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주의 사상의 분파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온건 · 개혁적 보수주의 | ||||
녹색 보수주의 | 일국 보수주의 | 실용적 보수주의 | 온건 보수주의 | 진보적 보수주의 | |
온정적 보수주의 | |||||
현대적 보수주의 | |||||
자유보수주의 | 보수자유주의 | 재정보수주의 | 국민보수주의* | 신보수주의 | |
신우파 | 현대보수주의 | ||||
고전적 보수주의 | |||||
가부장적 보수주의 | 전통적 보수주의 | 사회보수주의 | 문화적 보수주의 | 고보수주의 | |
가족주의 | |||||
강경 보수주의 | |||||
초보수주의 | 교권주의 | 토착민주의 | 반동주의 | 국민보수주의(일부) | |
인종 보수주의 | 권위주의적 보수주의 | ||||
종교적 보수주의 | |||||
기독교 민주주의 | 기독교 우파 | 이슬람 민주주의 | 이슬람주의 | 불교 민주주의 | |
유대 보수주의 | 종교 시오니즘 | 전통주의 가톨릭 | 힌두트바 | 보수주의 신학 |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
자유지상주의적 보수주의 | 융합주의 | 고자유지상주의 | |||
지역별 보수주의 | |||||
위정척사사상 | 일민주의 | 따뜻한 보수 | 개혁보수 | 중도실용주의 | |
뉴라이트 | 신우익 | 청년민족파 | 일국 보수주의 | 대처주의 | |
레이건주의 | 트럼프주의 | 대안 우파 | 푸틴주의 | 유라시아주의 | |
보나파르트주의 | 오를레앙주의 | 법통주의 | 드골주의 | 보수혁명 | |
보수민주주의 | 원칙주의 | 알폰소주의 | 카를로스주의 | 프랑코주의 | |
메넴주의 | 정통 페론주의 | 밀레이주의 | 후지모리주의 | 피노체트주의 | |
보우소나루주의 | 베를루스코니주의 | 신권위주의 | 신유교주의 | 장제스주의 | |
국민우파 |
나라별 현황 | ||||
대만의 보수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독일의 보수주의 | 러시아의 보수주의 | 미국의 보수주의 |
영국의 보수주의 | 인도의 보수주의 | 중국의 보수주의 | 일본의 보수주의 | 호주의 보수주의 |
홍콩의 보수주의 | ||||
문화, 지역별 현황 | ||||
한반도의 보수주의 | ||||
연관 이념 | ||||
보수주의 페미니즘 | 성소수자 보수주의 | 흑인 보수주의 | 교권 파시즘 | 유사 파시즘 |
우익대중주의 | 군주주의 (왕당파) | 삼민주의 | 사회자유 보수주의 | 민족주의** |
제국주의 | 권위주의적 자본주의 | 보수적 사회주의 | 출생주의 | 탈자유주의 |
남성주의 | ||||
연관 개념 | ||||
전통 | 법과 질서 | 권위 | 가족 | 충성 |
위계 | 자연법 | 정통성 | 도덕 | 사회 질서 |
가부장제 | ||||
기타 | ||||
우익 정치 | 아시아적 가치 | 보수좌파 | 탈파시즘 | 백색 테러 |
반공주의 | 반사회주의 | 안티페미니즘(일부) | 반자본주의(일부) | 반자유주의(일부) |
부르주아 정당 | 친생명 | 귀족 이익 | 영국 연합주의 | 사회진화론 |
블루 타이드 | 엘리트주의 | 백래시 | 힘에 의한 평화 | 시니스트리슴 |
폴크스게마인샤프트 | 폴크헴메트 | 종교적 우파 | 대안 우파 | 정체성 정치 |
반혁명 | 군사 케인스주의 | |||
관련 단체 | ||||
국제민주연합 | 중도민주 인터내셔널 | 무슬림 형제단 |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 에라스뮈스 재단 |
황국협회 | ||||
주요 3대 이념의 분파 (사회주의 · 자유주의 · 보수주의) · 기타(내셔널리즘 · 생태주의 · 포퓰리즘) * 국민주의는 근대(modern)에 탄생한 이념이다. 따라서 21세기 기준 서구 선진국에서 국민보수주의가 강경 우익인 경우가 많기는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는 근대적/현대적(modern) 보수주의이며, 고전적(classical) 보수주의에 속하지 않는다. | ||||
상징 | 역사 | 인물 |
1. 개요
독일의 중도우파 성향 재단법인. 독일 기독교민주연합의 정책연구소이다. 약칭은 KAS이며, 베를린에 소재하고 있다.2. 성향
한국 재단 사무소 공식사이트에 따르면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은 자기책임, 정의 그리고 연대를 추구한다. 또한 자유 및 대의 민주주의, 법치주의, 사회적 시장경제 그리고 유럽통합의 실현에 기여하는 것을 사명으로 여긴다.공식 사이트에 적혀있는 내용이 길어서 핵심만 요약하자면, 콘라트 아데나워의 정치적 업적과 기독교 민주주의적 철학을 지지하며, 유럽 통합, 대서양주의와 이스라엘과의 우호관계, 민주주의 확산, 사회적 시장경제를 지지하며 정치적 극단주의에 반대한다.
3. 한국과의 관계
독일의 보수청년 단체인 영유니온이 2022년 8월 25일에 홍준표 대구시장과 만나 청년 정책을 포함한 여러 이슈에서 의견을 나누기 위해 방한했는데, 이는 콘라드 아데나워 재단 한국사무소의 초청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2020년 11월 20일 문재인 정부 시절 법무부는 한반도 통일 문제와 한독관계 증진에 대해 의논하기 위해 콘라트 아데나워 재단, 프리드리히 에베르트 재단, 프리드리히 나우만 자유재단과 간담회를 열었다. 이때가 독일 재통일 30주년이였다고 한다.#