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7 21:34:09

캐릭터 밈/예시

1. 개요2. 예시
2.1. ㄱ2.2. ㄴ2.3. ㄷ2.4. ㄹ2.5. ㅁ2.6. ㅂ2.7. ㅅ2.8. ㅇ2.9. ㅈ2.10. ㅋ2.11. ㅌ2.12. ㅍ2.13. ㅎ2.14. A~Z

1. 개요

캐릭터 밈이 생긴 미디어상의 캐릭터들을 서술하는 항목.

2. 예시

인터넷상에서 대중적으로 알려진 밈에 대해서는 굵음 표시.
캐릭터에 대한 조롱의 의미가 담긴 안티성 비난 밈은 ● 표시.
너무 지나치게 밈이 적용되어 캐릭터에게 부정적인 인식이 생기거나 밈에 대한 반감이 나오는 캐릭터는 ★ 표시.
공식에서 밀어주는 밈은 ※ 표시.

2.1.

2.2.

2.3.

2.4.

  • 러브 라이브
    • 야자와 니코 : 니코니코니
    • 쇼우 란쥬● - ALL STARS 세계관 한정. 본인이 메인인 2부의 스토리 퀄리티가 워낙 참담하고 이로 인해 저지른 민폐가 크다보니 까이는 밈이 양산되었다.
  • 라스트오리진
    • 마법소녀 매지컬 백토 : SD 초상화를 올려놓고 '원스토어 출책 해슴 안해슴!' 이라는 글만 딸랑 적혀있는 꾸준글 때문에 밈이 생겼는데, 의외로 캐릭터의 이미지와 매치됨과 동시에 실제로 이 글을 보고 원스토어 출책을 제 때 하는 사람들이 늘어감에 따라 라스트오리진 갤러리의 정식 밈으로 받아들여졌다. 아카라이브 라스트오리진 채널에서는 이 밈이 좀 더 확장되어, 랜덤한 토끼 짤방을 올리면서 해당 상황에 적절한 음슴체를 섞어 넣는 밈이 장시간 유행을 타기도 했다. 이후 공식 이스터에그로 역수입되었다.
  • 리그 오브 레전드
    • 가렌●★: 가붕이 밈 때문에 2018년 이후 나오는 한국 창작물 대부분은 모솔아다나 카타리나NTR 당하는 역으로 나오는 것 때문에 진짜로 그 설정이 공식설정인줄 아는 사람이 상당하다. 아마 가렌이 LCK에 나오기 전까지는 끝나지 않을 듯했는데 가렌이 등장하고도 계속 등장하는것을 봐서는 그냥 굳혀졌다(...)

2.5.

2.6.

2.7.

2.8.

2.9.

2.10.

2.11.

2.12.

  •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
    • 한지우●★: 한지우/인성 왜곡 문서를 참조. 처음에는 재미로 시작했었지만, 이 밈이 단순히 밈에서 끝나지 않고 실제로 캐릭터 자체가 못됐다는 식으로 왜곡된 정보가 진실인 양 퍼지는 등 사회 문제로까지 번져 밈에 대한 인식이 매우 나쁘다. 담당 성우인 이선호가 공격을 당했다는 소문까지 나돈다.
    • 로켓단 삼인방●★: 우치하 이타치와 더불어 팬들의 성역화로 인해서 비판받는 케이스. 다만 로켓단은 이타치에 비해서 순한 편이다.
  • 프린세스 커넥트! Re:Dive
    • 캬루●★: 캬루/밈 문서를 참조. 스토리 구도, 배신자 이미지 때문에 마구 굴려도 되는 캐릭터, 까야 제맛 취급을 받다가 망조의 짐승 취급을 받는 지경에 이르렀다. 당연히 순수하게 캬루를 좋아하는 팬층 입장에서는…. 더욱이 캬루는 자의가 아닌 새뇌에 가까운 편이며, 반대로 작중에서 자의로 배신한 캐릭터가 있는데도 끝까지 써먹는다.
  • Fate 시리즈

2.13.

  • 하스스톤
    • 플레이가 가능한 모든 직업의 기본 영웅●★: 하스스톤이 운빨좆망겜이라서 그나마 굴단, 발리라나 일리단 정도를 빼면 안까이는 영웅이 없다. 그나마 가로쉬는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의 행적까지 묶어 까이는 것도 있어서 정당하다고 보는 시선도 있다. 씹랄, 씹서, 앰오, 법뻔뻔, 개로쉬, 노루, 그리고 안두인 린은 이 분야에서 압도적으로 까인다.
    • 티리온 폴드링: 타 직업에게서 가져오는 임팩트가 크기에 공용 전설이라거나 창남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다만 티리온은 와우에서도 업적 도둑이라는 밈이 있다.

2.14. A~Z




[1] 딱히 주인공이 원수인 것도 아니고, 복수의 대상도 아니며, 라이벌 의식을 가진 것도 아니고, 피치 못할 사정으로 주인공과 척을 지는 것도 아니다. 그냥 마음에 안 들어서. 심지어 주인공말고도 자기가 싫어하는 상대는 전부 이런 식으로 대한다.[2] 의도하지 않았는데 네타캐가 된 위의 닷디와는 달리 이쪽은 의도했다는 차이가 있다.[3] 둘다 근친상간 하나 때문에 밈으로 묘사가 되었다.[4] 특히 노비 노비타라는 캐릭터가 후지코 F. 후지오의 페르소나 캐릭터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고인드립 논란까지 생겨 최근에 극단적인 비난은 자제하는 분위기로 가고있다.[5] 파일:Crying Aya Asagiri.jpg[6] 이 인간은 자업자득이다.[7] 닥터 스트레인지의 대사 자체에 대한 밈이 아닌 그 오역으로 인한 밈이다.[8] 원판명은 '후루야 레이'지만 한국 더빙판 대사가 밈이 되었기에 한국어 로컬라이징 명으로 작성되었다.[9] 히나 같은 경우에는 선생님에 대한 순수한 호감이 메인 스토리와 이벤트 스토리에서 부각되어서 인기를 얻게 된 케이스.[10] 트라우마코어 문서를 보면 알겠지만 산리오 등 이런 류의 귀여운 캐릭터들에게 악의적인 편집을 가하여 기괴하고 공포스러운 연출을 한 사진들이 돌아다니고 있다. 이런 점에서 엘사게이트의 문제점과도 어느정도 공유한다.[11] 우간다 너클즈 한정.[12] Today is Friday in California를 참고.[13] 눈물의 곡절과 최동열 기자는 제외.[14] 주로 반문 성향이면서 오타쿠 성향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15] 친문 성향이거나 문재인에 대한 호불호와는 별개로 단순히 자신이 좋아하는 작품에 정치 밈이 묻는 것이 싫은 사람들 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