袍金臉)에 사납고 독살스러우며 잔인한 형상을 보니 신(神)과 매우 달라 도적상(賊像)임을의심할 여지가 없었다. (내가) 급히 본주(本州, 綿州) 지주(知州)인 두란공(杜蘭公)에게 아뢰고 관아의 일꾼들에게 그 상(像)을 만 토막으로 내도록 명령하여 도적(賊)의 대역부도(大逆不道)와 백성에게 해독을 끼친 죄를 처벌하였다. 음사(淫祀)를 제거하고 신우(神宇)를 깨끗하게 했다.

재동현의 장헌충 숭배는, 문창제군의 '화신'으로 둘러대면서 숭배했던 것으로 보인다. 재동은 물론 주변 현에서도 알고 있으면서도, 민심을 어지럽히는 것을 두려워하여 모르는 척 하면서 임기를 넘기고 있었던 것 같다. 면죽현지에 따르면, 안홍덕은 이전에 이미 '사교'를 단속하고, 서적을 불태우고 처소를 서원으로 바꾼 경험이 있는데, 재동현에서 처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지주의 허가를 받아 현 경계를 넘어가서 훼철시킨 것이다. 장헌충 소상을 혁파한 공로 덕분인지, 이듬해인 1742년에는 면주의 지주로 승진하였다.

기록에서는 장헌충 신상이 매우 흉악스러운 모습이었다고 묘사되는데, 아마도 주민들이 장헌충의 '무서운 이미지'를 숭배했던듯 하기도 하다. 또 장헌충의 소상을 파괴하는 모습이, 청대에 역적을 능지처참하는 것처럼 철저하게 부수었는데, 신사 계급의 장헌충에게의 적대감을 알 수 있다.

4.11. 정리

장헌충 전설은 명말청초의 사천사회와 장헌충에 대해 문헌자료가 제공해주지 못하는 새로운 내용을 풍부하게 전해주고 있다. 하지만 문학 자료인 장헌충 전설을 역사학 자료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두 가지 측면에서 조심할 필요가 있다.

첫째는 사실성의 문제이다. 전설들은 문헌자료에 기록되고 분명하게 역사적 사실로 입증된 내용들과 완벽하게 일치하는 것도 있지만 민초들이 기억하고 싶은 것만 기억하되 사실을 적당히 가공하여 이야기의 재미와 극적 요소를 강화 시킨 것도 있다.

둘째는 세계관의 문제이다. 장헌충 전설 속에서는 부자를 긍정적으로 바라보는 경우가 거의 없다. 전설 속에 등장하는 부자들은 너나 할 것 없이 가난한 자들을 압박하고 착취하는데 혈안이 된 존재로 그려진다. 그러다가 장헌충에게 죽임을 당하고 부정하게 모은 재물을 뺏기는데 민초들은 빼앗긴 재물을 장헌충을 통해 돌려받는다. 현실에서 존재하는 '착한' 부자들의 존재는 외면한다. 지배층인 관료나 신사, 지주에 대한 시각도 마찬가지이다. 이런 일방적인 시각은 전설을 재미있고 선명하게 전개하는 데는 도움을 줄 수 있지만 복잡다단한 현실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는 데는 장애가 된다.

그러나 한편으로 장헌충 전설 자체는 명말 청초의 사천사회와 장헌충에 관한 중요한 시사점을 내포하고 있다.

첫째, 장헌충 전설은 지역적으로 사천전체가 아니라 사천의 일부 지방 특히 서북부인 재동현(梓潼縣), 서충현(西充縣)에 집중적으로 유포되어 있다는 점이다. 태묘 건설과 보수과정에서 장헌충의 적극적인 후원을 받은 재동현에서는 그의 행적을 지지하면서, 장헌충 사망지인 서충현에서는 항청 투쟁에서 희생된 그를 기리면서 많은 전설을 만들고 유포시켰다. 반면 대서정권의 도읍지였던 성도 주변의 사천 서부 일대에 유포된 전설은 극소수이다. 이 지역에서는 오히려 도살자 장헌충을 글로 벌하는 문헌기록을 주로 남겼다.

둘째, 장헌충 전설은 장헌충 세력 대 반 장헌충 세력의 대결 구도라는 관점으로 명말청초 동란기의 사천사회를 그리고 있다는 점이다. 전설은 반 장헌충 세력의 중추인 명의 관료와 군대는 부패했고, 지주와 신사는 민초들의 삶을 고달프게 만든 악한 무리라고 낙인을 찍고 있다. 이는 신사층이 기록한 문헌자료에서 전하는 바, 장헌충 세력은 악이고 반 장헌충 세력은 선이라는 가치판단을 민초들이 뒤집은 것이다.

셋째, 장헌충에 대한 전설의 개별적인 이미지들은 논리적으로 서로 연결되면서 하늘을 대신해 정의를 내린다는 이른바 체천행도(替天行道)의 구현자이다. 이 과정에서 희생되는 자들은 평소 민초를 괴롭히던 악인들이므로 그들을 죽이는 것은 정의로운 행위이다. 신사나 관료들이 장헌충을 비난하는 가장 강력한 근거인 대규모 인명살해를 전설에서는 권선징악과 부자를 치고 빈자를 구원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행위로 정당화한 것이다. 이리하여 장헌충은 지배층이 기록한 문헌자료에서 낙인찍힌 도살자의 이미지를 벗고 오히려 체천행도의 구현자로 부활하였다. 이런 관점은 도둑 무리가 군웅으로 활약하면서 체천행도 한다는 수호전의 계보를 이은 것이다. 하지만 장헌충이 수행한 천명은 힘을 앞세우는 패도적 속성이 강했고 그로 인해 대서정권나 장헌충은 진시황이나 항우 정권처럼 단명할 수밖에 없었다.

이처럼 장헌충에 대한 기록들은 사천인들 각각의 관점에서 기록하고 싶거나 기억하고 싶은 것만을 토대로 재구성한 반쪽 이미지들에 불과하다. 역사연구자의 입장에선 당연히 문헌기록의 사실성을 더 높이 평가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문학적 허구인 전설도 세세한 내용면에서는 사실성이 떨어지지만 그 줄거리는 시대상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다. 결국 사천인들에게 있어 장헌충에게는 '도살자'와 '체천행도의 구현자'라는 이중의 성격이 병존했던 것이다.

4.12. 기타

  • 장헌충의 죽음과 원혼

장헌충은 서충현 봉황산에서 청군의 습격을 받아 전사하는데, 생존설이 있는 이자성과는 달리 구전설화에서도 장헌충의 죽음은 비교적 명확하게 드러나고 있다. 하지만 죽은 뒤에도, 원혼이 배신자와 청군 장수를 죽여서 복수했다거나, 자신의 무덤을 도굴하는 도적에게 이무기를 보내서 삼키게 했다는 전설이 있다.

이상의 내용은 民間傳說을 통해 본 明末淸初의 四川社會와 張獻忠 논문의 내용에서 가져왔다.

그런가 하면 장헌충의 농민군이 촉왕부를 함락시켰을 때, 촉왕부의 제당(祭堂)에는 명나라 초기 장군이었다가 모반죄로 처형당한 남옥(藍玉)의 인피(사람 가죽)이 보관되어 있었다고 전해진다#.

장헌충의 군대인 대서군에는 기병과 보병의 비율이 각각 70%와 30%였고, 일반 병사도 최소한 말 한 필씩은 가지고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대서군은 밤낮으로 하루에 몇 리씩 바람처럼 이동한다고 묘사될 만큼 신속한 기동력을 보유했고, 느리고 둔중한 명나라 관군을 상대로 효과적으로 싸울 수 있었다#.

5. 유물의 발굴

2016년 갑자기 강가에 금속제 유물이 발견되어 사천성에서 물길을 돌려서 발굴을 해본 결과 四川彭山“江口沉银遗址”에서 발굴되었다.


금제 동물의 왕의 옥새, 금으로 된 책, 귀걸이, 아주 짧은 기간 유통되었던 서국의 엽전 등이 출토되었다.

6. 대중매체

  • Fate/Grand Order에서는 이문대 인지통합진국 신진양옥이 언급 하는데, 대서왕이 진양옥의 고향에서 더욱 풍요로운 나라를 만들 수 있다며 선동하면서 사람들이 이에 호응하자, 황제가 흉성을 떨어뜨려 진양옥의 고향을 지워버렸다. 그런데 대서왕은 선동했던 사람들을 지켜주지도 않고 아무렇지도 않게 다른 마을로 넘어가 사람들을 선동했기 때문에 진양옥은 대서왕에게 배신감을 느꼈다고 한다. 반면 황제는 수도 함양에서 황제를 찬양하는 것을 제외한 글과 시만 보여도 흉성을 떨어뜨려 삭제해버리는 학살을 벌였지만, 그 끝에는 전쟁이라는 개념조차 없는 태평성대를 이룩했기 때문에 황제에게 충성했다.
  • 근육조선에서는 이자성반란을 일으켜 북경 함락에 성공해 순을 세우자 장헌충도 낙양을 점령하고 서를 세운다. 2부에서는 척가군에 있었던 장신위의 손자 이름으로 간접적으로 언급된다.
  • 명군이 되어보세에서는 원역사와 달리 서나라가 살아남아 학살은 저지르지 않았다. 대신 중원일통을 위해 거듭 친정을 나갔다가 50대에 전장에서 급병으로 사망 후 4황자 장형운이 쿠데타로 황위를 계승한다. 원역사에서는 태조묘호를 장아자에게 올려 추존했지만 여기서는 거듭된 군사원정 때문에 그럴 시간이 없었는지 자신이 태조 묘호를 받게 된다.

7. 둘러보기

명사(明史)
{{{#!wiki style="margin: -0px -10px; margin-top: 0.3px; margin-bottom: -6px; color: #800000"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color: #800000"
1·2·3권 「태조기(高祖紀)」 4권 「공민제기(恭閔帝紀)」 5·6·7권 「성조기(成祖紀)」
주원장 주윤문 주체
8권 「인종기(仁宗紀)」 9권 「선종기(宣宗紀)」 10·11·12권 「영종·경제기(英宗景帝紀)」
주고치 주첨기 주기진 · 주기옥
13·14권 「헌종기(憲宗紀)」 15권 「효종기(孝宗紀)」 16권 「무종기(武宗紀)」
주견심 주우탱 주후조
17·18권 「세종기(世宗紀)」 19권 「목종기(穆宗紀)」 20·21권 「신종·광종기(神宗光宗紀)」
주후총 주재후 주익균 · 주상락
22권 「희종기(熹宗紀)」 23·24권 「장렬제기(莊烈帝紀)」
주유교 주유검
※ 25권 ~ 99권은 志에 해당. 100권 ~ 112권은 表에 해당. 명사 문서 참고
}}}}}}}}}
[ 열전(列傳) ]
||<-6><tablewidth=100%><tablebgcolor=#f0c420> 113·114권 「후비전(后妃傳)」 ||
효자고황후 · 손귀비 · 이숙비 · 곽영비 · 효민양황후 · 인효문황후 · 소헌귀비 · 공헌현비 · 성효소황후 · 선묘현비 · 곽애 · 선묘현비 · 공양장황후 · 효장예황후
효숙황후 · 정혜경황후 · 오폐후 · 효정순황후 · 효목황후 기씨 · 효혜황후 · 공숙귀비 · 효강경황후 · 효정의황후 · 효결숙황후 · 장폐후 · 효열황후 · 효각황태후
효의장황후 · 효안황후 · 효정황후 · 효단현황후 · 효정황황후 · 공각귀비 · 효원정황후 · 효화황태후 · 효순황태후 · 이강비 · 효안황후 · 장유비 · 장열민황후
공숙귀비
115권 「종실전(宗室傳)」
주표 · 주우원
116·117·118·119·120권 「제왕전(諸王傳)」
주상 · 주강 · 주숙 · 주정 · 주부 · 주재 · 주기 · 주단 · 주춘 · 주백 · 주계 · 주영(朱楧) · 주식 · 주전(朱㮵) · 주권 · 주폐 · 주혜 · 주모 · 주영(朱楹) · 주경(朱桱) · 주동 · 주이 · 주남 · 주웅영 · 주윤통 · 주윤견 · 주윤희 · 주문규(朱文奎) · 주문규(朱文圭) · 주고후 · 주고수 · 주첨용 · 주첨선 · 주첨점 · 주첨은 · 주첨오 · 주섬강 · 주첨개 · 주첨게 · 주첨연 · 주견린 · 주견순 · 주견주 · 주견택 · 주견준 · 주견치 · 주견패 · 주견제 · 주우극 · 주우륜 · 주우빈 · 주우휘 · 주우운 · 주우저 · 주우팽 · 주우순 · 주우추 · 주우해 · 주후위 · 주재기 · 주재수 · 주재로 · 주재려 · 주재궤 · 주재숙 · 주익익 · 주익령 · 주익류 · 주상서 · 주상순 · 주상치 · 주상호 · 주상윤 · 주상영 · 주상부 · 주유학 · 주유즙 · 주유모 · 주유허 · 주유전 · 주자연 · 주자육 · 주자경 · 주자랑 · 주자훤 · 주자형 · 주자소 · 주자환 · 주자찬
121권 「공주전(公主傳)」
태원장공주 · 조국장공주 · 임안공주 · 영국공주 · 숭녕공주 · 안경공주 · 여령공주 · 회경공주 · 대명공주 · 복청공주 · 수춘공주 · 남강공주 · 영가공주 · 함산공주 · 여양공주 · 보경공주 · 복성공주 · 경양공주 · 강도공주 · 남평군주 · 영안공주 · 영평공주 · 안성공주 · 함녕공주 · 상녕공주 · 가흥공주 · 경도공주 · 청하공주 · 진정공주 · 덕안공주 · 연평공주 · 덕경공주 · 순덕공주 · 상덕공주 · 중경공주 · 가선공주 · 순안공주 · 숭덕공주 · 광덕공주 · 의흥공주 · 융경공주 · 가상공주 · 고안공주 · 인화공주 · 영강공주 · 덕청공주 · 장태공주 · 선유공주 · 태강공주 · 영복공주 · 영순공주 · 장녕공주 · 선화공주 · 상안공주 · 사유공주 · 영안공주 · 귀선공주 · 가선공주 · 봉래공주 · 태화공주 · 수양공주 · 영령공주 · 서안공주 · 연경공주 · 영창공주 · 수녕공주 · 정락공주 · 운화공주 · 운몽공주 · 영구공주 · 선거공주 · 태순공주 · 향산공주 · 천대공주 · 회숙공주 · 영덕공주 · 수평공주 · 낙안공주 · 곤의공주 · 장평공주 · 소인공주
122권 「곽자흥등전(郭子興等傳)」 123권 「진우량등전(陳友諒等傳)」 124권 「확곽첩목아등전(擴廓帖木兒等傳)」
곽자흥 · 한림아 진우량 · 장사성 · 방국진 · 명옥진 확곽첩목아 · 진우정 · 파잡라와이밀
125권 「서달등전(徐達等傳)」 126권 「이문충등전(李文忠等傳)」 127권 「이선장등전(李善長等傳)」
서달 · 상우춘 이문충 · 등유 · 탕화 · 목영 이선장 · 왕광양
128권 「유기등전(劉基等傳)」 129권 「풍승등전(馮勝等傳)」
유기 · 송렴 · 엽침 · 장일 풍승 · 부우덕 · 요영충 · 양경 · 호미
130권 「오량등전(吳良等傳)」
오량 · 강무재 · 정덕흥 · 경병문 · 곽영 · 화운룡 · 한정 · 구성 · 장룡 · 오복 · 호해 · 장혁 · 화고 · 장전 · 하진
131권 「고시등전(顧時等傳)」
고시 · 오정 · 설현 · 곽흥 · 진덕 · 왕지 · 매사조 · 김조흥 · 당승종 · 육중형 · 비취 · 육취 · 정우춘 · 황빈 · 엽승
132권 「주량조등전(朱亮祖等傳)」
주량조 · 주덕흥 · 왕필 · 남옥 · 사성 · 이신
133권 「요영안등전(廖永安等傳)」
요영안 · 유통해 · 호대해 · 경재성 · 장덕승 · 조덕승 · 상세걸 · 모성 · 호심 · 손흥조 · 조량신 · 복영
134권 「하문휘등전(何文輝等傳)」
하문휘 · 엽왕 · 무대형 · 채천 · 왕명 · 영정 · 김흥왕 · 화무 · 정옥 · 곽운
135권 「진우등전(陳遇等傳)」 136권 「도안등전(陶安等傳)」
진우 · 엽태 · 범상 · 송사안 · 곽경상 · 양원호 · 원홍도 · 공극인 도안 · 첨동 · 주승 · 최량 · 도개 · 증로 · 임앙 · 이원명 · 악소봉
137권 「유삼오등전(劉三吾等傳)」
유삼오 · 안연 · 오백종 · 오침 · 계언량 · 송눌 · 조숙 · 이숙정 · 유숭 · 나복인 · 손여경
138권 「진수등전(陳修等傳)」
진수(陳修) · 양사의 · 주정 · 양정(楊靖) · 단안인 · 설상 · 당탁 · 개제
139권 「전당등전(錢唐等傳)」
전당 · 한의가 · 소기 · 풍견 · 여태소 · 이사로 · 엽백거 · 정사리 · 주경심 · 왕박 · 장형
140권 「전당등전(錢唐等傳)」
위관 · 도후중 · 유사훤 · 왕종현 · 여문수 · 왕관 · 도동 · 노희 · 청문승
141권 「제태등전(齊泰等傳)」
제태 · 황자징 · 방효유 · 연자녕 · 유대방 · 탁경 · 진적 · 경청 · 호윤 · 왕도(王度)
142권 「철현등전(鐵鉉等傳)」
철현 · 포소 · 진성선 · 장병 · 송충 · 마선 · 구능 · 장륜(張倫) · 안백위 · 왕성 · 요선 · 진언회
143권 「왕간등전(王艮等傳)」
왕간 · 요승 · 주시수 · 정본립 · 황관 · 왕숙영 · 황월 · 왕량 · 진사현 · 정통 · 고외 · 고현녕 · 왕진(王璡) · 주진 · 우경선
144권 「성용등전(盛庸等傳)」 145권 「요광효등전(姚廣孝等傳)」
성용 · 평안 · 하복 · 고성 요광효 · 장옥 · 주능 · 구복 · 담연 · 왕진(王真) · 진형
146권 「장무등전(張武等傳)」
장무(張武) · 진규 · 맹선 · 정형 · 서충 · 곽량 · 조이 · 장신 · 서상 · 이준 · 손암 · 진욱 · 진현 · 장흥 · 진지 · 왕우
147권 「해진등전(解縉等傳)」 148권 「양사기등전(楊士奇等傳)」 149권 「건의등전(蹇義等傳)」
해진 · 황회 · 호광 · 김유자 · 호엄 양사기 · 양영 · 양부 건의 · 하원길
150권 「욱신등전(郁新等傳)」
욱신 · 조공 · 김충 · 이경 · 사규 · 고박 · 진수(陳壽) · 유계호 · 유진 · 양지 · 우겸(虞謙) · 여승 · 탕종
151권 「여상등전(茹瑺等傳)」
여상 · 엄진직 · 장담 · 왕둔 · 정사 · 곽자 · 여진 · 이지강 · 방빈 · 오중 · 유관
152권 「동륜등전(董倫等傳)」
동륜 · 의지 · 추제 · 주술 · 진제 · 왕영 · 전습례 · 주서(周敍) · 가잠 · 공공순
153권 「송례전(宋禮等傳)」 154권 「장보등전(張輔等傳)」
송례 · 진선 · 주침 장보 · 황복 · 유준(劉儁) · 여의 · 진흡 · 이빈 · 유승 · 양명 · 왕통
155권 「송성등전(宋晟等傳)」
송성 · 설록 · 유영 · 주영(朱榮) · 비환 · 담광 · 진회(陳懷) · 장귀 · 임례 · 조안 · 조보 · 유취
156권 「오윤성등전(吳允誠等傳)」
오윤성 · 설빈 · 오성(吳成) · 김충 · 이영 · 모승 · 초례 · 모충 · 화용 · 나병충
157권 「김순등전(金純等傳)」
김순 · 장본 · 곽돈 · 곽진 · 정진 · 시차 · 유중부 · 장봉 · 주선 · 양정(楊鼎) · 황호 · 호공진 · 진준 · 임악 · 반영 · 하시정
158권 「황종재등전(黃宗載等傳)」
황종재 · 고좌 · 단민 · 장창(章敞) · 오눌 · 위기 · 노목 · 경구주 · 헌예 · 황공소
159권 「웅개등전(熊概等傳)」
웅개 · 진일 · 이의 · 진일 · 이당 · 가전 · 왕우 · 최공 · 유자(劉孜) · 이간 · 원걸 · 팽의 · 모봉 · 하훈 · 고명 · 양계종
160권 「왕창등전(王彰等傳)」
왕창 · 위원(魏源) · 김렴 · 석박 · 나통 · 나기 · 장선 · 장붕 · 이유
161권 「주신등전(周新等傳)」
주신 · 이창기 · 진사계 · 응이평 · 임석 · 황종 · 진본심 · 팽욱 · 하시 · 황윤옥 · 양찬 · 유실 · 진선 · 하인 · 진장 · 장병 · 송단의
162권 「윤창륭등전(尹昌隆等傳)」
윤창륭 · 경통 · 대륜 · 진조 · 유구 · 진감 · 종동 · 장륜 · 요장 · 예경 · 양선(楊瑄)
163권 「이시면등전(李時勉等傳)」 164권 「추집등전(鄒緝等傳)」
이시면 · 진경종 · 유현(劉鉉) · 형양 · 임한 · 사탁 · 노탁 추집 · 익겸 · 황택 · 범제 · 요양 · 좌정 · 조개 · 유위 · 단우 · 장소 · 고요
165권 「도성등전(陶成等傳)」 166권 「한관등전(韓觀等傳)」
도성 · 진민 · 정선 · 왕득인 · 엽정 · 오기 · 모길 · 임금 · 곽서 · 강앙 한관 · 산운 · 소수 · 방영 · 이진 · 왕신 · 팽륜 · 구반 · 장우
167권 「조내등전(曹鼐等傳)」 168권 「진순등전(陳循等傳)」
조내 · 광야 · 왕좌 · 손상 · 원빈 진순 · 왕문 · 강연 · 진문 · 만안 · 유후 · 유길 · 윤직
169권 「고곡등전(高穀等傳)」 170권 「우겸전(于謙傳)」 171권 「왕기등전(王驥等傳)」
고곡 · 호영 · 왕직 우겸 왕기(王驥) · 서유정 · 양선(楊善) · 왕월
172권 「나형신등전(羅亨信等傳)」
나형신 · 후진 · 양녕 · 왕래 · 손원정 · 주감 · 양신민 · 장기 · 마근 · 정신 · 백규 · 장찬 · 공용 · 등정찬 · 왕식 · 유병
173권 「양홍등전(楊洪等傳)」
양녕 · 석정 · 곽등 · 주겸 · 손당 · 범광
174권 「사소등전(史昭等傳)」
사소 · 무개 · 허귀 · 주현 · 구신 · 왕새 · 노감 · 유녕 · 팽청 · 강한 · 안국 · 항웅
175권 「위청등전(衞靑等傳)」
위청 · 동흥 · 하홍 · 유옥 · 구월 · 신영 · 조웅 · 풍정 · 장준 · 양예
176권 「이현등전(李賢等傳)」 177권 「왕고등전(王翱等傳)」
이현 · 여원 · 악정 · 팽시 · 상로 · 유정지 왕고(王翱) · 연부 · 왕횡 · 이병 · 요기(姚夔) · 왕복 · 임총 · 엽성
178권 「항충등전(項忠等傳)」 179권 「나륜등전(羅倫等傳)」
항충 · 한옹 · 여자준 · 주영(朱英) · 진굉 나륜 · 장무 · 황중소 · 장창(莊昶) · 추지 · 서분
180권 「장녕등전(張寧等傳)」
장녕 · 왕휘 · 모홍 · 구홍 · 이삼 · 위원(魏元) · 강진 · 왕서(王瑞) · 이준 · 왕규 · 탕내 · 강관 · 강홍 · 조린 · 팽정 · 방반 · 여헌 · 엽신 · 호헌 · 장홍지 · 굴신 · 왕헌신
181권 「서부등전(徐溥等傳)」 182권 「왕서등전(王恕等傳)」
서부 · 구준 · 유건 · 사천 · 이동양 · 왕오 · 유충 왕서(王恕) · 마문승 · 유대하
183권 「하교신등전(何喬新等傳)」
하교신 · 팽소 · 주경(周經) · 경유 · 예악 · 민규 · 대산
184권 「주홍모등전(周洪謨等傳)」
주홍모 · 양수진 · 장원정 · 부한 · 장승 · 완성 · 부규 · 유춘 · 오엄 · 고청 · 유서
185권 「이민등전(李敏等傳)」
이민 · 가준 · 황불 · 장열 · 사종 · 증감 · 양경 · 서각 · 이개 · 황가 · 왕홍유 · 총란 · 오세충
186권 「한문등전(韓文等傳)」
한문 · 장부화 · 양수수 · 허진 · 옹태 · 진수(陳壽) · 번형 · 웅수 · 반번 · 호부 · 장태 · 장내 · 왕경(王璟) · 주흠
187권 「하감등전(何鑒等傳)」
하감 · 마중석 · 육완 · 홍종 · 진금(陳金) · 유간 · 주남 · 마호
188권 「유천등전(劉蒨等傳)」
유천 · 여충 · 조우 · 대선 · 육곤 · 장흠(蔣欽) · 주새 · 탕예경 · 허천석 · 장사륭 · 장문명 · 범로 · 장흠(張欽) · 주광 · 석천주
189권 「이문상등전(李文祥等傳)」
이문상 · 손반 · 호관 · 나교 · 엽쇠 · 대관 · 황공 · 육진 · 하양승 · 하준
190권 「양정화등전(楊廷和等傳)」 191권 「모징등전(毛澄等傳)」
양정화 · 양저 · 장면 · 모기 · 정이 모징 · 왕준(汪俊) · 오일붕 · 주희주 · 하맹춘 · 풍희 · 서문화 · 설혜
192권 「양신등전(楊愼等傳)」
양신 · 왕사 · 장충 · 유제 · 안반 · 장한경 · 장원 · 모옥 · 왕시가 · 정본공 · 장왈도 · 양회 · 장찬 · 곽남
193권 「비굉등전(費宏等傳)」
비굉 · 적란 · 이시 · 고정신 · 엄눌 · 이춘방 · 진이근 · 조정길 · 고의
194권 「교우등전(喬宇等傳)」
교우 · 손교 · 임준 · 김헌민 · 진금(秦金) · 조황 · 추문성 · 양재 · 유린 · 장요(蔣瑤) · 왕정상
195권 「왕수인전(王守仁傳)」 196권 「장총등전(張璁等傳)」
왕수인 장총 · 계악 · 방헌부 · 하언
197권 「석서등전(席書等傳)」 198권 「양일청등전(楊一淸等傳)」
석서 · 곽도 · 웅협 · 황종명 · 황관 양일청 · 왕경(王瓊) · 팽택 · 모백온 · 옹만달
199권 「이월등전(李鉞等傳)」
이월 · 왕헌 · 호세녕 · 이승훈 · 왕이기 · 범총 · 왕방서 · 정효
200권 「요막등전(姚鏌等傳)」
요막 · 장정 · 오문정 · 채천우 · 첨영 · 유천화 · 양수례 · 장악 · 곽종고 · 조시춘
201권 「도염등전(陶琰等傳)」
도염 · 왕진(王縝) · 이충사 · 오정거 · 방양영 · 왕광 · 왕월 · 서문 · 장방기 · 한방기 · 주금 · 오악
202권 「요기등전(廖紀等傳)」
요기(廖紀) · 왕시중 · 주기옹 · 당룡 · 왕고(王杲) · 주용 · 문연 · 유인 · 손응규 · 섭표 · 이묵 · 주연 · 가응춘 · 장영명 · 호송 · 조병연
203권 「정악등전(鄭岳等傳)」
정악 · 유옥 · 왕원석 · 구천서 · 당주 · 반진 · 이중 · 구양탁 · 도해 · 반훈 · 여경 · 구양중 · 주상(朱裳) · 진찰 · 손무 · 왕의(王儀) · 증균
204권 「진구주등전(陳九疇等傳)」 205권 「주환등전(朱紈等傳)」
진구주 · 적붕 · 손계로 · 증선 · 정여기 · 양수겸 · 상대절 · 해일귀 · 양선(楊選) 주환 · 장경 · 호종헌 · 조방보 · 이수 · 당순지
206권 「마록등전(馬錄等傳)」
마록 · 정계충 · 장규 · 정일붕 · 당추 · 두란 · 엽응총 · 해일귀 · 육찬 · 소경방 · 유세양 · 위양필
207권 「등계증등전(鄧繼曾等傳)」
등계증 · 주제 · 양언 · 유안 · 설간 · 양명(楊名) · 곽홍화 · 유세룡 · 장선 · 포절 · 사정천 · 왕여령 · 양사충
208권 「장근등전(張芹等傳)」
장근 · 왕응진 · 소명봉 · 제지란 · 원종유 · 허상경 · 고제 · 장교 · 여산 · 위상신 · 여관 · 팽여실 · 정자벽 · 척현 · 유회 · 전미 · 홍원 · 주사겸 · 안경
209권 「양최등전(楊最等傳)」
양최 · 풍은 · 양작 · 주이 · 유괴 · 심속 · 심연 · 양계성 · 양윤승
210권 「상교등전(桑喬等傳)」
상교 · 사유 · 하유백 · 서학시 · 여여진 · 왕종무 · 주면 · 조금 · 오시래 · 장충 · 동전책 · 추응룡 · 임윤
211권 「마영등전(馬永等傳)」 212권 「유대유등전(俞大猷等傳)」
마영 · 양진 · 왕효 · 주상문 · 마방 · 하경 · 심희의 · 석방헌 유대유 · 척계광 · 유현(劉顯) · 이석 · 장원훈
213권 「서개등전(徐階等傳)」 214권 「양박등전(楊博等傳)」
서계 · 고공 · 장거정 양박 · 마림 · 유례건 · 왕정(王廷) · 갈수례 · 근학안
215권 「왕치등전(王治等傳)」
왕치 · 구양일경 · 주홍조 · 첨앙비 · 낙문례 · 정이순 · 진오덕 · 왕문휘 · 유분용
216권 「오산등전(吳山等傳)」
오산 · 육수성 · 구경순 · 전일준 · 황봉상 · 여계등 · 풍기 · 왕도(王圖) · 옹정춘 · 유응추 · 당문헌 · 이등방 · 채의중 · 공내 · 나유의 · 요희맹 · 허사유 · 고석주
217권 「왕가병등전(王家屏等傳)」 218권 「신시행등전(申時行等傳)」 219권 「장사유등전(張四維等傳)」
왕가병 · 진우폐 · 심리 · 우신행 · 이정기 · 오도남 신시행 · 왕석작 · 심일관 · 방종철 · 심확 장사유 · 마자강 · 허국 · 조지고 · 장위 · 주갱
220권 「만사화등전(萬士和等傳)」
만사화 · 왕지고 · 오백붕 · 유응절 · 왕린 · 필장 · 서화 · 이세달 · 증동형 · 신자수 · 온순 · 조세경 · 이여화
221권 「원홍유등전(袁洪愈等傳)」
원홍유 · 왕정첨 · 곽응빙 · 경정향 · 왕초 · 위시양 · 학걸 · 조참로 · 장맹남 · 이정 · 정빈
222권 「만사화등전(萬士和等傳)」
만사화 · 왕지고 · 오백붕 · 유응절 · 왕린 · 필장 · 서화 · 이세달 · 증동형 · 신자수 · 온순 · 조세경 · 이여화
223권 「성응기등전(盛應期等傳)」 224권 「엄청등전(嚴清等傳)」
성응기 · 주형 · 반계순 · 만공 · 오계방 · 왕종목 · 유동성 · 서정명 엄청 · 송훈 · 육광조 · 손농 · 진유년 · 손비양 · 채국진 · 양시교
225권 「장한등전(張瀚等傳)」 226권 「해서등전(海瑞等傳)」
장한 · 왕국광 · 양몽룡 · 양외· 이재(李戴) · 조환 · 정계지 해서 · 구순 · 여곤 · 곽정역
227권 「방상붕등전(龐尚鵬等傳)」
방상붕 · 송의망 · 장악 · 이재(李材) · 육수덕 · 소름 · 가삼근 · 이이 · 주홍모 · 소언 · 손유성 · 사걸 · 곽유현 · 만상춘 · 종화민 · 오달가
228권 「위학증등전(魏學曾等傳)」 229권 「유대등전(劉臺等傳)」
위학증 · 이화룡 유대 · 부응정 · 왕용급 · 오중행 · 조용현 · 애목 · 심사효
230권 「채시정등전(蔡時鼎等傳)」 231권 「고헌성등전(顧憲成等傳)」
채시정 · 만국흠 · 요신 · 탕현조 · 녹중립 · 양순 · 강사창 · 마맹정 · 왕약림 고헌성 · 고윤성 · 전일본 · 우공겸 · 사맹린 · 설부교 · 안희범 · 유원진 · 엽무재
232권 「위윤정등전(魏允貞等傳)」
위윤정 · 왕국 · 여무형 · 이삼재
233권 「강응린등전(姜應麟等傳)」
강응린 · 진등운 · 나대굉 · 이헌가 · 맹양호 · 주유경 · 왕여견 · 왕학증 · 장정관 · 번옥형 · 사정찬 · 양천민 · 하선
234권 「노홍춘등전(盧洪春等傳)」 235권 「왕여훈등전(王汝訓等傳)」
노홍춘 · 이무회 · 이기(李沂) · 낙우인 · 마경륜 · 유강 · 대사형 · 조학정 · 옹헌상 · 서대상 왕여훈 · 여무학 · 장양몽 · 맹일맥 · 하사진 · 왕덕완 · 장윤의 · 추유연
236권 「이식등전(李植等傳)」 237권 「부호례등전(傅好禮等傳)」
이식 · 강동지 · 탕조경 · 김사형 · 왕원한 · 손진기 · 정원천 · 이박 · 하가우 부호례 · 강지례 · 포견첩 · 전대익 · 풍응경 · 오종요 · 오보수 · 화옥
238권 「이성량등전(李成梁等傳)」 239권 「장신등전(張臣等傳)」
이성량 · 마귀 장신 · 동일원 · 두동 · 소여훈 · 달운 · 관충병 · 시국주 · 진백우
240권 「엽향고등전(葉向高等傳)」 241권 「주가모등전(周嘉謨等傳)」
엽향고 · 유일경 · 한광 · 주국조 · 하종언 · 손여유 주가모 · 장문달 · 왕응교 · 왕기(王紀) · 손위 · 종우정 · 진도형
242권 「진방첨등전(陳邦瞻等傳)」
진방첨 · 필강무 · 소근고 · 백유 · 정소 · 적봉충 · 홍문형 · 진백우 · 동응거 · 임재 · 주오필 · 장광전
243권 「조남성등전(趙南星等傳)」 244권 「양련등전(楊漣等傳)」
조남성 · 추원표 · 손신행 · 고반룡 · 풍종오 양련 · 좌광두 · 위대중 · 주조서 · 원화중 · 고대장 · 왕지채
245권 「주기원등전(周起元等傳)」 246권 「만조천등전(滿朝薦等傳)」
주기원 · 요창기 · 주순창 · 주종건 · 황존소 · 이응승 · 만경 만조천 · 강병담 · 후진양 · 왕윤성
247권 「유정등전(劉綎等傳)」 248권 「매지환등전(梅之煥等傳)」
유정 · 이응상 · 진린 · 등자룡 · 마공영 매지환 · 유책 · 이약성 · 경여기 · 안계조 · 이계정 · 방진유 · 서종치
249권 「이표등전(李標等傳)」 250권 「손승종전(孫承宗傳)」
주섭원 · 이운 · 왕삼선 · 채복일 손승종
251권 「이표등전(李標等傳)」 252권 「양사창등전(楊嗣昌等傳)」
이표 · 유홍훈 · 전용석 · 성기명 · 하여총 · 서광계 · 문진맹 · 장덕경 · 방악공 양사창 · 오성(吳甡)
253권 「왕응웅등전(王應熊等傳)」 254권 「교윤승등전(喬允升等傳)」
왕응웅 · 장지발 · 설국관 · 정국상 · 진연 · 위조덕 교윤승 · 조우변 · 손거상 · 조광 · 진우정 · 정삼준 · 이일선 · 장위
255권 「유종주등전(劉宗周等傳)」 256권 「최경영등전(崔景榮等傳)」
유종주 · 황도주 최경영 · 황극찬 · 필자엄 · 이장경 · 유지봉
257권 「장학명등전(張鶴鳴等傳)」
장학명 · 동한유 · 조언 · 왕흡 · 양정동 · 웅명우 · 장봉익 · 진신갑 · 풍원표
258권 「허예경등전(許譽卿等傳)」
허예경 · 화윤성 · 위정윤 · 모우건 · 오집어 · 장정신 · 황소걸 · 부조우 · 강채 · 웅개원 · 첨이선 · 탕개원 · 성용 · 진룡정
259권 「양호등전(楊鎬等傳)」
양호 · 원응태 · 웅정필 · 원숭환 · 조광변
260권 「양학등전(楊鶴等傳)」
양학 · 진기유 · 웅문찬 · 연국사 · 정계예 · 정숭검 · 소첩춘 · 여응계 · 고두추 · 장임학
261권 「노상승등전(盧象昇等傳)」 262권 「부종룡전(傅宗龍等傳)」
노상승 · 유지륜 · 구민앙 부종룡 · 왕교년 · 양문악 · 손전정
263권 「송일학등전(宋一鶴等傳)」
송일학 · 풍사공 · 임일서 · 채무덕 · 위경원 · 주지풍 · 진사기 · 용문광 · 유가인 · 유지발
264권 「하봉성등전(賀逢聖等傳)」
하봉성 · 남거익 · 주사박 · 여유기 · 왕가정 · 초원부 · 이몽진 · 송사양 · 마희 · 왕도순 · 전시진
265권 「범경문등전(范景文等傳)」
범경문 · 예원로 · 이방화 · 왕가언 · 맹조상 · 시방요 · 능의거
266권 「마세기등전(馬世奇等傳)」
마세기 · 오인징 · 주봉상 · 유이순 · 왕위(汪偉) · 오감래 · 왕장 · 진량모 · 진순덕 · 신가윤 · 성덕 · 허직 · 김현
267권 「마종빙등전(馬從聘等傳)」 268권 「조문조등전(曹文詔等傳)」
마종빙 · 장백경 · 송공 · 범숙태 · 고명형 · 서견 · 녹선계 조문조 · 주우길 · 황득공
269권 「애만년등전(艾萬年等傳)」
애만년 · 이비 · 양구주 · 진우왕 · 후량계 · 장령 · 맹여호 · 호대위 · 손응원 · 강명무 · 우세위 · 후세록 · 유국능
270권 「마세룡등전(馬世龍等傳)」 271권 「하세현등전(賀世賢等傳)」
마세룡 · 하호신 · 심유용 · 장가대 · 노흠 · 진양옥 · 용재전 하세현 · 동중규 · 나일관 · 만계 · 조솔교 · 관유현 · 하가강 · 황룡 · 김일관
272권 「김국봉전(金國鳳等傳)」 273권 「좌양옥등전(左良玉等傳)」
김국봉 · 조변교 · 유조기 좌양옥 · 고걸 · 조관
274권 「사가법등전(史可法等傳)」 275권 「장신언등전(張愼言等傳)」
사가법 · 고홍도 · 강왈광 장신언 · 서석기 · 해학룡 · 고탁 · 좌무제 · 기표가
276권 「주대전등전(朱大典等傳)」
주대전 · 장국유 · 장긍당 · 증앵 · 주계조 · 여황 · 왕서전 · 노진비 · 하개 · 웅여림 · 전숙락 · 심진전
277권 「원계함등전(袁繼鹹等傳)」
원계함 · 김성 · 구조덕 · 심유룡 · 진자룡 · 후동증 · 양문총 · 진잠부 · 심정양 · 임여저 · 정위홍
278권 「양정린등전(楊廷麟等傳)」
양정린 · 만원길 · 곽유경 · 첨조항 · 진태래 · 왕양정 · 증형응 · 게중희 · 진자장 · 장가옥 · 진방언 · 소관생
279권 「여대기등전(呂大器等傳)」
여대기 · 문안지 · 번일형 · 오병 · 왕석곤 · 도윤석 · 엄기항 · 주천린 · 장효기 · 양외지 · 오정육
280권 「하등교등전(何騰蛟等傳)」
하등교 · 구식사
281권 「순리전(循吏傳)」
진관 · 방극근 · 오리 · 요흠 · 고두남 · 여언성 · 사성조 · 오상 · 사자양 · 황신중 · 하승 · 패병이 · 유맹옹 · 만관 · 엽종인 · 왕원 · 적부복 · 이신규 · 손호 · 장종련 · 이기(李驥) · 왕영 · 이상 · 조예 · 조등 · 증천 · 범충 · 주제 · 범희정 · 유강 · 단견 · 용사언 · 정적 · 전탁 · 당간 · 탕소은 · 서구사 · 방숭 · 장순 · 진유학
282·283·284권 「유림전(儒林傳)」
범조간 · 사응방 · 왕극관 · 양인(梁寅) · 조방 · 진모 · 설선 · 호거인 · 채청 · 나흠순 · 조단 · 오여필 · 진진성 · 여남 · 소보 · 양렴 · 유관 · 마리 · 위교 · 주영(周瑛) · 반부 · 최선 · 하당 · 당백원 · 황순요 · 진헌장 · 누량 · 하흠 · 진무열 · 담약수 · 추수익 · 전덕홍 · 왕기(王畿) · 구양덕 · 나홍선 · 오제 · 하정인 · 왕시괴 · 허부원 · 우시희 · 등이찬 · 맹화리 · 내여덕 · 등원석 · 공희학 · 안희혜 · 증질수 · 공문례 · 맹희문 · 중어폐 · 주면 · 정접도 · 정극인 · 장문운 · 소계조 · 주천 · 주서(朱墅)
285·286·287·288권 「문원전(文苑傳)」
양유정 · 호한 · 소백형 · 왕면 · 대량 · 위소 · 장이녕 · 조훈 · 서일기 · 조총겸 · 도종의 · 원개 · 고계 · 왕행 · 손분 · 왕몽 · 임홍 · 왕불 · 심도 · 섭대년 · 유부 · 장필 · 장태 · 정민정 · 나기 · 저권 · 이몽양 · 하경명 · 서정경 · 변공 · 고린 · 정선부 · 육심 · 왕정진 · 이렴 · 문징명 · 황좌 · 가유기 · 왕신중 · 고숙사 · 진속 · 전여성 · 황보효 · 모곤 · 사진 · 이반룡 · 왕세정 · 귀유광 · 이유정 · 서위 · 도륭 · 왕치등 · 구구사 · 당시승 · 초횡 · 황휘 · 진인석 · 동기창 · 원굉도 · 왕유검 · 조학전 · 왕지견 · 애남영 · 장부
289·290·291·292·293·294·295권 「충의전(忠義傳)」
화운 · 왕개 · 손염 · 모로 · 왕강 · 왕의(王禕) · 웅정 · 역소종 · 금팽 · 황보빈 · 장영(張瑛) · 왕정 · 만침 · 주헌 · 양충 · 오경 · 곽은 · 손수 · 허규 · 황굉 · 송이방 · 왕면 · 진문시 · 왕부 · 전순 · 주부 · 손당 · 두괴 · 황천 · 왕덕 · 왕일중 · 소몽양 · 장진덕 · 동진륜 · 공만록 · 관양상 · 서조강 · 희문윤 · 주만년 · 장요(張瑤) · 하천구 · 반종안 · 장전 · 하정괴 · 고방좌 · 최유수 · 정국창 · 당환순 · 이헌명 · 장춘 · 염생두 · 왕조곤 · 손사미 · 교약문 · 장병문 · 언윤소 · 길공가 · 형국새 · 장진수 · 등번석 · 장혼방 · 장윤등 · 장광규 · 이중정 · 방국유 · 하승광 · 방유 · 윤몽오 · 노겸 · 공원상 · 왕신 · 사기언 · 양지인 · 왕국훈 · 여홍업 · 장소등 · 왕도(王燾) · 장가징 · 서상경 · 완지전 · 학경춘 · 장극검 · 서세순 · 무대열 · 전조징 · 성이항 · 안일유 · 반홍 · 진예포 · 유진지 · 이승운 · 관영걸 · 장유세 · 왕세수 · 허영희 · 이정좌 · 노세임 · 유인 · 하섭 · 조흥기 · 하통춘 · 진미 · 심길신 · 노학고 · 진만책 · 허문기 · 곽이중 · 최문영 · 서학안 · 풍로운 · 채도헌 · 장붕익 · 유희조 · 왕손란 · 정양주 · 황세청 · 양훤 · 당시명 · 단복흥 · 간인서 · 사오교 · 도임 · 축만령 · 진빈 · 왕징준 · 정태운 · 하복 · 장나준 · 김육동 · 탕문경 · 허담 · 왕교동 · 장계맹 · 유사두 · 왕여정 · 윤신 · 고기훈 · 장요(張耀) · 미수도 · 경정록 · 석상진 · 서도흥 · 유정표
296·297권 「효의전(孝義傳)」
정렴 · 서윤양 · 전영 · 요비 · 구탁 · 최민 · 주완 · 오홍 · 주후 · 유근(劉謹) · 이덕성 · 심덕사 · 사정가 · 권근 · 조신 · 국상 · 왕준(王俊) · 석내 · 사오상 · 주오 · 정영 · 부즙 · 양성장 · 사용 · 하경 · 왕원(王原) · 황새 · 귀월 · 하린 · 손청 · 유헌 · 용사언 · 유자(兪孜) · 최감 · 당엄 · 구서 · 장균 · 왕재복 · 하자효 · 아기 · 조중화 · 왕세명 · 이문영 · 공금 · 양통조 · 장청아
298권 「은일전(隱逸傳)」
장개복 · 예찬 · 서방 · 양항 · 진회(陳洄) · 양인(楊引) · 오해 · 유민 · 양보 · 손일원 · 심주 · 진계유
299권 「방기전(方伎傳)」
활수 · 갈건손 · 여복 · 예유덕 · 주한경 · 왕리 · 주전(周顚) · 장중 · 장삼봉 · 원공 · 대사공 · 성인 · 황보중화 · 동인 · 오걸 · 능운 · 이시진 · 주술학 · 장정상 ,유연연,
300권 「외척전(外戚傳)」
진공 · 마공 · 여본 · 마전 · 장기(張麒) · 호영(胡榮) · 손충 · 오안 · 전귀 · 왕천 · 주능 · 왕진(王鎭) · 만귀 · 소희 · 하유 · 진만언 · 방예 · 진경행 · 이위 · 왕위(王偉) · 정승헌 · 왕승 · 유문병 · 장국기 · 주규
301·302·303권 「열녀전(列女傳)」
정월아 · 제아 · 정금노 · 노가랑 · 탕혜신 · 묘총 · 만의전 · 왕묘봉 · 당귀매 · 양태노 · 정은아 · 두묘선 · 초낭맹 · 호귀정 · 오길고 · 서아장 · 양옥영 · 우봉랑 · 예미옥 · 고형와 · 항숙미
304·305권 「환관전(宦官傳)」
정화 · 김영 · 왕진(王振) · 조길상 · 회은 · 왕직(汪直) · 양방 · 하정 · 이광 · 장종 · 유근 · 장영(張永) · 곡대용 · 이방 · 풍보 · 장경 · 진증 · 진구 · 왕안 · 위충현 · 왕체건 · 최문승 · 장이헌 · 고기잠 · 왕승은 · 방정화
306권 「엄관전(閹黨傳)」
초방 · 장채 · 고병겸 · 최정수 · 유지선 · 조흠정 · 왕소휘 · 곽유화 · 염명태 · 가계춘 · 전이경
307권 「영행전(佞倖傳)」
기강 · 문달 · 이매성 · 계요 · 강빈 · 육병 · 소원절 · 도중문 · 단조용 · 공가패 · 호대순 · 전옥 · 왕금 · 고가학 · 성단명 · 주융희
308권 「간신전(奸臣傳)」 309권 「유적전(流賊傳)」
호유용 · 진녕 · 진영 · 엄숭 · 주연유 · 온체인 · 마사영 이자성 · 장헌충
310권 「호광토사전(湖廣土司傳)」
311·312권 「사천토사전(四川土司傳)」
313·314·315권 「운남토사전(雲南土司傳)」
316권 「귀주토사전(貴州土司傳)」
317·318·319권 「광서토사전(廣西土司傳)」
320·321·322·323·324·325·326·327·328권 「외국전(外國傳)」
조선(← 고려) · 안남(대우후여조막조후여조) · 일본 · 유구(삼산유구) · 여송 · 합묘리 · 미락거 · 사요 · 계롱 · 파라 · 마엽옹 · 고마랄랑 · 풍가시란 · 문랑마신 · 점성 · 진랍 · 섬라 · 과왜 · 삼불제 · 발니 · 만랄가 · 소문답랄(팔석아제) · 수문달나 · 소록 · 서양쇄리 · 람방 · 담파 · 백화 · 팽형 · 나고아 · 여벌 · 남발리 · 아노 · 유불 · 정기의 · 파나서 · 불랑기 · 화란 · 고리 · 가지 · 소갈란 · 대갈란 · 석란산 · 방갈랄 · 소납박아 · 좌법인 · 목골도속 · 불랄왜 · 죽보 · 아단 · 알살 · 마림 · 홀로모사 · 유산 · 비날 · 남무리 · 가이륵 · 감파리 · 급란단 · 사리만니 · 저리 · 천리달 · 실랄비 · 고리반졸 · 알니 · 하랄비 · 기랄니 · 굴찰니 · 사랄제 · 팽가나 · 팔가의 · 오사랄척 · 감파 · 아왜 · 타회 · 백갈달 · 흑갈달 · 불름 · 의대리아 · 달단(북원) · 와랄 · 올량합
329·330·331·332권 「서역전(西域傳)」
합밀위 · 유성 · 화주 · 토로번 · 안정위 · 아단위 · 곡선위 · 적근몽고위 · 사주위 · 한동위 · 한동좌위 · 합매리 · 서번제위 · 오사장 · 아난공덕국 · 니팔랄국 · 타감오사장행도지휘사사 · 장하서어통영원산위사 · 동복한호선위사 · 살마아한 · 사록아해 · 달실간 · 새람 · 양이 · 갈석 · 질리미 · 복화아 · 별실리팔 · 합열 · 엄도회 · 팔답흑상 · 우전 · 실자사 · 엄적간 · 합실합아 · 역사불한 · 화랄차 · 걸력마아 · 백송호아 · 답아밀 · 납실자한 · 매진 · 일락 · 미석아 · 흑루 · 토래사 · 아속 · 사합로 · 천방 · 묵덕나 · 곤성 · 합삼등29부 · 노미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0c420><tablebgcolor=#f0c420> ||
}}} ||


[1] 한어병음.[2] 웨이드-자일스 표기법.[3]산시성(陝西省) 위린시 딩볜현(定邊縣) 하오탄진(郝灘鎭) 류취촌(柳渠村).[4]산시성(陝西省) 위린시 위린진(楡林鎭).[5]충칭시 펑제현(奉節縣).[6]쓰촨성 다저우시 완위안시(萬源市) 리자거우촌(李家溝村) 타이핑진(太平鎭).[7]허난성 신양시 구스현(固始縣).[8]안후이성 리우안시(六安市) 훠추현(霍邱縣).[9]안후이성 허페이시.[10]안후이성 안칭시.[11]안후이성 마안산시 허현(和縣).[12]안후이성 추저우시.[13]장쑤성 양저우시 이정시(儀征市).[14]후베이성 황강시 잉산현(英山縣).[15]안후이성 리우안시(六安市) 훠산현(霍山縣).[16]후베이성 황강시 마청시(麻城市).[17]산시성 웨이난시 퉁관현(潼關縣).[18]허난성 쉬창시.[19]쓰촨성 난충시 시충현(西充縣) 둬푸진(多扶鎭) 펑황산(鳳凰山).[20] 더 정확히는 손가망은 남명 정권 내에서 지나친 권세를 탐하다가 권력에서 밀려나자 반란을 일으켜 실패하고 청나라에 항복하였으며, 이정국은 손가망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며 영력제와 손을 잡고 영력제와 함께 미얀마로 밀려나 죽을 때까지 항청 활동을 계속했고, 유문수는 이들 사이에 껴서 고생하다가 약을 먹고 죽었다.[21] 다만 여기에 대한 반론도 존재한다.[22] 한국 위키피디아에서 번역자료가 첨부됐다.#[23] 중국 사이트인 바이두백과 등에서도 장헌충이 학살자가 아니라고 기술해놓았다.[24] 아래의 유물들이 발굴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대서국은 화폐를 발행하는 등 나름대로의 질서를 유지했고, 나라 꼴을 갖춘 상태였다고 볼 수 있다. 당연하지만 사람들을 마구 죽여대는 상황에서 국가의 체계가 유지될리가 없다.[25] 이준갑, 중국사천사회연구 1644-1911: 개발과 지역질서 (서울대학교 출판부,2002), 제1장 명말청초 동란기의 사천사회.[26] 대신 북경에는 청나라의 팔기군과 그 자제가 입주하였다.[27] 다만 이는 위에서 장헌충이나 청나라가 사람을 마구 죽였고 그로 인해서 파촉인들이 거의 다 죽었다는 주장, 그리고 선교사가 남긴 “사천 지방은 숲만 무성했다”는 기록과는 정면으로 배치되는데, 실제로 사람들이 마구 죽었다면 당연히 농지를 돌보는 것도 불가능했을테고 오랫동안 방치된 농지는 농사를 짓기 어렵게 황폐화되었을 것이다.[28] 공홍덕(安洪德), 이 글의 필자.[29] 면주지현 두란(綿州知州 杜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