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기스칸 Giant pangasius, Chao Phraya catfish | |
학명 | Pangasius sanitwongsei Smith, 1931 |
<colbgcolor=#fc6> 분류 | |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
목 | 메기목(Siluriformes) |
과 | 메콩메기과(Pangasiidae) |
속 | 팡가시우스속(Pangasius) |
종 | 징기스칸(P. sanitwongsei) |
멸종위기등급 | |
[clearfix]
1. 개요
열대어의 일종. 동남아시아 메콩강 원산의 1~3m의 커다랗고 날렵한 메기 종류로 체형과 등지느러미가 상어를 닮았다.하지만 수족관에서 팔리는 물고기들은 5~7cm 정도의 손가락만한 새끼들이며, 시중에서 50cm 이상의 커다란 개체를 보긴 힘들다. 의외로 수질과 용존산소량이 민감한편이라 유어 시기에 곧잘 폐사하곤 한다.[1]
징기스칸이라는 국내 수족관에서 거래되는 이름으로 유래는 현재까지도 불명이며, 외국에서는 Giant Pangasius catfish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대부분의 수족관에서는 유어나 30~50cm 정도 크기의 소형 개체를 사육하고 있지만, 코엑스 아쿠아리움에서는 1m가 넘는 초대형 개체를 사육하고 있다. 같이 합사되어 있는 피라루쿠들과 비교해 봐도 꿀리지 않을 수준의 상당히 큰 몸집을 자랑한다. 이름은 징기스칸으로 부르지 않고 영어명인 Giant Pangasius를 그대로 음역했다.
2. 사육
주행성이고 빠르게 유영하기에 큰 수족관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5자 수조[2] 이상이 추천된다.[3]먹는양이 상당히 많고[4] 상당한 탐식성을 보유하고 있어 일반적인 물고기 사료만으로는 해결하기 힘들어 준성어 이후로는 개밥(...)이나 미꾸라지를 먹인다.큰 덩치를 이용해 아시아아로와나 합사항에서 개체 간 마찰을 막는 용도로 합사하기도 한다.
놀랄경우 수조 벽면을 들이박는 특성이 있기에, 사이즈가 커질 경우 강화유리나 접착유리로 된 수조를 요구한다.
3. 기타
같은 과의 어종으로 가이양(Pangasianodon Hypophthalmus)이 있다. 구분 방법은 전반적인 체형과 지느러미의 모양. 징기스칸이 상대적으로 체고가 높고 지느러미가 날렵하다. 가이양이 징기스칸보다 더 구하기 쉬우며 더 겁이 많다.먹성이 좋은 물고기를 좋아한다면 가이양은 딱히 추천하지 않는다. 차라리 징기스칸을 키우자.
체고가 낮아서 먹히기 쉬우니 자기보다 큰 물고기와는 기르지 말자. 또한, 징기스칸은 입에 들어가는 물고기는 모두 잡아먹기 때문에 자기보다 작으면서 체고가 높아 입에 안 들어가는 물고기가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